KR20080002970U -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 Google Patents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970U
KR20080002970U KR2020070001470U KR20070001470U KR20080002970U KR 20080002970 U KR20080002970 U KR 20080002970U KR 2020070001470 U KR2020070001470 U KR 2020070001470U KR 20070001470 U KR20070001470 U KR 20070001470U KR 20080002970 U KR20080002970 U KR 200800029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kiln
ocher
tunnel
barbec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명
Original Assignee
권오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명 filed Critical 권오명
Priority to KR2020070001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970U/ko
Publication of KR200800029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9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9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constructed from refractory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2Reflectors for radiation he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육류를 구워 섭취할 수 있게 한 구이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에 개폐문을 갖는 터널형 가마를 형성하고 그 가마는 내측의 황토층과 외부의 단열층으로 이루어지며, 가마의 바닥부에는 이격된 숯통과 기름받이홈 및 다수의 석쇠를 꽂을 수 있게 된 꽂이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숯의 원활한 연소를 위한 하측의 흡기구와 상부 일측의 배기연통으로 구성되어,
상기한 숯통 내부의 열원에 의해 황토로 된 가마 내부의 반사열 및 복사열에 의해 구이물 전체가 빠르고 고르게 구워짐은 물론 황토층 자체의 잠열과 축열 작용에 의해 장시간 동안 안정적인 열원의 제공을 통해 비교적 적은 숯만으로도 대량의 구이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숯과 황토가 갖는 본래의 향취는 물론 고온에서 다량으로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구이물의 상하 및 내외가 고르게 구워지면서도 보다 부드럽고 뛰어난 향취 및 식감을 제공하고, 점화 및 소화의 용이함과 숯보충의 편리함과 함께 기름이 분리 수거되어 그로 인한 연기나 악취의 발생이 거의 없고, 장식성이 뛰어나 실내 전시 효과를 상승시키는 특징을 갖는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황토, 가마, 숯불, 바베큐, 꽂이대, 회전, 승강, 잠열, 축열

Description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Tummel-type loess kiln serves as a barbecu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 바베큐 구이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 바베큐 구이기의 개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 바베큐 구이기의 측단면 전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 바베큐 구이기의 정단면 전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 바베큐 구이기의 내부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 바베큐 구이기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 바베큐 구이기의 연통개폐부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 바베큐 구이기의 꽂이대 승강부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마 11 : 개폐문
12 : 본체 13 : 배기연통
14 : 황토층 15 : 단열층
16 : 표피재
20,20' : 숯통 21 : 기름수거부
22 : 기름수거관 23 : 흡기구
24 : 흡기연결관 25 : 분산갓
26 : 걸름망 27,27' : 받침관
28 : 밸브 29 : 마개
30 : 꽂이대 31,31' : 지지대
32 : 승강대
40 : 탄발스프링 41 : 손잡이대
