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643B1 - 항아리 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항아리 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643B1
KR102503643B1 KR1020210092309A KR20210092309A KR102503643B1 KR 102503643 B1 KR102503643 B1 KR 102503643B1 KR 1020210092309 A KR1020210092309 A KR 1020210092309A KR 20210092309 A KR20210092309 A KR 20210092309A KR 102503643 B1 KR102503643 B1 KR 102503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r
container
charcoal
charcoal contain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1706A (ko
Inventor
신경숙
Original Assignee
신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숙 filed Critical 신경숙
Priority to KR1020210092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643B1/ko
Publication of KR20230011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항아리 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 구이 장치는 바닥면에 설치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항아리입구가 형성된 상단부의 둘레에 병목부가 형성되는 항아리와, 상기 항아리입구를 덮기 위한 뚜껑과, 상부는 상기 병목부에 걸어서 설치할 수 있도록 고리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구이물을 관통하여 구이물이 매달리게 할 수 있도록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걸고리와, 용기 구조의 거치통으로서, 상기 거치통의 상단부가 상기 항아리의 하면의 가장자리부와 밀착됨으로써 상기 항아리를 지탱해주도록 상기 항아리의 밑에 설치되고 상기 거치통의 하부의 측벽에는 공기유입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거치통 및 상기 거치통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의 숯통으로서, 상기 숯통의 상부가 상기 설치구멍에 의해 둘러싸이되 상기 숯통이 상기 항아리와 닿지는 않도록 설치되며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숯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고리의 하부는 상기 항아리 내주면 쪽으로 휘어져 있어서 상기 숯통으로부터 수직하게 올라오는 열기를 직접 받지 않도록 상기 항아리 내부 공간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항아리 구이 장치 {ROASTING POT}
본 발명은 항아리 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숯의 복사열을 최대한 고기 등의 구이물에 닿지 않게 하여 균일한 대류열로 구이물을 골고루 익게 하는 항아리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기를 굽는 방식으로는 숯불 위에 철망을 올려 고기를 익히는 직화방식, 복사열과 대류열을 이용한 훈연방식, 항아리 내부에 불을 피워서 복사열과 대류열을 이용하는 훈제방식이 있다.
숯불을 이용한 직화방식은, 숯은 연소 시 높은 열과 오랜 지속시간, 그리고 연소 시 발생되는 가스나 그을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아 고기를 굽는 연료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구이 방식이 숯불 위에 철망을 올리고 그 위에 고기를 굽는 방식을 이용하다 보니 고기가 익는 과정에서 생기는 기름이 숯불 위에 떨어져 화상이나 많은 연기가 발생하는 불편함과 수시로 타지 않게 뒤집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직화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훈연을 이용한 도구가 많이 개발되고 있으나 직화방식에서 조금 벗어난 기구를 사용하다 보니 제품 구조상 숯불과 고기를 따로 분리하여 조리하게 되며, 그 결과 기구의 크기가 거대해지거나 작은 조리기구로는 많은 양의 고기를 조리하지 못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복사열로 인해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기의 위치변경을 위한 뒤집기 등을 수시로 해주어야 하며 화구를 조절하여 온도를 유지해 주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마지막으로, 항아리 내부에 불을 피워서 복사열과 대류열을 이용하는 훈제방식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항아리는 흙으로 만들어져 열을 흡수하여 방출을 지연시키는 보온성이 탁월한 용기이다. 