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368B1 -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 Google Patents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368B1
KR101721368B1 KR1020160087129A KR20160087129A KR101721368B1 KR 101721368 B1 KR101721368 B1 KR 101721368B1 KR 1020160087129 A KR1020160087129 A KR 1020160087129A KR 20160087129 A KR20160087129 A KR 20160087129A KR 101721368 B1 KR101721368 B1 KR 101721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ed roasted
barbecue
combustion
duct
combustion ga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희성
Original Assignee
전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희성 filed Critical 전희성
Priority to KR1020160087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368B1/ko
Priority to CN201710356539.4A priority patent/CN107581918A/zh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7/00Combustion techniques; Other solid-fuel combustion apparatus
    • F23B7/002Combustion techniques; Other solid-fuel 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gas flow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flue gases, e.g.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1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for use in baking ovens or cook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구이 및 전골 요리만이 아니라 바베큐 훈제와 동시에 찌게 등의 보조요리가 가능하도록 한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은, 상부에 상향으로 개구된 화구 및 화구의 하방으로 연소실을 갖는 연소통, 연료투입구를 갖고 상기 연소통에 연통하여 접합되어 있는 연료투입덕트, 상기 연료투입덕트의 맞은편에 위치하여 상기 연소통에 접합되어 있는 바베큐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덕 본체와; 상기 연소통에 위치하여 연소시킬 연소 연료를 받이하는 연료받이대와; 상기 연료받이대의 하방에 배치되어 연소된 재를 받이하는 재받이대와; 상기 연료투입덕트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료투입구를 개폐하는 연료투입도어와; 상기 바베큐 덕트의 바베큐 입출구측에 회전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바베큐 도어와; 상기 연소통의 상단에 설치되어 원형 기름받이대를 지지하고 동시에 상기 연소실에서 연소된 연소 가스를 고르게 흡입하도록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원형 배열되어 있는 연소가스 흡입공을 갖는 연소가스 흡입대와; 상기 화덕 본체에 설치되어 바베큐 덕트에 지지시켜 놓은 바베큐 꽂이대를 회전시키는 바베큐 회전구동유닛; 및 상기 바베큐 덕트에 지지시켜 보조요리를 가열할 수 있는 보조요리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General purpose fire pot}
본 발명은 각종 구이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구이 화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적인 구이 및 전골 요리만이 아니라 바베큐 훈제와 동시에 찌게 등의 보조요리가 가능하도록 한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 화로는 화로에 숯을 담아 연소시켜 구이를 할 수 있는 기구를 의미한다. 통상 구이 화로의 상단에 석쇠를 올려놓고 직화로 구이를 한다. 이 경우 숯은 처음에는 화력이 좋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화력이 약해져 숯을 추가적으로 보충해야 하는 불편함을 갖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연소 가스가 그대로 석쇠를 통해 외부로 바로 배기되어 환기 시설에 신경을 써야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28928호로서, '장작구이용 화로'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내측 상부에 불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화기조절부를 갖추며 외측 정면에 형성된 투입구에 의해 투입된 장작이 쌓이도록 내부에 안착대를 가진 상면이 개구된 형태의 몸체와, 상기 안착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형성된 안내구를 통해 삽입 및 탈착이 되는 구조로서 장작이 완전연소되고 남은 재가 쌓이는 소각재받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연기가 배출되는 연통구와, 상기 하부에 형성되어 연소시 산소가 공급되는 연소구로 구성된 것으로, 장작을 주 연료로 하여 고기를 구울 수 있는 화로이기 때문에 고기 고유의 맛을 음미할 수 있도록 하고, 연기를 자연배출할 수 있는 연통을 구비되어 실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작구이용 화로를 공급하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연기가 배출되는 연통구가 단일형으로 구성되어져 화력이 충분히 구이판에 도달하기 전에 연통구로 빠져나가는 구조이므로 구이판을 신속하고 고르게 가열할 수 없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열이용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직화 구이 이외에는 훈제 바베큐 및 기타 보조 요리를 병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28928호