42 : 완충부재 43 : 밸브로드
44 : 손잡이 45 : 밸브판
50,50' : 열유도판 51 : 석쇠
60 : 회전로드 61 : 핸들레버
62 : 연결대 63 : 롤러
본 고안은 각종 육류를 구워 섭취할 수 있게 한 구이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벽이 황토층으로 된 터널형 가마의 내부에 서로 이격된 숯통과 그 숯통의 상측에 석쇠 및 열유도판을 삽입할 수 있게 한 꽂이대를 구비한 숯불 바베큐 구이기를 구성함으로써, 숯을 열원으로 하는 터널형 가마 구조에 의해 구이물의 맛 과 향취를 향상시키면서도 간접열 및 원적외선에 의해 바베큐가 타지 않고 고르게 구워지는 것이며, 황토층 자체의 잠열 및 축열 효과에 의해 숯의 소비가 적어 매우 경제적인 특징을 갖는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음식점 등에서 소비되는 각종 육류의 조리 형태는 불판이나 석쇠 등에 올려놓고 가열하는 구이 형태가 주로 이용되고 있는데, 가스불이나 전기열에 의한 구이방식은 구이물의 표면이 먼저 타거나 많은 연기 및 냄새 등을 유발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구이판이 안출되고 있다,
특히,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전기 및 가스에 의한 구이보다는 맛과 향취가 뛰어난 숯을 이용한 구이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숯을 이용한 구이방법은 상기한 가스 및 전기보다는 다소 번거로운 단점은 있으나, 천연원료에 의한 열원을 사용하므로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숯 자체의 고유한 향취에 의해 구이물의 식감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며, 숯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숯 자체의 원적외선에 의해 그 구이물이 보다 빠르고 고르게 구워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이물을 취급하는 대부분의 음식점은 상기와 같은 구이물의 열원으로 숯을 이용하고 있으며, 그 숯을 이용하여 구이를 하는 형태 역시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숯탄을 이용하여 구이물을 만드는 경우에는 대기중으로 노출된 숯이 필요 이상 빠르게 연소되어 그 숯 소모량이 상당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과거의 연료에 비하여 상당한 경제적 압박을 가하게 되므로 부 득이하게 소비자들에게 이를 전가하거나 업주의 이득금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특히, 한 번 사용되는 숯은 소량의 음식물을 구워 섭취하거나 숯불을 보강하기 위해 재투입된 숯의 경우 완전히 연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더 이상 불이 필요 없을 경우에는 이들이 모두 소각될 때까지 방치하여 완전히 재로 된 상태에서 이를 처리하게 되므로 미연소된 숯의 폐기로 인한 경제적 손실 역시 상당한 것이다.
또한, 대기중으로 노출된 숯은 고유의 향취나 원적외선이 구이물 보다는 대기중으로 그대로 방출 및 방사되는 량이 더 많아 실제 소비자는 숯 자체의 고유한 특징을 충분히 만끽할 수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전면에 개폐문을 갖는 터널형 가마를 형성하고 그 가마는 내측의 황토층과 외부의 단열층으로 이루어지며, 가마의 바닥부에는 이격된 숯통과 기름받이홈 및 다수의 석쇠를 꽂을 수 있게 된 꽂이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숯의 원활한 연소를 위한 하측의 흡기구와 상부 일측의 배기연통으로 구성되어,
상기한 숯통 내부의 열원에 의해 황토로 된 가마 내부의 반사열 및 복사열에 의해 구이물 전체가 빠르고 고르게 구워짐은 물론 황토층 자체의 잠열과 축열 작용에 의해 장시간 동안 안정적인 열원의 제공을 통해 비교적 적은 숯만으로도 대량의 구이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숯과 황토가 갖는 본래의 향취는 물론 고온에서 다량으로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구이물의 상하 및 내외가 고르게 구워지면서도 보다 부드럽고 뛰어난 향취 및 식감을 제공하고, 점화 및 소화의 용이함과 숯보충의 편리함과 함께 기름이 분리 수거되어 그로 인한 연기나 악취의 발생이 거의 없고, 장식성이 뛰어나 실내 전시 효과를 상승시키는 특징을 갖는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 바베큐 구이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 바베큐 구이기의 개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 바베큐 구이기의 측단면 전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 바베큐 구이기의 정단면 전체도이다.
