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645Y1 - 바베큐 구이기 - Google Patents

바베큐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645Y1
KR200437645Y1 KR2020070004298U KR20070004298U KR200437645Y1 KR 200437645 Y1 KR200437645 Y1 KR 200437645Y1 KR 2020070004298 U KR2020070004298 U KR 2020070004298U KR 20070004298 U KR20070004298 U KR 20070004298U KR 200437645 Y1 KR200437645 Y1 KR 200437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brazier
oil
charcoal
barbec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0722U (ko
Inventor
최진달
Original Assignee
최진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달 filed Critical 최진달
Priority to KR2020070004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645Y1/ko
Publication of KR20070000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7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64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6Shields or jackets for cooking utensils minimising the radiation of heat, fastened or movably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육류를 구워 섭취할 수 있게 한 바베큐 구이기에 대한 것으로, 특히 원통체로 된 외부통체를 구비하고, 그 외부통체의 하부에는 내측 중앙으로 융출된 안치대를 형성하며, 상기 안치대에는 숯이 내장되는 화로를 안치시킬 수 있게 하고, 상기 외부통체의 내측 선단에는 구이물을 걸어 놓을 수 있게 한 걸이대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외부통체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에 의해 내부 화로의 열손실이 적어 소량의 숯만으로도 대량의 구이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숯 자체의 향취나 숯으로부터 발생하는 원적외선에 의해 더욱 빠르고 고르게 구워지면서도 은은한 향취를 갖고 있어 미감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며, 구이물로부터 낙하되는 기름 등은 하부 저장수로 떨어지므로 기름이 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저장수 수위 이상의 기름은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되게 하므로 사용 및 취급, 관리가 매우 용이한 바베큐 구이기에 대한 것이다.
화로, 구이, 숯, 망체, 기름배출구, 걸이대

