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121B1 -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판 - Google Patents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121B1
KR101975121B1 KR1020170175727A KR20170175727A KR101975121B1 KR 101975121 B1 KR101975121 B1 KR 101975121B1 KR 1020170175727 A KR1020170175727 A KR 1020170175727A KR 20170175727 A KR20170175727 A KR 20170175727A KR 101975121 B1 KR101975121 B1 KR 101975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solid fuel
plate
oi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혁
Original Assignee
권오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혁 filed Critical 권오혁
Priority to KR1020170175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08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solely adapted for radia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감이 올려지는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이 안착되고 내부로는 링 형태로서 방사상으로 다 등분되는 열원이 서로 인접 배치되고 내부로는 중공부를 가지는 고체연료가 수용되는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은, 구이감이 상기 고체연료에서 방출되는 열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구이장치의 상부에 안착되는 그릴; 및 상기 고체연료에서 방출되는 열기에 구이감을 간접적으로 노출시켜 구이감구이감구이감되는 기름이 고체연료에 직접 낙하하지 않고 구이장치의 내부로 모이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그릴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고체연료의 링 형태와 대응되는 형상의 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판{Grill that does not burn}
본 발명은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고체연료를 이용하여 육류와 같은 구이감을 요리할 때 구이감에서 분비되는 기름이 고체연료의 표면으로 직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기름이 타면서 발생하는 발암물질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육류를 익혀 취식하게 될 경우 전기를 이용한 전기그릴을 이용하거나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육류를 익혀 취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일반 가정집의 실내를 제외한 전문 식당, 야외 등에서 육류를 요리할 경우 연기에서 보다 자유로울 수 있기 때문에 숯이나, 착화탄 등을 이용하여 육류를 빠르고 맛있게 요리할 수 있게 된다.
숯을 이용하여 육류를 조리하게 될 경우 숯의 특유의 향이 육류에 배어 미감이 배가 되고 육류를 화염에 직접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른 시간 내에 육류를 익힐 수 있게 되어 육류의 참맛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요리되는 육류에 숯의 향을 배게 하기 위하여 육류가 올려지는 구이판에 통기구를 형성하거나, 매쉬 구조의 구이판을 이용하여 육류를 요리하게 되며 이로써 숯에서 방출되는 열기와 향기를 효율적으로 인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육류는 익으면서 일정량의 기름을 분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기름이 구이판의 하부로 흘러 숯으로 낙하하면 숯의 불완전연소가 일어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발암물질을 포함한 각종 유해물질이 육류 주변으로 비산된다.
이러한 유해물질은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실내공기를 오염시키거나, 조리되는 육류에 배어 이를 섭취하는 사람에게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점이 중대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은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10-2014-0000916(명칭: 중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화로)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기본적으로 내측으로 숯을 수용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부로 위치하여 음식물이 올려지는 그릴부와 상기 용기부와 그릴부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즉, 그릴부의 상면에 육류가 올려져 익혀질 때 발생하는 기름이 숯에 직접적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릴부와 용기부 사이에 중간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중간플레이트에 포함된 복수의 유통홀을 통해 숯의 향취가 익혀지는 육류에 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로는 육류의 기름이 숯에 직접적으로 낙하되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중간플레이트로 인해 숯의 화기가 육류에 직접적으로 닿을 수 없게 되어 육류를 이른 시간 내에 익힐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조리된 육류의 미감을 충분하게 살릴 수 없다는 문제점이 뒤따르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0091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고체연료를 이용하여 구이감을 요리할 때 구이감에서 분비되는 기름이 고체연료의 표면으로 직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기름이 타면서 발생하는 발암물질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앙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중심으로 링 형상으로 내부에 고체연료가 수용되는 구이장치의 상부에 안착되어 구이감이 올려지는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은, 구이감이 상기 고체연료에서 방출되는 열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구이장치의 상부에 안착되는 매쉬 형태의 그릴; 및 상기 고체연료에서 방출되는 열기에 구이감을 간접적으로 노출시켜 구이감에서 분비되는 기름이 고체연료에 직접 낙하하지 않고 구이장치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가지면서 상기 그릴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구이장치의 내부에 수용된 고체연료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상의 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불판은, 상기 구이장치의 상단에 안착되는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의 일단에서 연장되되 구이감에서 분비되는 기름이 구이장치의 내부 중심을 향해 흘러 모이도록 하향 경사진 상태에서 그릴에 안착되는 