전면에 개폐문(11)을 갖는 밀폐형 터널로 된 가마(10)를 형성하고, 상기한 가마(10)의 하측에는 전면이 개방된 본체(12)를 구비하며, 상기한 가마(10)의 상부 일측에는 가마(10)의 내부와 관통된 배기연통(13)을 형성하되,
상기한 가마(10)는 내측의 황토층(14)과 그 황토층(14) 외표면의 단열층(15) 및 단열층(15) 외표면의 표피재(16)로 이루어지고,
가마(10)의 내부에는 이격된 숯통(20)(20')과 그 숯통(20)(20') 사이에 보다 낮은 위치의 기름수거부(21) 및 기름수거부(21) 단부에 상기 본체(12)를 향해 관통된 기름수거관(2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한 숯통(20)(20')의 일측 가마(10)의 내부에는 횡상의 지지대(31)(31')에 의한 꽂이대(30)를 형성하며, 상기한 숯통(20)(20')의 내측에는 본체(12)의 내 부와 관통된 흡기구(23)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한 개폐문(11)과 가마(10)의 일측에는 각 단부가 개폐문(11) 및 가마(10)와 밀착된 탄발스프링(40)을 형성하여, 이에 의해 상기한 개폐문(11)을 보다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이며,
상기한 개폐문(11)이 형성된 가마(10)의 일측 하부에는 절곡관체로 된 손잡이대(41)를 형성하고, 그 손잡이대(41)의 상부면에는 연질 탄력상의 완충부재(42)를 결합하여, 이에 의해 상기한 손잡이대(41)에 의해 개폐문(11)의 개방시 받침대의 역할과 동시에 전개된 개폐문(11)에 의한 선반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가마(10)의 상부 내측에는 횡상의 밸브로드(43)를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형성하되, 밸브로드(43)의 일단에는 가마(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손잡이(44)를 형성하고 밸브로드(43)의 타단에는 배기연통(13)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게 한 원판 형태의 밸브판(45)을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44)의 회전에 따라 배기연통(13)이 개폐되게 구성한 것이며,
상기한 숯통(20)(20')의 내부 일측에는 단부가 횡상으로 된 흡기연결관(24)을 형성하고, 그 흡기연결관(24)의 하부 내측으로 흡기구(23)의 선단이 삽입되게 하여, 상기한 숯통(20)(20')이 그 흡기구(23)를 축점으로 회전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숯통(20)(20')의 내측에는 하향 절곡된 분산갓(25)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는 걸름망(26)을 형성하여, 걸름망(26) 상부에서 연소된 숯의 재가 상기 분산갓(25)을 통해 숯통(20)(20') 바닥면의 양측으로 분리 수거되 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숯통(20)(20')의 사이에 위치한 기름수거부(21)의 상측에는 상기한 숯통(20)(20')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받침관(27)(27')을 횡상으로 형성하여, 상기한 숯통(20)(20')이 그 받침관(27)(27')의 지지에 의해 자유롭게 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며,
상기한 기름수거관(22)에는 본체(12) 내에 위치하는 밸브(28)를 형성하거나, 상기한 흡기구(23)의 하단에는 별도의 마개(29)를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열유도판(50)(50')과 석쇠(51)를 구비하여, 상기한 열유도판(50)(50')은 이격된 숯통(20)(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꽂이대(30) 상에 단부를 각각 끼워 설치하고, 이격된 열유도판(50)(50')의 사이에 석쇠(51)를 위치시켜, 숯통(20)(20') 내의 열원이 석쇠(51)로 유도되게 하면서도, 석쇠(51)로부터 낙하하는 구이물의 기름은 하부 기름수거부(21)로 직접 낙하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기름수거부(21)의 상측에는 별도의 회전로드(60)를 횡상으로 형성하되, 회전로드(60)의 일단에는 가마(10)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핸들레버(61)를 형성하고, 회전로드(60)이 타단에는 횡상의 연결대(62)에 의한 롤러(63)를 결합하되, 상기한 롤러(63) 상에는 꽂이대(30)의 하단에 별도로 형성된 승강대(32)가 위치되게 하여, 상기한 핸들레버(61)의 회전 방향에 따라 롤러(63) 상의 승강대(32) 및 그 꽂이대(30)가 승강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 기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숯불 바베큐 구이기는 전면이 개방된 본체(12)의 상측에 터널 형태로 된 밀폐형 가마(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가마(10)의 전면에는 그 내부를 개폐할 수 있게 한 개폐문(11)이 형성되어 있고, 가마(10)의 내측에는 이격된 숯통(20)(20')과 꽂이대(30)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가마(10)의 상부 일측에는 그 내부와 관통된 배기연통(13)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마(10)의 하부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23)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흡기구(23)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숯통(20)(20') 내부의 숯을 연소시키는 것이며,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상기한 배기연통(13)으로 배출되므로 지속적인 산소의 순환 및 공급을 통해 가마(10)의 내부가 밀폐된 상태에서도 숯의 연소는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한 가마(10)는 내측으로 다소 두터운 두께를 갖는 황토층(1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황토층(14)의 외표면에는 내부의 고온이 전달되지 못하게 하는 단열층(15)이 형성되어 있고, 단열층(15)의 외표면에는 장식성을 고려한 표피재(1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황토층(14)은 구이물의 실질적인 맛과 향취 및 잠열과 축열을 담당하는 것이며, 단열층(15)은 외부에서 사용자 및 취급자가 접촉하는 경우에도 화상 등의 부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황토층(14)으로 된 내부면을 갖는 가마(10)는, 우선 그 가마(10)의 전면에 위치한 개폐문(11)을 열어 그 내부가 개방되게 한 상태에서 그 가마(10)의 내부에 위치한 숯통(20)(20')의 내부에 적당량의 숯을 넣은 후 이를 가스 토치 램프 등에 의해 약 4~5분간 점화시킨다.
