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411B1 - 무연 쑥뜸 및 쑥뜸 기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연 쑥뜸 및 쑥뜸 기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411B1
KR100998411B1 KR1020080101425A KR20080101425A KR100998411B1 KR 100998411 B1 KR100998411 B1 KR 100998411B1 KR 1020080101425 A KR1020080101425 A KR 1020080101425A KR 20080101425 A KR20080101425 A KR 20080101425A KR 100998411 B1 KR100998411 B1 KR 100998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a
weight
moxibustion
mugwort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2330A (ko
Inventor
김진섭
Original Assignee
김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섭 filed Critical 김진섭
Priority to KR1020080101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4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연 쑥뜸 및 쑥뜸 기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쑥뜸에 있어 발생되는 연기량이 미량 또는 연기가 없는 쑥뜸을 제조하는 방법과 이 쑥뜸을 안락한 상태로 이용하는 관 형상의 쑥뜸기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식·약용으로 유효성분이 추출된 폐쑥 분말이나 초목탄 등의 분말로 이루어진 혼합 분말 86중량%를 열원의 주 소재로 하고 여기에 결합제로 알긴산염(Sodium Algimate) 3중량% 및 발포제로 라우릴 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3중량% 및 기타 보조제로 원적외선 방사광물 및 향을 5중량%를 부 소재로 각각 물로 혼합, 교반한 후, 쑥뜸 성형 금형에 주입하고 100℃비등점까지 가열하여 쑥뜸의 고형물(11)을 제조한 후, 쑥뜸의 유효성분인 주원료 3중량%를 상기 쑥뜸의 고형물(11) 내측 하부 요부(12)에 함입시켜 상기 열원의 주소재 및 부소재로 이루어진 고형물(11)이 무연 또는 미량의 연기로 연소됨과 동시에 상기 요부(12)에 함입된 유효성분이 연소 되며 환부 및 경락의 뜸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쑥뜸, 폐쑥, 뜸기구, 무연.

Description

무연 쑥뜸 및 쑥뜸 기구의 제조방법{A Manufacture Of Moxe Cautery Or Moxa Cautery Organization For No Smoke}
본 발명은 무연 쑥뜸 및 쑥뜸 기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쑥뜸에 있어 발생되는 연기량이 미량 또는 연기가 없는 쑥뜸을 제조하는 방법과 이 쑥뜸을 안락한 상태로 이용하기 위한 관 형상의 쑥뜸기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쑥뜸은 한의학의 대표적인 치료법 중의 하나로서 인체의 환부나 경혈부위에서 쑥을 태워서 발생하는 열기의 자극과 동시에, 쑥이 타면서 발생되는 쑥의 유효성분이 피부를 통하여 침투되게 하여 시술하는 방법이다.
이상과 같은 쑥뜸의 시술법은 피부에 쑥뜸 소재를 직접 접촉 시킨체 태우는 직접뜸이 있고, 마늘이나 생강 등을 얇게 저며서 피부에 접촉시키고 그 위에 쑥뜸을 행하는 격물뜸이 있으며, 뜸기구를 이용하는 간접 뜸이 있다.
