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423B1 - 구이용 고체연료 - Google Patents

구이용 고체연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423B1
KR101980423B1 KR1020160129631A KR20160129631A KR101980423B1 KR 101980423 B1 KR101980423 B1 KR 101980423B1 KR 1020160129631 A KR1020160129631 A KR 1020160129631A KR 20160129631 A KR20160129631 A KR 20160129631A KR 101980423 B1 KR101980423 B1 KR 101980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portion
solid fuel
meat
pieces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8688A (ko
Inventor
권오혁
Original Assignee
권오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혁 filed Critical 권오혁
Priority to KR1020160129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4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38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1/00Manufacture of firelighters
    • C10L11/06Manufacture of firelighters of a special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0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or particular purposes
    • C10L10/06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or particular purposes for facilitating soot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디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중공부의 내면은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발열면적을 확장하여 직화 구이시 높은 화력으로 고기를 잘 구울 수 있으며 고기의 기름이 중공부를 통해 떨어져 불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그을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이용 고체연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이용 고체연료{Solid fuel for roasting}
본 발명은 구이용 고체연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디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중공부의 내면은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발열면적을 확장하여 직화 구이시 높은 화력으로 고기를 잘 구울 수 있으며 고기의 기름이 중공부를 통해 떨어져 불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그을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이용 고체연료에 관한 것이다.
어느 나라나 돼지고기, 양고기, 소고기 등의 여러 가지 육류나 생선을 숯이나 장작, 성형탄 등을 이용하여 직화로 구워먹는 것을 선호한다. 특히, 육류나 생선은 가스 불이 아닌 숯과 같은 화석연료를 이용하여 그 위에 쇠망을 두고 쇠망 위에 고기를 얹어 직접 굽는 직화 구이로 조리하는 경우 숯이나 장작, 성형탄 등의 향이 육류나 생선에 배면서 그 맛과 식감이 더 좋아지게 된다. 이에, 음식점은 물론 캠핑 등의 야외에서도 육류나 생선을 구워먹는 방식으로 직화 구이가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직화 구이를 할 때 육류나 생선이 익으면서 그 안에 포함된 기름이 녹아 아래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기름이 숯이나 연탄, 또는 불에 닿게 되면 기름의 순간적인 연소로 인해 불꽃이 강해져 육류나 생선이 타게 되고 그을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위와 같이 육류나 생선을 구울 때 기름이 연료 위에 바로 떨어져 발생되는 그을음은 1급 발암물질로서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게 되지만, 이를 방지할 수 있는 특별한 대안이 없어 사람들이 직화 구이를 선호하면서도 자주 먹지 않고 꺼리게 되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10-1566266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20-0277235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직화 구이로 고기를 구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면서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이 불 위에 떨어져 육류나 생선이 타거나 그을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이용 고체연료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직방향의 중공부를 갖는 고체연료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의 내면이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이용 고체연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중공부의 내면이 곡면, 삼각형, 사각형 및 오각형 중 하나의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의 수평방향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는 일정 단위로 나뉜 복수의 조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각의 개수를 조절하여 바디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각이 곡면을 갖는 형태 또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각은 인접한 조각과 맞닿는 면에 서로 대응되게 홈/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홈/돌기에 의해 복수의 조각이 결합되어 단일 결합체인 바디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는 일정 단위로 나뉜 복수의 조각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조각이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띠 형태가 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수직방향의 중공부를 갖는 고체연료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의 내면이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는 석탄 또는 숯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의 중공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멍을 가지며 왕겨, 톱밥, 착화탄 중 하나로 이루어진 점화부가 상하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점화부는 점화시 바디로 불을 옮기면서 타 제거되며, 상기 점화부와 중공부의 연결부분이 곡면을 가져 상기 점화부는 가운데는 얇고 가장자리는 두꺼운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이용 고체연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중공부를 형성하여 직화 구이로 육류나 생선을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이 이 중공부를 통해 바닥에 떨어져 불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기름의 순간적인 연소로 인해 불꽃이 강해져 육류나 생선이 타는 것을 방지하고 발암불질이 되는 그을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중공부의 