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461Y1 - 다기능 화덕 - Google Patents

다기능 화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461Y1
KR200493461Y1 KR2020190003299U KR20190003299U KR200493461Y1 KR 200493461 Y1 KR200493461 Y1 KR 200493461Y1 KR 2020190003299 U KR2020190003299 U KR 2020190003299U KR 20190003299 U KR20190003299 U KR 20190003299U KR 200493461 Y1 KR200493461 Y1 KR 200493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oking
cooker
ove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369U (ko
Inventor
김기호
Original Assignee
김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호 filed Critical 김기호
Priority to KR2020190003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461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3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3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4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다기능 화덕이 개시된다. 다기능 화덕은, 저면에 지지부가 돌출되며 내부에는 연소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연소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설치되며 연소 공간에 연통된 연통이 연결되며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화덕 바디와, 화덕 바디의 내부에 거치되며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는 식품이 위치되는 조리 그릴과, 화덕 바디의 개구부에 안착되며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기와, 화덕 바디의 측면에서 조리기의 하부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조리기에서 배출된 오일이 수거되는 오일 수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화덕{MULTIFUNCTIONAL BRAZIER}
본 고안은 사용 수명이 연장되고 소각로 난로 및 다양한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한 다기능 화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덕은 가열 기구에서 생성된 열기가 조리 용기에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도구로, 현대에는 야외에서 손쉽게 숯 내지 장작 등의 연소물을 이용한 구이요리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육류 등의 조리대상물을 더욱 맛있게 즐기기 위하여 황토 등으로 만들어진 가마 형상의 화덕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마 형상의 화덕은 종래의 조리용 기구와는 달리 내부에서 조리대상물을 단시간에 구워 조리함으로써 맛의 풍미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조리대상물이 전체적으로 가열되는 장점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화덕은 내화벽돌로 형성된 본체부의 외주에 황토가 적층되어 내부가 밀폐된다. 또한, 본체부의 내부에는 가열을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고 전면에 조리대상물이 내부에 수납되도록 출입구가 형성되되,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연통이 구비된다.
그러나 전술한 화덕은 내부 또는 외부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경우 물청소 등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어려워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 화덕은 음식물의 조리 용도로 한정되어 사용되는 바, 사용 용도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9-0084661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물 청소가 용이하고 음식물의 조리 용도 외에 난로와 소각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다기능 화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저면에 지지부가 돌출되며 내부에는 연소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연소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설치되며 연소 공간에 연통된 연통이 연결되며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화덕 바디와, 화덕 바디의 내부에 거치되며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는 식품이 위치되는 조리 그릴과, 화덕 바디의 개구부에 안착되며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기와, 화덕 바디의 측면에서 조리기의 하부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조리기에서 배출된 오일이 수거되는 오일 수거부를 포함한다.
개폐부는, 화덕 바디의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표면에는 연소 공간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가 형성된 개폐 도어와, 개폐 도어의 폐쇄된 상태를 상기 화덕 바디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고정부는, 개폐 도어의 측면에서 상기 화덕 바디의 표면에 고정되는 걸림부와, 개폐 도어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에는 파지 돌기가 표면에 돌출되어 걸림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회전바를 포함할 수 있다.
오일 수거부는, 개구부의 하부 위치에서 화덕 바디의 표면에 돌출되는 삽입부와, 삽입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컵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는, 화덕 바디의 개구부에 안착되며 표면에는 파지 돌기가 돌출되며 중앙에는 조리홀이 형성된 조리 플레이트와, 조리홀에 안착되며 음식물이 조리되는 가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는, 화덕 바디의 상기 개구부에 안착되며 내부에는 조리 공간이 형성된 조리 솥일 수 있다.
