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7896A - 무연성 탄화쑥뜸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무연성 탄화쑥뜸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7896A
KR20070027896A KR1020050079785A KR20050079785A KR20070027896A KR 20070027896 A KR20070027896 A KR 20070027896A KR 1020050079785 A KR1020050079785 A KR 1020050079785A KR 20050079785 A KR20050079785 A KR 20050079785A KR 20070027896 A KR20070027896 A KR 20070027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ide
moxibustion
mugwort
moxa
f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선
Original Assignee
김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선 filed Critical 김동선
Priority to KR1020050079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7896A/ko
Publication of KR20070027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1Constructive details watert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7Genit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연성 탄화쑥뜸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연성 탄화쑥뜸구는 3wt% 내지 10wt%의 찹쌀풀 바인더, 및 나머지는 탄화쑥을 포함한다. 무연성 탄화쑥뜸구는 밀도가 0.5g/cm3 내지 1.0g/cm3가 되도록 압축 성형한다.
탄화쑥뜸구, 찹쌀풀 바인더, 연소, 관통공

Description

무연성 탄화쑥뜸구 및 그 제조 방법 {CARBONIZED MOXA CAUTERY WITHOUT SMOK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연성 탄화쑥뜸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무연성 탄화쑥뜸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연성 탄화쑥뜸구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연성 탄화쑥뜸구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또다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연성 탄화쑥뜸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연성 탄화쑥뜸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연성 탄화쑥뜸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무연성 탄화쑥뜸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찹쌀풀 바인더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훈증 효과를 효율화할 수 있는 무연성 탄화쑥뜸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전부터 인체의 치료를 위하여 뜸을 이용한 치료법이 널리 이용되어 왔다. 뜸은 한방 치료법 중 하나로서, 뜸쑥을 경혈에 놓고 불을 붙여서 뜨겁게 하는 자극 요법이다. 이러한 뜸 치료법은 인체 치료를 위하여 널리 행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뜸 치료법은 뜸쑥을 직접 피부에 놓고 불을 붙여서 뜸을 행하므로, 피부에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접적인 형태로 뜸을 하면서도 효과를 볼 수 있는 쑥뜸구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즉, 쑥뜸구를 이용한 훈증 등의 방법을 통하여 뜸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이러한 방법은 여성 음부의 청결과 건강을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쑥뜸구에는 자연 상태에서 채취하여 건조한 쑥을 이용하므로, 뜸을 위해 쑥뜸구를 연소시 다량의 연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다량의 연기 발생으로 인하여 화장실 등의 좁은 공간에서 쑥뜸을 이용하기가 불편하였다.
그리고 쑥에 함유된 쑥진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쑥뜸구의 연소가 이루어지므로, 그 독한 냄새로 인해 시력 장애나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탄화시킨 쑥을 이용하여 제조한 탄화쑥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탄화쑥은 쑥을 일단 가열 연소시켜 탄화시킨 상태로 사용되므로, 연소시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쑥을 가열시 쑥에 함유된 생리적인 유해물질은 완전히 제거되어 검은 숯으로 탄화된다.
그러나 탄화쑥을 이용하여 쑥뜸구를 제조하는 경우, 탄화쑥에 수분이 거의 없는 상태이므로 일반 쑥과는 달리 접착제의 사용이 불가피하다. 탄화쑥에 수분이 거의 없으므로, 일정량의 물을 함유한 접착제를 사용해야 한다. 특히, 쑥뜸구를 특정 형태로 성형해야 할 경우가 많으므로 접착제를 반드시 첨가해야 한다. 만약 공업용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원하는 형태의 쑥뜸구를 제조할 수 있지만, 쑥뜸구를 연소시키는 경우 공업용 접착제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방출되어 인체에 유해하다.
