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370B1 - 고형 연료 - Google Patents

고형 연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370B1
KR102036370B1 KR1020180155764A KR20180155764A KR102036370B1 KR 102036370 B1 KR102036370 B1 KR 102036370B1 KR 1020180155764 A KR1020180155764 A KR 1020180155764A KR 20180155764 A KR20180155764 A KR 20180155764A KR 102036370 B1 KR102036370 B1 KR 102036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fuel
ignition
hole
fuel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회
이재동
Original Assignee
김주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회 filed Critical 김주회
Priority to KR1020180155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2Wood or forestry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5Agricultural waste, e.g. corn crops, grass clippings, nut shells or oil pressing resid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 연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별도의 착화탄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착화구멍에 불꽃을 점화시키면 고형 연료탄 단독으로 초기 착화가 용이하도록 한 파쇄된 폐자재를 성형시킨 고형 연료(110)(120)(130)(140)(150)(160)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고형 연료의 측면 몸체에 형성되며, 점화를 시키기 위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화구멍(102); 및 상기 고형 연료의 상면 몸체에 형성되되 착화구멍(102)과 상호 연통되며, 불꽃이 타올라 고형 연료를 연소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소구멍(101);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연료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별도의 착화탄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고형 연료탄 단독으로 초기 착화가 용이한 고형 연료탄을 제공하는 것이고,이로 인해 고형 연료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형 연료{Solid Fuels}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효율 친환경 고형 연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착화탄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고형 연료탄 단독으로 초기 착화가 용이한 고형 연료탄을 제공하는 것이고,이로 인해 고형 연료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최근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가장 큰 문제는 에너지와 환경의 문제로서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온난화문제, 화석연료의 고갈에 따른 대체에너지 개발이 큰 화두가 되고 있다.
특히 화석연료를 대신할 수 있는 신재생 에너지의 개발에 선진국을 중심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바이오매스 자원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가에너지 기분계획 및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에 2030년 기준 신재생에너지 중 65% 이상을 폐기물 및 바이오매스에너지로 에너지의 보급을 충당할 계획을 추진 중이다.
바이오매스란 인간의 활동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등의 폐기물뿐만 아니라 곡물, 목재, 하수슬러지, 분뇨 등 모든 자연계에서 발생되는 유기물을 말하는 것으로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그 양이 풍부하여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최적의 자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바이오 고분자 소재 개발,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연료 제조기술, 음식물, 축산분뇨를 이용한 바이오가스화 기술,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기술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재활용 가능한 폐목재가 분리, 수거되는 비율이 매우 적은 실정이며, 불법으로 매립되거나 소각 처리되는 경우가 많아, 환경적인 문제까지 유발시키고 있어 이런 폐목재의 재활용이 필수적이다.
한편, 고체연료(solid fuel; 固體燃料)는 액체·기체 등의 유체연료(流體燃料)에 대응하는 말이다. 고체연료는 액체·기체 연료보다 발화점(숯·석탄 300~400℃, 가솔린 350∼400℃, 중유 400∼500℃, 도시가스 550∼600℃)이 낮은 데도 불이 쉽게 붙지 않는다. 그것은 액체·기체 연료는 일부가 발화점 이상이 되어 불이 붙으면 갑자기 번져 다량의 발열을 수반하고, 항상 발화점 이상으로 유지되므로 계속 탄다.
그러나 고체연료는 일부가 발화점 이상이 되어 타기 시작하더라도 타는 속도가 느려 열의 발생이 적고, 냉각되어 온도가 빨리 떨어져 타다 말고 꺼져버리기 때문이다. 고체연료를 태우려면 불씨를 많게 하고 공기를 충분히 공급해야 한다. 석탄·코크스 등의 고체연료를 대규모로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송풍기로 공기를 보내거나 강제통풍을 해야 한다.
상기 고체연료는 타고 난 뒤에 재가 남게 되므로, 이것을 연속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 밖에 로켓의 추진제에도 고체연료라는 명칭이 사용되는데, 이것은 연료와 산화제를 혼합하여 고형으로 한 것으로, 액체 추진제에 대응해서 쓰는 말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종래의 무연탄이나 석탄에서 얻어지는 고형연료탄들은 최초 착화시 착화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쉽게 연소되는 불소시개나 번개탄과 같은 착화탄을 연소시켜 이들로 부터 착화시키거나 연속적으로 연소되고 있는 고형연료로 부터 착화 시키게 되어 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고형연료탄의 착화를 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존의 착화탄들은 착화탄에 함침되어 있는 착화제가 질소화합물, 공업용 합성알콜 등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 시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착화 시 화약이 타듯이 발화가 되어 다량의 연기가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많은 거부감을 주는 문제가 있다.
