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4090A - 쑥뜸말이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쑥뜸말이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4090A
KR20220034090A KR1020220028091A KR20220028091A KR20220034090A KR 20220034090 A KR20220034090 A KR 20220034090A KR 1020220028091 A KR1020220028091 A KR 1020220028091A KR 20220028091 A KR20220028091 A KR 20220028091A KR 20220034090 A KR20220034090 A KR 20220034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cylindrical body
plate
main shaft
moxi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희
Original Assignee
김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희 filed Critical 김동희
Priority to KR1020220028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4090A/ko
Publication of KR20220034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8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suppositories or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린 쑥을 투입하여 맷돌방식으로 갈아냄과 동시에 쌀알갱이 형태로 비벼서 소정 형상의 쑥뜸을 연속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쑥뜸말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몸체와, 이 원통형 몸체의 내부 중단부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추출판과, 이 추출판 상에 탑재되는 실리콘 평판과, 상기 추출판의 저면에 배치되는 모터와, 이 모터의 축에 수직으로 결속되어 저속 회전하는 주축과, 이 주축의 외주 상에 조립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쑥재료를 갈아냄과 동시에 비벼서 말아 쌀알갱이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작동판과, 이 작동판 상에 안착되어 원통형 몸체 내로 투입된 쑥재료를 하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회전 하우징과, 상기 주축의 상측 선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함과 동시에 원통형 몸체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상부 고정판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종전과 같이 수작업에 의존하여 일일이 비벼서 제조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자동화 방식을 채택하여 쑥봉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은 물론 노동력을 대폭 절감하고 생산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쑥뜸말이 제조장치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ugwort moxibustion}
본 발명은 말린 쑥을 투입하여 맷돌방식으로 갈아냄과 동시에 쌀알갱이 형태로 비벼서 소정 형상의 쑥뜸을 연속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쑥뜸말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쑥뜸은 인체의 경혈이나 환부에 뭉쳐진 쑥을 올려놓고 태울 때 생성되는 열을 이용하여 피부에 자극을 줌으로서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요법으로 오래 전부터 활용되어 왔다.
통상, 쑥뜸을 행하게 되면 조직세포의 움직임을 활발히 도와주고 파괴된 조직세포를 부활시키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여 막힌 기와 혈을 소통시키게 되며, 음과 양의 균형을 맞춰주고, 호르몬 분비나 신경기능 조절, 근육피로의 완화, 불면증 및 변비를 제거하며, 오장육부의 기능을 조절하고 체질을 개선하며 인체에 쌓여있는 노폐물, 지방산 등을 체외로 방출함으로써 인체의 면역력을 높여주어 신진대사가 원활해진다.
즉, 쑥뜸은 인체의 경혈 부위에 대략 40℃∼50℃ 정도의 열을 가함으로써 자극을 주게 되고, 이로 인해 경혈 부위에는 특수 단백체가 생겨난다. 이러한 단백체의 화학작용에 의해 인체의 막힌 기와 혈을 소통시킴에 따라 암이나 중풍, 당뇨, 간질환과 같은 성인병 치료 예방에 효과를 보이고 있다.
그런데, 쑥재료를 이용하여 쑥말이를 만드는 방식은 소량의 쑥재료를 양 손가락으로 일일이 비벼서 말아 사용하기 때문에 상당히 귀찮고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된다.
이러한 쑥뜸제조와 관련하여, 국내 공개특허 제2005-0049533호에는 쑥 숯탄 분말을 비롯한 뜸쑥 분말, 황토 분말, 유피 분말, 침향, 목향, 유향, 인진, 건강, 천상강 등의 한약재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단순히 쑥 분말에 여러 한약재를 첨가한 것으로 종전의 쑥말이 방식으로 제조할 수 밖에 없다.
또한, 등록특허 제0998411호에 개시된 기술은 폐쑥 분말이나 초목탄 분말 등으로 이루어진 혼합분말에 알긴산염, 라우릴황산나트륨, 원적외선 방사 광물을 물과 함께 혼합한 뒤 금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고형물로 이루어진 쑥뜸을 제조하도록 한 것이나 이는 단지 연기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기술에 불과한 것이다.
결국, 위에 예시한 종래기술을 비롯하여 현재 시중에서 사용 중에 있는 쑥재료를 금형에 의해 고형물로 제조할 수는 있으나 쑥재료를 비벼 쌀알갱이와 같은 형태로 성형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비벼서 말아주는 방식에서 탈피할 수 없는 것이었다.