또한, 이미 연소된 상태의 탄화쑥으로 된 쑥뜸구를 사용하므로, 쑥뜸구가 잘 연소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쑥뜸구가 비교적 쉽게 연소되도록 할 수 있는 접착제를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절한 강도를 가지면서 연소시 점화율이 우수한 무연성 탄화쑥뜸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무연성 탄화쑥뜸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연성 탄화쑥뜸구는 3wt% 내지 10wt%의 찹쌀풀 바인더, 및 나머지는 탄화쑥을 포함한다. 무연성 탄화쑥뜸구는 밀도가 0.5g/cm3 내지 1.0g/cm3가 되도록 압축 성형한다.
찹쌀풀 바인더는 실질적으로 5wt%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쑥뜸구의 압축강도는 500kgf/cm2 내지 1000kgf/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쑥은 고정 탄소를 70.0wt% 내지 90.0% 포함할 수 있다.
탄화쑥뜸구의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쑥뜸구는 원추형일 수 있다.
탄화쑥뜸구 측면의 경사 각도는 10°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쑥뜸구의 저면에 관통공과 연통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홈을 2개 이상 형성할 수 있다.
관통공의 직경은 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쑥뜸구는 원통형일 수 있다.
탄화쑥뜸구를 지지하는 방수지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연성 탄화쑥뜸구는, 한약재, 건조쑥 및 황토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5wt% 이하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연성 탄화쑥뜸구의 제조 방법은, 건조쑥을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건조쑥을 세라믹 용기에 삽입하는 단계, 세라믹 용기를 200℃ 내지 400℃로 가열하여 분쇄된 건조쑥을 탄화시켜서 탄화쑥을 제조하는 단계, 탄화쑥에 3wt% 내지 10wt%의 찹쌀풀 바인더를 혼합하여 혼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혼합체의 밀도가 0.5g/cm3 내지 1.0g/cm3가 되도록 혼합체를 압축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혼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찹쌀풀 바인더를 실질적으로 5wt%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체를 압축 성형하는 단계에서, 탄화쑥뜸구의 압축강도가 500kgf/cm2 내 지 1000kgf/cm2로 되도록 압축 성형할 수 있다.
탄화쑥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탄화쑥은 고정 탄소를 70.0wt% 내지 90.0% 포함하도록 탄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연성 탄화쑥뜸구(이하 '탄화쑥뜸구'라고 함)(10)를 나타낸다. 도 1의 좌측원은 탄화쑥뜸구(10)의 저면을 나타내고, 도 1의 우측원은 탄화쑥뜸구(10)의 측면을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화쑥뜸구(10)는 원추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탄화쑥뜸구(10)의 저면의 면적이 크므로, 탄화쑥뜸구(10)가 쓰러지지 않고 효율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특히, 탄화쑥뜸구(10)의 상부로부터 연소가 이루어지는 경우, 탄화쑥뜸구(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연소가 잘 이루어진다. 탄화쑥뜸구(10)를 연소시키는 경우에 다량의 원적외선이 발생하므로 인체에 유익하다.
도 1에 도시한 탄화쑥뜸구(10)의 내부에는 관통공(101)을 형성한다. 탄화쑥뜸구(10)를 사용하는 경우, 탄화쑥뜸구(10)의 상부에 불을 붙여서 탄화쑥뜸구(10)를 연소시킨다. 이 경우, 관통공(101)을 통해 하부로부터 공기가 잘 공급된다. 따라서 탄화쑥뜸구(10)에 불이 잘 붙을 뿐만 아니라 하부까지 연소가 잘 이루어진다. 그 결과, 별도의 심지를 부착하지 않아도 탄화쑥뜸구(10)에 불이 잘 붙는다.