본 발명은 일반적인 구이 및 전골 요리만이 아니라 바베큐 훈제와 동시에 찌게 등의 보조요리가 가능하도록 한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은, 상부에 상향으로 개구된 화구 및 화구의 하방으로 연소실을 갖는 연소통, 연료투입구를 갖고 상기 연소통에 연통하여 접합되어 있는 연료투입덕트, 상기 연료투입덕트의 맞은편에 위치하여 상기 연소통에 접합되어 있는 바베큐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덕 본체와; 상기 연소통에 위치하여 연소시킬 연소 연료를 받이하는 연료받이대와; 상기 연료받이대의 하방에 배치되어 연소된 재를 받이하는 재받이대와; 상기 연료투입덕트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료투입구를 개폐하는 연료투입도어와; 상기 바베큐 덕트의 바베큐 입출구측에 회전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바베큐 도어와; 상기 연소통의 상단에 설치되어 원형 기름받이대를 지지하고 동시에 상기 연소실에서 연소된 연소 가스를 고르게 흡입하도록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원형 배열되어 있는 연소가스 흡입공을 갖는 연소가스 흡입대와; 상기 화덕 본체에 설치되어 바베큐 덕트에 지지시켜 놓은 바베큐 꽂이대를 회전시키는 바베큐 회전구동유닛; 및 상기 바베큐 덕트에 지지시켜 보조요리를 가열할 수 있는 보조요리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베큐 회전구동유닛은; 바베큐 덕트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바베큐 구동박스와, 상기 바베큐 구동박스의 내부에 장착된 꽂이대 구동모터와, 상기 꽂이대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체인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종동 스프라켓휠과, 각기 종동 스프라켓휠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다각단면의 꽂이대 결합공을 갖는 꽂이대 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요리 가열수단은; 상기 바베큐 덕트의 상면에 관통된 보조요리 화구와, 보조요리 화구에 입설된 보조요리 화구통과, 상기 바베큐 덕트의 내부 상측에 형성되어 일측으로 연소실과 연통되고 타측으로 보조요리 화구에 연통되어 있는 연소열 공급챔버를 형성시키는 보조요리 가열 덕트와, 일단이 보조요리 화구통에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연소가스 흡입대에 연통되어 있는 연소열 회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받이대에는 연료의 발화 및 연소를 위한 가스노즐이 더 설치되고, 상기 가스노즐에는 산소공급관과 연소가스공급관이 분기되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소가스 흡입대의 하면에 하방으로 입설되어 대칭적으로 접합되어 상호 연통되어 있는 복수개 이상의 연소가스 흡입분배관과; 상기 연소가스 흡입분배관에 연통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연소가스 집속관과; 상기 연소가스 흡입분배관 또는 연소가스 집속관측에 설치되어 있는 배기팬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소가스 흡입대의 하면에 장착되어 연소통의 상단에 지지되는 연소실 상부플랜지와, 연소실 상부플랜지의 내부에 접합되어 연소실내 연소가스를 연소가스 흡입공으로 유도하는 연소가스 유도 원통관과, 연소가스 유도 원통관의 하단에 접합되어 있는 환형 받침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형 받침판에 안착되는 화력조절구가 더 설치되고; 상기 화력조절구는 원형 배열되어 있는 관통된 하부 화공 및 하부 화공보다 먼 반경에 관통된 원호형 장공을 갖는 화구 고정판과, 화구고정판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하부 화공과 대응되는 동수의 상부 화공이 원형 배열되어 회전 가능한 화구 회전판과, 화구 고정판의 원호형 장공에 삽입되어 화구 회전판에 고정된 화력조절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받이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연료받이대 높낮이 조절유닛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료받이대 높낮이 조절유닛은 화덕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나란하게 정착된 한 쌍의 하부 고정레일과, 한 쌍의 하부 고정레일의 상방에 위치된 상부 이동레일과, 일단이 하부 고정레일과 상부 이동레일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 고정레일과 상부 이동레일에 각기 구름운동하는 롤러를 통해 연결되어 X자형 구조로 접동되는 승강링크와, 상기 승강링크에 연결되어 접동각을 조절하는 나사조절축과, 상기 나사조절축의 회전을 조작하기 위해 화덕 본체의 외측에 위치되어 나사조절축과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된 조작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베큐 덕트에는 바베큐 꽂이대의 일단을 지지하는 꽂이대 지지슬롯이 형성되고, 꽂이대 지지슬롯측에 바베큐 꽂이대가 삽입 지지된 후 열려져 있는 꽂이대 지지슬롯을 닫기 위해 슬롯 닫힘판이 힌지 연결되어 있고, 꽂이대 지지슬롯의 상,하측에는 슬롯 닫힘판의 여닫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상,하부 스톱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베큐 덕트의 하부측에는 베베큐 요리시 생성되어 아래로 떨어지는 기름을 처리하기 위해 중앙에 기름배출공을 갖는 기름받이판이 설치되어 있고, 기름받이판의 하방에는 기름을 저장하고 취출가능한 기름받이대가 설치되고, 기름받이판은 기름배출공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에 따르면, 구이 화덕에서 연소된 연소열이 상부측 연소가스 흡입대의 내주면에 원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형성된 연소가스흡입공에 의해 방사상으로 고르게 흡입되도록 유도하여 구이 화덕에 안착된 구이판의 밑면을 급속하고 균일하게 가열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력조절구가 설치되어 있어 일반적인 구이 및 전골 요리가 모두 가능하다.
또한, 바베큐 덕트와 바베큐 회전구동유닛이 구비되어 있어 바베큐 훈제 요리를 할 수 있고, 훈제된 바베큐는 구이판에서 식지 않게 시식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연소열을 일부 우회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통로에 보조요리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찌게 등의 보조요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연소실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연료받이대 높낮이 조절유닛에 의해 연료받이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화력의 세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구이 화덕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연료투입 도어, 재받이대, 바베큐 도어 및 기름받이대가 열려진 상태도.
도 3은 도 1의 구이 화덕을 다른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1에 적용된 화덕 본체의 사시도.
도 7은 도 1에 적용된 연소가스흡입대 및 연소가스 흡입분배관을 포함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화력조절구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료받이대 및 재받이대의 사시도.