이때, 상기한 개폐문(11)의 하측에는 절곡 형상의 손잡이대(41)가 형성되어 있어 그 손잡이대(41)를 이용하여 구이기 전체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개폐문(11)을 개방하게 되면 그 개폐문(11)의 하측에 그 손잡이대(41)가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한 개폐문(11)이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어 이를 통해 석쇠를 올려놓거나 구이물을 꺼내어 놓을 수도 있어 테이블의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한 손잡이대(41)의 상부면에는 별도의 완충부재(42)를 돌출 형성함에 따라 상기와 같이 개폐문(11)을 개방하여 하향 회전시키는 경우 그 완충부재(42)에 의해 충격이나 소음 등을 감소 및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개폐문(11)의 하측과 본체(12)의 상측 경계부에는 별도의 탄발스프링(40)을 형성하되, 그 탄발스프링(40)의 각 단부가 개폐문(11)과 본체(12)에 각기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개폐문(11)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그 탄발스프링(40)에 의해 개폐문(11)의 자중에 의해 급작스럽게 회전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개방된 개폐문(11)을 닫고자 하는 경우 상기한 탄발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보다 가볍고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숯통(20)(20') 내의 연료가 점화 연소되기 시작하면 그 열기는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아니라 가마(10) 내부의 황토층(14)으로 흡수되기 시작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의 가마(10) 내부에는 상당한 고열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가마(10)의 내측에는 별도의 꽂이대(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꽂이대(30)는 횡방향으로 된 다수개의 지지대(31)(31')에 의해 구성된 것인데, 상기한 지지대(31)(31')의 상하 간격을 이용하여 판 형태로 된 석쇠(51)의 일단을 끼워 거치 고정하는 형태로 사용하면 된다.
이때 상기한 숯통(20)(20')의 상측에 석쇠(51)를 직접 올려놓을 경우에는 고온의 직화열에 의해 석쇠(51) 내의 구이물이 타거나 구이물로부터 낙하하는 기름이 숯으로 떨어져 연기 및 냄새를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한 석쇠(51)는 이격된 숯통(20)(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안치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이며,
상기한 숯통(20)(20')의 상측에는 별도의 열유도판(50)(50')을 삽입하여 그 열유도판(50)(50')의 열차단 작용에 의해 상승하는 숯통(20)(20') 내의 열기는 결국 가마(10)의 중앙부분을 향하여 유도되므로 상기한 석쇠(51) 내의 구이물이 그 열기의 유도 작용에 의해 보다 빠르고 고르게 구워지는 것이며, 구이물로부터 발생하는 기름은 숯통(20)(20') 사이로 그대로 낙하하여 비교적 저온 상태인 바닥의 기름수거부(21)로 수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기름수거부(21)는 상기한 숯통(20)(20')이 안치되는 바닥면보다 다소 낮게 형성함에 따라 수거되는 기름 및 누적되는 기름이 바닥 및 내측면의 황토층(14)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 방지되게 하는 것이며, 금속재로 된 기름수거부(21)는 외기와의 열전도율이 뛰어나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고온의 가마(10) 내부 열기에 의해 상기한 기름이 타지 않게 되므로 그에 따른 연기나 악취 등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한 기름수거부(21)의 일측단에는 수직의 기름수거관(22)이 본체 (12)를 향하여 관통 형성되어 있고, 그 기름수거관(22) 에는 별도의 밸브(2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상기한 밸브(28)를 닫아 기름이 누출되지 않게 하다가 낙하된 기름량이 상당한 경우에는 상기한 밸브(28)를 열어 일시에 수거된 기름을 배출시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기름의 수거에 따른 번거로움을 최소화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숯통(20)(20')의 바닥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제공받기 위한 흡기연결관(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한 흡기연결관(24)의 내측으로는 그 가마(10)의 바닥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흡기구(23)의 선단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숯통(20)(20')은 상기한 흡기구(23)를 축점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구이기의 