공개특허 제2005-0049533호- 쑥뜸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0998411호- 무연 쑥뜸 및 쑥뜸 기구의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2069447호- 강화된 결합력에 의해 분할과 성형이 용이한 기능성 무연 쑥뜸의 제조방법. 공개실용 제2010-0006222호- 쑥뜸 성형기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형상의 틀체 내에 일정량의 쑥재료를 투입하여 맷돌방식으로 갈아냄과 동시에 쌀알갱이 형태로 비벼서 쑥뜸을 성형하기 위한 쑥뜸말이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쑥뜸에 사용되는 일정량의 쑥재료를 투입하여 비벼서 말아 쌀알갱이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쑥뜸말이 제조장치로서,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몸체와, 이 원통형 몸체의 내부 중단부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추출판과, 이 추출판 상에 탑재되는 실리콘 평판과, 상기 추출판의 저면에 배치되는 모터와, 이 모터의 축에 수직으로 결속되어 저속 회전하는 주축과, 이 주축의 외주 상에 조립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쑥재료를 갈아냄과 동시에 비벼서 말아 쌀알갱이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작동판과, 이 작동판 상에 안착되어 원통형 몸체 내로 투입된 쑥재료를 하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회전 하우징과, 상기 주축의 상측 선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함과 동시에 원통형 몸체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상부 고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주축의 상,하단부에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회전시의 소음을 억제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판의 상측 단부는 주축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 하우징의 경사면 내에는 지지편에 의해 유지되도록 탄성을 갖는 용수철이 경사지게 배치되어 원통형 몸체 내의 쑥재료가 공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동방식으로 구성한 예의 경우에는, 쑥뜸에 사용되는 일정량의 쑥재료를 투입하여 비벼서 말아 쌀알갱이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쑥뜸말이 제조장치로서,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몸체와, 이 원통형 몸체의 내부 중단부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추출판과, 이 추출판 상에 탑재되는 실리콘 평판과, 상기 원통형 몸체의 하단부 외측으로 노출된 핸들 및 회전휠을 포함하여 각각의 회전축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제1 및 제2베벨기어와, 이 제1베벨기어의 회전축 선단에 결속되는 주축과, 이 주축에 외주 상에 조립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쑥재료를 갈아냄과 동시에 비벼서 말아 쌀알갱이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작동판과, 이 작동판 상에 안착되어 원통형 몸체 내로 투입된 쑥재료를 하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회전 하우징과, 이 주축의 상측 선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함과 동시에 원통형 몸체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상부 고정판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원통형 몸체 내로 일정량의 쑥재료를 투입한 후 서서히 회전시키면서 마치 맷돌로 갈아내면서 실리콘 평판 상에서의 슬립을 억제함으로써 쑥재료가 비벼짐과 동시에 말림현상이 작용하여 쌀알갱이 형태로 쑥봉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종전과 같이 수작업에 의존하여 일일이 비벼서 제조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자동화 방식을 채택하여 쑥봉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은 물론 노동력을 대폭 절감하고 생산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쑥뜸말이 제조장치의 전체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원통형 몸체의 내부 구성품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a, 도 4b는 원통형 몸체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5a, 도 5b는 추출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a, 도 6b는 실리콘 평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7은 주축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a, 도 8b는 작동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9a, 도 9b는 회전 하우징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0a, 도 10b는 상부 고정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쑥뜸말이 제조장치는 중공의 원통형 몸체(30)와, 이 원통형 몸체(30) 내에 고정 설치되는 추출판(40A)을 포함한 실리콘 평판(40B)과, 모터(50) 및 이 모터(50)의 구동에 의해 저속 회전하는 주축(55)과, 쑥재료(S1)를 하측으로 유도하여 쌀알갱이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작동판(60A) 및 회전 하우징(60B)과, 원통형 몸체(30)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상부 고정판(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형 몸체(30)의 상,하단부에는 요홈(31a) 및 취출구(31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내경부(32)에는 단턱(33a)이 형성되어 추출판(40A) 및 실리콘 평판(40B)이 수평으로 안착됨과 동시에 세트스크류(33b)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또, 상기 원통형 몸체(30)의 일측 상단에는 지지편(34)이 부설되고, 이 지지편(34)에 조립된 핀(35a,35b)들 사이에 용수철(36)이 수직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추출판(40A)의 경우에는 중앙부에 통공(41a)을 포함한 안착홈(41b)이 형성되어 베어링(42)을 수용하며, 일측에 배출통로(43)가 형성되어 상면부에 소정 두께의 실리콘 평판(40B)이 탑재되고, 이 실리콘 평판(40B)은 추출판(40A)과 마찬가지로 중앙부에 통공(44a)이 형성됨과 동시에 일측에 배출통로(4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추출판(40A)의 하측에는 모터(50)가 장착되어 있고, 이 모터(50)의 