도 10은 도 1에 적용된 바베큐 회전구동유닛 및 바베큐 꽂이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료받이대 높낮이 조절유닛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종단면도.
도 13은 도 1의 구이 화덕에 구이판 및 보조요리 용기를 설치하기 전의 사시도.
도 14는 도 1의 구이 화덕에 구이판 및 보조요리 용기를 설치한 상태에서의 바베큐 훈제 및 보조 요리를 진행하고 있는 사용상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이 화덕(10)은 화덕 본체(12)를 구비한다. 도 6에서 화덕 본체(12)는 상부에 상향 개구된 화구(121a)와 화구(121a)의 하방으로 연소실(121b)을 갖는 연소통(121), 일측에 연료투입구(122a)를 갖고 타측이 상기 연소통(121)에 연통하여 접합되어 있는 연료투입덕트(122), 상기 연료투입덕트(122)의 맞은편에 위치하고 연소통(121)에 연통하여 접합되어 있는 바베큐덕트(123)로 이루어져 있다. 화덕 본체(12)는 본 실시 예에서 강판으로 제작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소통(121)은 본 실시 예에서 원형 구조로 구성하였으나 사각통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연료투입덕트(122)에는 연료투입구(122a)를 개폐하는 연료투입도어(18)가 설치되어 있다. 연료투입도어(18)는 연료투입덕트(122)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개폐가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 연료투입도어(18)는 수직 방향에서 연료투입덕트(122)측으로 약간 기울어져 설치된다. 따라서 연료투입도어(18)는 열었다가 놓게 되면 자동으로 닫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연료투입도어(18)의 닫힘시 고정은 고리를 이용하거나 자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연료투입도어(18)에는 내열성 강화유리로 제작된 투명관찰창(181)을 설치하여 연소실(121b)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 연료투입도어(18)에 다수의 외기흡입공(18a)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 외기흡입공(18a)은 화덕 본체(12)의 다른곳에 형성될 수도 있다. 외기흡입공(18a)은 연료투입도어(18)의 후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외기 흡입량조절판(151)에 의해 외기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외기 흡입량조절판(151)은 조절손잡이(151b)와, 외기흡입공(18a)과 동일 크기로 대응되는 동수의 관통홀(151a)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외기 흡입량조절판(151)의 이동에 따른 외기흡입공(18a)의 열림량이 관통홀(151a)의 위치에 따라 조절되어 외기 흡입량을 제어한다.
화덕 본체(12)에는 연소실(121b)에서 화구(121a)측으로 올라오는 화력의 량을 조절하기 위해 화력조절구(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8과 같이 화력조절구(40)는 원형 배열되어 있는 관통된 하부 화공(41a) 및 하부 화공(41a)보다 먼 반경 위치에 관통된 원호형 장공(41b)을 갖는 화구 고정판(41)과, 화구고정판(41)에 힌지(42) 연결되어 있고 하부 화공(41a)과 대응되는 동수의 상부 화공(43a)이 원형 배열되어 회전 가능한 화구 회전판(43)과, 화구 고정판(41)의 원호형 장공(41b)에 삽입되어 화구 회전판(43)에 고정된 화력조절손잡이(44)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력조절손잡이(44)를 조작하여 화구 회전판(43)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부 화공(43a)의 위치가 변경되고 하부 화공(41a)의 개도량이 조절됨으로써 화구(121a)측으로 올라오는 화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화력조절구(40)는 화구(121a)측에 위치하는 환형 받침판(15)에 분리형으로 안착되어 있으나 화구고정판(41)을 직접 화구(121a)측에 고정시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9와 같이 연소실(121b)의 하방에는 화덕에 공급되는 연료를 받이하는 연료받이대(17)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연료(3)'는 마른 장작이나 목탄(숯)을 사용하였으나 갈탄, 연탄, 번개탄 등이 될 수도 있다. 연료받이대(17)에는 연료의 연소시 발생된 재를 재받이대(16)로 배출시키기 위한 재배출공(14a)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재배출공(14a)은 본 실시 예에서 장공으로 격자 배열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상과 배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받이대(16)는 연료받이대(17)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재받이대(16)는 연료받이대(17)의 하방에서 서랍식으로 수납 및 취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재받이대(16)는 노출면에 재받이대(16)에 적재된 재의 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161)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재받이대(16)는 연료받이대(17)에서 분리되어 있는 재받이대 받침판(16a)에 지지되어 있으나, 재받이대 받침판(16a)을 연료받이대(17)에 연결시켜 일체화시킬 수 있다.
연료받이대(17)는 연료를 받이하게 되고, 연료가 타면서 발생되는 재는 재배출공(14a)을 통과하여 재받이대(16)로 모아지게 된다. 재받이대(16)는 전면에 취출이 용이하도록 재받이 손잡이(162)를 갖는다. 연료받이대(17)에는 연료의 발화 및 연소를 위한 가스노즐(7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가스노즐(70)에는 산소공급을 위한 산소공급관(71)과 연소될 가스의 공급을 위한 연소가스공급관(72)이 분기되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가스노즐(70)에서 연소가 일어날 경우 연소가스에 충분한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져 그을음을 방지할 수 있다.