상기 어느 시술법의 쑥뜸도 쑥을 태우는 것으로, 쑥을 태우면서 발생 되는 연기와 냄새는 주변 환경공해로 인식되어 기피대상이 되고 있어, 근래에는 뜸소재를 탄화하고 형상화하여 연기가 없는 무연뜸을 개발하였으나 쑥이 태워지면서 쑥의 고유 유효성분이 상실되는 것으로서 쑥뜸의 효과가 상실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쑥은 쑥뜸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식용, 약용 등의 그 사용 범위가 넓혀지면서 대량소비가 되어 값이 상승하게 되었고, 특히 강화 약쑥은 최근 연구로 30여가지의 생리활성물질 함량이 타지역 쑥에 비하여 매우 높다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그 가격의 상승이 타지역의 쑥보다 2배, 중국산 보다는 20배까지 상승하며 원활한 공급에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상과 같은 쑥뜸에 이용되는 종래의 관 형상의 뜸기구 소재로서 합지를 사용한 뜸판 및 지관과 흙을 이용한 도자기관이 있으나, 상기 뜸판을 이용한 뜸은 피부와 연소쑥이 가까워 열감이 뜨거운 문제점이 있고, 또한 지관은 연소되며 풀로 사용된 접착제의 연소로 냄새 및 연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도자기관을 이용하는 뜸은 열의 전도가 강해 피부에 화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쑥의 유효성분이 식·약용으로 추출되고 폐기되는 쑥과 섬유소의 함량이 높고 비중이 낮아 점화 연소가 양호한 짚, 왕겨, 면화, 버드나무, 오동나무 소재 등 의 초목을 탄화시켜 쑥뜸 열원의 소재로 쑥뜸을 제조함에 있어, 쑥뜸이 연소 되면서 피부를 직접 자극시키는 연소열 및 연소개스를 발생시키는 부위에 유효성분의 쑥뜸 소재를 정량 함입되도록 쑥뜸을 제조하여 폐쑥 및 초목으로 이루어진 탄화 열원 소재에 의해 연기의 발생이 없으면서도 쑥뜸의 효과는 동일한 쑥뜸을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고, 이 쑥뜸을 이용한 관 형상의 쑥뜸기구는 단열, 보온 및 불연성의 소재를 이용하여 안락하게 뜸 시술을 받을 수 있는 쑥뜸기구를 제조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약용으로 유효성분이 추출된 폐쑥 분말과 점화 연소가 양호한 초목이 탄화된 소재를 열원의 주 소재로 하고 여기에 결합제, 발포제 및 기타 보조제를 부 소재로 물과 함께 혼합한 후 쑥뜸 성형 금형에 주입하고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쑥뜸의 고형물을 제조한 후, 쑥뜸의 유효성분인 주원료를 상기 쑥뜸의 고형물 내측 하부에 함입시켜 상기 열원의 주소재 및 부소재로 이루어진 고형물이 연기 없이 연소 됨과 동시에 쑥뜸의 유효성분이 연소되며 환부 및 경혈의 뜸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연 쑥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봉 및 관 형상의 무연 쑥뜸 고형물이 연소되며 쑥뜸 시술되는 관형상 뜸기구는 황토나 규조토를 주 소재로 하고, 부 소재로 고령토, 소석회를, 여기에 발포제, 결합제 및 결합 보조제를 혼합한 후 금 형에 주입하고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단열, 보온 및 불연성이 양호한 뜸기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쑥의 유효성분이 식·약용으로 추출된 폐쑥과 초목을 열원의 소재로 활용 함으로서, 쑥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연기 발생 없이 연소되는 것으로서 연기에 의한 환경공해의 문제점이 개선되었으며, 단열, 보온 및 불연성의 소재를 주재료로 이용하여 제조된 쑥뜸기구로서 뜸기구에 의해 뜨거운 문제점이나 연소 되며 냄새 및 연기가 나는 환경공해의 문제점이 해결된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봉 형상의 쑥뜸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 형상의 쑥뜸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 형상의 쑥뜸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 및 2의 봉, 관 형상의 쑥뜸이 내장되어 쑥뜸 시술이 이루어지는 쑥뜸기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4의 (a), (b), (c)는 각각 사시도, 단면도, 그리고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약용으로 유효성분이 추출된 폐쑥 분말이나 초목탄 등의 분말로 이루어진 혼합 분말 86중량%를 열원의 주 소재로 하고 여기에 결합제로 알긴산염(Sodium Algimate) 3중량%, 발포제로 라우릴 