내면이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져 발열면적 및 화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중공부 위에 고기를 올리더라도 고기가 효과적으로 고르게 잘 구워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이용 고체연료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의 구이용 고체연료의 중공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구이용 고체연료가 4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b는 평면도로서, 도 3a의 구이용 고체연료를 4개의 조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도 1의 구이용 고체연료가 3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b는 평면도로서, 도 4a의 구이용 고체연료를 3개의 조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1의 구이용 고체연료와 석쇠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구이용 고체연료를 이용하여 꼬치를 굽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의 구이용 고체연료를 I-I’선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1의 구이용 고체연료가 화로에 수용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고체연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서 조각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조각 하나를 분리하고 절단홈을 더 형성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이용 고체연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서 바디 하단에 공기유입구멍이 더 형성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1의 구이용 고체연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의해 제조된 구이용 고체연료를 재료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표시된 바디의 중공부는 바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이용 고체연료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구이용 고체연료(100)는 불이 붙여지면 연소하면서 열을 공급하여 고기를 굽는 열원이 되는 바디(110)를 포함하고, 바디(110)는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중공부(114)가 형성된다. 이때, 바디(110)는 톱밥, 숯, 왕겨, 석탄, 야자껍질 등 각종 과일의 씨앗이나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biomass) 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중공부(114)는 바디 위에 고기를 배치하여 구울 때 고기에서 녹은 기름이 하측으로 떨어지는 부분으로, 중공부(114)의 너비를 넓게 할수록 바디 위에 고기를 배치할 수 있는 면적은 넓어지지만 중공부(114)의 너비가 지나치게 넓어지면 바디(110)의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약해지므로 이러한 사항들을 모두 고려하여 중공부의 너비를 결정하도록 한다.
또한, 바디(110)의 형태는 크기 대비 부피가 작아져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의 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디의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시 후술하는 제2 실시 예 등에서와 같이 수평방향의 단면이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을 이루는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중공부(114)의 내면(113)은 복수의 오목부(111)와 볼록부(112)를 가지는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져 발열면적을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디의 화력이 향상되므로 바디로부터 멀리 이격된 중공부(114)의 중앙에 고기를 놓더라도 효과적으로 구울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요철형상을 갖는 중공부(114)의 내면(113)은 점화된 후 불이 중공부(114)의 내면(113)에서부터 바디(110) 전체로 고르게 잘 전달되도록 하여 바디(110)가 국부적으로 타지 않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연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중공부(114)의 내면(113)은 다양한 형태의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도 2a에 도시된 사각형, 도 2b에 도시된 삼각형, 도 2c에 도시된 코너가 곡면으로 된 사각형 및 도 2d에 도시된 오각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필요시 다른 형태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의 바디는 일정 단위로 나뉜 복수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시 각각의 조각이 순서대로 결합된 단일 결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조각의 개수를 조절하여 바디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를 복수의 조각으로 구성하면 부피가 줄어들므로 휴대나 보관, 운반 등이 용이해진다.
한편, 각각의 조각은 결합되지 않고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는 띠 형태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렇게 조각을 서로 이격시키면 구이용 고체연료의 전체 크기를 이격된 틈만큼 크게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조각의 개수를 조절하여 바디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아래 실시 예에서는 바디가 3개 또는 4개의 조각으로 분리된 것을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구이용 고체연료는 필요시 바디가 2개 또는 5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 조각의 길이와 같은 사이즈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a는 도 1의 구이용 고체연료가 4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b는 평면도로서, 도 3a의 구이용 고체연료를 4개의 조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구이용 고체연료(100')는 바디를 4개의 조각(131-134)을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조각(131-134)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는 바디가 원형으로 이루어지므로 각각의 조각(131-134)은 곡면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4개의 조각(131-134)을 일렬로 붙이면 하나의 원형을 이루는 바디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조각(131-134)은 일 단면에 결합돌기(141-144)가 형성되고 타 단면에는 인접한 조각(131-134)의 결합돌기(141-144)와 대응되게 결합홈(151-15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3a에서와 같이 인접한 조각(131-134)들을 서로 대응되는 면을 맞닿게 하여 마주보는 결합돌기(141-144)와 결합홈(151-154)을 끼움 결합하면 하나의 단일체로 된 바디를 이루게 되며, 이때 상기 홈/돌기 결합구조에 의해 바디가 예기치 않게 조각으로 다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예로서, 