관통공(101)의 직경(d)은 5mm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쑥뜸구(10)를 연소시키는 경우에 발생하는 훈증기의 온도는 40℃ 내지 50℃가 적당하다. 훈증기를 이와 같은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서 관통공(101)의 직경(d) 크기를 조정하여 탄화쑥뜸구(10)에서 배출되는 가열 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한다. 직경(d)을 5mm 이하로 조절하면 가열 공기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직경(d)이 5mm를 넘으면, 가열 공기의 양이 많아져서 훈증기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잘 공급하기 위하여 탄화쑥뜸구(10)의 저면에 홈(103, 105)을 형성한다. 도 1의 좌측원에는 탄화쑥뜸구(10)의 저면에 형성된 홈(103, 105)을 나타낸다. 홈(103, 105)은 관통공(101)과 연통되므로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도 1의 좌측원에 도시한 홈(103, 105)의 형태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른 형태로도 홈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도 1의 좌측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103, 105)을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도 2의 우측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화쑥뜸구(10)의 경사 각도를 α라고 하면, α는 40°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α가 40°보다 작으면 탄화쑥뜸구(10)의 높이가 너무 낮으므로, 탄화쑥뜸구(10)의 연소 시간이 줄어든다. 따라서 효율적인 치료가 어렵다. 또한, α가 80°보다 크면 탄화쑥뜸구(10)의 높이가 너무 커져서 너무 천천히 연소되므로, 치료에 필요한 만큼의 훈증기가 다량으로 발생 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2를 통하여 도 1에 도시한 탄화쑥뜸구(10)의 제조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건조시킨 쑥을 준비한다. 도 2의 단계(S10)에서는 건조쑥을 분쇄하여 미세한 가루로 제조한다. 단계(S20)에서는 분쇄된 건조쑥을 탄화시키기 위하여 분쇄된 건조쑥을 세라믹 용기에 삽입한다. 용기는 가열시에 깨지지 않아야 하므로, 내열성이 우수한 세라믹으로 된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30)에서는 세라믹 용기를 200℃ 내지 400℃의 온도로 가열하여 분쇄된 건조쑥을 탄화시킨다. 건조쑥을 직접 가열하면 인체 치료시에 필요한 성분도 연소에 의해 소멸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세라믹 용기를 통하여 건조쑥을 간접 가열한다. 가열 온도가 200℃ 미만이면, 건조쑥이 잘 탄화되지 않고, 가열 온도가 400℃를 넘으면 건조쑥이 너무 탄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단계(S10)에서 건조쑥을 미세하게 분쇄하였으므로 건조쑥의 표면적이 최대로 된다. 따라서 건조쑥에 충분한 열을 전달하여 건조쑥을 효율적으로 간접 가열할 수 있다.
건조쑥의 가열에 따라 탄화쑥을 제조할 수 있다. 건조쑥의 탄화에 따라 탄화쑥은 고정 탄소를 70.0wt% 내지 90.0wt% 함유한다. 고정 탄소의 양이 70.0wt% 미만인 경우, 탄화가 덜 되어 연소시 연기가 발생한다. 또한, 고정 탄소의 양이 90.0wt%를 넘을 정도로 탄화되는 경우, 탄화에 따른 연료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단계(S40)에서는 탄화쑥에 찹쌀풀 바인더를 골고루 혼합한다. 본 발명에서 는 바인더로서 공업용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찹쌀풀 바인더를 사용하므로 인체에 무해하다. 찹쌀풀 바인더는 어느 정도의 점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가루화된 탄화쑥들이 서로 잘 붙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탄화쑥에 찹쌀풀 바인더를 혼합시켜 성형하기에 적합하다. 찹쌀풀 바인더는 물을 찹쌀에 혼합해 가열하면서 저어줌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탄화쑥에 찹쌀풀 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체 총량의 3wt% 내지 10wt%가 되도록 찹쌀풀 바인더를 혼합한다. 찹쌀풀 바인더의 양이 3wt% 미만이면, 가루화된 탄화쑥이 서로 잘 붙지 않아 성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강도가 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찹쌀풀 바인더의 양이 10wt%를 넘으면, 혼합체를 성형시 혼합체가 성형틀에 달라붙는다. 따라서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찹쌀풀 바인더는 실질적으로 5wt% 정도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5wt%의 찹쌀풀 바인더 또는 5wt%에 가까운 찹쌀풀 바인더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찹쌀풀 바인더의 배합량은 탄화쑥뜸구의 강도, 점화율 및 연소시 냄새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전술한 범위의 찹쌀풀 바인더를 사용한 탄화쑥뜸구의 압축강도는 500kgf/cm2 내지 1000kgf/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강도가 500kgf/cm2 미만이면, 강도가 너무 약해서 실제 사용시 내구성이 떨어진다. 또한, 압축강도가 1000kgf/cm2 이면 탄화쑥뜸구의 강도가 너무 커서 연소에 지장을 초래한다.