경사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불판에는 불판을 들어올리기 위한 도구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탈거홈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그릴의 중심에는 상기 고체연료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수납바구니가 하방을 향해 요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체연료의 하부에는 고체연료의 중공부를 향해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유체흐름구가 관통되며, 상기 구이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고체연료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체흐름구에 대응되는 유체주입구가 관통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구이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흐름구가 유체주입구에 일치될 수 있도록 고체연료를 가이드하는 기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이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안착되며 일정량의 물이 저수되고 중앙부분에 기름이 배출되는 제2배출공이 형성되는 도넛 형태의 수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구이감이 올려지는 구이판을 그릴과 불판으로 분리 구성함과 동시에 불판을 고체연료에 대응되는 링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구이감에서 분비되는 기름이 고체연료의 직접 낙하하지 않고 고체연료의 중공부를 향해서만 낙하할 수 있도록 하여 고체연료의 불완전 연소에 따른 화염에 의해 구이감이 타는 것을 방지하고 고체연료에서 비산되는 발암물질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그릴에 올려진 구이감을 고체연료의 열기에 직접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고체연료의 향취를 조리되는 구이감에 충분히 배게 하여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고체연료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수납바구니를 통해 구이감의 사방에서 열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게 구이감을 요리할 수 있음은 물론, 수납바구니에 배치된 구이감에서 분비되는 기름 또한 고체연료에 직접적으로 낙하되지 않기 때문에 유해물질의 비산없이 구이감을 효율적으로 요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유체주입구와 유체흐름구의 연통에 의해 상대적으로 산소의 유입이 어려운 중공부로 산소를 지속적으로 주입할 수 있게 되어 고체연료의 연소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케이스에 외 충격이 가해져도 기준판을 통해 유체주입구와 유체흐름구가 일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스에 고체연료를 수납할 때 고체연료의 유체흐름구와 케이스의 유체주입구를 항시 동일한 위치에서 일치시킬 수 있어 보다 간편하게 교체연료를 취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제1플레이트와 수직플레이트에 기름이 직접 떨어지면 고온에 의해 기름이 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발암물질이 비산할 수 있는데, 본 발명으로 인하여 제1플레이트 및 수직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수조에 기름이 떨어지기 때문에 구이장치 내부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열기에 의해 발생된 증기가 구이감에 가해져 구이감이 쉽게 마르지 않도록 하고, 구이감에서 떨어진 기름이 쉽게 발화되지 않아 그을음 발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유해물질의 비산없이 구이감을 효율적으로 요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 및 이를 포함하는 구이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 및 이를 포함하는 구이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 및 이를 포함하는 구이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 및 이를 포함하는 구이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 및 이를 포함하는 구이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 대략적인 단면도.
도 7는 수납바구니가 형성된 그릴과 고체연료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수납바구니가 형성된 그릴이 적용된 구이판 및 이를 포함하는 구이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케이스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장치가 난로로 사용되는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 및 이를 포함하는 구이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 및 이를 포함하는 구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 및 이를 포함하는 구이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 및 이를 포함하는 구이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 및 이를 포함하는 구이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 대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는 수납바구니가 형성된 그릴과 고체연료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수납바구니가 형성된 그릴이 적용된 구이판 및 이를 포함하는 구이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장치가 난로로 사용되는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감이 올려지는 구이판(10)과, 상기 구이판(10)이 안착되고 내부로는 링 형태로서 방사상으로 다 등분되는 열원(31)이 서로 인접 배치되고 내부로는 중공부(33)를 가지는 고체연료(30)가 수용되는 구이장치(20)에 관한 것으로 구이판(10)과 구이장치(20)의 자세한 설명에 앞서 상기 고체연료(30)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구이감은 육류, 어류 등 구워 먹을 수 있는 것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개념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연료(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열원(31)을 포함한다. 이때, 열원(31)은 톱밥, 숯, 왕겨, 석탄, 야자껍질 등 각종 과일의 씨앗이나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biomass) 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고체연료(30)는 복수의 열원(31)이 원 형태로 인접하게 모여 내부에 중공부(33)를 형성하게 되는데, 고체연료(30)는 원 형태 외에도 내부에 중공부(33)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되어 성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고체연료(30)의 하부에는 고체연료(30)의 중공부(33)를 향해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유체흐름구(32)가 관통될 수 있다.
