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606Y1 - 좌변기용 훈증기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훈증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5606Y1 KR200455606Y1 KR2020080013097U KR20080013097U KR200455606Y1 KR 200455606 Y1 KR200455606 Y1 KR 200455606Y1 KR 2020080013097 U KR2020080013097 U KR 2020080013097U KR 20080013097 U KR20080013097 U KR 20080013097U KR 200455606 Y1 KR200455606 Y1 KR 20045560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ed body
- wormwood
- main body
- mugwort
- charco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의 회음혈 부근에 약쑥 등과 같은 훈증제의 증기와 열, 특히 원적외선을 간편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좌변기용 훈증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쑥탄성형체(31)를 수용하기 위한 연소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22)와, 상기 본체부(22)를 좌변기(11)의 상단에 걸쳐놓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22)의 상단 주연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날개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쑥, 회음혈, 좌변기, 본체부, 고정날개부, 성형체수용홈, 발열체, 훈증, 원적외선
Description
본 고안은 좌변기용 훈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의 회음혈 부근에 약쑥 등과 같은 훈증제의 증기와 열, 특히 원적외선을 간편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좌변기용 훈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灸 ; 뜸)의 치료작용이라는 것은 침(鍼)의 경우와 같이 전신의 조직, 기관의 기능이상을 조정하고, 생리적인 상태로 회복시키는 작용이며, 치료목적에 따라서 (1)조정작용(調整作用), (2)유도작용(誘導作用), (3)반사작용(反射作用), (4)방어작용(防禦作用), (5)보혈작용(補血作用). (6)지혈작용(止血作用) 및 (7)강심작용(强心作用)에 의한 치료효능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회음혈은 독맥과 임맥, 충맥이 전음(생식기)과 후음(항문)사이에 교차하여 만난다는 의미로 지어진 명칭으로, 한의학에서는 예로부터 회음혈(會陰穴)에 자침(刺針) 및 애구(艾灸 ; 쑥뜸)를 하여 남녀 생식기 질환과 전간(癲癎), 산후 인사불성 등의 증상을 치료하여 왔으나, 이 혈의 위치가 생식기에 근접하여 환자의 수치심을 야기시키므로 자침 보다는 애구가 보다 적합하며, 그중에서도 간접구의 방법에 의하는 것이 보다 간편한 것이지만, 그동안 많이 활용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경혈학총서 제674면에서는 특히 회음혈의 주치효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기재되어 있다.
침구동인(針灸銅人): 소변난(小便難), 규중열(竅中熱), 피동통(皮疼痛), 곡도소양(穀道瘙痒), 구치상통자사(久痔相通者死), 음중제병(陰中諸病), 전후상인통(前後相引痛), 불득대소변(不得大小便), 여자경불통(女子經不通), 남자음단한(男子陰端寒).
침구취영(針灸聚英): 음한(陰汗), 음두동(陰頭疼), 음중제병(陰中諸病), 전후상인통(前後相引痛), 불득대소변(不得大小便), 음단한(陰端寒), 충심규(衝心竅), 중열피동통(中熱皮疼痛), 곡도소양(穀道瘙痒), 구치상통(久痔相通), 여자경수불통(女子經水不通), 음문종통(陰門腫痛)
의학입문(醫學入門): 치여음상통자사(痔與陰相通者死), 음중제병(陰中諸病), 전후상인통(前後相引痛), 불득대소변(不得大小便), 음한충심(陰寒衝心), 여자월경복통(女子月經不通)
침구강의(針灸講義): 음한(陰汗), 음두통(陰頭痛), 경수불조(經水不調), 음연(陰挻), 음문종통(陰門腫痛), 구치(久痔), 대소변불득(大小便不得), 유정(遺精).
침구배혈(針灸配穴): 유정(遺精), 음경통(陰莖痛), 자궁하수(子宮下垂), 음도종통(陰道腫痛), 처(痔), 이편불리(二便不利), 익사(溺死).
침구개요(針灸槪要): 음양(陰痒), 월경불조(月經不調), 항문종통(肛門腫痛), 소변불통(小便不通), 유뇨(遺尿), 유정(遺精), 전광(癲狂).