이에 착화탄을 사용하지 않고 단독으로 착화가 용이한 고형연료탄 기술에 대한 개발이 관심을 받고 있으나, 현재까지 이에 대한 기술은 전무한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117765호(2012. 02. 10)가 등록된바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272889호(2013. 06. 03)가 등록된바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589270호(2016. 01. 21)가 등록된바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897546호(2018. 09. 05)가 등록된바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8-0038688호(2018. 04. 17)가 공개된바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05-0087543호(2005. 08. 31)가 공개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형 연료에 연소구멍과 착화구멍 그리고 경사부와 다리부 그리고 확장부와 확장공 및 받침대와 부싱이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빠른 착화와 안정된 연소 지속성에 의해 열탄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별도의 착화탄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고형 연료탄 단독으로 초기 착화가 용이한 고형 연료탄을 제공하는 것이고, 제4목적은 친환경적이고 동시에 단위 무게당 열 에너지 또는 연소율이 우수한 고체연료를 제공하는 것이고, 제5목적은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폐기물인 잡목 또는 폐목과 낙엽 등을 재활용 할 수 있어 환경문제 해결에도 많은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제6목적은 장작이나 연탄을 대용할 수 있는 고체연료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바이오매스 중 폐목재와 왕겨를 원료로 이용한 우수한 성능의 고체 성형연료와 낮은 압축 압력에서도 강한 내구성을 갖고, 운반 및 저장이 용이하도록 한 고체 성형연료를 제공하는 것이고, 제8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고형 연료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별도의 착화탄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착화구멍에 불꽃을 점화시키면 고형 연료탄 단독으로 초기 착화가 용이하도록 한 파쇄된 폐자재를 성형시킨 고형 연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고형 연료의 측면 몸체에 형성되며, 점화를 시키기 위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화구멍; 및 상기 고형 연료의 상면 몸체에 형성되되 착화구멍과 상호 연통되며, 불꽃이 타올라 고형 연료를 연소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소구멍;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연료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형 연료에 연소구멍과 착화구멍 그리고 경사부와 다리부 그리고 확장부와 확장공 및 받침대와 부싱이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빠른 착화와 안정된 연소 지속성에 의해 열탄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착화탄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고형 연료탄 단독으로 초기 착화가 용이한 고형 연료탄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고 동시에 단위 무게당 열 에너지 또는 연소율이 우수한 고체연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폐기물인 잡목 또는 폐목과 낙엽 등을 재활용 할 수 있어 환경문제 해결에도 많은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장작이나 연탄을 대용할 수 있는 고체연료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중 폐목재와 왕겨를 원료로 이용한 우수한 성능의 고체 성형연료와 낮은 압축 압력에서도 강한 내구성을 갖고, 운반 및 저장이 용이하도록 한 고체 성형연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고효율 친환경 고형 연료의 제1실시예 사시
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고효율 친환경 고형 연료의 제1실시예 단면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고효율 친환경 고형 연료의 제2실시예 사시도.
도 3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고효율 친환경 고형 연료의 제3실시예 사시
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고효율 친환경 고형 연료의 제3실시예 단면
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고효율 친환경 고형 연료의 제4실시예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고효율 친환경 고형 연료의 제5실시예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고효율 친환경 고형 연료의 제6실시예 단면도.
본 발명에 적용된 고효율 친환경 고형 연료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별도의 착화탄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착화구멍에 불꽃을 점화시키면 고형 연료탄 단독으로 초기 착화가 용이하도록 한 파쇄된 폐자재를 성형시킨 고형 연료(110)(120)(130)(140)(150)(160)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하에서 본원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기 고형 연료(110)(120)(130)(140)(150)(160)의 측면 몸체에 형성되며, 점화를 시키기 위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화구멍(102)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형 연료(110)(120)(130)(140)(150)(160)의 상면 몸체에 형성되되 착화구멍(102)과 상호 연통되며, 불꽃이 타올라 고형 연료를 연소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소구멍(101)이 포함된 고형 연료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폐자재는 잡목, 폐목, 볏짚, 낙엽 등을 분쇄한 후 점결재와 혼합 성형 건조시켜 고형 연료를 생산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연소구멍(101)의 주변에는 공기가 빨려 들어와 불꽃이 모여 잘 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경사부(103)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형 연료(110)(120)(130)(140)(150)(160)의 몸체 바닥면에는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습기나 물로부터 고형 연료의 바닥부가 닿지 않도록 해주는 복수개의 다리부(104)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형 연료(110)(120)(130)(140)(150)(160)의 몸체는 원형, 사각, 삼각,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형 연료(120)의 상면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구멍(101)의 단위면적을 넓혀 불이 더 잘 타오르도록 한 확장부(105)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연료를 제공한다.