이렇게, 중공부(33)를 형성한 고체연료(30)를 사용하여 구이감을 조리하게 되면, 고체연료(30)의 상부에 구이감을 올려 조리하더라도 구이감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고체연료(30)에 직접적으로 낙하되어 발생하는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다. 고체연료(30)의 구체적인 작용에 대해서는 구이판(10)과 구이장치(20)의 작용에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링 형태의 고체연료(30) 외에도 불특정 형상을 가지는 숯조각들을 링 형태로 모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10)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판(10)은 구이감이 상기 고체연료(30)에서 방출되는 열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구이장치(20)의 상부에 안착되는 그릴(100) 및 상기 고체연료(30)에서 방출되는 열기에 구이감을 간접적으로 노출시켜 구이감에서 분비되는 기름이 고체연료(30)에 직접 낙하하지 않고 구이장치(20)의 내부로 모이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그릴(100)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고체연료(30)의 링 형태와 대응되는 형상의 불판(20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릴(100)은 고체연료(30)에서 발산하는 열기와 향기를 올려진 구이감에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격자 구조를 가지는 매쉬 형태로 구현된다.
다음으로, 불판(200)은 상기 매쉬 형태의 그릴(100)과 달리 판상으로 구성되며 고체연료(3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한편, 불판(200)과 그릴(100)은 적용되는 고체연료(30)의 형태에 따라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도 1에 도시된 사격형과 원형의 형태 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 결과, 불판(200)과 그릴(100)이 중첩된 상태에서 구이감이 불판(200)과 그릴(100) 중 어느 한 곳에 올려지더라도 구이감에서 분비되는 기름이 고체연료(30)의 표면에 직접 낙하되지 않고 고체연료(30)의 중공부(33)를 향해서만 낙하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2점쇄선은 구이판(10)에 올려지는 구이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불판(200)은 상기 구이장치(20)의 상단에 안착되는 수평판(210) 및 상기 수평판(210)의 일단에서 연장되되 구이감에서 분비되는 기름이 구이장치(20)의 내부 중심을 향해 흘러 모이도록 하향 경사진 상태에서 그릴(100)에 안착되는 경사판(220)을 포함한다.
구이감의 초기 요리 단계에서는 그릴(100)의 상면에 구이감을 올려 고체연료(30)의 열기를 직접 전달되도록 하여 빠르게 조리함이 바람직하고, 어느 정도 구이감이 익혀지면, 수평판(210)이나 경사판(220) 중 어느 한 곳에 구이감을 옮겨놓아 열기를 간접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불판(200)에 올려진 구이감은 고체연료(30)의 열기를 간접적으로 전달받기 때문에 섭취하기 알맞은 가열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불판(200)에 올려진 구이감에서 분비되는 기름은 경사판(220)을 따라 흘러 그릴(100)을 통과한 후 고체연료(30)의 중공부(33) 측으로 낙하된다.
아울러, 불판(200)에는 불판(200)을 들어올리기 위한 도구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탈거홈(240)이 요입될 수 있다. 상기 탈거홈(240)은 수평판(210)과 경사판(220) 중 어느 한 곳의 상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불판(200)을 완전히 관통하여도 무관하다.