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3중량% 및 기타 보조제로 원적외선 방사광물 및 향을 5중량%를 부 소재로 각각 물과 함께 혼합, 교반한 후, 쑥뜸 성형 금형에 주입하고 100℃ 비등점까지 가열하여 쑥뜸의 고형물(11)을 제조한 후, 쑥뜸의 유효성분인 주원료(쑥추출액, 쑥분말)를 상기 쑥뜸의 고형물(11) 내측 하부 요부(12)에 함입시켜 상기 열원의 주소재 및 부소재로 이루어진 고형물(11)이 연기 없이 연소됨과 동시에 상기 요부(12)에 함입된 쑥뜸의 주원료 유효성분이 연소 되며 환부 및 경혈의 뜸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연 쑥뜸(10)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관형상 뜸기구의 제조방법은 이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봉 및 관 형상의 무연 쑥뜸(10) 고형물(11)이 연소되며 쑥뜸 시술되는 관형상 뜸기구(20)는 황토나 규조토를 선택적으로 주 소재로 함에 있어, 황토 60중량%를 주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는 고령토 30중량%, 여기에 발포제 베이킹파우더 3중량%, 결합제(참쌀분말) 3중량% 및 섬유질 분말 4중량%를 각각 물에 반죽한 후 금형에 주입하고, 100℃비등점까지 가열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규조토 70중량%를 주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는 소석회 20중량%, 결합제(참쌀분) 5중량% 및 결합제(섬유분) 5중량%를 각각 물에 반죽한 후 금형에 주입하고, 100℃비등점까지 가열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봉 형상의 쑥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 형상의 쑥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 형상의 쑥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 및 2의 봉, 관 형상의 쑥뜸이 내장되어 쑥뜸 시술이 이루어지는 쑥뜸기구.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쑥뜸 11 : 고형물
12 : 요부 20 : 뜸기구

Claims (4)

  1. 쑥뜸 봉, 관, 판 형상의 고형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식·약용으로 유효성분이 추출된 폐쑥 분말이나 초목탄 등의 분말로 이루어진 혼합 분말 86중량%를 열원의 주 소재로 하고 여기에 결합제로 알긴산염 3중량%, 발포제로 라우릴 황산나트륨 3중량% 및 기타 보조제로 원적외선 방사광물 및 향을 5중량%를 부 소재로 각각 물과 함께 혼합, 교반한 후 쑥뜸 성형 금형에 주입하고 100℃ 비등점까지 가열하여 쑥뜸의 고형물(11)을 제조한 후, 쑥뜸의 유효성분인 주원료를 상기 쑥뜸의 고형물(11) 내측 하부 요부(12)에 함입시켜 상기 열원의 주소재 및 부소재로 이루어진 고형물(11)이 연기 없이 연소됨과 동시에 쑥뜸의 주원료 유효성분이 연소 되며 환부 및 경혈의 뜸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쑥뜸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분말 86중량%을 초목탄 분말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쑥뜸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따라 제조된 봉 및 관 형상의 무연 쑥뜸(10) 고형물(11)이 연소되며 쑥뜸 시술되는 관형상 뜸기구에 있어서, 황토나 규조토를 선택적으로 주 소재로 함에 있어,
    상기 황토 60중량%를 주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는 고령토 30중량%, 여기에 발포제 베이킹파우더 3중량%, 결합제(참쌀분말) 3중량% 및 섬유질 분말 4중량%를 각각 물에 반죽한 후 금형에 주입하고, 100℃ 비등점까지 가열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관형상 뜸기구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따라 제조된 봉 및 관 형상의 무연 쑥뜸(10) 고형물(11)이 연소되며 쑥뜸 시술되는 관형상 뜸기구에 있어서, 황토나 규조토를 선택적으로 주 소재로 함에 있어,
    상기 규조토 70중량%를 주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는 소석회 20중량%, 결합제(참쌀분) 5중량% 및 결합제(섬유분) 5중량%를 각각 물에 반죽한 후 금형에 주입하고, 100℃ 비등점까지 가열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관형상 뜸기구의 제조방법.