또한, 구조상 고리를 이용하여 입구에 많은 양의 고기를 걸어서 조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항아리는 높은 온도에서 만들어졌음에도 항아리에 불꽃이 닿거나 높은 온도의 숯이나 용기가 직접적으로 닿으면 급속도로 팽창하여 파손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항아리 내부에 숯통을 넣어 숯통의 크기나 높이 등을 변경하여 이용하고 있으나 여기에는 여러가지 단점이 따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숯통은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넓고 납작한 형태로 되어 있어 항아리(10) 자체가 커지게 되는데 항아리(10)를 소형화하면 숯통(50) 또한 작아져서 필요로 하는 온도를 얻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화구조절장치 개방 시 내부의 온도가 일정하지 못하고 상승한 열이 상단에 머물게 되며, 숯에서 발생되는 복사열이 구이물(1000)에 닿게 되어 아래쪽이 빨리 익게 되므로 수시로 위치를 변경해 주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하 방향으로 길쭉한 숯통(5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부에 복사열이 생겨 구이물(1000)이 골고루 익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흙으로 만들어진 항아리의 보온성을 이용하여 연료 절감 효과가 있고, 장시간 조리 시에도 고기의 위치 변경이나 숯의 재투입 등이 불필요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소형화에 따른 이동성 및 간편성이 우수하고, 항아리의 파손 우려 및 화염과 그을음 발생을 최소화하며, 숯의 복사열이 최대한 공기에 닿지 않아서 균일한 대류열로 고기를 골고루 익게 할 수 있는 항아리 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 구이 장치는 바닥면에 설치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항아리입구가 형성된 상단부의 둘레에 병목부가 형성되는 항아리와, 상기 항아리입구를 덮기 위한 뚜껑과, 상부는 상기 병목부에 걸어서 설치할 수 있도록 고리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구이물을 관통하여 구이물이 매달리게 할 수 있도록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걸고리와, 용기 구조의 거치통으로서, 상기 거치통의 상단부가 상기 항아리의 하면의 가장자리부와 밀착됨으로써 상기 항아리를 지탱해주도록 상기 항아리의 밑에 설치되고 상기 거치통의 하부의 측벽에는 공기유입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거치통 및 상기 거치통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의 숯통으로서, 상기 숯통의 상부가 상기 설치구멍에 의해 둘러싸이되 상기 숯통이 상기 항아리와 닿지는 않도록 설치되며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숯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고리의 하부는 상기 항아리 내주면 쪽으로 휘어져 있어서 상기 숯통으로부터 수직하게 올라오는 열기를 직접 받지 않도록 상기 항아리 내부 공간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거치통에는 상기 공기유입구멍을 여닫기 위한 유입조절판이 움직일 수 있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유입구멍을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숯통의 바닥면과 결합되어 하방으로 뻗는 다수 개의 지지대에 의하여 상기 숯통의 바닥면이 상기 거치통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만큼 떨어져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숯통의 측벽부와 바닥부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의 상면 중심부에는 손잡이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온도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아리의 하부로서 상기 숯통의 상단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열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방출공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 구이 장치에 의하면 항아리가 숯통에 닿으면 깨질 수 있는 단점을 보완하여 숯통이 외부로 빠져나와 있어서 내구성이 향상되고, 고기의 위치가 S자 고리에 의해 숯통과 최대한 멀리 떨어져 있는 구성으로 인해 기름이 숯에 떨어져서 화염이나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숯의 복사열이 최대한 고기에 덜 닿도록 하여 균일한 대류열에 의해 고기가 골고루 익으며 이로써 장시간의 조리에도 고기의 위치 변경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항아리 내부에 숯통을 넣는 경우 항아리구이 장치가 커질 수밖에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 구이 장치는 소형화가 가능하여 숯의 재투입 등의 불편함이 없으며 숯통이 항아리 외부에 있어서 조리 시 필요한 장비들을 모두 내부에 넣어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항아리 구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구가 닫힌 상태의 항아리 구이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구가 열린 상태의 항아리 구이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항아리 구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항아리 구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항아리 구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 구이 장치는 항아리(100), 뚜껑(200), 걸고리(300), 거치통(400), 숯통(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항아리(100)는 전체적으로는 가운데가 볼록한 일반적인 형태의 항아리인데, 바닥부의 중심 부분에 큰 원형의 설치구멍(120)이 관통 형성된다는 점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또한, 항아리(100)의 하부 측면에는 방출공(130)이 형성된다.