불판(200) 또는 고체연료(30)를 새것으로 교체하기 위해 불판(200)을 들어올릴 경우 상기 탈거홈(240)에 도구를 삽입하여 불판(200)을 들어올리면 높은 온도로 달궈진 불판(200)을 쉽게 취급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불판(200)은 상기 수평판(210)의 타단에서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유동방지편(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동방지편(250)은 구이장치(20)의 상단 둘레와 기밀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불판(20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100)의 중심에는 상기 고체연료(30)의 중공부(33)에 삽입되는 수납바구니(110)가 하방을 향해 요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로, 수납바구니(110)는 그릴(100)에 올려진 구이감을 향해 사방으로 열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고체연료(30)의 중공부(33)로 삽입되며, 이때, 그릴(100)의 전단면은 대략 '
Figure 112017126902877-pat00001
'와 같은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수납바구니(110)에 구이감을 배치하면 그릴(100)에 올려진 구이감의 일면에만 열기를 가하는 것이 아니라 구이감의 사방으로 열기를 가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구이감을 요리할 수 있음은 물론, 수납바구니(110)에 배치된 구이감에서 분비되는 기름 또한 고체연료(30)에 직접적으로 낙하되지 않기 때문에 유해물질의 비산없이 구이감을 효율적으로 요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구이판(1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장치(20)의 상부에 그릴(100)을 안착시킨 후 그 상부에 불판(200)을 배치시키면서 유동방지편(250)이 구이장치(20)의 상단 둘레에 일치되도록 구이판(10)을 조립한다. 이때, 구이장치(20)의 내부에는 착화된 고체연료(30)가 수납되어진 상태이다.
다음으로, 구이감을 그릴(100)의 가열부분(Z)에 올려 고체연료(30)의 열기에 직접적으로 노출시킨다. 이때, 가열부분(Z)은 고체연료(30)의 중공부(33)와 대향되는 부분으로, 이 지점에서는 구이감이 기름을 분비하여도 분비된 기름이 고체연료(30)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낙하되지 않게 된다. 즉, 요리되는 구이감은 중공부(33)의 직 상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여기서 분비되는 기름은 중공부(33)를 향해 낙하되어 최종적으로 구이장치(20)의 하부에 모이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가열부분(Z)에 올려진 구이감이 어느 정도 익었다면, 구이감의 위치를 경사판(220)으로 옮긴다. 이때, 경사판(220)에 올려진 구이감은 고체연료(30)에서 방출되는 열기를 간접적으로 전달받게 되므로, 구이감이 완전히 식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섭취하기 알맞은 구이감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이장치(20)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장치(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고체연료(30)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체흐름구(32)에 대응되는 유체주입구(314a)가 관통된 케이스(300)를 포함한다.
이때, 케이스(300)의 상단부분에는 구이장치(20)를 들어올리기 위한 손잡이(32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300)의 하면에는 구이장치(20)의 상, 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받침다리(3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케이스(300)의 상단 내주면에는 전술한 그릴(100)의 거치를 위한 거치편(3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편(340)은 다수 회 절곡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그릴(100)의 받침작용 외에도 케이스(3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받침다리(330)는 케이스(100)와 지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례로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받침다리(330)를 케이스의 하면에 돌려 끼우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받침다리(330)를 구현하였다.
또, 케이스(300)는 방열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 도자기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구이장치(20)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케이스(300)의 주변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서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연료(30)와 케이스(300)의 내주면 사이에 일정 거리를 부여하기 위한 공기통로(350)를 케이스(300)에 형성하게 되면, 케이스(300)가 달궈지는 온도를 어느 정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공기통로(350)에서 산소가 지속적으로 유동되므로 고체연료(30)의 착화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더욱 높은 화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300)는 상기 케이스(300)의 하면을 구성하되, 다단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하측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측부(310)는 제1 플레이트(311), 상기 제1 플레이트(311)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는 수직플레이트(312), 상기 수직플레이트(312)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311)보다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고체연료(30)가 안착되는 제2 플레이트(313), 상기 제2 플레이트(313)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는 수직플레이트(314) 및 상기 수직플레이트(314)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313)보다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공기통로(350)의 간격을 부여하는 제3 플레이트(31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측부(310)가 다단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고체연료(30)를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고체연료(30)의 연소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플레이트(311)는 기름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공(311a)이 관통되고 상기 제1배출공(311a)으로 기름을 유도하기 위해 중심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플레이트(311)의 외측으로는 배출되는 기름을 수납하기 위한 기름저장통이 구비되고 케이스(300)의 하부로 모여지는 기름은 상기 제1 플레이트(311)를 타고 흘러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주입구(314a)는 상기 제2 플레이트(313)와 제3 플레이트(315)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플레이트(314)에 관통되어 고체연료(30)의 유체흐름구(32)와 연통한다.