즉, 상기와 같은 다양한 회음구의 효능에도 불구하고, 생식기 주변이라는 부 위의 특정상 임상적 활용이 적었고, 직접적인 뜸은 화상 및 시술 상 고통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마늘절편이나 생강 절편을 이용한 간접구도 회음혈에는 불편하여 현재까지 널리 이용 되지 못하였던 것이 사실이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간편한 방법으로 환자 스스로 자가 치료 및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다양한 회음간접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회음간접구는 별도의 좌욕기와 같은 기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집에서 간편하게 이를 실시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33036호에서는 바닥면의 중앙이 돌출되고 그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관통공의 외주로 골이 형성된 컵과; 끼움부와 컵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하는 링부 그리고 링부와 끼움부를 연결하는 연결간으로 구성된 고정대; 그리고 쑥을 일정형태로 형성하기 위한 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훈증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86248호에서는 일정시간동안 불로 태울 수 있도록 쑥을 건조하여 압축시켜 제조한 쑥봉과;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고, 양끝단에는 좌변기에 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접착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쑥봉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띠부제로 구성되어 이 때부재는 양단이 일반좌변기의 몸체 외측에 고정되어 쑥봉이 좌변기 내에 일정하게 고인 물의 상부로 소정의 높이로 매달려 위치하게 되는 일회용 쑥 훈증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들은 좌변기에 별도로 기구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이를 실시할 수 없으며, 외출 시에도 기구를 소지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11113호에서는 약쑥잎, 회엽, 안식향, 참나무 숯 및 창출을 건조 후, 물과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분쇄시키며, 점화시 끝까지 연소될 수 있도록 소정형상으로 동결건조시킨 약쑥탄과, 상기 약쑥탄을 상부에 형성하여 연소시키며, 상기 약쑥탄이 연소 후 물에 용해되는 종이재의 부유물을 구비한 여성용 훈연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부유물은 종이재질로 만들어져 있어서, 연소중에 물에 쉽게 젖어버려서 약쑥탄이 끝까지 연소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연소 중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에 의하여 약쑥탄과 부유물이 닿는 부분에 수분이 발생하여 간접구의 효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11113호에서는 약쑥 및 참숯을 포함한 훈열용 약재를 일정비율로 혼합, 성형한 훈열탄과, 상기 훈열탄을 수용하여 물위에 부유시키는 생분해성이면서 단시간에 젖지 않는 재질 로 만들어진 부유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부유물의 내측바닥면과 훈열탄의 사이에, 훈열탄의 연소 중에 발생되는 결로현상에 의해 훈열탄이 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용성 재질의 결로차단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열제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훈열탄의 연소가 완료되는 시점에 결로차단부재에 불이 옮겨 붙음으로써 발생하는 연기에 의하여 간접구의 효과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결로차단부재의 추가로 인하여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아울러, 상기 종래기술들에서 언급되고 있는 간접구의 조성은 회음혈에 적용 하기에는 부적절한 재료들이 주를 이루고 있어서 그 효능을 극대화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으며, 또한 간접구의 크기 또한 고려되지 아니하여, 너무 크거나 혹은 너무 작은 크기의 간접구를 제조하게 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효과가 거의 없거나 부작용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인체의 회음혈 부근에 약쑥 등과 같은 훈증제의 증기와 열, 특히 원적외선을 간편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좌변기용 훈증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좌변기용 훈증기는, 내부에 쑥탄성형체를 수용하기 위한 연소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좌변기의 상단에 걸쳐놓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단 주연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는 상기 쑥탄성형체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성형체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체수용홈은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그를 통하여 통과할 수 있는 그물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성형체수용홈은 바람직하게는 전력의 공급에 의하여 발열하여 상기 쑥탄성형체를 착화시킬 수 있는 발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쑥탄성형체는 쑥, 구일초, 구절초, 포공영(민들레), 익모초, 사상자, 천궁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허브류의 건조분말 5 내지 15중량%, 결합제로서 전분풀 15 내지 30중량% 및 잔량으로서 숯탄혼합물을 포함하되, 상기 숯탄혼합물이 숯과 활성탄을 숯 : 활성탄의 혼합비가 중량비로 1 내지 9 : 9 내지 1의 비율로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인체의 회음혈 부근에 약쑥 등과 같은 훈증제의 증기와 열, 특히 원적외선을 간편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좌변기용 훈증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훈증기는, 내부에 쑥탄성형체(31)를 수용하기 위한 연소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22)와, 상기 본체부(22)를 좌변기(11)의 상단에 걸쳐놓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22)의 상단 주연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날개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무용 또는 상업용 건물들이나 일반 가정 등 인간의 생활공간들에서 널리 사용되는 화장실의 좌변기(11)에 간단하게 올려놓는 것에 의하여 좌변기(11) 내에 훈증 특히 쑥뜸을 위한 쑥탄성형체(31)를 놓고, 이를 연소시키는 것에 의해 인체의 회음혈에 쑥의 증기 및 숯의 연소 시 발생하는 원적외선을 용이하게 적용시키 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훈증기(21)의 고정날개부(23)는 좌변기(11)의 착좌덮개(12)를 들어올린 후, 상기 좌변기(11)의 상면 상에 걸쳐놓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훈증기(21)는 단순히 좌변기(11)의 착좌덮개(12)를 들어올리고, 이를 올려놓는 것만으로 설치가 완료될 수 있으며, 그 후, 상기 훈증기(21)의 상기 본체부(22) 내에 쑥뜸을 위한 쑥탄성형체(31)를 투입하고, 이를 연소시키는 것에 의해 인체의 회음혈에의 쑥뜸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훈증기에 의한 쑥뜸의 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특히 쑥뜸은 혈액순환의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우리 민족 전통의 치료법의 하나로 널리 알려지고, 또 오랜 기간 시술되어 온 전통의학의 한 분야로 이해되고 있다.