조리기는, 화덕 바디의 내부에서 조리 그릴로부터 이격된 상측에 거치되는 상부 그릴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숯 등의 연소에 의한 연소열에 의해 직화 방식으로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고, 불판 타입의 조리기에 의해 음식물의 간접 가열에 의한 조리도 함께 가능하여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조리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화구이 훈제 바베큐, 소각로 또는 난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일을 오일 수거부에서 수거 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리 환경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형성되어 외관이 미려하고 내구성이 향상되어 사용 수명이 연장되며, 물 청소가 용이하고 음식물의 조리 용도 외에 난로와 소각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기능 화덕의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의 조리기를 분리한 상태에서 화덕 바디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기능 화덕의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100)은, 저면에 지지부(11)가 돌출되며 내부에는 연소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연소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20)가 설치되며 연소 공간에 연통된 연통(12)이 연결되며 상부에는 개구부(13)가 형성된 화덕 바디(10)와, 화덕 바디(10)의 내부에 거치되며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는 식품이 위치되는 조리 그릴(30)과,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에 안착되며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기(40)와, 화덕 바디(10)의 측면에서 조리기(40)의 하부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조리기(40)에서 배출된 오일이 수거되는 오일 수거부(50)를 포함한다.
화덕 바디(10)는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저면에 복수개의 지지부(11)가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11)는 화덕 바디(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화덕 바디(10)의 저면에서 적어도 3개 이상의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화덕 바디(10)는 연소 공간의 물청소가 용이하도록 스테인리스강(stainless)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덕 바디(10)는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형성되어 외관이 미려하고 내구성이 향상되어 사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화덕 바디(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연소를 위한 연소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화덕 바디(10)의 측면에는 연통(12)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화덕 바디(10)의 상부에는 개구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화덕 바디(10)의 연소 공간에서 연소에 의해 숯 등에서 발생된 연소열이 개구부(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바, 후술하는 조리기(40)에 조리를 위한 열원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조리기(40)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덕 바디(10)의 연소 공간에 음식물이 투입되어 조리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각 대상물이 투입되어 소각되거나 숯 등의 사용으로 난로 기능으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화덕 바디(10)의 측면에는 연소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부(20)는 화덕 바디(10)의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개폐부(20)의 개방 작동에 따라 연소 공간의 내부에 연소열의 공급을 위해 연소되는 소정의 연소재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20)의 개방 작동에 따라 연소 공간의 내부에 설치된 그릴부에 조리를 위한 음식물의 삽입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개폐부(20)는, 화덕 바디(10)의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도어(21)와, 개폐 도어(21)의 폐쇄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20)는 화덕 바디(10)의 측면에 상하 2개로 설치될 수 있다.
개폐 도어(21)는 일측은 화덕 바디(10)에 힌지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고정부(23)에 의해 화덕 바디(10)에 폐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 도어(21)의 표면에는 에어 공급부(25)가 마련될 수 있다.
에어 공급부(25)는 개폐 도어(21)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관통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에어 공급부와 관통홀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관통홀(25)은 개폐 도어(21)의 표면에 3개가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관통홀(25)은 3개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4개 이상 또는 2개 이하로 형성되는 것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관통홀(25)이 개폐 도어(21)에 형성되는 것은 화덕 바디(10)의 내부에서 연소를 위한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하여 연소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관통홀(25)은 3개가 개폐 도어(21)의 표면에서 방사상으로 원형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관통홀(25)은 원형의 배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개가 직사각 또는 정사각 등의 다양한 배열 형상으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고정부(23)는 개폐 도어(21)를 화덕 바디(10)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것으로, 개폐 도어(21)의 측면에서 화덕 바디(10)의 표면에 고정되는 걸림부(23a)와, 개폐 도어(21)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부(23a)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회전바(23b)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23a)는 개폐 도어(21)의 측면에서 화덕 바디(10)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바(23b)가 삽입 가능하도록 화덕 바디(10)의 표면에 이격된 상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바(23b)는 일측은 개폐 도어(21)의 표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걸림부(23a)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직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바(23b)에는 회전 작동을 위한 파지 돌기(23c)가 돌출될 수 있다.
파지 돌기(23c)는 회전바(23b)의 돌출된 단부 위치의 표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봉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지 돌기(23c)를 손가락으로 잡은 상태로 회전바(23b)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부(23a)에 삽입하여 개폐 도어(21)를 폐쇄하는 것도 가능하고, 파지 돌기(23c)를 손가락으로 잡은 상태로 회전바(23b)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부(23a)로부터 이탈시켜 개폐 도어(21)를 개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개폐 도어(21)의 선택적인 개방 작동에 따라 화덕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된 조리 그릴(30)에 음식을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음식물의 조리 과정 또는 화덕으로 사용 과정에서 화덕 바디(10)의 연소 공간의 안정적인 폐쇄도 가능하다.
