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291B1 - 구이용 화로 - Google Patents

구이용 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291B1
KR101170291B1 KR1020120024946A KR20120024946A KR101170291B1 KR 101170291 B1 KR101170291 B1 KR 101170291B1 KR 1020120024946 A KR1020120024946 A KR 1020120024946A KR 20120024946 A KR20120024946 A KR 20120024946A KR 101170291 B1 KR101170291 B1 KR 101170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cylinder
roasting furnace
inner cylinder
protrus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아
Original Assignee
윤정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아 filed Critical 윤정아
Priority to KR1020120024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통과 외통으로 분리하되 양자를 서로 격리시켜 내부의 연소열이 측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화로 전체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통에 대해 구이용 연료재를 담는 내통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구이용 연료재의 남은 양이 적더라도 화력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구이용 화로에 관한 것으로, 하측이 폐쇄되고 하측을 향해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중공 원통으로 이루어지되 폐쇄된 하측을 막고 있는 내통 하면에는 다수의 흡기공이 구비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 외주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상측 및 하측 돌출편부가 형성되는 내통 및 하측을 향해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중공 원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통의 하측 돌출편부가 안착되어 걸림될 수 있도록 하부를 향해 직경이 감소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외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단차부의 인접한 하부에는 상기 하측 돌출편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측 돌출편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상기 하측 돌출편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바닥부가 구비된 다수의 삽입홈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하측 돌출편부는 상기 단차부 또는 삽입홈의 바닥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통의 외주면과 외통의 내주면은 서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이용 화로{Braizer for roasting}
본 발명은 구이용 화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이격된 내통과 외통으로 이루어져 외부로의 열전달을 방지하고, 내통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여 화력의 적절한 사용 가능하며, 구이용 연료재의 착화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구이용 화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육류 소비가 늘면서 다양한 고기 구이용 화로나 버너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1-0011146호(2011.12.2.공개)에 게재된 기술은 상부 개방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숯불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측벽과 바닥면이 모두 망체로 이루어진 상부 개방형의 함체로 구성된 숯불통이 상기 본체의 내경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거치되는 한편,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의 내경면은 반사체로 이루어져 상기 숯불통의 망체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발산된 열이 상기 본체의 내경면에 반사되어 구이판과 고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직화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효율적으로 직화 구이가 가능한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숯이 연소에 의해 소모되면 화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설치장소에 제약이 있으며, 숯에 착화하기가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내통과 외통으로 분리하되 양자를 서로 이격시켜 내부의 연소열이 외통의 측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과 함께 내통과 외통 사이의 공간부로 열기가 신속히 상승하여 배출됨으로써 화로 전체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이용 화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통에 대해 구이용 연료재를 담는 내통의 높낮이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구이용 연료재의 남은 양이 적더라도 화력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구이용 화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을 담을 수 있는 받침수반을 이용하여 하측으로의 열전달을 차단함으로써 바닥에 손상을 주지 않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구이용 화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렌지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구이용 연료재에 착화가 가능하도록 한 구이용 화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탄, 숯, 조개탄 등 다양한 구이용 연료재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구이용 화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적고, 부피가 크지 않아 휴대성이 뛰어나며, 판금작업을 통해 제작이 용이하도록 설계된 구이용 화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구이용 화로는,
하측이 폐쇄되고 하측을 향해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중공 원통으로 이루어지되 폐쇄된 하측을 막고 있는 내통 하면에는 다수의 흡기공이 구비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 외주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상측 및 하측 돌출편부가 형성되는 내통 및
하측을 향해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중공 원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통의 하측 돌출편부가 안착되어 걸림될 수 있도록 하부를 향해 직경이 감소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외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단차부의 인접한 하부에는 상기 하측 돌출편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측 돌출편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상기 하측 돌출편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바닥부가 구비된 다수의 삽입홈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하측 돌출편부는 상기 단차부 또는 삽입홈의 바닥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통의 외주면과 외통의 내주면은 서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통 상단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면을 따라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 홈부가 형성되는 물받이 플랜지부 및