혈액순환 장애는 어혈, 냉기, 습기가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어혈이란 기혈순환이 원활하지 못할 때 생겨나는데, 예를 들어 추울 때 밖에 나가면 입술이 파랗거나 검게 된다. 그것이 바로 어혈이고 따뜻하게 하면 풀려진다. 즉, 기혈순환이 잘 안될 때 생겨나고, 또 이렇게 생겨난 어혈이 혈액순환을 방해하게 된다. 냉기는 혈관이나 인체조직을 수축시키고 통증을 일으킨다. 겨울에 모든 사물이 줄어들 듯이 냉기는 혈관과 조직을 수축시켜 혈액순환을 원활치 못하게 한다. 습기는 외부의 한기와 내부의 열기가 만날 때 생겨나는데, 습기는 특히 기 순환을 방해하고,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된다. 여름철에 습도가 높으면 기 순환이 안 되어 불쾌감이 높아지고, 미생물이 번식하여 음식이 금방 상하게 되는 원리와 같다. 이러한 혈액순환을 방해하는 어혈, 냉기,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선 우리 몸의 모든 양 기를 통솔, 감독하는 독맥, 모든 음기를 조절하고 여성의 임신을 주관하는 임맥, 우리 몸의 모든 정혈을 함축하여 모든 조직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충맥의 시발점인 회음혈에 열을 쐬어 하복부의 혈액이나 림프순환이 원활해지도록 한다. 그로 인해 면역체계가 제대로 작동하게 되어 질병을 일으키는 각종 세균, 바이러스,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회음혈은 한방에서 인체의 뿌리이며 생명의 문이라고 할 만큼 중요한 혈자리로 인체를 도는 임맥과 독맥, 그리고 충맥이 시작되는 곳이자 뿌리이다. 따라서 회음혈에 뜸을 뜨면 몸 전체에 뜨는 효과를 볼 수 있어 쑥의 양기가 온 전신에 작용하며 어떤 혈자리 보다 쑥의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인체가 균형을 이루거나 틀어지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골반을 움직여 주는 주요한 혈자리로 남녀 모두에게 의미가 있으며, 임시변통이 아니라, 인체의 골격을 바로 세워줌으로써 인체가 가진 자연치유력을 높여 몸 전체를 다스릴 수 있게끔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 회음혈은 국부와 항문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다른 경혈과 달리 그 위치상 본인이 직접 ‘뜸’을 시술하기 어렵고, 남이 해주기도 쉽지 않아,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전신이나 국소의 온도를 필요한 만큼 높여주어야 한다. 이러한 원적외선은 열기를 몸 속 깊숙이 끌고 들어가 원자와 분자가 진동을 일으키는 파장의 공명 흡수에 의해 열 반응이 되어 피하심층 깊은 곳에서부터 온도가 상승하며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환의 촉진, 신진 대사 활성화, 조직세포의 부활, 호소와 호르몬 생성이 활발해지도록 하여 준다. 이러한 효과로 냉, 대하증, 생리통, 부인과질환, 전립선비대, 방광염 등의 비뇨기질환, 치질, 변 비 등의 항문대장질환을 완화 시키며,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노폐물이나 지방질이 배출시키기 때문에 부기가 내리고 체지방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에 의한 살균작용을 증대시키고 습진, 피부질환개선효과 및 성병 등의 예방에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의 몸을 살펴보면 현대 과학으로도 밝힐 수 없는 첨단과학이 숨어 있어 현재의 과학으로는 인체의 신비를 완전히 이해할 수도 없고 설명할 수도 없다. 그렇지만 인체를 구성하는 근육과 골격 그리고 오장육부가 서로 연동하는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은 굳이 동양의학을 거론하지 않더라도 상식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동양의학의 관점에서 각종 통증이나 질환의 원인을 찾다 보면 대부분 오장육부가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여 발생되었다고 하며, 위의 논리로 장기에 문제가 있다면 연결된 근육이나 골격 역시 문제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쑥탄성형체의 연소에 의한 원적외선 및 열을 이용하여 회음혈을 자극하여 뜸의 효과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쑥뜸에 의한 훈욕에 의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좌변기용 훈증기는 좌변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쉽게 설치하고 쑥탄성형체의 연소에 의한 원적외선 및 열을 이용하여 회음혈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하고, 훈욕에 의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훈증기는 직경이 20㎝, 깊이 18㎝ 및 타원형의 상부는 앞뒤에 꼭지를 디자인하여 만들어서 긴부분은 30㎝가 되도록 황토 성분의 도자기 또는 토기 또는 금속을 주재료로 하여 만들어질 수 있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크기 및 재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훈증기의 도자기나 