한편, 화덕 바디(10)의 연소 공간에는 조리 그릴(30)이 거치될 수 있다.
조리 그릴(30)은 연소 공간의 하부에서 화덕 바디(10)의 내부에 거치될 수 있다.
즉, 조리 그릴(30)은 화덕 바디(10)의 내부에서 연소 공간의 저면에 이격된 상태로 연소 공간에 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 그릴(30)은 개폐 도어(21)의 개방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화덕 바디(10)의 내부에 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폐 도어(21)를 개방한 상태로 조리 그릴(30)의 표면에 숯 등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는 소정의 음식물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리 그릴(30)에 음식물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숯 등의 연소열에 의해 소정의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조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에는 내부에 음식물이 위치된 상태에서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기(40)가 위치될 수 있다.
조리기(40)는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에 안착되며 표면에는 파지 돌기(23c)가 돌출되며 중앙에는 조리홀이 형성된 조리 플레이트(41)와, 조리홀에 안착되며 음식물이 조리되는 가열판(43)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플레이트(41)는 표면에 반찬 등의 음식물이 위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는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의 외부로 일부분이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 플레이트(41)의 중앙에는 조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홀은 조리 플레이트(41)의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연소 공간에 위치된 숯 등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연소열이 전달되도록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홀에는 가열판(43)이 위치될 수 있다.
가열판(43)은 조리홀 위치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연소열에 의해 적절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판(43)의 표면에 위치된 음식물은 적절한 온도로 가열되어 조리될 수 있다.
한편, 화덕 바디(10)의 측면에는 오일 수거부(5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일 수거부(50)는, 화덕 바디(10)의 측면에서 조리기(40)의 하부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조리기(40)에서 배출된 오일이 수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일 수거부(50)는, 개구부(13)의 하부 위치에서 화덕 바디(10)의 표면에 돌출되는 삽입부(51)와, 삽입부(51)에 삽입되며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컵(53)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51)는 화덕 바디(10)에서 개구부(13) 하부 위치의 표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화덕 바디(10)의 표면에 고리 타입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51)는 화덕 바디(10)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정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오일 컵(53)은 삽입부(5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내부에는 조리기(40)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에서 발생된 오일이 낙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일 수거부(50)가 화덕 바디(10)의 측면에서 조리기(4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 조리기(40)에서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오일을 용이하게 수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오일에 의한 주변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기능 화덕(100)은, 숯 등의 연소에 의한 연소열에 의해 직화 방식으로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고, 불판 타입의 조리기(40)에 의해 음식물의 간접 가열에 의한 조리도 함께 가능하여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조리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직화구이 훈제 바베큐, 소각로 또는 난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일을 오일 수거부(50)에서 수거 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리 환경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200)의 조리기(40)는, 상부 그릴(110)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조리기(40)와 상부 그릴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상부 그릴(110)은 화덕 바디(10)의 내부에서 조리 그릴(30)로부터 이격된 상측에 거치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에 근접된 위치에 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그릴(110)은 조리 그릴(30)의 상부에서 화덕 바디(10)의 연소 공간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바, 조리 그릴(30) 또는 상부 그릴(110)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음식물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소 공간에 위치된 숯 등의 연소열에 의해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한 바 효과적인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300)의 조리기(40)는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에 안착되며 내부에는 조리 공간이 형성된 조리솥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조리기와 조리솥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조리솥(210)은, 화덕 바디(10)의 상측에 안착된 상태에서 내부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삽입된 상태에서, 연소 공간에서 전달되는 연소열에 의해 적절하게 가열되어 음식물이 적절한 온도로 조리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400)의 조리기(40)는,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에 안착되는 솥뚜껑 구이판(341)과, 솥뚜껑 구이판(341)의 측면에 돌출되어 오일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오일 배출 돌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솥뚜껑 구이판(341)은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를 덮은 상태에서 상부 표면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솥뚜껑 구이판(341)의 측면에는 오일 배출 돌부(343)가 형성되는 바, 솥뚜껑 구이판(341)에서 조리된 음식물의 오일이 오일 수거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의 조리기를 분리한 상태에서 화덕 바디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500)은, 조리 그릴(30)에 안착되며 숯이 위치되는 숯저장부(410)와, 조리 그릴(30)에 안착되며 조리기에서 낙하되는 훈제 요리의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저장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숯저장부(410)는 조리 그릴(3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반달 형상의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숯저장부(410)는 화덕 바디(10)의 개구부 위치에 안착되는 조리기에 훈제를 위한 음식물이 걸림 고정되는 경우 훈제를 위한 열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 그릴(30)의 상부에는 훈제 과정에서 음식물로부터 발생된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저장부(430)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600)의 조리기(540)는,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에 안착되는 돔(dome)형 뚜껑부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조리기와 돔형 뚜껑부는 동일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돔형 뚜껑부(540)는 상부에 손잡이부(541)가 돌출되는 것으로, 음식물의 조리 상태의 보온 과정에서 개구부(13)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700)의 연통(12)의 상부에는 불티 방지 캡부(610)가 설치될 수 있다.
