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124Y1 - 전기보온통 - Google Patents

전기보온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124Y1
KR200332124Y1 KR20-2003-0021962U KR20030021962U KR200332124Y1 KR 200332124 Y1 KR200332124 Y1 KR 200332124Y1 KR 20030021962 U KR20030021962 U KR 20030021962U KR 200332124 Y1 KR200332124 Y1 KR 200332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s
connector
lid
thermostat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유창
Original Assignee
원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유창 filed Critical 원유창
Priority to KR20-2003-0021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1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1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도 보온통의 내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볼 수 있으며, 뚜껑에 이물질 또는 오염물이 끼거나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내용물의 끓는 온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 후 보온통을 물로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전기보온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통(11)과 외통(12) 사이로 단열재(13)가 충전된 보온통(10), 내통(11)의 하단에 부착되어 요입홈(21)을 구비하는 하판(20), 요입홈(21)에 끼워져 고정되는 전열판(30), 보온통(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콕(40)으로 구성된 전기보온통에 있어서, 보온통(10)의 상부에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덮어지는 유리뚜껑(50); 유리뚜껑(50)의 손잡이(51)에 내장되어 내용물의 끓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60); 손잡이(51)의 상부에 온도계(60)를 볼 수 있도록 장착되는 투시창(70); 전열판(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80); 보온통(10)에 설치되어 커넥터(80)를 지지하는 소킷(90); 커넥터(80)에 탈착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감지봉(110)이 구비된 온도조절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보온통{electric thermos bowl}
본 고안은 물이나 국을 끓이는 전기보온통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도 보온통의 내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볼 수 있으며, 뚜껑에 이물질 또는 오염물이 끼거나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내용물의 끓는 온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 후 보온통을 물로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전기보온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보온통은 물 또는 국 등을 적정온도로 가열하여 보온시켜주는 것으로, 이러한 전기보온통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1a)과 외통(1b) 사이로 단열재(1c)가 충전된 보온통(1)과, 상기 보온통(1)의 상부를 덮는 뚜껑(2)과, 상기 내통(1a)의 하단에 기밀하게 용접되어 요입홈(3a)을 구비하는 하판(3)과, 상기 요입홈(3a)으로 끼워져 볼트(4),너트(5)체결로 고정되는 전열판(6)과, 상기 보온통(1)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콕(7)과, 상기 보온통(1)에 설치되어 전열판(6)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뚜껑(2)은 도 3에서와 같이 내뚜껑(2a)과 외뚜껑(2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뚜껑(2a)과 외뚜껑(2b)에는 가열 시 발생되는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팀배출공(2c)(2d)이 각각 구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기보온통은 뚜껑(2)을 구성하는 내,외뚜껑(2a)(2b)이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져 뚜껑(2)을 닫은 상태에서는 보온통(1)의 내부를 볼 수 없어 내용물의 유무 및 내용물의 끓는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사용자가 부주의로 보온통(1)의 내부에 내용물이 없는 상태에서 전열판(6)을 가열시킬 경우 전열판(6),콘트롤박스(8),보온통(1)이 손상될 뿐만 아니라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용자가 외부에서 내용물의 끓는 상태 및 내용물의 끓는 온도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기보온통은 상술한 바와 같이 뚜껑(2)이 내뚜껑(2a),외뚜껑(2b)의 2중 구조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가열 시 스팀배출공(2d)을 통해 뚜껑(2)의 내부로 스팀과 이물질 및 오염물이 쉽게 유입되어 고이게 되고, 이와 같이 뚜껑(2)의 내부에 고인 오염물은 보온통(1)의 내부로 떨어져 내용물을 오염시키는 동시에 악취를 유발시키게 되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구조적으로 사용 후 뚜껑(2)의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물 청소 시 오히려 물이 뚜껑(2)의 내부로 들어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전기보온통은 전열판(6)을 제어하는 전기제품인 컨트롤박스(8)가 보온통(1)의 외부에 설치된 관계로 보온통(1)을 물로 깨끗하게 청소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청소 시 컨트롤박스(8)의 내부로 물이 스며들면 전기적인 사고위험 및 컨트롤박스(8)가 쉽게 고장나므로 물을 이용하여 보온통(2)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없어 청결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보온통의 내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볼 수 있으며, 뚜껑에 이물질 또는 오염물이 끼거나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내용물의 끓는 온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 후 보온통을 물로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전기보온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보온통의 상부에 그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뚜껑을 덮고, 상기 유리뚜껑의 손잡이에 내용물의 끓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를 내장하며,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온도계를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투시창을 장착하고, 상기 보온통의 내용물을 가열하는 전열판에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보온통에 커넥터를 지지하는 소킷을 장착하고, 상기 커넥터에 온도감지봉이 구비된 온도조절기를 탈착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기보온통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전기보온통의 일부절결한 단면도.