찹쌀풀 바인더 이외에 한약재, 건조쑥 및 황토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5wt% 이하 더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성분들이 5wt% 넘게 첨가되면 탄화쑥뜸구의 강도가 저하되고 점화율도 저하된다.
한약재를 첨가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황토가루를 첨가하여 탄화쑥뜸구의 연소시 원적외선이 더욱 많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원적외선은 인체의 가장 기본적인 세포에 영향을 미쳐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신진대사 및 조직재생능력을 강화시킨다. 그 결과, 인체의 면역력을 강화시켜 스스로 건강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건조쑥을 약간 첨가하여 쑥에 함유된 성분에 의한 치료 효과를 최대화한다. 건조쑥은 연기를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정량 첨가한다.
단계(S50)에서는 탄화쑥과 찹쌀풀 바인더가 혼합된 혼합체의 밀도가 0.5kg/cm3 내지 1.0kg/cm3가 되도록 압축 성형한다. 이 경우, 다양한 형태의 성형틀에 혼합체를 넣은 다음에 프레싱(pressing)하여 혼합체를 압축 성형할 수 있다. 압축 성형하므로 혼합체의 밀도가 0.5kg/cm3 미만으로 되는 것은 제조상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혼합체의 밀도가 1.0kg/cm3을 넘으면 혼합체가 물에 잘 뜨지 않는다. 후술하지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혼합체인 탄화쑥뜸구를 점화시킨 후 좌변기내의 물위에 띄워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훈증 치료를 하는 경우를 위해 혼합체가 물에 잘 떠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탄화쑥뜸구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한 탄화쑥뜸구는 적절한 강도를 확보하여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점화율이 우수하면서도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탄화쑥뜸구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화쑥뜸구를 바닥에 놓고 점화시켜 사용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화쑥뜸구를 좌변기 속에 넣고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탄화쑥뜸구(10)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신문지 등의 종이(50)를 펼친 후 탄화쑥뜸구(10)를 놓는다. 다음으로 성냥(52) 등을 이용하여 탄화쑥뜸구(10)의 상부에 불을 붙인다. 탄화쑥뜸구(10)에 불이 붙으면서 연소되고 이에 따라 훈증기가 발생한다. 훈증기는 실제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신체 일부에 훈증기를 쐬어 훈증기에 의한 치료가 가능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탄화쑥뜸구(10)를 변형하여 사용하는 또다른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변기(60) 내부에 탄화쑥뜸구(10)를 넣어서 사용할 수 있다.
탄화쑥뜸구(10)가 좌변기(60) 내부의 물에 닿아 연소가 불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탄화쑥뜸구(10)를 지지하는 방수지(110)를 부착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탄화쑥뜸구(10)가 끝까지 잘 타들어갈 수 있다. 특히, 탄화쑥뜸구(10)의 밀도가 0.5g/cm3 내지 1.0g/cm3가 되도록 압축 성형하였으므로, 물 위에 잘 뜬다. 또한, 방수지(110)로 인하여 탄화쑥뜸구(10)가 물속으로 가라앉지 않는다.