도 3b에서와 같이 각각의 조각(131-134)을 결합시키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된 채로 배치한 후 그 위에 석쇠를 얹고 각 조각(131-134)마다 점화를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a는 도 1의 구이용 고체연료가 3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b는 평면도로서, 도 4a의 구이용 고체연료를 3개의 조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구이용 고체연료(100")는 바디를 3개의 조각(161-163)을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조각(161-163)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는 바디가 원형으로 이루어지므로 각각의 조각(161-163)은 곡면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3개의 조각(161-163)을 일렬로 붙이면 하나의 원형을 이루는 바디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조각(161-163)은 일 단면에 결합돌기(171-173)가 형성되고 타 단면에는 인접한 조각(161-163)의 결합돌기(171-173)와 대응되게 결합홈(181-18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4a에서와 같이 인접한 조각(161-163)들을 서로 대응되는 면을 맞닿게 하여 마주보는 결합돌기(171-173)와 결합홈(181-183)을 끼움 결합하면 하나의 단일체로 된 바디를 이루게 된다. 한편, 다른 예로서, 도 4b에서와 같이 각각의 조각(161-163)을 결합시키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된 채로 배치한 후 그 위에 석쇠를 얹고 각 조각(161-163)마다 점화를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구이용 고체연료와 석쇠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구이용 고체연료는 바닥 등에 중공부(114)가 수직방향이 되도록 바디(110)를 배치한 후, 중공부(114)의 내면(113)에 가스토치 등을 이용하여 불을 붙이면 바디(110) 전체로 불이 옮겨 붙으면서 바디(110)가 연소되어 구이에 필요한 화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점화가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필요시 바디(110)를 중공부(114)가 바닥에 대해 수평방향이 되도록 놓고 불을 붙인 후 90도로 회전시켜서 중공부가 수직방향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바디(110)의 상면에 석쇠(1)를 놓고 그 위에 고기(2)를 얹어 이 구이용 고체연료의 바디(110)의 연소에 의한 열로 고기(2)를 굽게 된다. 이때, 고기(2)는 바디(110)의 중공부(114)가 있는 위치에만 얹게 되고, 이에 고기(2)에서 녹은 기름이 중공부(114)를 통해 바닥으로 떨어지고 바디(110) 및 바디에 붙은 불에 닿지 않게 되어 기름의 순간적인 연소로 인해 불꽃이 강해져 고기(2)가 타는 것을 방지하고 고기(2)의 기름이 연소되면서 그을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공부의 내면이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져 사방에서 열이 골고루 발생되므로 고기가 고르게 잘 익게 된다.
도 6은 도 1의 구이용 고체연료를 이용하여 꼬치를 굽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의 구이용 고체연료를 I-I’선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꼬치(3)를 석쇠(1)에 고정하여 바디(110)의 중공부(114)에 투입하여 굽게 되는데, 앞서 도 5에서 석쇠 위에 고기를 얹어 굽는 것과 유사하게 기름(o)이 중공부(114)를 통해서만 떨어지고 바디(110)에는 묻지 않게 되어 꼬치(3)의 기름(o)이 연소되면서 그을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구이용 고체연료가 화로에 수용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구이용 고체연료(100)는 화로(4)의 내부수용공간의 크기에 맞춰 사이즈가 변경된 것이며 기본적인 구조가 변경된 것은 아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구이용 고체연료(100)는 기존의 화로(4) 내에 수용한 후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화로(4)의 내측 하부에는 수평으로 지지판(5)이 설치되고, 지지판(5) 위에 구이용 고체연료(100)가 거치될 수 있다 . 그리고, 화로(4)의 상단에 석쇠(1)를 거치하고, 그 위에 고기(2)를 얹어 구이용 고체연료(100)의 바디의 연소에 의한 열로 고기(2)를 굽게 된다. 이때, 고기(2)는 바디의 중공부가 있는 위치에만 얹게 되어, 이 중공부를 통해 고기(2)의 기름(o)이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의 구이용 고체연료(100)는 이 외 기존의 바비큐 그릴이나 로스터에도 호환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이용 고체연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구이용 고체연료는 바디(500)의 수평방향 단면이 대체로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디의 전체 형상은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바디(500)는 복수의 조각(510, 5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바디(500)가 총 8개의 조각(510, 520)으로 분리 가능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조각(510, 520)의 개수를 조절하여 바디(500)의 전체 면적을 원하는 크기로 결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사람이 많아 고기를 한번에 많이 구워야 하는 경우 8개를 초과하여 더 많은 조각으로 바디를 구성하여 바디의 크기를 확장할 수 있고, 사람이 적어 고기의 굽는 양이 줄어들면 6개나 4개로 바디를 구성하여 바디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바디(500)는 내면(511)이 요철형상으로 된 상하 4개의 제1 조각(510)과 내면(521)이 요철형상으로 된 좌우 4개의 제2 조각(520)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의 바디(500)가 대체로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제1 조각(510)과 제2 조각(520)은 모두 외면이 직선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1 조각(510)과 제2 조각(520)은 대체로 구성이 비슷하고, 제1 조각(510)이 제2 조각(520)에 비해 길이가 짧고 내면의 요철 형상이 하나 부족하다는 점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 도시된 조각(610)의 다른 형태로서, 내면(611)의 요철형상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앞서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이, 각각의 조각(510, 520, 610 )은 양 단부에 서로 대응되게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홈/돌기 결합구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도 8에서 조각 하나를 분리하고 절단홈(512a, 512b)을 더 형성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조각(510')의 대향되는 양면 중 일부에 서로 마주보게 절단홈(512a, 512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절단홈(512a, 512b)을 잡고 하나의 조각을 2개의 조각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에 보다 세밀하게 바디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이용 고체연료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II-II’선 단면도이다.