유체주입구(314a)와 유체흐름구(32)를 통해 상대적으로 산소의 유입이 어려운 중공부(33)로 산소를 지속적으로 주입할 수 있게 되어 고체연료(30)의 연소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이장치(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00)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열원(31)의 유체흐름구(32)가 유체주입구(314a)에 일치될 수 있도록 고체연료(30)를 가이드하는 기준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준판(400)은 고체연료(30)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케이스(300)에 수납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기준판(400)을 기준으로 복수의 열원(31)을 인접 배치하면 항상 동일한 위치에 고체연료(30)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준판(400)은 인접한 열원(31)을 상호 지지하고 있으므로 케이스(300)에 수납된 고체연료(3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외 충격이 가해져도 유체주입구(314a)와 유체흐름구(32)가 일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고체연료(30)의 유체흐름구(32)와 케이스(300)의 유체주입구(314a)를 항시 동일한 위치에서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만일, 기준판(400)을 구비하지 못하였을 경우 고체연료(30)를 케이스(300)에 수납할 때 유체흐름구(32)와 유체주입구(314a)를 매번 일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과 고체연료(30)가 헛돌아 유체흐름구(32)와 유체주입구(314a)가 엇갈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구이장치(20)는 전술한 구이판(10)을 상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사용하여 구이감을 타지 않게 요리함은 물론 요리하는 과정에서 고체연료(30)의 유해성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고체연료(30)의 연소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이장치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케이스(300)의 내부에 안착되며 일정량의 물이 저수되고 중앙부분에 기름이 배출되는 제2배출공(55)이 형성되는 도넛 형태의 수조(50)를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300)의 최 하단부인 제1플레이트(311) 및 수직플레이트(312)에 안착되며 상기 제2배출공(55)은 상기 제1배출공(31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배출공(55)은 상기 수조(5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로서, 제1플레이트(311)와 수직플레이트(312)에 기름이 직접 떨어지지 않고 제1플레이트(311) 및 수직플레이트(312)에 안착되는 수조(50)의 저수된 물에 기름이 떨어지게되고, 떨어진 기름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상기 수조(50) 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상기 제2 배출공(55)을 통해 기름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물과 기름의 밀도 차에 의해 물의 상부에 떠 있는 기름만 상기 제2배출공과 제1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이장치(20)는 구이감을 요리하는 것 외에도 난로와 같은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장치(20)의 상부에서 구이판(10)을 제거하고 별도의 받침부재(40)를 제3 플레이트(315)에 안착시킨다.
이때, 받침부재(40)는 도 8의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때 거치편(340)과의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원판 상에 원주 일부가 절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 후, 받침부재(40)에 마른 장작 등을 쌓아 올려 불을 붙인 후 난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구이판 20: 구이장치
100: 그릴 300: 케이스
200: 불판 400: 기준판
210: 수평판 30: 고체연료
220: 경사판
240: 탈거홈
250: 유동방지편

Claims (6)

  1. 중앙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중심으로 링 형상으로 내부에 고체연료가 수용되는 구이장치의 상부에 안착되어 구이감이 올려지는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은,
    구이감이 상기 고체연료에서 방출되는 열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구이장치의 상부에 안착되는 매쉬 형태의 그릴; 및
    상기 고체연료에서 방출되는 열기에 구이감을 간접적으로 노출시켜 구이감에서 분비되는 기름이 고체연료에 직접 낙하하지 않고 구이장치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가지면서 상기 그릴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구이장치의 내부에 수용된 고체연료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상의 불판;을 포함하며,
    상기 불판은,
    상기 구이장치의 상단에 안착되는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의 일단에서 연장되되 구이감에서 분비되는 기름이 구이장치의 내부 중심을 향해 흘러 모이도록 하향 경사진 상태에서 그릴에 안착되는 경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릴의 중심에는 상기 고체연료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수납바구니가 하방을 향해 요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체연료의 하부에는 고체연료의 중공부를 향해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유체흐름구가 관통되며,
    상기 구이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고체연료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체흐름구에 대응되는 유체주입구가 관통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이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유체흐름구가 유체주입구에 일치될 수 있도록 열원을 가이드하는 기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판.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이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안착되며 일정량의 물이 저수되고 중앙부분에 기름이 배출되는 제2배출공이 형성되는 도넛 형태의 수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판.
