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235Y1 -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 - Google Patents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235Y1
KR200277235Y1 KR2020020003851U KR20020003851U KR200277235Y1 KR 200277235 Y1 KR200277235 Y1 KR 200277235Y1 KR 2020020003851 U KR2020020003851 U KR 2020020003851U KR 20020003851 U KR20020003851 U KR 20020003851U KR 200277235 Y1 KR200277235 Y1 KR 200277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fuel
roasting
powder
meat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봉
Original Assignee
서승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승봉 filed Critical 서승봉
Priority to KR2020020003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2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235Y1/ko

Links

Landscapes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석탄가루와 쑥분말을 포함하여 성형된 구이용 성형 고체연료가 개시된다. 구이용성형 고체연료는 석탄분말, 쑥분말 및 결합제를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페이스트 형태로 만들고, 이 페이스트를 소정 형상의 성형체로 성형하여 건조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에 의하면, 연소시 재료에 함유된 인체에 이로운 성분을 방출하여 연소되는 고기의 육질 및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주변에 대한 살균 및 방충작용을 겸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Solid fuel for roasting meat}
본 고안은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연소시 고체 연료에 함유된 성분에서 방출되는 향 및 이로운 물질이 고기에 침투될 수 있는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에 관한 것이다.
구이용 고체연료는 숯, 석탄 또는 착화제가 가미된 착화탄등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이러한 구이용 고체연료는 화력, 순간 점화방식등에 대해서만 개선이 이루졌을 뿐 연소되는 고체연료가 고기 또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및 이에 대한 기능 향상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연소시 고기에 향 및 이로운 물질이 침투되게 할 수 있는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의 제조과정을 나타내 보인 플로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는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구이용 성형 고체연료에 있어서, 석탄가루와 쑥분말을 포함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체 연료는 황토도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탄, 쑥 및 황토를 각각 6:3: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 및 그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10)는 중공을 갖는 6각형 기둥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10)는 도시된 예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는 원형 중공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8각형기둥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10)가 중공을 갖는 6각형 기둥형태로 형성되면, 연소시 몸체 전체에 걸쳐 골고루 연소되고, 연소가 진행되는 동안 일정한 화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10)는 석탄, 쑥이 소정 비율로 혼합되어 성형된다.
바람직하게는 구이용 성형고체 연료는 황토도 소정비율 포함되게 조성된다.
이러한 구이용성형 고체 연료의 제조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조성재료인 석탄, 쑥, 황토를 각각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만들고, 이들 석탄가루, 쑥분말, 황토분말을 소정 비율로 혼합하고, 혼합체에 적정량의 물을 투여하여 반죽상태의 페이스트를 만든다(단계 100).
석탄가루, 쑥분말, 황토분말의 혼합비는 고체연료의 기본 기능인 화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석탄가루는 중량비가 50%가 넘도록 하는 범위에서 쑥분말과 황토분말의 혼합비를 적절하게 결정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석탄가루, 쑥분말, 황토분말의 혼합비를 중량비 6:3:1의 비율로 혼합한다.
제조된 페이스트를 성형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성형체를 찍어낼 수 있도록 된 성형기에 투입한 다음 성형과정을 거쳐 성형체를 형성한다(단계 110).
이후, 성형체를 건조시킨다(단계 120). 건조방식은 건조기를 이용한 강제건조방식 또는 자연 건조방식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이용 고체 연료는 석탄이 화력을 담당하고, 쑥 및 황토는 향 및 살균기능 및 알려진 다양한 이로운 물질을 발생시킨다.
쑥은 피를 막게하고, 염증을 삭히며 독성분을 제거하여 주고 근육의 이완작용을 하는 효능이 있어 각종 질환 치료에 이용되며, 근래에는 비만방지, 근육이 이완되면서 심층으로 신체의 심호흡을 가능하게 하여 건강유지, 염분 및 노폐물 축적방지, 스트레스 해소, 피부미용, 두통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쑥은 면역작용, 방충 작용, 살균 작용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쑥뜸 및 방충소재로 많이 이용한다. 따라서, 고체연료가 연소시 쑥으로부터 방출되는 인체에 이로운 물질이 고기에 침투되어 연소되는 고기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쑥향이 고기에 가미되어 독특한 향이 고기맛을 제공할 수 있다.
고체 연료의 재료로 이용되는 쑥은 햇볕에 말린 것을 사용한다.
한편, 황토에서는 인체의 생리리듬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지자기파 등의 파장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살균기능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성형 고체 연료는 연소시 연소대상 고기에는 이로운 물질의 침투 및 육질을 연하게 하고, 고기 이외 에도 식당 또는 야외에서의 주변에 대한 살균 또는 방충작용을 겸하게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연소시 재료에 함유된 인체에 이로운 성분을 방출하여 연소되는 고기의 육질 및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주변에 대한 살균 및 방충작용을 겸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2)

  1.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구이용 성형 고체연료에 있어서,
    석탄가루와 쑥분말을 포함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성형 고체연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연료는 황토도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
KR2020020003851U 2002-02-06 2002-02-06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 KR200277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851U KR200277235Y1 (ko) 2002-02-06 2002-02-06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851U KR200277235Y1 (ko) 2002-02-06 2002-02-06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800A Division KR20030067011A (ko) 2002-02-06 2002-02-06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235Y1 true KR200277235Y1 (ko) 2002-06-03

Family

ID=73117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851U KR200277235Y1 (ko) 2002-02-06 2002-02-06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2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147B1 (ko) 2012-09-26 2013-05-14 최수연 고기구이용 연료 조성물
KR20180038688A (ko) 2016-10-07 2018-04-17 권오혁 구이용 고체연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147B1 (ko) 2012-09-26 2013-05-14 최수연 고기구이용 연료 조성물
KR20180038688A (ko) 2016-10-07 2018-04-17 권오혁 구이용 고체연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80896A (ja) 漢方温灸剤
CN103284123A (zh) 一种大葱辣椒酱及其制作方法
JPH0469344A (ja) 無煙無臭灸組成物及びその成形物
KR200277235Y1 (ko)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
KR100998411B1 (ko) 무연 쑥뜸 및 쑥뜸 기구의 제조방법
CN101828577A (zh) 一种中药蚊香及其制备方法
KR20030067011A (ko)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266907B1 (ko) 훈증 좌욕기
KR101416984B1 (ko) 천연 모기향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27896A (ko) 무연성 탄화쑥뜸구 및 그 제조 방법
JP2006282624A (ja) 鼻の閉塞感を改善する香または線香
KR200442708Y1 (ko) 좌훈용 숯
KR100966140B1 (ko) 활성화 황토 제품 제조 방법
KR20150084365A (ko) 뜸질용 종이컵 제조방법
US9884081B2 (en) Odor and smell free composition for moxibus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400518B1 (ko) 고기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2382A (ko) 유황의 법제방법, 이로써 법제된 유황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료 및 사료
KR102136027B1 (ko) 쑥뜸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64783B1 (ko) 함초를 이용한 뜸과 미용재 제조법
KR19980015589A (ko) 숯의 제조방법
KR100690075B1 (ko) 죽염 또는 송염을 이용한 뜸용 쑥의 제조방법
KR970065697A (ko) 구이용 숯의 제조방법
KR20030002951A (ko) 숯을 이용한 쑥찜질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0430407Y1 (ko) 건강관리 의류
KR101518282B1 (ko) 과일향을 내는 좌훈용 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