탄화쑥뜸구(10)에 불을 붙이면 훈증기가 발생하므로, 좌변기(60)에 앉아서 손쉽게 훈증 치료가 가능하다. 또한, 탄화쑥뜸구(10)의 연소 완료시, 바로 좌변기(60)의 물을 내림으로써 다쓴 탄화쑥뜸구(10)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화쑥뜸구(20)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이 없는 원추형으로 탄화쑥뜸구(20)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탄화쑥뜸구(20)의 형상이 비교적 간단하므로 제조가 용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탄화쑥뜸구(30)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화쑥뜸구(30)를 원통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그 내부에는 관통공(101)이 형성된다. 이 경우 탄화쑥뜸구(30)의 형상이 비교적 간단하므로, 제조 비용이 적게 들면서도 제조가 용이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탄화쑥뜸구(40)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관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원통형의 탄화쑥뜸구(40)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탄화쑥뜸구(40)의 제조가 더욱 용이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탄화쑥뜸구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화쑥뜸구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험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건조한 쑥 200g을 분쇄하여 가루화하였다. 분쇄한 가루쑥 200g을 중공형 세 라믹 용기에 넣고 400℃에서 10분동안 가열하였다. 세라믹 용기내에서 간접 가열에 의해 탄화된 탄화쑥을 얻었다. 탄화쑥 일부에 다양한 양의 찹쌀풀 바인더를 넣어 혼합한 후 프레스 용기에 넣어 1500kgf/cm2의 압력으로 압축 성형하였다. 성형틀을 사용하여 압축 성형함으로써 도 1에 도시한 형태의 탄화쑥뜸구를 얻었다.
실험예 1
찹쌀풀 바인더가 탄화쑥뜸구 총량의 1wt%가 되도록 찹쌀풀 바인더를 탄화쑥에 배합하였다. 즉, 탄화쑥 99g에 1g의 찹쌀풀을 혼합하였다.
전술한 방법으로 제조한 탄화쑥뜸구를 양측에서 잡아당겨서 탄화쑥뜸구가 부서지는 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점화율 측정을 위하여 탄화쑥뜸구에 성냥으로 불을 붙일 때부터 불이 붙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탄화쑥뜸구의 연소 상태를 관찰하였다.
실험예 2
찹쌀풀 바인더가 탄화쑥뜸구 총량의 3wt%가 되도록 찹쌀풀 바인더를 탄화쑥에 배합하였다. 즉, 탄화쑥 97g에 3g의 찹쌀풀을 혼합하였다. 나머지 실험 방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3
찹쌀풀 바인더가 탄화쑥뜸구 총량의 5wt%가 되도록 찹쌀풀 바인더를 탄화쑥에 배합하였다. 즉, 탄화쑥 95g에 5g의 찹쌀풀을 혼합하였다. 나머지 실험 방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4
찹쌀풀 바인더가 탄화쑥뜸구 총량의 10wt%가 되도록 찹쌀풀 바인더를 탄화쑥에 배합하였다. 즉, 탄화쑥 90g에 10g의 찹쌀풀을 혼합하였다. 나머지 실험 방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5
찹쌀풀 바인더가 탄화쑥뜸구 총량의 12wt%가 되도록 찹쌀풀 바인더를 탄화쑥에 배합하였다. 즉, 즉, 탄화쑥 88g에 12g의 찹쌀풀을 혼합하였다. 나머지 실험 방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비교예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탄화쑥뜸구과의 비교를 위하여 탄화쑥 또는 건조쑥을 이용하여 종래의 방법에 따라 쑥뜸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건조한 쑥 100g을 분쇄하여 가루화하였다. 가루쑥 98g에 2g의 황토를 혼합한 후 압축 성형하여 쑥뜸구를 제조하였다. 쑥뜸구를 양측에서 잡아당겨서 쑥뜸구가 부서지는 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점화율 측정을 위하여 쑥뜸구에 성냥으로 불을 붙일 때부터 불이 붙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쑥뜸구의 연소 상태를 관찰하였다.
비교예 2
건조한 쑥 200g을 분쇄하여 가루화하였다. 분쇄한 가루쑥 200g을 중공형 세라믹 용기에 넣고 120℃에서 10분동안 가열하였다. 세라믹 용기내에서 간접 가열 에 의해 탄화된 탄화쑥을 얻었다. 탄화쑥 95g에 공업용 접착제 5g을 넣어 혼합한 후 프레스 용기에 넣어 1500kgf/cm2의 압력으로 압축 성형하였다. 나머지 실험 내용은 전술한 비교예 1과 동일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5와 종래 기술에 따른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실험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5048262225-PAT00001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험예 2 내지 실험예 4에 따른 탄화쑥뜸구의 압축강도가 가장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실험예 2 내지 실험예 4에 기재된 탄화쑥뜸구의 압축강도는 그리 크지도 않고 작지도 않았다. 반면에, 실험예 1 및 비교예 1의 경우 압축강도가 너무 낮아서 내구성이 좋지 않았고, 실험예 5 및 비교예 2의 경우 압축강도가 너무 컸다.