설치구멍(120)은 숯통(500)의 상단부가 항아리(100)의 바닥면을 통과하여 항아리(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구멍으로서, 설치구멍(120)은 숯통(500)이 항아리(100)에 닿지 않도록 크게 타공되어야 한다. 이는 항아리(100)가 숯통(500)에 닿게 되는 경우 강한 열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항아리(100)의 측벽부 중 하부에는 방출공(130)의 형성되어 있어서 고온으로 상승된 열기가 하강하면서 방출공(130)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항아리(100)의 상면에는 항아리입구가 형성되고 항아리입구를 둘러싸는 항아리(100)의 상단부에는 병목부(110)가 형성된다.
뚜껑(200)은 항아리입구를 덮어씌워서 막기 위한 형태를 가지고 스테인리스 스틸 재료로 구성된다.
뚜껑(200)의 상면 중심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원통형 부재와 원통형 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원판형 부재로 구성된 손잡이(210)가 결합된다. 손잡이(210) 중 원판형 부재에는 위에서 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온도계(220)가 구비되어 있어서 온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걸고리(300)는 S자 형태로 구부러진 부재로서 항아리(100)의 병목부(110)에 걸고리(300)의 상부를 걸어서 장착한다. 걸고리(300)의 하부는 구이물(1000)을 끼울 수 있게 구성하여 구이물(1000)이 걸고리(300)의 하부에 끼워져 매달리도록 구성된다.
이때 걸고리(300)의 하부는 항아리(100)의 내주면과 가깝게 되도록 휘어져 있어서 숯통(500)으로부터 수직하게 올라오는 복사열을 직접 받지 않도록 항아리(100) 내부 공간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된다.
거치통(400)은 화분과 같은 용기 구조를 가지고 상면 전체가 개방된 통으로서, 상단부에는 항아리(100)의 바닥의 가장자리부가 거치되어 거치통(400) 위에 항아리(100)가 얹어지는 구조가 된다. 거치통(400)은 숯통(500)을 거치하고 보관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구이물(1000)에서 배출된 기름을 받아주는 역할을 하며, 외부 공기 유입을 조절해주는 역할도 한다.
거치통(400)의 하부 측벽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기유입구멍(410)이 형성된다. 공기유입구멍(410)은 삼각형 구조로 배치되는 세 개의 부채꼴 형태의 구멍과, 세 개의 부채꼴 형태의 구멍의 한가운데에 형성되는 원형의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 한가운데의 원형의 공기유입구멍(410)은 항상 개방된 형태를 유지하나, 나머지 세 개의 부채꼴 형태의 공기유입구멍(410)은 유입조절판(420)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유입조절판(420)은 거치통(400)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형의 판으로서, 세 개의 부채꼴 형태의 공기유입구멍(410)과 대응되는 구멍들이 뚫려있어서 유입조절판(420)의 회전에 따라 유입조절판(420)의 구멍이 세 개의 부채꼴 형태의 공기유입구멍(410)과 통하도록 하거나 유입조절판(420)의 구멍이 세 개의 부채꼴 형태의 공기유입구멍(410)과 겹치지 않게 하여 세 개의 부채꼴 형태의 공기유입구멍(410)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가운데의 원형 공기유입구멍(410)은 항상 열려있는데 이것은 최소한의 보온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숯통(500)은 숯(510)을 담기 위한 상면이 개구된 용기 형태의 통으로서 거치통(400) 내부에 집어넣되 숯통(500)의 상단부는 설치구멍(120)을 통하여 항아리(100) 내부 공간으로 들어와 있도록 구성된다. 숯통(500)의 측벽부와 바닥면 전반에 걸쳐 다수 개의 통공(520)이 촘촘하게 뚫려있어서 공기 유입이 잘 되도록 구성된다.