정상적인 사용시에는 양측의 숯통(20)(20')이 길이 방향으로 평행되게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숯을 보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의 숯통(20)(20')을 개폐문(11) 방향으로 회전시켜 보다 편리하게 숯을 보충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한 숯통(20)(20')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한 기름수거부(21)의 상측에는 그 숯통(20)(20')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받침관(27)(2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숯통(20)(20')의 내부에는 그 흡기연결관(24)의 단부가 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흡기연결관(24)의 상측에는 숯통(20)(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별도의 분산갓(25)이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한 분산갓(25)은 걸름망(26) 상부에 위치한 연소된 숯으로부터 발생하는 재가 하부로 낙하 하여 그 흡기연결관(24)의 공기 토출구를 막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형성한 것으로서, 낙하되는 재는 상기 분산갓(25)에 의해 숯통(20)(20') 내부의 양측으로 분산되므로 상기한 흡기연결관(24)의 공기구로부터 항상 외기의 유입이 자유로운 것이다.
특히, 상기한 숯통(20)(20') 내부의 숯을 소화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흡기구(23)를 개폐할 수 있는 별도의 마개(29)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그 흡기구(23)를 막게 되면 더 이상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없는 구조를 갖게 되므로 산소 부족에 의해 숯통(20)(20') 내부의 숯이 자연 소화되므로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열원의 취급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산소 결핍에 의해 소화되는 경우에는 재사용시 그 숯을 다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욱 경제적인 특징을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 구이기는 상기한 바와 같은 흡기구(23)를 통해 숯통(20)(20')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숯통(20)(20') 내부의 숯이 연소되는 것인데, 연소 과정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가마(10)의 상부 일측에 수직 형성된 배기연통(13)을 통해 배출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흡기구(23)와 배기연통(13)이 모두 개방되어 있을 경우에는 순환 및 급기되는 공기의 량이 상당하여 과도한 연소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때에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배기연통(13)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별도의 밸브를 장착하여 이에 의해 연소량을 가감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상기한 가마(10)의 상측에는 회전 가능한 별도의 밸브로드(43)를 횡상으로 형성하고 그 밸브로드(43)의 일단에는 절곡 위치된 손잡이(44)를 형성하며 밸브 로드(43)의 타단에는 배기연통(13)의 내측에 위치하는 밸브판(45)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손잡이(44)를 파지하여 그 밸브로드(43)를 회전시키면 단부의 원판 형태로 된 밸브판(45)이 회전하며 그 배기연통(13)의 내부를 개폐시키므로 그 개폐량에 따라 내부 숯통의 연소량이 가감될 수 있게 한 것이며, 상기한 마개(29)와 밸브판(45)의 유무 및 방향에 따라 연소량의 가감 및 소화 상태로 전환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꽂이대(30)에 구이물을 갖는 석쇠(51)를 끼워 넣고자 하는 경우 그 작업성의 용이함을 위해 상기한 꽂이대(30)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도 있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인데,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꽂이대(30)의 하측에 횡상의 승강대(32)를 구성하고, 그 기름수거부(21)를 횡상으로 가로지르는 별도의 회전로드(60)를 구비하여, 상기한 회전로드(60)의 일단에는 본체(12)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핸들레버(61)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로드(60)의 타단에는 횡상의 연결대(62) 단부에 롤러(63)를 각각 결합하여 상기한 롤러(63)의 상측에 상기한 승강대(32)의 하측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구이물을 