불티 방지 캡부(610)는, 연통(12)의 상부를 커버하는 캡 커버(611)와, 캡 커버(611)의 하부에서 연통(12)의 측면에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홀(613)을 포함할 수 있다.
캡 커버(611)는 연통(12)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연통(12)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는 숯불 등의 불티가 부딪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관통홀(613)은 캡 커버(611)가 설치된 위치의 하부에서 연통(12)의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홀(613)을 통해 연기는 용이하게 배출되며, 연통을 통해 이동되는 불티는 직접적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바, 연통(12)의 외부로 불티의 배출에 의한 빨래 또는 의복 등에 재가 부착되는 오염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800)의 삽입부(51)는 화덕 바디(10)의 측면에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고, 삽입부(51)에는 오일컵(53)이 제거된 상태에서 음식물을 집는 집게(711)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리(710)가 고정되될 수 있다.
따라서, 집게를 화덕 바디(10)의 안정적으로 걸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화덕 바디 11...지지부
12...연통 13...개구부
20...개폐부 21...개폐 도어
23...고정부 23a..걸림부
23b..회전바 25...에어 공급부
30...조리 그릴 40, 340, 540...조리기
41...조리 플레이트 43...가열판
50...오일 수거부 51...삽입부
53...오일 컵 110..상부 그릴
210..조리 솥 341..솥뚜껑구이판
343..오일 배출 돌부 410..숯저장부
430..오일 저장부 540..돔형 뚜껑부
541..손잡이부 610..불티 방지 캡부
611..캡 커버 613..관통홀
710..걸림 고리

Claims (10)

  1. 저면에 복수개의 지지부(11)가 방사상으로 돌출되며 내부에는 연소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연소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20)가 설치되며, 연소 공간에 연통된 연통(12)이 연결되며, 상부에는 개구부(13)가 형성된 화덕 바디(10);
    상기 화덕 바디(10)의 내부에서 연소 공간의 저면에 이격된 상태로 연소공간에 거치되며,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는 식품이 위치되는 조리 그릴(30);
    상기 화덕 바디(10)의 상기 개구부(13) 위치에 안착되는 조리기(40); 및
    상기 화덕 바디(10)의 측면에서 상기 조리기(40)의 하부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13)의 하부 위치에서 상기 화덕 바디(10)의 표면에 고리 타입으로 돌출되는 삽입부(51)와, 상기 삽입부(51)에 삽입되며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컵(53)을 포함하여 상기 조리기(40)에서 배출된 오일이 수거되는 오일 수거부(50);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20)는,
    상기 화덕 바디(10)의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표면에는 상기 연소 공간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25)가 형성된 개폐 도어(21); 및
    상기 개폐 도어(21)의 폐쇄된 상태를 상기 화덕 바디(10)에 고정하도록 개폐 도어(21)의 측면에서 상기 화덕 바디(10)의 표면에 고정되는 걸림부(23a)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 도어(21)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파지 돌기(23c)가 표면에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23a)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회전바(23b)가 구비되는 고정부(23);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12)의 상부에는 불티 방지 캡부(610)가 설치되고,
    상기 불티 방지 캡부(610)는,
    상기 연통(12)의 상부를 커버하는 캡 커버(611); 및
    상기 캡 커버(611)의 하부에서 상기 연통(12)의 측면에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홀(6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40)는,
    상기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에 안착되며, 표면에는 파지 돌기가 돌출되고, 중앙에는 조리홀이 형성되고, 가장자리는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 외부로 일부분이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조리 플레이트(41); 및
    상기 조리홀에 안착되며 음식물이 조리되는 가열판(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40)는,
    상기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에 안착되며 내부에는 조리 공간이 형성된 조리 솥(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40)는,
    상기 화덕 바디(10)의 내부에서 조리 그릴(30)로부터 이격된 상측에 거치되는 상부 그릴(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40)는,
    상기 화덕 바디(10)의 상기 개구부(13)에 안착되는 솥뚜껑 구이판(341); 및
    상기 솥뚜껑 구이판(341)의 측면에 돌출되어 오일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오일 배출 돌부(3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덕.