바베큐 덕트(123)에는 바베큐 입출구(123a)측에 회전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바베큐 도어(19)가 설치된다. 바베큐 도어(19)에는 바베큐 덕트(123)에서 구이될 바베큐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는 투명한 바베큐 관찰창(191)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바베큐 관찰창(191)은 내열성 강화유리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바베큐 관찰창(191)을 통해 바베큐 꽂이대(100)에 꽂아진 바베큐의 구이 상태를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과 같이 연소통(121)의 상단에 연소가스 흡입대(30)가 설치되어 있다. 연소가스 흡입대(30)는 도 14와 같이 원형 기름받이대(5)를 지지하고 동시에 연소실(121b)에서 연소된 연소 가스를 흡입한다. 연소가스 흡입대(30)는 내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원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연소가스 흡입공(301)을 갖는다. 연소가스 흡입대(30)는 사각파이프를 밴딩하여 원형 중공부(302)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연소가스 흡입공(301)은 연소가스 흡입대(30)의 상단에 가까이 위치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 연소가스 흡입대(30)는 화덕 본체(12)의 상단에 설치된 연소실 상부플랜지(13)에 설치하였으나 연소실 상부플랜지(13)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화덕 본체(12)의 상단에 접합시켜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4와 같이 연소실(121b)에서 발생된 연소가스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연소가스 흡입공(301)을 통해 연소가스 흡입대(30)내로 흡입된다. 이때 연소가스 흡입공(301)은 연소가스 흡입대(30)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배열되어 있어 고르게 연소가스를 흡입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화구(121a)에 화력이 집중적이고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욱이 연소가스 흡입공(301)은 구이판(6)에 가까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구이판(6)의 가열을 더욱 촉진시키게 되어 급속한 가열도 가능해진다. 물론, 화력조절구(40)를 설치하게 되면 급속 가열을 피하여 구이판(6)에 지속적인 온열을 유지할 수도 있다.
구이판(6)은 본 실시 예에서 가마솥 뚜껑 형태로 제작하였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이판(6)은 네모지거나 둥근 쇠 테두리에 철사나 구리 선을 그물처럼 엮어 만든 석쇠가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연소실(121b)의 상부에는 연소실(121b)내 연소가스를 연소가스 흡입공(301)으로 유도하는 연소가스 유도 원통관(14)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연소가스 유도 원통관(14)의 하단에 화력조절구(40)를 설치하기 위해 환형 받침판(15)이 접합되어 있으나, 환형 받침판(15)은 연소통(121)의 화구(121a)에 직접 접합될 수도 있다.
연소가스 흡입대(30)의 하면에 도 7과 같이 연소가스 흡입분배관(32)(32)이 연통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연소가스 흡입분배관(32)(32)은 하방으로 입설되어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연소가스 흡입분배관(32)(32)은 상호 180도 위치마다 설치된 2개를 사용하였으나 그 이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연소가스 흡입분배관(32)(32)에는 반원형의 연소가스 집속관(34)이 연통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연소가스 흡입분배관(32)(32)과 연소가스 집속관(34)은 본 실시 예에서 사각파이프 단면을 갖으나 원형관 단면을 갖는 것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연소가스 흡입분배관(32)(32) 또는 연소가스 집속관(34)측에는 도 4와 같이 배기팬(36)이 설치되어 있다. 배기팬(36)은 강제 배기를 위한 것으로 회전 속도의 조절로 배기량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덕 본체(12)에 설치되어 바베큐 덕트(123)에 지지시켜 놓은 바베큐 꽂이대(100)를 회전시키는 바베큐 회전구동유닛(50)이 구비된다. 도 3, 도 5 및 도 10과 같이 바베큐 회전구동유닛(50)은 바베큐 덕트(123)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베큐 구동박스(51)와, 상기 바베큐 구동박스(51)의 내부에 지지 장착된 꽂이대 구동모터(53)와, 상기 꽂이대 구동모터(53)의 구동축과 체인(54)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종동 스프라켓휠(55)과, 각기 종동 스프라켓휠(55)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다각단면의 꽂이대 결합공(56a)을 갖는 꽂이대 소켓(56)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바베큐 꽂이대(100)의 선단을 꽂이대 소켓(56)의 꽂이대 결합공(56a)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바베큐 덕트(123)에 지지 놓고 꽂이대 구동모터(53)를 구동시키면, 바베큐 꽂이대(100)의 회전이 일어난다.