도 3은 종래 전기보온통의 뚜껑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종래 전기보온통의 전열판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부절결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뚜껑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전열판과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보온통 11 : 내통
12 : 외통 13 : 단열재
20 : 하판 21 : 요입홈
30 : 전열판 40 : 배출콕
50 : 유리뚜껑 51 : 손잡이
60 : 온도계 70 : 투시창
80 : 커넥터 90 : 소킷
100 : 온도조절기 110 : 온도감지봉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전기보온통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통(11)과 외통(12) 사이로 단열재(13)가 충전된 보온통(10), 내통(11)의 하단에 부착되어 요입홈(21)을 구비하는 하판(20), 요입홈(21)에 끼워져 고정되는 전열판(30), 보온통(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콕(40)으로 구성된 전기보온통에 있어서, 상기 보온통(10)의 상부에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덮어지는 유리뚜껑(50); 상기 유리뚜껑(50)의 손잡이(51)에 내장되어 내용물의 끓는 온도를 측정하는온도계(60); 상기 손잡이(51)의 상부에 온도계(60)를 볼 수 있도록 장착되는 투시창(70); 상기 전열판(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80); 상기 보온통(10)에 설치되어 커넥터(80)를 지지하는 소킷(90); 상기 커넥터(80)에 탈착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감지봉(110)이 구비된 온도조절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온통(10)은 전기보온통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보온통(10)은 내통(11)과 외통(12)으로 이루어지고, 내통(11)과 외통(12) 사이에는 단열재(13)가 충전되고, 내통(11)에는 끓이고자 하는 물 또는 국 등의 내용물이 넣어진다. 이때, 상기 내통(11)과 외통(12)은 주지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판(20)은 내통(11)의 하단 내경으로 끼워져 기밀하게 용접되는 것으로, 이러한 하판(20)의 저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요입홈(21)이 형성되고, 요입홈(21)에는 수개의 볼트(B)가 용접으로 고정된다.
상기 전열판(30)은 하판(20)의 요입홈(21)내로 끼워져 내용물을 적정온도로 가열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열판(30)에는 볼트(B)에 끼워지는 수개의 볼트공(31)이 천공되고, 볼트공(31)을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된 수개의 볼트(B)에는 너트(N)가 각각 체결된다.
상기 배출콕(40)은 보온통(10)의 하부에 내부와 연통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배출콕(40)은 보온통(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 사용된다.
상기 유리뚜껑(50)은 보온통(10)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유리뚜껑(50)은 닫은 상태에서도 보온통(10)의 내부를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투명체로 이루어지고, 유리뚜껑(50)의 중앙 상부에는 손잡이(51)가 설치되며, 유리뚜껑(50)의 테두리에는 보온통(10)의 상부에 끼워지는 금속링(52)이 설치되고, 또한 유리뚜껑(50)에는 가열 시 발생되는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팀배출공(53)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51)의 내부에는 온도계(60)와 투시창(7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온도계(60)는 보온통(10)에 저장된 내용물의 끓는 온도 및 보온 온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러한 온도계(60)는 손잡이(51)의 수납공간에 내장된다.