또한, 연소시 점화시간은 실험예 2 내지 실험예 5와 비교예 1이 비교적 양호하였다. 반면에 실험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 점화시간이 너무 느린 문제점이 있었다.
연소상태를 관찰시 본 발명의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5의 경우, 탄화쑥뜸구의 연소시 연기가 발생하지 않고 냄새도 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비교예 1은 연기가 다량 발생하였고, 비교예 2는 무연이지만, 악취가 발생하였다. 이는 공업용 접착제를 바인더로 사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었다.
전술한 실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볼 때, 본 발명의 실험예 2 내지 실험예 4와 같이 찹쌀풀을 혼합하는 경우 양질의 탄화쑥뜸구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탄화쑥뜸구는 강도, 점화율 및 연소 상태가 모두 우수하다. 따라서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연기가 발생하지 않아 실제 사용시 매우 편리하다. 특히, 찹쌀풀 바인더를 3wt% 내지 10wt% 혼합하면 양질의 탄화쑥뜸구를 얻을 수 있다.
탄화쑥뜸구의 내부 및 저면에 각각 관통공 및 홈을 형성함으로써 탄화쑥뜸구가 좀더 쉽게 점화될 뿐만 아니라 연소가 잘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Claims (17)

  1. 3wt% 내지 10wt%의 찹쌀풀 바인더, 및
    나머지는 탄화쑥
    을 포함하는 탄화쑥뜸구로서,
    밀도가 0.5g/cm3 내지 1.0g/cm3가 되도록 압축 성형한 무연성 탄화쑥뜸구.
  2. 제1항에서,
    상기 찹쌀풀 바인더는 실질적으로 5wt%인 무연성 탄화쑥뜸구.
  3. 제1항에서,
    상기 탄화쑥뜸구의 압축강도는 500kgf/cm2 내지 1000kgf/cm2인 무연성 탄화쑥뜸구.
  4. 제1항에서,
    상기 탄화쑥은 고정 탄소를 70.0wt% 내지 90.0% 포함하는 무연성 탄화쑥뜸구.
  5. 제1항에서,
    상기 탄화쑥뜸구의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무연성 탄화쑥뜸구.
  6. 제5항에서,
    상기 탄화쑥뜸구는 원추형인 무연성 탄화쑥뜸구.
  7. 제6항에서,
    상기 탄화쑥뜸구 측면의 경사 각도는 10°내지 80°인 무연성 탄화쑥뜸구.
  8. 제7항에서,
    상기 탄화쑥뜸구의 저면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하는 홈이 형성된 무연성 탄화쑥뜸구.
  9. 제8항에서,
    상기 홈을 2개 이상 형성한 무연성 탄화쑥뜸구.
  10. 제5항에서,
    상기 관통공의 직경은 5mm 이하인 무연성 탄화쑥뜸구.
  11. 제5항에서,
    상기 탄화쑥뜸구는 원통형인 무연성 탄화쑥뜸구.
  12. 제1항에서,
    상기 탄화쑥뜸구를 지지하는 방수지가 부착된 무연성 탄화쑥뜸구.
  13. 제1항에서,
    한약재, 건조쑥 및 황토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5wt% 이하 더 포함하는 무연성 탄화쑥뜸구.
  14. 건조쑥을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건조쑥을 세라믹 용기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세라믹 용기를 200℃ 내지 400℃로 가열하여 상기 분쇄된 건조쑥을 탄화시켜서 탄화쑥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탄화쑥에 3wt% 내지 10wt%의 찹쌀풀 바인더를 혼합하여 혼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체의 밀도가 0.5g/cm3 내지 1.0g/cm3가 되도록 상기 혼합체를 압축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연성 탄화쑥뜸구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서,
    상기 혼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찹쌀풀 바인더를 실질적으로 5wt% 혼합하는 무연성 탄화쑥뜸구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서,
    상기 혼합체를 압축 성형하는 단계에서,
    상기 탄화쑥뜸구의 압축강도가 500kgf/cm2 내지 1000kgf/cm2로 되도록 압축 성형하는 무연성 탄화쑥뜸구의 제조 방법.