또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형 연료(130)의 몸체는 도 3(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연료(130-1)와 하단연료(130-2)로 분리하되, 상단연료는 불이 잘 타오르는 자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연료는 고형 연료의 몸체가 쉽게 불에 타서 무너지지 않도록 상단연료 보다는 불이 잘 타지 않는 자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연료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상단연료(130-1)에는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불이 더 잘 타올라 고형 연료의 연소를 돕는 복수개의 확장공(106)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형 연료(140)의 상단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삽입홈(107a)이 형성되고, 이 받침대삽입홈(107a)에는 주방용품을 올려 놓고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한 받침대(107)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연료를 제공한다.
또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형 연료(150)의 몸체에 형성된 연소구멍(101)과 착화구멍(102)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ㄴ"자 모양으로 연통되되, 상기 착화구멍(102)은 연소구멍(101)과 착화구멍(102)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부위가 빨리 타고, 한쪽으로 불길이 타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연소구멍 위쪽으로 불길이 타오르도록 하기 위해 테이퍼부(102a)로 경사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연료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형 연료(160)의 몸체에 형성된 착화구멍(102)의 입구 내부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의 조기 마모 방지를 위해 금속으로 이루어진 부싱(108)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연료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고효율 친환경 고형 연료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별도의 착화탄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고형 연료탄 단독으로 초기 착화가 용이한 고형 연료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의 (a)는 고효율 친환경 고형 연료(110)의 제1실시예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고효율 친환경 고형 연료(110)의 제1실시예 단면도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고형 연료(110)를 착화시키기 위해서는 나무젓가락 끝에 불을 붙인 후 착화구멍(102)에 넣어서 고형 연료의 내부에서부터 착화되도록 하거나 또는 화장지를 가늘게 말어서 상기 착화구멍(102)에 넣어서 고형 연료를 착화되도록 할 수 있고, 이 외에 별도의 다른 물품을 가지고 착화구멍(102)에 넣어서도 고형 연료(110)를 간단히 착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고형 연료(110)의 내부에서 불이 착화되면 수평 착화구멍(102)과 상호 "ㄴ"자모양으로 연통된 수직 연소구멍(101)의 하단부터 불이 착화되면서 고형 연료(110)를 연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소구멍(101)의 상단 주연부에는 경사부(103)가 형성되므로 인해 외부 공기가 경사부(103)를 통해 연소구멍(101)의 내부로 빨려 들어가므로 인해 불꽃이 모여지도록 함은 물론 빠른 착화와 안정된 연소 지속성에 의해 열탄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은 불꽃이 연소구멍(101)과 착화구멍(102)이 상호 맞나는 모서리부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이 부분을 중심으로 고형 연료(110)가 사방으로 연소되기 때문에 고형 연료가 형태를 유지하면서 타들어가게 된다.