축에는 추출판(40A) 및 실리콘 평판(40B)을 통해 주축(55)이 수직으로 장착되어 저속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 주축(55)은 모터(50)의 축에 끼워지는 케이싱(56a) 및 고정을 위한 세트스크류(56b)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단부에 숫나사부(5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판(60A)은 주축(55)에 조립되도록 관통공(61a)을 갖는 수직봉(62) 및 이 수직봉(62)의 하단부에 확장 플랜지(6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수직봉(62)과 확장 플랜지(63) 사이의 일측에 타원형 통공(64)이 형성되어 쑥재료(S1)를 유통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타원형 통공(64)의 경우에는 비록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테두리의 상단면을 가공함으로써 칼날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관통공(61a)의 상측에는 암나사부(61b)가 형성되어 주축(55)의 상단부에 형성된 숫나사부(57)가 체결됨과 동시에 세트스크류(65)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작동판(60A)의 상측 단부는 주축(55)에 체결되는 너트(66)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작동판(60A)의 확장 플랜지(63) 상에는 회전 하우징(60B)이 안착되어 작은 볼트(67)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이 회전 하우징(60B)의 내경부(68)에는 확장 경사면(69)이 형성되어 원통형 몸체(30) 내로 투입된 쑥재료(S1)를 하측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원통형 몸체(30)의 상단부에 형성된 요홈(31a) 내에는 상부 고정판(70)이 수평으로 걸쳐져 설치되고, 이 상부 고정판(70)에는 안착홈(71a)을 갖는 통공(71b)이 형성되어 베어링(72)이 탑재됨으로써 주축(55)의 상측 선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 조작에 의해 모터(50)를 가동시킴에 따라 주축(55)과 함께 작동판(60A) 및 회전 하우징(60B)이 함께 서서히 회전하게 되고, 이 때 원통형 몸체(30) 내로 쑥재료(S1)를 투입하게 되면, 회전 하우징(60B)의 확장 경사면(69)을 따라 쑥재료(S1)가 아래쪽으로 점차 내려가면서 작동판(60A)의 타원형 통공(64)으로 소량씩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쑥재료(S1)는 작동판(60A)과 실리콘 평판(40B) 사이로 들어가게 되고, 이 실리콘 평판(40B)의 재질 특성에 의해 소정 마찰력을 가지게 되므로 마치 맷돌 표면과 같은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쌀알갱이 형태로 성형되면서 무수히 많은 쑥봉(S2)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상기 쑥봉(S2)은 추출판(40A) 및 실리콘 평판(40B)에 형성된 배출통로(43,45)를 따라 아래쪽으로 자연 낙하하여 바닥에 떨어지게 되고, 원통형 몸체(30)의 하단부에 형성된 취출구(31b)를 통해 쑥봉(S2)을 수집하여 간편히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11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전기적인 모터(50)를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변형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즉, 이 경우에는 주축(55)의 하단부에 회전축(81a)을 개재하여 제1베벨기어(80A)가 수평으로 장착되고, 이 제1베벨기어(80A)에 맞물리도록 수직으로 배치된 제2베벨기어(80B)의 회전축(81b)을 원통형 몸체(3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한 후 핸들(82)이 장착된 회전휠(83)을 결속시킴으로써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핸들(82)을 수동으로 돌려 제1 및 제2베벨기어(80A,80B)를 통해 회전축(81a)을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며,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회전 하우징(60B) 내로 유입된 쑥재료(S1)를 추출판(40A) 및 실리콘 평판(40B)에 의해 쌀알갱이 형태의 쑥봉(S2)을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쑥뜸말이 제조장치에 의하면, 원통형 몸체 내로 일정량의 쑥재료를 투입한 후 서서히 회전시키면서 마치 맷돌로 갈아내면서 실리콘 평판 상에서의 슬립을 억제함으로써 쑥재료가 비벼짐과 동시에 말림현상이 작용하여 쌀알갱이 형태로 쑥봉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종전과 같이 수작업에 의존하여 일일이 비벼서 제조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자동화 방식을 채택하여 쑥봉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은 물론 노동력을 대폭 절감하고 생산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30: 원통형 몸체 31a: 요홈
31b: 취출구 32: 내경부
33a: 단턱 33b: 세트스크류
34: 지지편 35a,35b: 핀
36: 용수철 40A: 추출판
40B: 실리콘 평판 41a: 통공
41b: 안착홈 42: 베어링
43: 배출통로 44a: 통공
45: 배출통로 50: 모터
55: 주축 56a: 케이싱
56b: 세트스크류 57: 숫나사부
60A: 작동판 60B: 회전 하우징
61a: 관통공 61b: 암나사부
62: 수직봉 63: 확장 플랜지
64: 타원형 통공 65: 세트스크류
66: 너트 67: 볼트
68: 내경부 69: 확장 경사면
70: 상부 고정판 71a: 안착홈
71b: 통공 72: 베어링
80A: 제1베벨기어 80B: 제2베벨기어
81a,81b: 회전축 82: 핸들
83: 회전휠

Claims (1)

  1. 쑥뜸에 사용되는 일정량의 쑥재료를 투입하여 비벼서 말아 쌀알갱이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쑥뜸말이 제조장치로서,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몸체(30)와, 이 원통형 몸체의 내부 중단부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추출판(40A)과, 이 추출판 상에 탑재되는 실리콘 평판(40B)과, 상기 추출판의 저면에 배치되는 모터(50)와, 이 모터의 축에 수직으로 결속되어 저속 회전하는 주축(55)과, 이 주축의 외주 상에 조립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쑥재료를 갈아냄과 동시에 비벼서 말아 쌀알갱이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작동판(60A)과, 이 작동판 상에 안착되어 원통형 몸체 내로 투입된 쑥재료를 하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회전 하우징(60B)과, 상기 주축의 상측 선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함과 동시에 원통형 몸체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상부 고정판(7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말이 제조장치.