숯통(500)의 하면에는 세 개의 지지대(530)가 결합되고 지지대(530)가 삼발이 형태로 하방으로 뻗어 있어서 숯통(500)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한편 숯통(500)의 하면이 거치통(4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져 있게 하여 공기유입구멍(410)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숯통(500)과 거치통(400) 사이의 공간을 지나서 숯통(500)의 바닥면에 형성된 통공(520)을 통해 안정되게 유입될 수 있다.
숯통(500)은 열에 강한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하고, 거치통(400)에 삽입 시 중심을 일치시키기 위해 지지대(530)의 하단을 거치통(400)의 바닥 가장자리와 이어지는 거치통(400)의 측면부에 닿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항아리 구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 30분간은 온도를 상승시키며 하루 한 시간 이상은 최고 온도를 유지한다. 이후 온도가 떨어지며 약 4시간 정도는 보온을 유지한다. 이러한 온도 조절은 손잡이(210)에 구비된 온도계(220)를 참고하면 된다.
숯불을 활활 피울 때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입조절판(420)을 돌려서 공기유입구멍(410)을 열어야 한다. 그 후 구이물(1000)이 있으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기유입구멍(410)을 닫아야 하며 150~170℃를 유지한다. 250~300℃의 과한 온도가 되면 항아리(100) 파손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불의 세기를 줄여줘야 하므로 이 때는 공기유입구멍(410)을 닫아줘서 공기유입이 적게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숯통(500)의 아래쪽에서부터 산소 공급이 이루어져 3분의 2 정도만 정상 연소가 이루어지고 시간이 지날수록 윗부분의 숯이 아래로 내려오면서 연소되므로 숯을 다시 채워넣지 않아도 오랫동안 연소가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S자형으로 구부러져 있는 걸고리(300)는 아래쪽 부분이 항아리(100)의 벽면과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구이물(1000)인 고기에서 빠져나온 기름이 숯에 떨어지지 않고 항아리 내부 벽면을 타고 흘러내려 설치구멍(120)을 통해 빠져나가 거치통(400)에 저장된다. 이로써 숯에 기름이 떨어져서 연기가 과도하게 발생하고 불이 심하게 붙어서 고기가 타게 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숯에서 올라가는 고온의 열기가 뚜껑(200)에 부딪혀 반사되어 하강하며, 일부는 뚜껑(200)과 항아리(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빠져나간다. 하강하는 열기는 항아리(100) 내부의 벽면을 타고 내려오면서 대류열로 구이물(1000)을 익힌다.
아래까지 내려온 고온의 열기는 항아리(100)의 하부에 형성된 방출공(13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데, 방출공(130)이 없으면 상승 기류가 항아리(100)의 윗부분에 머물게 되어 윗부분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져 고기가 위쪽에서부터 먼저 익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방출공(130)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숯통(500)에서 발생된 열기가 위로 상승하여 일부는 외부로 나가고 나머지는 뚜껑(200)에 반사되어 아래로 내려오며, 아래로 내려온 열기는 다시 일부가 빠져나가고 순환하여 숯통(500)에서 올라오는 복사열을 막아주어 결과적으로 대류열로만 구이물(10)을 익혀주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항아리 110 : 병목부
120 : 방출공 200 : 뚜껑
210 : 손잡이 220 : 온도계
300 : 걸고리 400 : 거치통
410 : 공기유입구멍 420 : 유입조절판
1000 : 구이물

Claims (5)

  1. 바닥면에 설치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항아리입구가 형성된 상단부의 둘레에 병목부가 형성되는 항아리;
    상기 항아리입구를 덮기 위한 뚜껑;
    상부는 상기 병목부에 걸어서 설치할 수 있도록 고리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구이물을 관통하여 구이물이 매달리게 할 수 있도록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걸고리;
    용기 구조의 거치통으로서, 상기 거치통의 상단부가 상기 항아리의 하면의 가장자리부와 밀착됨으로써 상기 항아리를 지탱해주도록 상기 항아리의 밑에 설치되고, 상기 거치통의 하부의 측벽에는 공기유입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거치통; 및
    상기 거치통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의 숯통으로서, 상기 숯통의 상부가 상기 설치구멍에 의해 둘러싸이되 상기 숯통이 상기 항아리와 닿지는 않도록 설치되며,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숯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고리의 하부는 상기 항아리 내주면 쪽으로 휘어져 있어서 상기 숯통으로부터 수직하게 올라오는 열기를 직접 받지 않도록 상기 항아리 내부 공간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항아리의 하부로서 상기 숯통의 상단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열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방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리 구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통에는 상기 공기유입구멍을 여닫기 위한 유입조절판이 움직일 수 있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유입구멍을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리 구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숯통의 바닥면과 결합되어 하방으로 뻗는 다수 개의 지지대에 의하여 상기 숯통의 바닥면이 상기 거치통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만큼 떨어져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숯통의 측벽부와 바닥부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리 구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상면 중심부에는 손잡이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온도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리 구이 장치.