KR1020080101425A 2008-10-16 2008-10-16 무연 쑥뜸 및 쑥뜸 기구의 제조방법 KR100998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425A KR100998411B1 (ko) 2008-10-16 2008-10-16 무연 쑥뜸 및 쑥뜸 기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425A KR100998411B1 (ko) 2008-10-16 2008-10-16 무연 쑥뜸 및 쑥뜸 기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330A KR20100042330A (ko) 2010-04-26
KR100998411B1 true KR100998411B1 (ko) 2010-12-03

Family

ID=42217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425A KR100998411B1 (ko) 2008-10-16 2008-10-16 무연 쑥뜸 및 쑥뜸 기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4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6468A (zh) * 2012-02-28 2013-01-02 李三川 调温式药气通和灸具
KR20190022053A (ko) 2017-08-25 2019-03-06 정경균 뜸 제조방법
KR102069447B1 (ko) 2018-09-14 2020-01-22 김향숙 강화된 결합력에 의해 분할과 성형이 용이한 기능성 무연 쑥뜸의 제조방법
KR20210149361A (ko) 2020-06-02 2021-12-09 김동희 쑥뜸말이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992B1 (ko) * 2012-05-22 2015-03-31 배삼훈 열기조절 회전판이 구성된 뜸용 판지좌대 .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7099A (ja) 1998-06-11 1999-12-21 Yamasho:Kk 灸治療具
JP2008012031A (ja) 2006-07-05 2008-01-24 Sanseisha:Kk 温灸器用固形モグサ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7099A (ja) 1998-06-11 1999-12-21 Yamasho:Kk 灸治療具
JP2008012031A (ja) 2006-07-05 2008-01-24 Sanseisha:Kk 温灸器用固形モグサ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6468A (zh) * 2012-02-28 2013-01-02 李三川 调温式药气通和灸具
KR20190022053A (ko) 2017-08-25 2019-03-06 정경균 뜸 제조방법
KR102069447B1 (ko) 2018-09-14 2020-01-22 김향숙 강화된 결합력에 의해 분할과 성형이 용이한 기능성 무연 쑥뜸의 제조방법
KR20210149361A (ko) 2020-06-02 2021-12-09 김동희 쑥뜸말이 제조장치
KR20220034090A (ko) 2020-06-02 2022-03-17 김동희 쑥뜸말이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330A (ko) 2010-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411B1 (ko) 무연 쑥뜸 및 쑥뜸 기구의 제조방법
CN105816321A (zh) 砭灸养生床及方法
JPH0469344A (ja) 無煙無臭灸組成物及びその成形物
KR20110007331U (ko) 환상 나선형 뜸 및 제조방법.
CN103446346B (zh) 一种制作灸疗用灸条和灸炷的莞香绒
CN102327308A (zh) 一种无烟灸条及其制备方法和质量控制方法
CN204684161U (zh) 便携式药灸器
CN101455734A (zh) 一种钨金香艾灸及其制备方法
CN105497436A (zh) 用于骨性关节痛的关节消痛膏
CN204671545U (zh) 一种中医灸熨多用泥疗模
KR101781410B1 (ko) 연잎분말과 왕겨,왕겨탄,미강의 분말이 혼합 성형된 연뜸봉 및 그제조방법.
CN206443912U (zh) 一种艾灸罐
KR20070027896A (ko) 무연성 탄화쑥뜸구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128253A (ko) 쑥뜸제조방법
KR100556997B1 (ko) 황토몰탈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854058A (zh) 中药香料及其制作方法
CN103417803B (zh) 治疗颈肩腰腿痛的膏药及其制备方法
CN208809049U (zh) 一种灸疗用灸钵
KR100310975B1 (ko)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CN205849783U (zh) 砭灸养生床
KR20120060559A (ko) 쑥뜸용 쑥봉
CN103285345A (zh) 风湿骨痛擦剂
CN205729780U (zh) 砭灸养生炉
CN201668688U (zh) 熏蒸器
CN208492730U (zh) 一种具有药芯的艾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