Description

바베큐 구이기 {Barbecue Roast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베큐 구이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베큐 구이기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바베큐 구이기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바베큐 구이기의 사용상태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부통체 11 : 걸이대
12 : 안치대 13 : 통기구
14 : 기름배출구 15,15' : 지지각
20 : 덮개
30 : 화로 31 : 망체
32 : 통기공 33 : 손잡이
40 : 구이물 41 : 걸고리
42 : 기름받이
본 고안은 다양한 육류를 구워 섭취할 수 있게 한 바베큐 구이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체로 된 외부통체의 내측 하부에 숯을 내장할 수 있는 화로를 삽입 형성하고, 그 외부통체의 선단에는 걸이대를 형성하여, 화로의 가열에 의해 원통체 내부의 구이물이 빠르고 고르게 구워지게 하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다량의 구이물을 효과적으로 구워 섭취할 수 있게 한 바베큐 구이기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육류의 다양한 조리 및 요리 방법 중 구워 섭취하는 육류의 경우 구이 특성에 의한 특유의 맛과 미감을 갖는 것으로서, 일반 가정은 물론 대중 음식점 등에서의 육류 구이물 섭취는 매우 대중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이물은 통상적으로 가스를 이용한 화염이나 전기 또는 숯에 의한 발열로부터 이들 열원의 간접열을 이용하여 육류가 구워지게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 및 구조와 작용을 갖는 많은 수의 구이기가 제작 및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통상의 구이기는 그 부피가 매우 크고 복잡한 구조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나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열에너지가 사용되므로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숯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대기중으로 완전 노출 상태의 숯은 열에너지의 소모가 심하여 그 소비량이 상당하므로 합리적이지 못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원통체로 된 외부통체를 구비하고, 그 외부통체의 하부에는 내측 중앙으로 융출된 안치대를 형성하며, 상기 안치대에는 숯이 내장되는 화로를 안치시킬 수 있게 하고, 상기 외부통체의 내측 선단에는 구이물을 걸어 놓을 수 있게 한 걸이대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외부통체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에 의해 내부 화로의 열손실이 적어 소량의 숯만으로도 대량의 구이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숯 자체의 향취나 숯으로부터 발생하는 원적외선에 의해 더욱 빠르고 고르게 구워지면서도 은은한 향취를 갖고 있어 미감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며, 구이물로부터 낙하되는 기름 등은 하부 저장수로 떨어지므로 기름이 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저장수 수위 이상의 기름은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되게 하므로 사용 및 취급, 관리가 매우 용이한 바베큐 구이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베큐 구이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베큐 구이기의 전체 단면도이다.
상부가 개방된 외부통체(10)를 구비하고, 그 외부통체(10)의 상측에는 덮개(20)가 결합되게 하며,
상기 외부통체(10)의 내측 중앙에는 화로(30)가 안치되게 하고, 상기 외부통체(10)의 내측 선단에는 내면을 따라 이격 형성된 걸이대(11)가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한 외부통체(10)는, 내측 하단에 바닥부로부터 융출된 안치대(12)를 형성하고, 외부통체(10)의 측부에는 개폐가 가능한 통기구(13)를 형성하며, 상기 외부통체(10)의 하측에는 내측과 연통된 기름배출구(14)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고,
상기한 외부통체(10)의 하측에는 그 외부통체(10)가 지면으로부터 수직 이격되게 한 지지각(15)(15')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화로(30)는, 상부가 개방되고 그 내측에는 망체(31)가 형성되며, 상기 망체(31)와 바닥부의 사이에는 통기공(32)이 형성되며, 화로(30)의 선단에는 회전 가능한 손잡이(33)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0은 구이물, 41은 걸고리, 42는 기름받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바베큐 구이기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바베큐 구이기는 원통체로 된 외부통체(10)의 내부에 숯을 저장할 수 있는 화로(30)가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외부통 체(1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개방된 외부통체(10)의 상부는 별도의 덮개(20)에 의해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한 외부통체(10)의 내측 저면에는 그 바닥부의 중앙이 상측으로 융출된 형태의 안치대(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한 안치대(12)의 선단에 상기 화로(30)를 올려놓게 되면 상기한 화로(30) 내의 숯이 발열하면서 외부통체(10) 내부 전체가 가열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외부통체(10)의 내측 선단에는 원형 링의 형태로 된 걸이대(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한 걸이대(11)를 이용하여 육류 등의 구이물(40)이 끼워진 걸고리(41)를 걸어놓게 되면 상기한 육류 등의 구이물(40)은 외부통체(1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는 것이며, 그 구이물(40)의 중앙에는 상기한 화로(30)에 의한 열원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한 덮개(20)를 이용하여 화로(30)의 상부를 덮어 내부가 밀폐되게 하면 화로(30)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손실이 감소되므로 숯의 소모량이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하여 매우 경제적인 것이며, 숯으로부터 발생하는 향취나 원적외선 등이 구이물(40)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므로 더욱 향기로운 미감은 물론 구이물(40)의 내부 깊숙한 곳까지 고르게 익거나 구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한 화로(30)의 발열에 의해 상기한 구이물(40)로부터 배출되는 기름 등은 하부로 화로(30) 주변으로 낙하하게 되는데 상기한 외부통체(10)의 바닥부는 상기한 안치대(12)의 융출에 의해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바닥부에 맑은 물로 이루어진 저장수를 채워 놓게 되면 가열에 의해 배출 및 낙하하는 기름 이 상기한 저장수의 상부로 낙하하게 되므로 가열된 외부통체(10)와 직접적인 접촉이 없어 상기한 기름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외부통체(10)의 하측에는 내,외부를 관통시키는 기름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외부통체(10)의 내측에 저장수를 채워 넣게 되면 그 저장수의 수위는 기름배출구(14)의 직전까지가 됨과 동시에 기름이 낙하하여 그 전체적인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한 기름배출구(14)를 통해 수위 상승의 원인인 기름만이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기한 기름배출구(14)의 단부에 위치한 기름받이(42)를 통해 그 기름 만을 용이하게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한 외부통체(10)의 중간부에는 개폐 가능한 통기구(13)가 비교적 넓게 형성되어 있어 그 통기구(13)의 개폐를 통해 외부통체(10) 내부에 원활한 공기 및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은 물론 통기구(13)를 통해 내부 구이물의 상태나 구이기 전체의 청소를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화로(30)는 원형의 통체로 이루어져 있고 도 4의 도시와 같이 그 상부는 개방된 반면 하부는 막힌 상태를 갖고 있으며, 그 화로(30)의 내측 중간부에는 공기의 소통이 원활한 망체(31)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화로(30)의 상부를 이용하여 망체(31) 상에 숯을 넣은 후 이를 점화시켜 사용하면 되는 것이며, 화로(30)의 상측에는 그 화로(30)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회전 가능한 상태의 손잡이(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망체(31)와 바닥부의 사이에는 화로(30)의 내측으로 공기가 공급되게 한 통기공(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통기공(32)을 통해 산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화로(30) 내부의 숯이 지속적으로 연소되는 것이며, 연소 과정에서 발생되는 재는 망체(31)를 통해 낙하하여 화로(30)의 하단으로 모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바베큐 구이기는 상기한 외부통체(10)의 하측에 다수의 지지각(15)(15')을 형성하여 지면이나 설치 장소로부터 이격 설치될 수 있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은 물론 화로(30)에 의한 간접열이 하부 바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여 설치장소의 제약에 따른 불편함을 개선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바베큐 구이기는, 외부통체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에 의해 내부 화로의 열손실이 적어 소량의 숯만으로도 대량의 구이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숯 자체의 향취나 숯으로부터 발생하는 원적외선에 의해 더욱 빠르고 고르게 구워지면서도 은은한 향취를 갖고 있어 미감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며, 구이물로부터 낙하되는 기름 등은 하부 저장수로 떨어지므로 기름이 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저장수 수위 이상의 기름은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되게 하므로 사용 및 취급, 관리가 매우 용이한 것이다.