앞서 제1 실시 예의 경우 바디에 직접 불을 붙이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제3 실시 예의 구이용 고체연료는 바디(310)의 중공부에 아래 위로 오목하게 형성된 점화부(320)를 더 형성하여 점화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점화부(320)는 왕겨, 톱밥과 같은 착화탄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며, 바디는 상대적으로 천천히 오래 탈 수 있는 석탄이나 숯과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점화부(320)는 바디(310)의 수직방향에 대해서 중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화부(320)가 상대적으로 바디(310)의 상측에 위치하면 바디(310) 아래쪽은 불이 옮겨 붙지 않아 타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점화부(320)가 바디(310)의 하측에 위치하면 바디(310)의 하부만 집중적으로 타면서 바디(310)의 형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무너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화부(320)가 바디(310)의 수직방향에 대해 중간에 위치하면 바디(310)가 타는 형태에 따라 필요시 바디(310)를 상하로 뒤집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점화부(320)는 점화가 잘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멍(340)을 가진다. 이에, 점화부(320)는 재료 특성상 적어도 1분 내에 점화가 이루어지므로 점화시 불이 쉽게 붙으면서, 이 불은 옆으로 빨리 번져나가 약 10~20분이 지나면 바디(310)로 옮겨 붙게 되고 이때 점화부(320)는 모두 제거된 상태가 되어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이 바디 내부에 수직방향의 중공부가 형성된 구조가 되는 것이다. 이후, 구이용 고체연료의 바디(310) 위에 고기를 놓고 구울 수 있다. 이때, 점화부(320)와 바디(310)를 연결하는 부분(311)은 곡면으로 형성하며, 점화부(320)는 즉 가운데는 얇고 가장자리는 두껍게 형성하여 점화부(320)로부터 바디(310)로의 불의 전달이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13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310) 하단에는 공기유입구멍(350)을 더 형성하여 바디(310)의 내부, 즉 점화부(320) 쪽으로 공기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점화부가 더 잘 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1의 구이용 고체연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의 구이용 고체연료의 제조장치는 상부 금형(410)과 하부 금형(420)을 포함한다. 상부 금형(410)은 상단의 메인 바디(411)와 메인 바디(411)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가압돌기(412, 413)를 가진다. 하부 금형(420)은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 재료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중앙(422)에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공기유입구멍 제조돌기(423)를 가진다 이때, 필요시 하부 금형(420)의 재료수용공간에는 점화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운데 부분(B)에 왕겨, 톱밥과 같은 착화탄 등의 재료를 투입하고 가장자리의 바디로 형성되는 부분(A)에는 석탄이나 숯과 같은 재료를 투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재료 투입이 완료된 후 상부 금형을 하측으로 가압하고 건조시키면 16에서와 같이 상이한 재료로 되고 공기유입구멍(340)을 갖는 점화부(320)를 가지는 바디(310)를 포함하는 구이용 고체연료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예컨대, 상기 실시 예들은 구이대상으로 육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육류 이외에도 생선류 등 다른 구이대상도 본 발명의 구이용 고체연료에 의해 직화 구이로 구워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석쇠
2: 고기
3: 꼬치
4; 화로
100, 100', 100": 구이용 고체연료
110, 310, 500: 바디
113, 330: 내면
114: 중공부
320: 점화부
340, 350: 공기유입구멍

Claims (8)

  1. 수직방향의 중공부를 갖는 고체연료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의 내면이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는 일정 단위로 동일한 크기로 나뉜 복수의 조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각은 일 단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 단면에는 인접한 조각의 결합돌기와 대응되게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해 복수의 조각이 결합되어 단일 결합체인 바디가 구성되되,
    상기 바디는 상기 조각의 개수를 조절하여 크기가 결정되며,
    중공부가 수직방향이 되도록 상기 바디를 배치한 후 상기 바디의 상면에 석쇠를 올리고 중공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고기를 얹어 고기를 구움으로써 고기에서 녹은 기름이 중공부를 통해 바닥으로 떨어져 기름의 연소에 의한 그을음 발생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고체연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내면이 곡면, 삼각형, 사각형 및 오각형 중 하나의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의 수평방향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중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고체연료.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이 곡면을 갖는 형태 또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고체연료.