가마(10) 내부에 투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꽂이대(30)가 하강된 상태에서 그 석쇠(51)를 편리하게 삽입한 상태에서, 노출된 핸들레버(61)를 회전시키면 회전로드(60) 및 연결대(62)의 회전에 의해 그 승강대(32)를 상승시켜 결국 꽂이대(30) 전체가 상승하는 효과를 얻게 되므로 꽂이대(30) 상의 석쇠(51) 등이 상기한 숯통(20)(20')과의 적정 높이에 위치할 수 있으면서도 잠열 및 복사열 이 높은 황토층(14)과 근접하므로 보다 고르고 빠른 구이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육류의 경우 기름이 불이 타지 않아 육류를 구워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 매우 적합하며, 기타 고구마나 감자, 밤과 같은 경우에는 기름 등이 흘러내리지 않으므로 상기한 숯통(20)(20')의 상부 위치에 직접 석쇠(51) 등을 꽂아 구이물을 얻을 수 있으며, 양념된 육류 및 어패류 등을 구워 섭취할 수도 있어 보다 다양한 음식물의 취급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는, 숯통 내부의 열원에 의해 황토로 된 가마 내부의 반사열 및 복사열에 의해 구이물 전체가 빠르고 고르게 구워짐은 물론 황토층 자체의 잠열과 축열 작용에 의해 장시간 동안 안정적인 열원의 제공을 통해 비교적 적은 숯만으로도 대량의 구이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숯과 황토가 갖는 본래의 향취는 물론 고온에서 다량으로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구이물의 상하 및 내외가 고르게 구워지면서도 보다 부드럽고 뛰어난 향취 및 식감을 제공하고, 점화 및 소화의 용이함과 숯보충의 편리함과 함께 기름이 분리 수거되어 그로 인한 연기나 악취의 발생이 거의 없고, 장식성이 뛰어나 실내 전시 효과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전면에 개폐문(11)을 갖는 밀폐형 터널로 된 가마(10)를 형성하고, 상기한 가마(10)의 하측에는 전면이 개방된 본체(12)를 구비하며, 상기한 가마(10)의 상부 일측에는 가마(10)의 내부와 관통된 배기연통(13)을 형성하되,
    상기한 가마(10)는 내측의 황토층(14)과 그 황토층(14) 외표면의 단열층(15)및 단열층(15) 외표면의 표피재(16)로 이루어지고,
    가마(10)의 내부에는 이격된 숯통(20)(20')과 그 숯통(20)(20') 사이에 보다 낮은 위치의 기름수거부(21) 및 기름수거부(21) 단부에 상기 본체(12)를 향해 관통된 기름수거관(2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한 숯통(20)(20')의 일측 가마(10)의 내부에는 횡상의 지지대(31)(31')에 의한 꽂이대(30)를 형성하며, 상기한 숯통(20)(20')의 내측에는 본체(12)의 내부와 관통된 흡기구(23)가 형성되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개폐문(11)과 가마(10)의 일측에는 각 단부가 개폐문(11) 및 가마(10)와 밀착된 탄발스프링(40)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3. 제 1항에 있어서,
    개폐문(11)이 형성된 가마(10)의 일측 하부에는 절곡관체로 된 손잡이대(41)를 형성하고, 그 손잡이대(41)의 상부면에는 연질 탄력상의 완충부재(42)를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4. 제 1항에 있어서,
    가마(10)의 상부 내측에는 횡상의 밸브로드(43)를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형성하되, 밸브로드(43)의 일단에는 가마(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손잡이(44)를 형성하고 밸브로드(43)의 타단에는 배기연통(13)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게 한 원판형태의 밸브판(45)을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44)의 회전에 따라 배기연통(13)이 개폐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5. 제 1항에 있어서,
    숯통(20)(20')의 내부 일측에는 단부가 횡상으로 된 흡기연결관(24)을 형성하고, 그 흡기연결관(24)의 하부 내측으로 흡기구(23)의 선단이 삽입되게 하여, 상기한 숯통(20)(20')이 그 흡기구(23)를 축점으로 회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6. 제 1항에 있어서,
    숯통(20)(20')의 내측에는 하향 절곡된 분산갓(25)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는 걸름망(26)을 형성하여, 걸름망(26) 상부에서 연소된 숯의 재가 상기 분산갓(25)을 통해 숯통(20)(20') 바닥면의 양측으로 분리 수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7. 제 1항에 있어서,
    숯통(20)(20')의 사이에 위치한 기름수거부(21)의 상측에는 상기한 숯통(20)(20')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받침관(27)(27')을 횡상으로 형성하여, 상기한 숯통(20)(20')이 그 받침관(27)(27')의 지지에 의해 자유롭게 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8. 제 1항에 있어서,