특히 본 발명 상기 고형 연료(110)의 몸체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다리부(104)가 형성되어 지면으로부터 몸체 바닥부를 이격시켜 습기나 물로부터 고형 연료의 바닥부가 닿지 않도록 해주어 바닥까지 완전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고효율 친환경 고형 연료(120)의 제2실시예 사시도로, 전술한 도 1 과 같고 다만, 연소구멍의 단위면적을 넓힌 확장부(105)를 형성하여 고형 연료가 더욱더 잘 연소될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도 3 의 (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고효율 친환경 고형 연료(130)의 제3실시예 사시도 및 단면도로, 고형 연료(130)의 몸체는 상단연료(130-1)와 하단연료(130-2)로 분리하되, 상단연료는 불이 잘 타오르는 자재 및 밀도가 느슨하게 이루어지고, 하단연료는 고형 연료의 몸체가 쉽게 불에 타서 무너지지 않도록 상단연료 보다는 불이 잘 타지 않는 자재 및 자재 밀도가 긴밀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상단연료(130-1)의 연소구멍 주변에는 일정 간격으로 확장공(106)을 형성함에 따라 공기가 확장공 내부로 유입되면 불이 더 잘 타올라 고형 연료의 연소를 돕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고효율 친환경 고형 연료(140)의 제4실시예 사시도로, 상기 고형 연료(140)의 상단에는 받침대삽입홈(107a)이 형성되고, 이 받침대삽입홈(107a)에는 주방용품(예: 냄비, 후라이팬, 그릇 등)을 올려 놓고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금속 재질의 받침대(107)가 설치되어 고형 연료(140)의 연소에 따라 요리도 할 수 있는 다기능 고형 연료를 제공하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고효율 친환경 고형 연료(150)의 제5실시예 단면도로,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형 연료(150)의 몸체에 형성된 연소구멍(101)과 착화구멍(102)은 상호 "ㄴ"자 모양으로 연통되되, 상기 착화구멍(102)은 연소구멍(101)과 착화구멍(102)이 서로 만나는 코너진 모서리부위가 빨리 타는 것을 방지하고, 한쪽으로 불길이 타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연소구멍 위쪽으로 불길이 타오르도록 하기 위해 테이퍼부(102a)로 경사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고효율 친환경 고형 연료(160)의 제6실시예 단면도로, 상기 고형 연료(160)의 몸체에 형성된 착화구멍(102)의 입구 내부에는 금속 재질의 부싱(108)이 끼워져 입구의 조기 마모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 고효율 친환경 고형 연료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20, 130, 140, 150, 160: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고형 연료
101: 연소구멍
102: 착화구멍
103: 경사부
104: 다리부
105: 확장부
106: 확장공
107: 받침대
108: 부싱

Claims (6)

  1. 착화구멍에 불꽃을 점화시키면 고형 연료탄 단독으로 초기 착화가 용이하도록 한 파쇄된 폐자재를 성형시킨 고형 연료(110)(120)(130)(140)(150)(160)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고형 연료의 측면 몸체에 형성되며, 점화를 시키기 위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화구멍(102); 및
    상기 고형 연료의 몸체에 형성된 착화구멍(102)의 입구 내부에는 입구의 조기 마모 방지를 위해 금속으로 이루어진 부싱(108)이 형성되고,
    상기 고형 연료의 상면 몸체에 형성되되 착화구멍(102)과 상호 연통되며, 불꽃이 타올라 고형 연료를 연소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소구멍(101);이 포함되되,
    상기 고형 연료의 몸체에 형성된 연소구멍(101)과 착화구멍(102)은 상호 "ㄴ"자 모양으로 연통되고, 상기 착화구멍(102)은 연소구멍(101)과 착화구멍(102)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부위가 빨리 타고, 한쪽으로 불길이 타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연소구멍 위쪽으로 불길이 타오르도록 하기 위해 테이퍼부(102a)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연소구멍(101)의 주변에는 공기가 빨려 들어와 불꽃이 모여 잘 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경사부(103)가 형성되고,
    더하여 상기 고형 연료(110)(120)(130)(140)(150)(160)의 몸체 바닥면에는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습기나 물로부터 고형 연료의 바닥부가 닿지 않도록 해주는 복수개의 다리부(10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연료.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고형 연료(120)의 상면에는,
    연소구멍(101)의 단위면적을 넓혀 불이 더 잘 타오르도록 한 확장부(105);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연료.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고형 연료(130)의 몸체는,
    상단연료(130-1)와 하단연료(130-2)로 분리하되, 상단연료는 불이 잘 타오르는 자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연료는 고형 연료의 몸체가 쉽게 불에 타서 무너지지 않도록 상단연료 보다는 불이 잘 타지 않는 자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연료.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고형 연료(140)의 상단에는,
    받침대삽입홈(107a)이 형성되고, 이 받침대삽입홈(107a)에는 주방용품을 올려 놓고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한 받침대(107);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연료.