  6. 삭제
  7.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면에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석탄 또는 숯으로 이루어지는 고체연료 바디;
    상기 바디의 중공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멍을 가지며 왕겨, 톱밥, 착화탄 중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하 오목한 형태로 상기 바디의 수직방향에 대해 중간부분에 형성되는 점화부;
    상기 점화부는 점화시 바디로 불을 옮기면서 타 제거되며, 상기 점화부와 중공부의 연결부분이 곡면을 가져 상기 점화부는 가운데는 얇고 가장자리는 두꺼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점화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의 내부에 수직방향의 중공부가 형성되면 상기 바디의 상면에 석쇠를 올리고 중공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고기를 얹어 고기를 구움으로써 고기에서 녹은 기름이 중공부를 통해 바닥으로 떨어져 기름의 연소에 의한 그을음 발생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고체연료.
  8. 삭제
KR1020160129631A 2016-10-07 2016-10-07 구이용 고체연료 KR101980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631A KR101980423B1 (ko) 2016-10-07 2016-10-07 구이용 고체연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631A KR101980423B1 (ko) 2016-10-07 2016-10-07 구이용 고체연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688A KR20180038688A (ko) 2018-04-17
KR101980423B1 true KR101980423B1 (ko) 2019-05-20

Family

ID=62082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631A KR101980423B1 (ko) 2016-10-07 2016-10-07 구이용 고체연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370B1 (ko) 2018-12-06 2019-10-25 김주회 고형 연료
CN111303955A (zh) * 2020-04-17 2020-06-19 徐州新南湖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质燃料颗粒结构及其成型模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7459A (ja) * 2006-04-28 2007-11-15 Shinichi Suzuki 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018877A (ja) * 2011-07-12 2013-01-31 Tadahiro Shinmachi 固形燃料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235Y1 (ko) 2002-02-06 2002-06-03 서승봉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
KR20040078032A (ko) * 2003-03-03 2004-09-08 엽정화 폐종이를 이용한 고형탄 제조 방법
KR101566266B1 (ko) 2015-04-03 2015-11-05 김현상 구이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7459A (ja) * 2006-04-28 2007-11-15 Shinichi Suzuki 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018877A (ja) * 2011-07-12 2013-01-31 Tadahiro Shinmachi 固形燃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688A (ko)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1829B2 (en) Rapid anti-flare-up smoker for grills
US5735260A (en) Tile for use with a cooking grill
KR101980423B1 (ko) 구이용 고체연료
KR20130053302A (ko) 무연 숯불구이 장치
JP2021127864A (ja) 焚火台
KR200497835Y1 (ko) 구이용 불판
KR20110010262U (ko)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KR101170291B1 (ko) 구이용 화로
KR101632833B1 (ko) 숯불구이용 직화 차단판
KR200179509Y1 (ko) 고기 구이기
KR101714763B1 (ko) 구이 장치
KR101494082B1 (ko)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
KR200414163Y1 (ko)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KR200348791Y1 (ko) 구이용 석쇠
KR200467019Y1 (ko) 이중 열원을 갖는 구이기
KR102585935B1 (ko) 기름 배출과 열전달이 용이한 직화구이용 원형구이판
JP5044322B2 (ja) 炭焼用調理器具
KR101975121B1 (ko)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판
KR102224962B1 (ko) 숯불구이용 불판
KR102377957B1 (ko) 구이용 석쇠
KR101521154B1 (ko) 천연석을 이용한 직화 구이장치
KR102266675B1 (ko) 고기구이용 불판 제조방법
KR20120136469A (ko) 숯불구이기
KR101910953B1 (ko) 친환경 클린 로스트
KR200359216Y1 (ko) 조리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