바베큐 꽂이대(100)는 선단부가 다각 단면을 가지고 바베큐 덕트(123)의 일측면에 노출된 상기 꽂이대 소켓(56)측 꽂이대 결합공(56a)에 다각 결합되고 후단측이 바베큐 덕트(123)의 일측면에 형성된 꽂이대 지지슬롯(123b)에 지지되어져 회전하게 되어 있다. 바베큐 덕트(123)에는 꽂이대 지지슬롯(123b)측에 바베큐 꽂이대(100)가 삽입 지지된 후 열려져 있는 꽂이대 지지슬롯(123b)을 닫기 위해 슬롯 닫힘판(125)이 힌지 연결되어 있고, 꽂이대 지지슬롯(123b)의 상,하측에는 슬롯 닫힘판(125)의 여닫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상,하부 스톱퍼(126b,126a)가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와 같이 바베큐 덕트(123)의 하부측에는 베베큐 요리시 생성되어 아래로 떨어지는 기름을 받이하기 위해 중앙에 기름배출공(127a)을 갖는 기름받이판(127)이 설치되어 있고, 기름받이판(127)의 하방에는 기름을 저장하고 취출가능한 기름받이대(8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기름받이판(127)은 기름배출공(127a)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화덕 본체(12)에 지지시켜 보조요리를 가열할 수 있는 보조요리 가열수단(60)이 구비된다. 보조요리란 예로 뚝배기(7)를 올려놓고 찌게를 할 수 있는 요리가 될 수 있다. 보조요리 가열수단(60)은 바베큐 덕트(123)의 상면에 관통된 보조요리 화구(61)와, 보조요리 화구(61)에 입설된 보조요리 화구통(62)과, 상기 바베큐 덕트(123)의 내부 상측에 형성되어 일측으로 연소실(121b)과 연통되고 타측으로 보조요리 화구(61)에 연통되어 있는 연소열 공급챔버(63a)를 형성시키는 보조요리 가열 덕트(63)와, 일단이 보조요리 화구통(62)에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연소가스 흡입대(30)에 연통되어 있는 연소열 회수관(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조요리 화구(61)에는 보조요리를 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도 5와 같이 보조요리 화구 덮개(66)가 더 구비된다. 보조요리 화구 덮개(66)는 본 실시 예에서 보조요리 화구통(62)에서 분리 가능하게 제작되어 있으나 힌지 또는 슬라이딩 방식의 개폐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 '11'은 '연료 난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이 화덕(10)의 사용 상태 및 작용을 설명한다.
<일반 구이 및 전골 요리>
구이 화덕(10)은 연료투입도어(18)와 바베큐 덕트(123)를 제외하고, 화덕 본체(12)에 황토를 발라 감싸서 사용될 수 있다. 이같이 황토로 화덕 본체(12)를 감싸게 되면 외부로 단열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먼저, 도 2와 같이 연료투입도어(18)를 열고, 도 14와 같이 연료(3)를 연소실(121b)로 투입하여 연료받이대(17)에 올려 놓고, 가스노즐(70)을 점화시켜 연료(3)를 연소시킨다.
이 상태에서 배기팬(36)을 구동시키면 연소가스 흡입분배관(32)과 연소가스 흡입대(30)의 내부로 부압이 발생되어, 원형 배열된 연소가스 흡입공(301)에 흡입력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연료(3)에서 발생된 연소가스는 연소가스 흡입공(301)으로 흡입되어져 연소가스 흡입대(30), 연소가스 흡입분배관(32), 연소가스 집속관(34)을 순차적으로 거쳐 배기팬(36)의 배기구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연소가스와 함께 연소열은 연소실(121b)의 상방에서 방사상으로 고르게 퍼져 구이판(6)의 밑면을 타고 연소가스 흡입공(301)으로 들어가면서 구이판(6)의 밑면을 가열시키게 된다. 이때 연소가스 유도원형관(14)은 구이판(6)의 밑면과의 사이에 열흐름통로를 생성시키고 연소가스 흡입공(301)은 원주방향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므로 균일하게 구이판(6)의 밑면을 집중적으로 가열시키게 된다.
따라서 구이판(6)의 밑면은 신속하고 균일하게 가열을 받아 구이의 온도를 단시간에 높일 수 있고, 연소 열의 이용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연료(3)에서 발생된 재는 재받이대(16)에 받이된다.
또한, 구이판(6)에 대체하여 이미 알려진 전골 냄비를 사용하게 되면 다양한 전골 음식을 요리할 수 있다.
< 바베큐 구이>
한편, 도 14와 같이 바베큐 요리를 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화력조절구(40)를 화구(121a)측에 설치한 후 화력의 세기를 조절하여 놓는다. 또한 연소가스흡입대(30)에 원형 기름받이대(5)를 올려 놓고, 구이판(6)을 원형 기름받이대(5)에 지지시켜 놓는다. 따라서 구이판(6)은 가열받아 적당한 온도를 나타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적당한 크기의 육류(M)를 바베큐 꽂이대(100)에 꽂은 상태에서 바베큐 도어(19)를 열고, 바베큐 회전구동유닛(50)에 바베큐 꽂이대(100)를 연결하여 바베큐 덕트(123)에 지지시켜 놓는다. 이때 바베큐 꽂이대(100)의 선단은 꽂이대 소켓(56)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꽂이대 지지슬롯(123b)에 지지된다. 바베큐 꽂이대(100)가 꽂이대 지지슬롯(123b)에 들어갈때 슬롯닫힘판(125)을 상향으로 열렸다가 다시 자중에 의해 닫혀 꽂이대 지지슬롯(123b)을 닫아 연소연기가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차단한다(도 4 참조).