  5. 삭제
  6. 삭제
KR1020180155764A 2018-12-06 2018-12-06 고형 연료 KR102036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764A KR102036370B1 (ko) 2018-12-06 2018-12-06 고형 연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764A KR102036370B1 (ko) 2018-12-06 2018-12-06 고형 연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370B1 true KR102036370B1 (ko) 2019-10-25

Family

ID=68421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764A KR102036370B1 (ko) 2018-12-06 2018-12-06 고형 연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3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366B1 (ko) * 2019-12-11 2020-08-05 박재형 통나무 버너
KR102634199B1 (ko) 2023-03-10 2024-02-05 이항진 불꽃 이송 통나무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5259U (ko) * 1981-06-24 1982-12-27
KR200174524Y1 (ko) * 1999-09-01 2000-03-15 유완영 다기공 목탄
JP2002348583A (ja) * 2001-05-29 2002-12-04 Yasuyuki Suzuki 燃焼用木質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87543A (ko) 2004-02-27 2005-08-31 서윤진 환경친화적인 숯불구이용 고체연료 제조방법
KR101117765B1 (ko) 2009-04-21 2012-03-15 권영억 낙엽을 이용한 고체연료 제조방법
KR101272889B1 (ko) 2011-11-28 2013-06-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매스 고체성형연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9270B1 (ko) 2015-03-10 2016-01-28 나용훈 고형연료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8688A (ko) 2016-10-07 2018-04-17 권오혁 구이용 고체연료
KR101897546B1 (ko) 2016-11-17 2018-09-12 박지혜 파래 기반 고체연료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5259U (ko) * 1981-06-24 1982-12-27
KR200174524Y1 (ko) * 1999-09-01 2000-03-15 유완영 다기공 목탄
JP2002348583A (ja) * 2001-05-29 2002-12-04 Yasuyuki Suzuki 燃焼用木質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87543A (ko) 2004-02-27 2005-08-31 서윤진 환경친화적인 숯불구이용 고체연료 제조방법
KR101117765B1 (ko) 2009-04-21 2012-03-15 권영억 낙엽을 이용한 고체연료 제조방법
KR101272889B1 (ko) 2011-11-28 2013-06-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매스 고체성형연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9270B1 (ko) 2015-03-10 2016-01-28 나용훈 고형연료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8688A (ko) 2016-10-07 2018-04-17 권오혁 구이용 고체연료
KR101897546B1 (ko) 2016-11-17 2018-09-12 박지혜 파래 기반 고체연료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366B1 (ko) * 2019-12-11 2020-08-05 박재형 통나무 버너
KR102634199B1 (ko) 2023-03-10 2024-02-05 이항진 불꽃 이송 통나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rnaje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sation of charcoal briquettes from water hyacinth (Eichhornia crassipes)-molasses blend
Onchieku et al. Optimum parameters for the formulation of charcoal briquettes using bagasse and clay as binder
US2107054A (en) Fuel unit
Katimbo et al. Potential of densification of mango waste and effect of binders on produced briquettes
US8647399B2 (en) Fire starter
AU2013383052B2 (en) A disposable grill
KR102036370B1 (ko) 고형 연료
US20110192078A1 (en) Combustible Materials
Lotter et al. Microgasification cookstoves and pellet fuels from waste biomass: A cost and performance comparison with charcoal and natural gas in Tanzania
Djafar et al.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 of biomass briquette stoves on three types of stove wall materials
Kuti et al. Comparative performance of composite sawdust briquette with kerosene fuel under domestic cooking conditions
Akuma et al. Characteristic analysis of bio-coal briquette (coal and groundnut shell admixtures)
Panwar Energetic and exergetic performance evaluation of improved biomass cookstoves
Murthy et al. Modified kerosene stove for burning high percentage non edible straight vegetable oil blends
Cioca et al. Local environmental impact of wood combustion in agro-tourism structures
Bolaji The use of sawdust as an alternative source of energy for domestic cooking and as a means of reducing deforestation
Okia et al. Combus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water hyacinth based composite briquettes
Udaykumar et al. How a simple inexpensive device makes a three-stone hearth as efficient as an improved cook-stove
WO2009103937A1 (en) Fire starter composition comprising 2-phenoxyethanol
Tangmankongworakoon et al. The evaluation of fuel briquetts produced from municipal wastes
Kornelius et al. A wood gasification stove for domestic use: Performance and emission factors using locally available fuel
Sharma et al. Solid fuel block as an alternate fuel for cooking and barbecuing: Preliminary results
Powar et al. Clean energy from cotton stalk exercise of cook stove
ORHEVBA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 modified briquette stove.
Kornelius et al. A wood gasification stove for domestic use: Design, performance and emission fa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