  5. 삭제
KR1020210092309A 2021-07-14 2021-07-14 항아리 구이 장치 KR102503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309A KR102503643B1 (ko) 2021-07-14 2021-07-14 항아리 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309A KR102503643B1 (ko) 2021-07-14 2021-07-14 항아리 구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706A KR20230011706A (ko) 2023-01-25
KR102503643B1 true KR102503643B1 (ko) 2023-02-23

Family

ID=8510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309A KR102503643B1 (ko) 2021-07-14 2021-07-14 항아리 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6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692B1 (ko) * 2023-10-16 2024-02-08 이민희 고기 구이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270Y1 (ko) * 2000-06-17 2000-12-15 윤달호 바베큐용 조리기
KR200332124Y1 (ko) * 2003-07-08 2003-11-05 원유창 전기보온통
KR101562498B1 (ko) * 2014-06-17 2015-10-22 안원자 구이용 화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9088B2 (ja) * 1994-09-12 1998-10-30 株式会社彌山堂 石焼料理用加熱器
KR200437645Y1 (ko) * 2007-03-15 2007-12-18 최진달 바베큐 구이기
KR101633996B1 (ko) * 2014-10-21 2016-06-27 곽주완 음식물 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270Y1 (ko) * 2000-06-17 2000-12-15 윤달호 바베큐용 조리기
KR200332124Y1 (ko) * 2003-07-08 2003-11-05 원유창 전기보온통
KR101562498B1 (ko) * 2014-06-17 2015-10-22 안원자 구이용 화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706A (ko) 2023-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926B1 (ko) 구이 용기
US20180310577A1 (en) Heat Concentrator
KR101207996B1 (ko) 숯불구이 장치
US4037580A (en) Meat cooking apparatus
EP2092866A1 (en) Barbecue Grill
KR102503643B1 (ko) 항아리 구이 장치
US6786139B2 (en) Apparatus for deep fat frying
KR101170291B1 (ko) 구이용 화로
KR200493461Y1 (ko) 다기능 화덕
KR200437645Y1 (ko) 바베큐 구이기
KR200169831Y1 (ko)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KR100216765B1 (ko) 육류 통구이 장치
KR102485840B1 (ko) 다기능 난로 겸용 화덕
KR200166330Y1 (ko) 고기구이기
KR20140003950A (ko) 반사열을 이용한 숯불 구이기
KR200227117Y1 (ko) 숯불통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숯불구이 기구
JP6896295B2 (ja) コンロ装置
KR102415462B1 (ko) 다목적 화덕
KR200169852Y1 (ko) 고기 구이 화로
KR200298909Y1 (ko) 구이판
KR20010025737A (ko) 숯불통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숯불구이 기구
KR102322304B1 (ko) 구이용 다용도 불판
KR890008906Y1 (ko) 간이 숯불 풍로
KR200232658Y1 (ko) 숯불구이기
JP2006230931A (ja) コンロ用加熱器及び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