그 다음, 바베큐 도어(19)를 닫고 전원 버튼(58)을 온(on)시켜 꽂이대 구동모터(53)를 구동시키면, 바베큐 꽂이대(100)가 회전을 하게 되어 연소실(121b)에서의 화력으로 육류(M)에 훈제 구이가 수분 이내에 이루어지게 된다.
그 다음, 바베큐 도어(19)를 열고,바베큐 꽂이대(100)를 바베큐 회전구동유닛(50)에서 분리시킴과 동시에 바베큐 덕트(123)에서 뽑아낸 후 구이된 바베큐를 잘라 구이판(6)에 올려놓는다. 이렇게 되면, 구이판(6)은 적당한 온도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바베큐 요리를 식지 않게 하면서 섭취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보조 요리>
한편, 보조요리 화구통(62)을 막고 있는 보조요리 화구 덮개(66)를 제거한 후 도 14와 같이 예로, 뚝배기(7)를 보조요리 화구통(62)에 올려놓고 된장 찌게를 요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소실(121b)에서 발생된 열의 일부는 보조요리가열덕트(63)측 연소열 공급챔버(63a)를 통해 유입된 후 보조요리 화구통(62)을 경유한 후 연소열 회수관(64)을 통해 연소가스 흡입대(30)로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보조요리 화구통(62)에 지지된 뚝배기(7)를 통해 다양한 찌게류를 보조적으로 요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이 화덕(10)은 화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료받이대 높낮이 조절유닛(2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연료받이대 높낮이 조절유닛(25)은 화덕 본체(12)의 내부 바닥면에 나란하게 정착된 한 쌍의 하부 고정레일(251)과, 한 쌍의 하부 고정레일(251)의 상방에 위치하여 재받이대 받침판(16a)을 지지하는 상부 이동레일(252)과, 일단이 하부 고정레일(251)과 상부 이동레일(252)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 고정레일(251)과 상부 이동레일(252)에 각기 구름운동하는 롤러(R1,R2)를 통해 연결되어 X자형 구조로 접동되는 승강링크(253)(253)와, 상기 승강링크(253)(253)의 이동단에 연결된 이동축(259)에 나사 결합되어 접동각을 조절하는 나사조절축(254)과, 상기 나사조절축(254)의 회전을 조작하기 위해 화덕 본체(12)의 외측에 위치되어 나사조절축(254)과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된 조작핸들(2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동력전달수단은 스프라켓 휠(G1~G4)과 체인(C1,C2)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구성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이동레일(252)은 재받이대 받침판(16a)에 고정되거나 비고정상태로 면접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서 조작핸들(256)을 잡고 나사조절축(254)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승강링크(253)(253)의 접동각(θ)이 변화되고, 이에 따라 승강링크(253)(253)의 상단 높낮이가 조절되어 연료받이대(17)의 높낮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그 결과 연료받이대(17)와 구이판(6)간의 거리가 가변되어 화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화덕 본체
16: 재받이대
17: 연료받이대
18: 연료투입도어
19: 바베큐 도어
30: 연소가스 흡입대
301: 연소가스 흡입공
32: 연소가스 흡입분배관
34: 연소가스 집속관
50: 바베큐 회전구동유닛
60: 보조요리 가열수단

Claims (10)

  1. 상부에 상향으로 개구된 화구(121a) 및 화구(121a)의 하방으로 연소실(121b)을 갖는 연소통(121), 연료투입구(122a)를 갖고 상기 연소통(121)에 연통하여 접합되어 있는 연료투입덕트(122), 상기 연료투입덕트(122)의 맞은편에 위치하여 상기 연소통(121)에 접합되어 있는 바베큐덕트(123)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덕 본체(12)와;
    상기 연소통(121)에 위치하여 연소시킬 연소 연료를 받이하는 연료받이대(17)와;
    상기 연료받이대(17)의 하방에 배치되어 연소된 재를 받이하는 재받이대(16)와;
    상기 연료투입덕트(122)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료투입구(122a)를 개폐하는 연료투입도어(18)와;
    상기 바베큐 덕트(123)의 바베큐 입출구(123a)측에 회전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바베큐 도어(19)와;
    상기 연소통(121)의 상단에 설치되어 원형 기름받이대(5)를 지지하고 동시에 상기 연소실(121b)에서 연소된 연소 가스를 고르게 흡입하도록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원형 배열되어 있는 연소가스 흡입공(301)을 갖는 연소가스 흡입대(30)와;
    상기 화덕 본체(12)에 설치되어 바베큐 덕트(123)에 지지시켜 놓은 바베큐 꽂이대(100)를 회전시키는 바베큐 회전구동유닛(50); 및
    상기 바베큐 덕트(123)에 지지시켜 보조요리를 가열할 수 있는 보조요리 가열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베큐 회전구동유닛(50)은;
    바베큐 덕트(123)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바베큐 구동박스(51)와, 상기 바베큐 구동박스(51)의 내부에 장착된 꽂이대 구동모터(53)와, 상기 꽂이대 구동모터(53)의 구동축과 체인(54)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종동 스프라켓휠(55)과, 각기 종동 스프라켓휠(55)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다각단면의 꽂이대 결합공(56a)을 갖는 꽂이대 소켓(5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요리 가열수단(60)은;
    상기 바베큐 덕트(123)의 상면에 관통된 보조요리 화구(61)와, 보조요리 화구(61)에 입설된 보조요리 화구통(62)과, 상기 바베큐 덕트(123)의 내부 상측에 형성되어 일측으로 연소실(121b)과 연통되고 타측으로 보조요리 화구(61)에 연통되어 있는 연소열 공급챔버(63a)를 형성시키는 보조요리 가열 덕트(63)와, 일단이 보조요리 화구통(62)에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연소가스 흡입대(30)에 연통되어 있는 연소열 회수관(6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받이대(17)에는 연료의 발화 및 연소를 위한 가스노즐(70)이 더 설치되고, 상기 가스노즐(70)에는 산소공급관(71)과 연소가스공급관(72)이 분기되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흡입대(30)의 하면에 하방으로 입설되어 대칭적으로 접합되어 상호 연통되어 있는 복수개 이상의 연소가스 흡입분배관(32)(32)과;