상기 투시창(70)은 온도계(6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손잡이(51)의 수납공간 상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투시창(70)은 온도계(60)에서 측정된 눈금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80)는 전열판(3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커넥터(80)는 전열판(30)에 내장된 니크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소킷(90)은 보온통(10)에 설치되어 커넥터(80)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소킷(90)은 커넥터(80)와 온도조절기(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고, 소킷(90)으로는 온도조절기(100)가 탈착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온도조절기(100)는 전열판(30)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전열판(30)의 가열온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온도조절기(100)는 소킷(90)을 통해 커넥터(80)에 탈착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온도조절기(100)에는전열판(30)의 가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봉(110)이 구비되고, 또한 온도조절기(100)에는 전열판(30)의 가열온도를 조절하는 조절스위치(12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보온통(10)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뚜껑이 투명한 유리뚜껑(50)으로 이루어져 유리뚜껑(50)을 닫은 상태에서는 보온통(10)의 내부를 볼 수 있으므로 내용물의 유무 및 내용물의 끓는 상태를 유리뚜껑(50)을 통해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유리뚜껑(50)을 열지 않고 닫은 상태에서 보온통(10)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저장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즉 보온통(10)에 저장된 내용물의 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구조적으로 유리뚜껑(50)이 종래와 달리 단층구조로 이루어져 이물질이나 오염물이 고이지 않기 때문에 보다 위생적으로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 후 유리뚜껑(50)을 물로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유리뚜껑(50)의 손잡이(51)에 온도계(60)가 내장되므로 사용자가 외부에서 온도계(60)를 통해 내용물의 끓는 온도 및 보온 온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르면 전열판(30)에 연결된 커넥터(80)와 전열판(30)을 제어하는 온도조절기(100)가 탈착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사용 후 커넥터(80)와 온도조절기(100)를 분리한 상태에서 보온통(10)을 물을 사용하여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80)와 온도조절기(100)가 분리되어 청소 시 온도조절기(100)의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기 때문에 전기적인 사고위험 및 온도조절기(100)가 쉽게 고장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온통의 상부에 투명한 유리뚜껑이 덮어지므로 유리뚜껑을 닫은 상태에서도 보온통의 내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볼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유리뚜껑에 이물질이나 오염물이 고이지 않으므로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유리뚜껑의 손잡이에 온도계가 내장되므로 사용자가 내용물의 끓는 온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전열판의 커넥터와 전원을 공급하는 온도조절기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특히 사용 후 커넥터에 연결된 온도조절기를 분리한 상태에서 보온통을 물로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으므로 청결유지가 용이하고, 또한 전기적인 사고위험 및 온도조절기가 쉽게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내통(11)과 외통(12) 사이로 단열재(13)가 충전된 보온통(10), 내통(11)의 하단에 부착되어 요입홈(21)을 구비하는 하판(20), 요입홈(21)에 끼워져 고정되는 전열판(30), 보온통(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콕(40)으로 구성된 전기보온통에 있어서, 상기 보온통(10)의 상부에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덮어지는 유리뚜껑(50); 상기 유리뚜껑(50)의 손잡이(51)에 내장되어 내용물의 끓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60); 상기 손잡이(51)의 상부에 온도계(60)를 볼 수 있도록 장착되는 투시창(70); 상기 전열판(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80); 상기 보온통(10)에 설치되어 커넥터(80)를 지지하는 소킷(90); 상기 커넥터(80)에 탈착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감지봉(110)이 구비된 온도조절기(100)를 포함하는 전기보온통.
KR20-2003-0021962U 2003-07-08 2003-07-08 전기보온통 KR200332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962U KR200332124Y1 (ko) 2003-07-08 2003-07-08 전기보온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962U KR200332124Y1 (ko) 2003-07-08 2003-07-08 전기보온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124Y1 true KR200332124Y1 (ko) 2003-11-05

Family

ID=49418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962U KR200332124Y1 (ko) 2003-07-08 2003-07-08 전기보온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12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237B1 (ko) 2010-11-05 2013-04-12 이철주 소형히터를 이용한 2중보온통
KR20230011706A (ko) * 2021-07-14 2023-01-25 신경숙 항아리 구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237B1 (ko) 2010-11-05 2013-04-12 이철주 소형히터를 이용한 2중보온통
KR20230011706A (ko) * 2021-07-14 2023-01-25 신경숙 항아리 구이 장치
KR102503643B1 (ko) * 2021-07-14 2023-02-23 신경숙 항아리 구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15302T3 (es) Cocina de gas
JP2007532276A (ja) 飲料調理用温水器、電気温水器、及び飲料調理用ワイヤレス電気温水器
EP0872201B1 (fr) Chauffe-liquide électrique
EP1736085B1 (fr) Cuiseur à panier de cuisson mobile, comportant un détecteur de début de cuisson
KR200332124Y1 (ko) 전기보온통
KR101218069B1 (ko) 보온병
EP1504705B1 (fr) Appareil électrique de cuisson comportant un socle de vidange
KR200472073Y1 (ko)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EP3446043B1 (en) Boiler
FR2750848A1 (fr) Appareil electrique de cuisson
CN217827634U (zh) 油脂收集装置以及烹饪装置
JP2503598Y2 (ja) 電気ポット
JP2755179B2 (ja) 電気貯湯容器
CN207949627U (zh) 一种可检测水量的电热水壶
JP5945695B2 (ja) 電気ケトル
KR200249766Y1 (ko) 개선된 기능을 갖는 전기보온 압력솥의 압력감지변
GB2290945A (en) A kettle
JP4055840B2 (ja) 飲料抽出装置
JPH0713611Y2 (ja) 電気貯湯容器
JP4253627B2 (ja) 電気湯沸かし器
KR950007681Y1 (ko) 위생용 찜통
JPH0685737B2 (ja) 湯沸しポット
JP3475854B2 (ja) 電気ポット
JPS6310119Y2 (ko)
KR200294281Y1 (ko) 테이블용 살균 소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