외통의 단차부 하부에 형성되는 흡기조절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측 돌출편부가 삽입홈의 바닥부에 안착될 시에 상기 상측 돌출편부는 상기 외통의 내주면과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내통의 측방향 요동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통의 하측에 위치하여 외통을 지지하되, 외통으로부터 분리되어 구성되며, 상부에 물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받침수반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통의 하단부에는, 외통이 물을 담은 받침수반 위에 놓였을 시에 외통 내외부로 물이 쉽게 이동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절취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통의 상측 돌출편부에는 걸이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통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걸이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통의 하면에는 연탄을 안내하고 지지하기 위해 하면의 일부를 'ㄷ'자 형태로 절개하여 상부로 굽힘 변형시킨 다수의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인 구이용 화로는,
첫째, 내통과 외통으로 분리하되 양자를 서로 격리시켜 내부의 연소열이 측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내통과 외통 사이의 이격된 공간부로 열이 신속히 상승함으로써 화로 전체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에 불편함이 적고,
둘째, 외통에 대해 구이용 연료재를 담는 내통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구이용 연료재의 남은 양이 적더라도 화력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으며,
셋째, 물을 담을 수 있는 받침수반을 이용하여 하측으로의 열전달을 차단함으로써 바닥에 손상을 주지 않아 어느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넷째, 가스렌지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구이용 연료재에 착화가 가능하며,
다섯째, 연탄, 숯, 조개탄 등 다양한 구이용 연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여섯째,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적고,
일곱째, 부피가 크지 않아 휴대성이 뛰어나며,
여덟째, 판금작업을 통해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의 내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의 내통을 도시한 투명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의 외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의 내통과 외통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의 도 1과 다른 형태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에 연탄을 투입하여 착화시키기 위한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에 조개탄 또는 숯을 투입하여 착화시키기 위한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의 내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의 내통을 도시한 투명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의 외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의 내통과 외통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의 도 1과 다른 형태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절개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에 연탄을 투입하여 착화시키기 위한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에 조개탄 또는 숯을 투입하여 착화시키기 위한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1)는, 내통(10), 내통(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통(20) 및 외통(20)의 하측에 분리가능하도록 구비된 받침수반(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내통(10)은,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이 폐쇄되며 하측을 향해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중공 원통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연탄(2), 숯(3), 조개탄(3) 등의 구이용 연료재를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폐쇄된 하측을 막고 있는 내통 하면(11)에는 하측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구이용 연료재의 연소가 용이하도록 다수의 흡기공(12)이 구비된다.
그리고 내통(10)의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상측 돌출편부(13)가 구비되는데, 이 다수의 상측 돌출편부(13)는 서로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90° 간격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상측 돌출편부(13)에는 수저 등의 가는 막대를 끼워서 내통(10)을 들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구멍 형태의 걸이공(14)이 구비된다.
그리고 내통(1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하측 돌출편부(15)가 구비되는데, 이 다수의 하측 돌출편부(15)도 상측 돌출편부(13)와 마찬가지로 서로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90° 간격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내통(10)의 하면에는 하면의 일부를 'ㄷ'자 형태로 절개하여 상부로 굽힘 변형시킨 다수의 가이드부(16)가 구비되며, 이 가이드부(16)는 구이용 연료재로 연탄(2) 사용시에 연탄(2)이 내통(1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안내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1)의 외통(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통(20)은, 도 1,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10)과 마찬가지로 하측을 향해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중공 원통으로 형성되나, 내통(10)과는 달리 상하부가 모두 개방된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된다.
외통(20)의 하부가 개방됨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1)는 휴대용 가스렌지(4), 일반 가스렌지(4) 등으로부터 쉽게 구이용 연료재를 착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1)의 주요 특징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20)은 내통(10)과 이격되어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 내통(10)의 외주면과 외통(20)의 내주면은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통(10)의 열기가 내통(10)과 외통(20)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상부로 배출되어 그 열이 외통(20)으로 쉽게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20)의 하부에는 상기 내통(10)의 하측 돌출편부(15)가 안착되어 걸림될 수 있도록 단차부(21)가 구비되는데, 하측을 향해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단차부(21)의 인접한 하부에는 상기 하측 돌출편부(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측 돌출편부(1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상기 하측 돌출편부(15)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바닥부(23)가 구비된 다수의 삽입홈(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측 돌출편부(15)는 상기 삽입홈(22)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홈(22)의 하단부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구이용 연료재의 연소 소모로 인해 화력 약화시에 상기 내통(10)을 상승시킨 후 회전시키게 되면, 내통(10)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측 돌출편부(15)는 상승 및 회전되어 상기 단차부(21)에 걸리게 되어 상기 내통(10)은 지지되게 된다.