KR1020220028091A 2020-06-02 2022-03-04 쑥뜸말이 제조장치 KR20220034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091A KR20220034090A (ko) 2020-06-02 2022-03-04 쑥뜸말이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287A KR20210149361A (ko) 2020-06-02 2020-06-02 쑥뜸말이 제조장치
KR1020220028091A KR20220034090A (ko) 2020-06-02 2022-03-04 쑥뜸말이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287A Division KR20210149361A (ko) 2020-06-02 2020-06-02 쑥뜸말이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090A true KR20220034090A (ko) 2022-03-17

Family

ID=788662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287A KR20210149361A (ko) 2020-06-02 2020-06-02 쑥뜸말이 제조장치
KR1020220028091A KR20220034090A (ko) 2020-06-02 2022-03-04 쑥뜸말이 제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287A KR20210149361A (ko) 2020-06-02 2020-06-02 쑥뜸말이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4936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533A (ko) 2002-10-11 2005-05-25 유우겡가이샤 케이스타일 샌들 자동 제조 판매기
KR20100006222A (ko) 2008-07-09 2010-01-1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피치 시퀀스를 표시한 타이어
KR100998411B1 (ko) 2008-10-16 2010-12-03 김진섭 무연 쑥뜸 및 쑥뜸 기구의 제조방법
KR102069447B1 (ko) 2018-09-14 2020-01-22 김향숙 강화된 결합력에 의해 분할과 성형이 용이한 기능성 무연 쑥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533A (ko) 2002-10-11 2005-05-25 유우겡가이샤 케이스타일 샌들 자동 제조 판매기
KR20100006222A (ko) 2008-07-09 2010-01-1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피치 시퀀스를 표시한 타이어
KR100998411B1 (ko) 2008-10-16 2010-12-03 김진섭 무연 쑥뜸 및 쑥뜸 기구의 제조방법
KR102069447B1 (ko) 2018-09-14 2020-01-22 김향숙 강화된 결합력에 의해 분할과 성형이 용이한 기능성 무연 쑥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361A (ko)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43236A1 (fr) Dispositif de massage par pression des parties inférieures et supérieures du pied
CN106943299A (zh) 一种多功能组合式脚底按摩机构
CN1279918A (zh) 除痒治脚气保健鞋垫及其制法
CN107774373A (zh) 一种中医科用中药加工捣碎装置
KR20220034090A (ko) 쑥뜸말이 제조장치
CN108392386A (zh) 带熏蒸功能的颈部康复机构
CN105877905A (zh) 膏摩器
CN209316475U (zh) 一种足浴按摩盆
CN1439357A (zh) 百草琼浆护肤膏及其制备方法
CN207236970U (zh) 一种多功能组合式脚底按摩机构
CN209287432U (zh) 一种中药材研磨装置
CN200973814Y (zh) 足底旋转顶压式按摩装置
CN1899590A (zh) 舒肝清热、健脾养血的妇科中成药及其制备方法
CN108126812A (zh) 一种药材研磨机
CN205413238U (zh) 葛粉烘干粉碎一体机
CN108814944A (zh) 带熏蒸功能的颈部康复机构
CN208114797U (zh) 隔药饼灸模具
KR200496862Y1 (ko) 수동식 쑥봉 성형기구
CN1416805A (zh) 天然中药玉珠美容养颜面膜及制备方法
CN107411953A (zh) 一种具有汗蒸功能的脚部按摩器
CN102406243A (zh) 中药穴位理疗袜
CN203042884U (zh) 一种新型中药按摩索
JP3029074U (ja) マッサージ器
CN205599236U (zh) 一种中药研磨罐
CN215350652U (zh) 一种新型天然的艾灸材料制备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