    상기 연소가스 흡입분배관(32)(32)에 연통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연소가스 집속관(34)과;
    상기 연소가스 흡입분배관(32)(32) 또는 연소가스 집속관(34)측에 설치되어 있는 배기팬(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흡입대(30)의 하면에 장착되어 연소통(121)의 상단에 지지되는 연소실 상부플랜지(13)와, 연소실 상부플랜지(13)의 내부에 접합되어 연소실(121b)내 연소가스를 연소가스 흡입공(301)으로 유도하는 연소가스 유도 원통관(14)과, 연소가스 유도 원통관(14)의 하단에 접합되어 있는 환형 받침판(1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받침판(15)에 안착되는 화력조절구(40)가 더 설치되고;
    상기 화력조절구(40)는 원형 배열되어 있는 관통된 하부 화공(41a) 및 하부 화공(41a)보다 먼 반경에 관통된 원호형 장공(41b)을 갖는 화구 고정판(41)과, 화구고정판(41)에 힌지(42) 연결되어 있고 하부 화공(41a)과 대응되는 동수의 상부 화공(43a)이 원형 배열되어 회전 가능한 화구 회전판(43)과, 화구 고정판(41)의 원호형 장공(41b)에 삽입되어 화구 회전판(43)에 고정된 화력조절손잡이(4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받이대(17)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연료받이대 높낮이 조절유닛(25)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료받이대 높낮이 조절유닛(25)은 화덕 본체(12)의 내부 바닥면에 나란하게 정착된 한 쌍의 하부 고정레일(251)과, 한 쌍의 하부 고정레일(251)의 상방에 위치된 상부 이동레일(252)과, 일단이 하부 고정레일(251)과 상부 이동레일(252)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 고정레일(251)과 상부 이동레일(252)에 각기 구름운동하는 롤러(R1,R2)를 통해 연결되어 X자형 구조로 접동되는 승강링크(253)(253)와, 상기 승강링크(253)(253)에 연결되어 접동각을 조절하는 나사조절축(254)과, 상기 나사조절축(254)의 회전을 조작하기 위해 화덕 본체(12)의 외측에 위치되어 나사조절축(254)과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된 조작핸들(25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9. 제 1항에 있어서,
    바베큐 덕트(123)에는 바베큐 꽂이대(100)의 일단을 지지하는 꽂이대 지지슬롯(123b)이 형성되고, 꽂이대 지지슬롯(123b)측에 바베큐 꽂이대(100)가 삽입 지지된 후 열려져 있는 꽂이대 지지슬롯(123b)을 닫기 위해 슬롯 닫힘판(125)이 힌지 연결되어 있고, 꽂이대 지지슬롯(123b)의 상,하측에는 슬롯 닫힘판(125)의 여닫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상,하부 스톱퍼(126b,126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10. 제 1항에 있어서,
    바베큐 덕트(123)의 하부측에는 베베큐 요리시 생성되어 아래로 떨어지는 기름을 처리하기 위해 중앙에 기름배출공(127a)을 갖는 기름받이판(127)이 설치되어 있고, 기름받이판(127)의 하방에는 기름을 저장하고 취출가능한 기름받이대(80)가 설치되고, 기름받이판(127)은 기름배출공(127a)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KR1020160087129A 2016-07-08 2016-07-08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Expired - Fee Related KR101721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129A KR101721368B1 (ko) 2016-07-08 2016-07-08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CN201710356539.4A CN107581918A (zh) 2016-07-08 2017-05-19 可进行多用途料理的烧烤火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129A KR101721368B1 (ko) 2016-07-08 2016-07-08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368B1 true KR101721368B1 (ko) 2017-03-30

Family

ID=5850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129A Expired - Fee Related KR101721368B1 (ko) 2016-07-08 2016-07-08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1368B1 (ko)
CN (1) CN10758191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034A (ko) 2018-10-29 2020-05-08 이경희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난로
KR102169099B1 (ko) * 2020-02-10 2020-10-22 주식회사 정석기계 승강 조절유닛 보호 기능을 구비한 구이 테이블
KR102169098B1 (ko) * 2020-02-10 2020-10-22 주식회사 정석기계 가열수단 승강을 통한 가열 세기 조절이 가능한 구이 테이블
KR20210000369U (ko) * 2019-08-09 2021-02-17 김기호 다기능 화덕
KR102586626B1 (ko) * 2023-05-19 2023-10-06 최석재 다용도 훈제 구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8097B (zh) * 2020-02-21 2021-11-16 苏州市相城区渭塘城乡发展有限公司 真空渗透的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546U (ko) * 1997-07-28 1999-02-25 유팔남 숯불구이 로스터
KR100738839B1 (ko) * 2006-06-19 2007-07-12 장경근 고기 구이용 황토가마
KR100828928B1 (ko) 2007-06-21 2008-05-13 박일한 장작구이용 화로
KR101321528B1 (ko) * 2011-12-21 2013-10-28 이완규 고기 구이장치
KR101355727B1 (ko) * 2012-03-15 2014-01-27 김인철 목재를 태워서 난방을 하기 위한 난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19770B1 (it) * 2000-11-22 2003-11-03 De Longhi Spa Forno multifunzionale per la cottura di alimenti.