    기름수거관(22)에는 본체(12) 내에 위치하는 밸브(28)를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9. 제 1항에 있어서,
    흡기구(23)의 하단에는 별도의 마개(29)를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10. 제 1항에 있어서,
    별도의 열유도판(50)(50')과 석쇠(51)를 구비하여, 상기한 열유도판 (50)(50')은 이격된 숯통(20)(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꽂이대(30) 상에 단부를 각각 끼워 설치하고, 이격된 열유도판(50)(50')의 사이에 석쇠(51)를 위치시켜, 숯통(20)(20') 내의 열원이 석쇠(51)로 유도되게 하면서도, 석쇠(51)로부터 낙하하는 구이물의 기름은 하부 기름수거부(21)로 직접 낙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11. 제 1항에 있어서,
    기름수거부(21)의 상측에는 별도의 회전로드(60)를 횡상으로 형성하되, 회전로드(60)의 일단에는 가마(10)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핸들레버(61)를 형성하고, 회전로드(60)이 타단에는 횡상의 연결대(62)에 의한 롤러(63)를 결합하되, 상기한 롤러(63) 상에는 꽂이대(30)의 하단에 별도로 형성된 승강대(32)가 위치되게 하여, 상기한 핸들레버(61)이 회전 방향에 따라 롤러(63) 상의 승강대(32) 및 그 꽂이대(30)가 승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KR2020070001470U 2007-01-26 2007-01-26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KR200800029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470U KR20080002970U (ko) 2007-01-26 2007-01-26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470U KR20080002970U (ko) 2007-01-26 2007-01-26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970U true KR20080002970U (ko) 2008-07-30

Family

ID=4132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470U KR20080002970U (ko) 2007-01-26 2007-01-26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97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9607A (zh) * 2016-10-20 2017-02-22 湖南野森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环保型自动烧烤炉
CN114001391A (zh) * 2021-11-25 2022-02-01 浙江帅丰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隐藏式烧烤架的集成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9607A (zh) * 2016-10-20 2017-02-22 湖南野森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环保型自动烧烤炉
CN114001391A (zh) * 2021-11-25 2022-02-01 浙江帅丰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隐藏式烧烤架的集成灶
CN114001391B (zh) * 2021-11-25 2023-10-24 浙江帅丰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隐藏式烧烤架的集成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1348B1 (en) Fireplace oven
US20040200359A1 (en) Outdoor cooker oven
CN110312454A (zh) 利用烟道的烤具
KR101042079B1 (ko) 숯불 고기구이기
KR101229178B1 (ko) 훈제기
KR200347663Y1 (ko) 숯불 구이장치
KR101173000B1 (ko) 고기훈제기
KR200463731Y1 (ko) 황토 아궁이식 구이장치
KR20120028172A (ko) 세라콜이 설치된 구이용 로스터
KR101300863B1 (ko) 숯불 구이기
KR102064698B1 (ko)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장치
KR101890418B1 (ko) 바비큐 그릴장치
KR20080002970U (ko)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KR20130112440A (ko) 바베큐 구이장치
KR102335948B1 (ko) 초벌구이장치
KR20110105414A (ko) 숯불 구이기
CN104633715A (zh) 一种多功能环保节能柴火烧烤炉
KR101010425B1 (ko) 훈연고기구이기
KR100644973B1 (ko)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KR200437645Y1 (ko) 바베큐 구이기
RU146799U1 (ru) Печь
KR200448258Y1 (ko) 숯불용 육류구이장치
KR200434509Y1 (ko) 야외용 고기구이기
KR100875556B1 (ko) 바베큐 훈제 구이기
CN204438207U (zh) 一种多功能环保节能柴火烧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