KR1020170175727A 2017-12-20 2017-12-20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판 KR101975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727A KR101975121B1 (ko) 2017-12-20 2017-12-20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727A KR101975121B1 (ko) 2017-12-20 2017-12-20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121B1 true KR101975121B1 (ko) 2019-05-03

Family

ID=6658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727A KR101975121B1 (ko) 2017-12-20 2017-12-20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12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423A (ja) * 1998-11-30 2000-06-13 Niitaka Chemical Industry Co Ltd 固形燃料用焼き網器
KR20040053051A (ko) * 2004-05-31 2004-06-23 김경석 다용도 구이용불판
KR20040078032A (ko) * 2003-03-03 2004-09-08 엽정화 폐종이를 이용한 고형탄 제조 방법
KR200369879Y1 (ko) * 2004-07-22 2004-12-14 손해욱 중앙부 탈부착이 가능한 고기구이불판
KR20110104821A (ko) * 2010-03-17 2011-09-23 조종연 구이전골판 및 이를 사용하는 구이전골기
JP2013018877A (ja) * 2011-07-12 2013-01-31 Tadahiro Shinmachi 固形燃料
KR20140000916A (ko) 2012-06-26 2014-01-06 김종인 중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화로
KR101515862B1 (ko) * 2014-08-25 2015-05-04 주식회사 굿투비 다목적 구이용 석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423A (ja) * 1998-11-30 2000-06-13 Niitaka Chemical Industry Co Ltd 固形燃料用焼き網器
KR20040078032A (ko) * 2003-03-03 2004-09-08 엽정화 폐종이를 이용한 고형탄 제조 방법
KR20040053051A (ko) * 2004-05-31 2004-06-23 김경석 다용도 구이용불판
KR200369879Y1 (ko) * 2004-07-22 2004-12-14 손해욱 중앙부 탈부착이 가능한 고기구이불판
KR20110104821A (ko) * 2010-03-17 2011-09-23 조종연 구이전골판 및 이를 사용하는 구이전골기
JP2013018877A (ja) * 2011-07-12 2013-01-31 Tadahiro Shinmachi 固形燃料
KR20140000916A (ko) 2012-06-26 2014-01-06 김종인 중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화로
KR101515862B1 (ko) * 2014-08-25 2015-05-04 주식회사 굿투비 다목적 구이용 석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1829B2 (en) Rapid anti-flare-up smoker for grills
US7270122B2 (en) Portable cooking apparatus providing both direct and indirect heat cooking
US20040200359A1 (en) Outdoor cooker oven
US20130112186A1 (en) Solid fuel cook system
KR101315045B1 (ko) 무연 숯불구이 장치
KR101997388B1 (ko) 난로 겸용 구이기
US20220071447A1 (en) Grill device that prevents burning of grilled food
KR100704443B1 (ko) 하향 방열식 구이 장치
KR200444305Y1 (ko) 가스버너를 이용한, 테이블 착탈식 숯불구이기
KR101731702B1 (ko) 직화 훈제 겸용 조리기구
KR101975121B1 (ko)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판
KR200463731Y1 (ko) 황토 아궁이식 구이장치
KR101890418B1 (ko) 바비큐 그릴장치
KR20110002207A (ko) 숯과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가능한 고기구이기
US5865100A (en) Gas burner for gas fired barbecue grills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101669920B1 (ko) 수랭식 다기능 불판
KR20210060775A (ko) 난로형 구이기
US20090308264A1 (en) Ultimate combo smoker
KR102415462B1 (ko) 다목적 화덕
KR20150047847A (ko) 육류 구이기
KR102427338B1 (ko) 다기능 화로구이 장치
KR200213233Y1 (ko) 고기 구이기
JP5044322B2 (ja) 炭焼用調理器具
KR20100012797U (ko) 훈제요리가 가능한 열기순환식 고기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