또한, 외통(20)의 삽입홈(22)의 위치와 깊이는 내통(10)이 상승시에 내통(10)의 상단부가 외통(20)의 상단부와 동일한 높이가 될 수 있도록 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통(20)의 상단부에는 물받이 플랜지부(24)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 물받이 플랜지부(24)에는 그 상면에 물받이 플랜지부(24)를 따라서 형성된 물저장 홈부(25)가 구비되는데, 이 물저장 홈부(25)는 사용시 물이 저장되어 외통(20)의 과열을 방지하고, 전달되는 열에 의해 증발되어 구워지는 고기 등에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외에도, 외통(20)의 단차부(21) 하부에는 연소를 위한 공기가 흡입되고 조절되는 흡기조절공(26)이 구비되는데, 구멍의 면적을 변화시켜 흡입되는 공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또한, 외통(20)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수저 등의 가는 막대를 끼워서 외통(10)을 들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구멍 형태의 걸이공(28)이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1)의 받침수반(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받침수반(30)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1)를 이용하여 고기 등을 구울 때에 외통(20)의 하측에 위치하여 외통(20)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로서, 외통(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부에는 물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받침수반(3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1)의 사용시 구이용 화로(1)가 놓여지는 바닥이 전달되는 열로 인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받침수반(30)은 사용시 상기 내통(10)의 흡기공(12)로부터 낙하는 숫가루, 잿가루 등이 그 상부에 채워진 물에 떨어지도록 하여 숫가루, 잿가루 등이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
그리고 받침수반(30)의 물이 외통(20)의 내외부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통(20)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절취부(27)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취부(27)는 가스렌지(4) 삼발이에 대응되는 위치와 개수로 형성되어 가스렌지(4)에 외통(20)이 정확히 안착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받침수반(30)의 외경의 크기는 상기 외통(20)의 물받이 플랜지부(24)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1)의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1)는 외통(20)의 하단부가 받침수반(30)에 채워진 물에 잠기게 되므로 사용 중에는 하부에서의 공기 유입은 외통(20) 하부의 흡기조절공(26)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므로 흡기조절공(26)을 통한 불조절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의 외통(20), 내통(10) 및 받침수반(30)은 스테인리스 재질의 금속판을 이용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1)는 판금가공을 통해 쉽게 제작 가능한 구성인데, 판금가공을 통해 제작시 제작이 간편하며, 중량이 많이 나가지 않아 휴대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1)의 특징이 드러나도록 그 사용과정 및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로(1)를 준비하고, 내통(10)에,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용 연료재를 투입한다.
이후, 구이용 연료재가 투입된 내통(10)을 외통(20)에 투입하여 장착하되, 내통(10)의 하측 돌출편부(15)는 외통(20)의 삽입홈(22)의 바닥부(23)에 안착되도록 장착한다.
이때, 내통(10)의 상측 돌출편부(13)는 외통(20)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지지됨으로써 내통(10)이 측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후, 내통(10)이 장착된 외통(20)을,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렌지(4) 등에 올려 놓고 점화하여 구이용 연료재를 착화시킨다.
이후, 원하는 장소에 받침수반(30)을 설치하고, 받침수반(30)에 물을 넣고, 그 상부에 내통(10)이 장착된 외통(20)을 위치시킨다.
이후, 외통(20) 물받이 플랜지부(24)의 물저장 홈부(25)에 물을 붓고, 물받이 플랜지부(24)에 석쇠를 설치하여 고기 등의 재료를 굽게 된다.
이후, 구이용 연료재의 소모로 인해 화력이 약해지면, 석쇠를 제거한 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10)을 상승시고 회전시켜 외통(20)에 장착하되, 내통(10)의 하측 돌출편부(15)가 외통(20)의 단차부(21)에 안착되도록 장착한다.
이 시점에서는 구이용 연료재가 어느 정도 소모된 상태여서 중량이 많이 나가지 않으므로 내통(10)의 상측 돌출편부(13)는 외통(20)의 내면과 접촉함으로써 내통(10)이 측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할 필요가 없게 된다.