CN2462822Y (zh) * 2001-01-19 2001-12-05 晏志安 烤肉串电烤箱
US20070119445A1 (en) * 2005-11-29 2007-05-31 Yueh-Chiang Wen Multifunctional cooking apparatus
CN201286631Y (zh) * 2008-09-23 2009-08-12 郑州市嵩山绿源畜牧养殖有限公司 高效节能环保烤肉机
KR101018466B1 (ko) * 2008-10-06 2011-03-02 김영환 연소열이 균등순환되는 바베큐장치
CN202223022U (zh) * 2011-09-30 2012-05-23 张尚铁 火锅烧烤两用炉
CN103719177B (zh) * 2013-03-19 2015-12-09 艾力·加帕尔 多功能节能环保型馕坑式烤炉
CN204394295U (zh) * 2015-02-02 2015-06-17 魏宏亮 一种多功能烧烤装置
ES1139540Y (es) * 2015-05-05 2015-09-30 Ferre Isard Pisonero Barbacoa multifuncional
CN204734377U (zh) * 2015-06-13 2015-11-04 韩介义 便携式多功能自动烤串机
CN105078276A (zh) * 2015-09-15 2015-11-25 周明敏 烧烤炉
CN105286655B (zh) * 2015-11-27 2018-01-19 梁志强 一种多用烧烤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546U (ko) * 1997-07-28 1999-02-25 유팔남 숯불구이 로스터
KR100738839B1 (ko) * 2006-06-19 2007-07-12 장경근 고기 구이용 황토가마
KR100828928B1 (ko) 2007-06-21 2008-05-13 박일한 장작구이용 화로
KR101321528B1 (ko) * 2011-12-21 2013-10-28 이완규 고기 구이장치
KR101355727B1 (ko) * 2012-03-15 2014-01-27 김인철 목재를 태워서 난방을 하기 위한 난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034A (ko) 2018-10-29 2020-05-08 이경희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난로
KR20210000369U (ko) * 2019-08-09 2021-02-17 김기호 다기능 화덕
KR200493461Y1 (ko) * 2019-08-09 2021-04-05 김기호 다기능 화덕
KR102169099B1 (ko) * 2020-02-10 2020-10-22 주식회사 정석기계 승강 조절유닛 보호 기능을 구비한 구이 테이블
KR102169098B1 (ko) * 2020-02-10 2020-10-22 주식회사 정석기계 가열수단 승강을 통한 가열 세기 조절이 가능한 구이 테이블
KR102586626B1 (ko) * 2023-05-19 2023-10-06 최석재 다용도 훈제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81918A (zh)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368B1 (ko)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US11058255B2 (en) Grill using flue
US6000389A (en) Grill
US5996572A (en) Turbo-charcoal barbecue
US9788688B1 (en) Combination barbecue grill and smoker apparatus
US20030217647A1 (en) Portable cooking apparatus providing both direct and indirect heat cooking
KR101721805B1 (ko) 바베큐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US20130112186A1 (en) Solid fuel cook system
KR101852716B1 (ko) 사각 화구를 갖는 구이 화덕
KR20190132597A (ko) 다용도 화로
KR101670628B1 (ko) 급속 가열 및 화력 조절이 가능한 구이 화덕
KR101132309B1 (ko) 구이용 로스터
KR101987880B1 (ko)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
KR102467135B1 (ko) 고기 구이장치
KR101721369B1 (ko) 보조요리를 겸하는 구이 화덕
KR20120028172A (ko) 세라콜이 설치된 구이용 로스터
KR20160130564A (ko) 가스로 숯불을 달군상태에서 자연유지토록 하는 꼬치구이기
KR20110003624U (ko)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
KR100597544B1 (ko) 황토 터널 구이기
US10667650B2 (en) Charcoal grill apparatus and method
KR102345327B1 (ko) 야외용 고기 굽는 장치
KR102224413B1 (ko) 회전식 고기 구이기
KR101999062B1 (ko) 고기구이장치
KR19980073219A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101073882B1 (ko) 훈제식 고기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