Claims (4)

  1. 개폐가 가능한 외부통체의 내측에 열원이 내장되어진 공지의 바베큐 구이기에 있어서,
    상측으로 덮개(20)가 결합되는 외부통체(10)의 내측 중앙에는 화로(30)가 안치되게 하고, 상기 외부통체(10)의 내측 선단에는 내면을 따라 이격 형성된 걸이대(11)가 형성되게 구성하되,
    외부통체(10)는, 내측 하단에 바닥부로부터 융출된 안치대(12)를 형성하여 그 상부에 화로(30)가 안치되게 하고,
    화로(30)는, 상부가 개방되고 그 내측에는 망체(31)가 형성되며, 상기 망체(31)와 바닥부의 사이에는 통기공(32)이 형성되며, 화로(30)의 선단에는 회전 가능한 손잡이(33)를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구이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070004298U 2007-03-15 2007-03-15 바베큐 구이기 Expired - Lifetime KR2004376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298U KR200437645Y1 (ko) 2007-03-15 2007-03-15 바베큐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298U KR200437645Y1 (ko) 2007-03-15 2007-03-15 바베큐 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722U KR20070000722U (ko) 2007-06-22
KR200437645Y1 true KR200437645Y1 (ko) 2007-12-18

Family

ID=41628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298U Expired - Lifetime KR200437645Y1 (ko) 2007-03-15 2007-03-15 바베큐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6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462B1 (ko) 2021-03-12 2022-07-04 장상길 다목적 화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643B1 (ko) * 2021-07-14 2023-02-23 신경숙 항아리 구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462B1 (ko) 2021-03-12 2022-07-04 장상길 다목적 화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722U (ko) 200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8255B2 (en) Grill using flue
KR101315045B1 (ko) 무연 숯불구이 장치
KR200444305Y1 (ko) 가스버너를 이용한, 테이블 착탈식 숯불구이기
KR200437645Y1 (ko) 바베큐 구이기
KR200463731Y1 (ko) 황토 아궁이식 구이장치
KR101300863B1 (ko) 숯불 구이기
KR20100115097A (ko)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
KR102064698B1 (ko)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장치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KR200427377Y1 (ko) 구이기
KR101890418B1 (ko) 바비큐 그릴장치
KR20090086679A (ko) 직화구이 석쇠 및 이를 이용한 직화구이기
JP4176258B2 (ja) 加熱調理器
RU146799U1 (ru) Печь
KR20130016044A (ko) 다기능 무연 구이기
KR200493461Y1 (ko) 다기능 화덕
KR20140142398A (ko)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
CN201073241Y (zh) 烤肉炉
KR20080002970U (ko)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CN207949678U (zh) 一种野炊烧烤装置
KR101638089B1 (ko) 구이장치
KR101545437B1 (ko) 구이용 화덕
KR100368455B1 (ko) 가열통이 내장된 남비
KR102826341B1 (ko) 분해조립되는 가마형 구이장치
KR200339850Y1 (ko) 구이통이 내장된 회전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31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9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5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604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7082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712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