1: 구이용 화로 2: 연탄
3: 숯, 조개탄 4: 가스렌지
10: 내통 11: 내통 하면
12: 흡기공 13: 상측 돌출편부
14: 걸이공 15: 하측 돌출편부
16: 가이드부
20: 외통 21: 단차부
22: 삽입홈 23: 바닥부
24: 물받이 플랜지부 25: 물저장 홈부
26: 흡기조절공 27: 절취부
28: 걸이공 30: 받침수반

Claims (8)

  1. 하측이 폐쇄되고 하측을 향해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중공 원통으로 이루어지되 폐쇄된 하측을 막고 있는 내통 하면에는 다수의 흡기공이 구비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 외주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상측 및 하측 돌출편부가 형성되는 내통 및
    하측을 향해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중공 원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통의 하측 돌출편부가 안착되어 걸림될 수 있도록 하부를 향해 직경이 감소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외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단차부의 인접한 하부에는 상기 하측 돌출편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측 돌출편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상기 하측 돌출편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바닥부가 구비된 다수의 삽입홈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하측 돌출편부는 상기 단차부 또는 삽입홈의 바닥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통의 외주면과 외통의 내주면은 서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통 상단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면을 따라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 홈부가 형성되는 물받이 플랜지부 및
    외통의 단차부 하부에 형성되는 흡기조절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측 돌출편부가 삽입홈의 바닥부에 안착될 시에 상기 상측 돌출편부는 상기 외통의 내주면과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내통의 측방향 요동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하측에 위치하여 외통을 지지하되, 외통으로부터 분리되어 구성되며, 상부에 물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받침수반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하단부에는, 외통이 물을 담은 받침수반 위에 놓였을 시에 외통 내외부로 물이 쉽게 이동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절취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상측 돌출편부에는 걸이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걸이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하면에는 연탄을 안내하고 지지하기 위해 하면의 일부를 'ㄷ'자 형태로 절개하여 상부로 굽힘 변형시킨 다수의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
KR1020120024946A 2012-03-12 2012-03-12 구이용 화로 KR101170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946A KR101170291B1 (ko) 2012-03-12 2012-03-12 구이용 화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946A KR101170291B1 (ko) 2012-03-12 2012-03-12 구이용 화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291B1 true KR101170291B1 (ko) 2012-07-31

Family

ID=46717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946A KR101170291B1 (ko) 2012-03-12 2012-03-12 구이용 화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2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568B1 (ko) * 2019-02-11 2019-07-02 주식회사 조은산업 기름 튐 방지 구조를 구비한 구이용 기능성 화덕
KR102023865B1 (ko) * 2019-01-31 2019-09-20 조진환 목재연료를 이용한 구이장치
KR20230082996A (ko) 2021-12-02 2023-06-09 방두산 구이용 화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865B1 (ko) * 2019-01-31 2019-09-20 조진환 목재연료를 이용한 구이장치
KR101995568B1 (ko) * 2019-02-11 2019-07-02 주식회사 조은산업 기름 튐 방지 구조를 구비한 구이용 기능성 화덕
KR20230082996A (ko) 2021-12-02 2023-06-09 방두산 구이용 화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05629A1 (en) Barbecue grill
US20130112186A1 (en) Solid fuel cook system
CN107708507B (zh) 改进用于烹调的木炭燃烧的系统及方法
KR101170291B1 (ko) 구이용 화로
KR101132309B1 (ko) 구이용 로스터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101495738B1 (ko) 구이 장치
KR200404452Y1 (ko) 측면 구이틀
KR101980423B1 (ko) 구이용 고체연료
KR20110010262U (ko)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US20180110366A1 (en) Charcoal grill apparatus and method
KR101705554B1 (ko) 휴대용 구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이장치 가열방법
KR101677596B1 (ko) 고기구이 장치
JP6529103B2 (ja)
KR102415462B1 (ko) 다목적 화덕
CN216256768U (zh) 一种易携带的多功能烧烤炉
KR200467019Y1 (ko) 이중 열원을 갖는 구이기
KR102551855B1 (ko) 인아웃도어 겸용 포터블 화로대
KR101444887B1 (ko) 구이장치
KR200374012Y1 (ko) 육류 구이기
KR102488456B1 (ko) 음식 조리를 위한 일회용 가열 키트
KR20110010757U (ko) 숯불구이장치
KR102377957B1 (ko) 구이용 석쇠
JP3152956U (ja) 魚焼き器
KR200295039Y1 (ko) 고기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