  6. 제1항에 있어서,
    반달 형상의 복수개로 상기 조리 그릴(30)에 안착되며 숯이 위치되는 숯저장부(410); 및
    상기 조리 그릴(30)에 안착되며 상기 조리기(40)에서 낙하되는 훈제 요리의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저장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40)는,
    음식물 조리 상태의 보온 과정에서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를 덮도록 상부에 손잡이부(541)가 돌출되며, 덕 바디(10)의 개구부(13)에 안착되는 돔(dome)형 뚜껑부(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20190003299U 2019-08-09 2019-08-09 다기능 화덕 KR200493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299U KR200493461Y1 (ko) 2019-08-09 2019-08-09 다기능 화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299U KR200493461Y1 (ko) 2019-08-09 2019-08-09 다기능 화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69U KR20210000369U (ko) 2021-02-17
KR200493461Y1 true KR200493461Y1 (ko) 2021-04-05

Family

ID=74716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299U KR200493461Y1 (ko) 2019-08-09 2019-08-09 다기능 화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46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613B1 (ko) * 2021-06-28 2022-12-07 김기주 휴대용 고기구이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190B1 (ko) * 2014-11-17 2016-02-17 이상봉 유해가스 제거 기능을 갖는 구이기구
KR101721368B1 (ko) * 2016-07-08 2017-03-30 전희성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29A (ja) * 1996-06-12 1998-01-06 Maeda Corp 焼却炉
KR101214728B1 (ko) * 2010-01-14 2012-12-21 이승호 다기능 구이기
KR20190084661A (ko) 2018-01-09 2019-07-17 유승방 조리용 화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190B1 (ko) * 2014-11-17 2016-02-17 이상봉 유해가스 제거 기능을 갖는 구이기구
KR101721368B1 (ko) * 2016-07-08 2017-03-30 전희성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69U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00359A1 (en) Outdoor cooker oven
KR101207996B1 (ko) 숯불구이 장치
KR101710701B1 (ko) 바비큐 그릴 장치
KR101269786B1 (ko) 숯불구이기
KR20210106820A (ko)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KR200493461Y1 (ko) 다기능 화덕
KR101562498B1 (ko) 구이용 화덕
KR200444305Y1 (ko) 가스버너를 이용한, 테이블 착탈식 숯불구이기
KR20190132597A (ko) 다용도 화로
KR102064698B1 (ko)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장치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KR101055065B1 (ko) 간접 가열 방식의 휴대용 바비큐 기기
KR101890418B1 (ko) 바비큐 그릴장치
KR200439439Y1 (ko) 다기능 식품조리기
KR100614684B1 (ko) 숯불 구이기
KR102335948B1 (ko) 초벌구이장치
KR101703513B1 (ko) 비어캔치킨 조리가 가능한 직화 구이장치
KR200392575Y1 (ko) 고기구이기
KR100913250B1 (ko)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기
KR100644973B1 (ko)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KR102485840B1 (ko) 다기능 난로 겸용 화덕
KR200380144Y1 (ko) 숯불 구이기
KR200437645Y1 (ko) 바베큐 구이기
CN211748975U (zh) 一种烧烤架及选用这种烧烤架的烤炉
KR102058246B1 (ko) 직화 구이기용 회전 구이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