  17. 제14항에서,
    상기 탄화쑥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탄화쑥은 고정 탄소를 70.0wt% 내지 90.0% 포함하도록 탄화된 무연성 탄화쑥뜸구.
KR1020050079785A 2005-08-30 2005-08-30 무연성 탄화쑥뜸구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27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785A KR20070027896A (ko) 2005-08-30 2005-08-30 무연성 탄화쑥뜸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785A KR20070027896A (ko) 2005-08-30 2005-08-30 무연성 탄화쑥뜸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896A true KR20070027896A (ko) 2007-03-12

Family

ID=38100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785A KR20070027896A (ko) 2005-08-30 2005-08-30 무연성 탄화쑥뜸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789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606Y1 (ko) * 2008-09-30 2011-09-15 오원춘 좌변기용 훈증기
CN104784042A (zh) * 2015-05-16 2015-07-22 高本花 督灸红外线治疗除烟箱
KR20160102620A (ko) * 2015-02-23 2016-08-31 김부연 불연막을 포함하는 화상방지 뜸기
KR102069447B1 (ko) * 2018-09-14 2020-01-22 김향숙 강화된 결합력에 의해 분할과 성형이 용이한 기능성 무연 쑥뜸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606Y1 (ko) * 2008-09-30 2011-09-15 오원춘 좌변기용 훈증기
KR20160102620A (ko) * 2015-02-23 2016-08-31 김부연 불연막을 포함하는 화상방지 뜸기
CN104784042A (zh) * 2015-05-16 2015-07-22 高本花 督灸红外线治疗除烟箱
KR102069447B1 (ko) * 2018-09-14 2020-01-22 김향숙 강화된 결합력에 의해 분할과 성형이 용이한 기능성 무연 쑥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95986A (ja) 温灸具及び鍼灸具
KR20070027896A (ko) 무연성 탄화쑥뜸구 및 그 제조 방법
JPH0469344A (ja) 無煙無臭灸組成物及びその成形物
KR100998411B1 (ko) 무연 쑥뜸 및 쑥뜸 기구의 제조방법
CN106723369A (zh) 一种可用于加热不燃烧抽吸的传统卷烟
CN108175689A (zh) 艾灸器
KR20110007331U (ko) 환상 나선형 뜸 및 제조방법.
KR101781410B1 (ko) 연잎분말과 왕겨,왕겨탄,미강의 분말이 혼합 성형된 연뜸봉 및 그제조방법.
KR102069447B1 (ko) 강화된 결합력에 의해 분할과 성형이 용이한 기능성 무연 쑥뜸의 제조방법
CN201542928U (zh) 一种艾饼
JP4745457B1 (ja) 枇杷葉温灸用燃焼材及び枇杷葉台座灸
CN101455734A (zh) 一种钨金香艾灸及其制备方法
KR100611527B1 (ko) 쑥뜸용 쑥봉
KR101639284B1 (ko) 뜸질용 종이컵 및 그 제조방법
KR200442708Y1 (ko) 좌훈용 숯
JP3161762B2 (ja) 無煙無臭灸成形物の製造方法
KR101366058B1 (ko) 쑥뜸봉 및 그의 제조방법
CN220002342U (zh) 易点燃艾条
KR20120054503A (ko) 쑥뜸봉, 쑥뜸장치 및 쑥뜸봉의 제조방법
CN108261329A (zh) 一种中药调温灸具
KR200277235Y1 (ko) 구이용 성형 고체 연료
KR100939797B1 (ko) 뜸질용 훈열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67096A (ko) 뜸구 제조방법
CN215961122U (zh) 一种艾灸理疗用灸条点火装置
CN209679037U (zh) 艾灸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