토기 또는 금속으로 제조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훈증기는 상기 도자기, 토기 또는 금속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함께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훈증기는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태토를 상기한 훈증기의 형상으로 성형하고, 소성하여 도자기 또는 토기로 성형하거나 또는 금속만을 사용하여 성형하는 것이 가능함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금속으로 상기 훈증기의 외형을 성형한 후, 그 내부에 황토의 층을 적층시켜서 금속의 내구성과 황토의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동시에 만족하는 훈증기로의 제조도 가능하다. 또한, 도자기나 토기만으로 상기 훈증기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본 고안에 따른 훈증기의 좌변기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훈증기의 본체부(22)를 도자기나 토기로 두껍게 성형하고, 상기 고정날개부(23)를 금속으로 성형하여 서로 결합시키거나, 고정날개부(23) 없이 별도의 걸개 등을 사용하여 좌변기에 걸어놓을 수 있도록 하거나 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훈증기를 본체부(22)와 고정날개부(23)를 모두 도자기나 토기로 성형하고, 좌변기(11)의 착좌덮개(12)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좌변기(11)의 상단에 올려놓고, 사용자가 직접 상기 고정날개부(23) 위에 걸터 앉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좌변기용 훈증기(21)에서 사용되는 상기 쑥탄성형체(31)는 쑥, 구일초, 구절초, 포공영(민들레), 익모초, 사상자, 천궁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허브류의 건조분말 5 내지 15중량%, 결합제로서 전분풀 15 내지 30중량% 및 잔량으로서 숯탄혼합물을 포함하되, 상기 숯탄혼합물이 숯과 활성탄을 숯 : 활성탄의 혼합비가 중량비로 1 내지 9 : 9 내지 1의 비율로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허브류는 쑥, 구일초, 구절초, 포공영(민들레), 익모초, 사상자, 천궁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허브류는 상기 쑥탄성형체(31)의 총 중량의 5 내지 15중량%를 차지하며, 상기 허브의 약리학적 기능이나 약리학적 활성물질을 상기 쑥탄성형체의 연소 시 발생하는 연소열에 의하여 기화되어 증기로 화하여 상향됨에 따라 그 위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회음혈에 훈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허브류의 사용량이 5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허브에 의한 훈증효과가 미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특별한 문제는 없으나, 생산비의 상승 및 성형의 곤란성이나 숯이나 활성탄의 사용량의 부족으로 인한 숯이나 활성탄의 연소 시 발생하는 원적외선의 발생량의 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 허브류의 사용량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들의 취향이나 용도 등에 따라 적정량으로 변화된 허브류의 사용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분풀은 상기 허브류의 건조분말을 상기 숯탄혼합물과 결합시켜 하나의 성형체로 성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제로서 기능한다. 상기 전분풀은 연소 시에도 해로운 증기를 발생하지 않는 천연의 결합제로서 기능한다. 상기 전분풀은 상기 쑥탄성형체(31)의 총 중량의 15 내지 30중량%를 차지하며, 15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결합력이 충분치 못하여 쑥탄성형체로의 성형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설령 성형이 이루어진다 하여도 결합력의 부족으로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허브류나 숯탄혼합물의 사용량을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숯탄혼합물은 상기 허브류의 연소에 의한 훈증을 가능하게 하며, 동시에 숯탄혼합물 자체의 연소 시 원적외선을 다량 발생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숯탄혼합물은 상기 허브류와 상기 전분풀의 사용량에 의해 결정되는 잔량으로 사용된다. 상기 숯탄혼합물은 숯과 활성탄을 숯 : 활성탄의 혼합비가 중량비로 1 내지 9 : 9 내지 1의 비율로 혼합된 것이 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은 상기 숯과 활성탄의 혼합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한 혼합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숯탄혼합물을 구성하는 숯은 바람직하게는 참나무를 건류시켜 만든 참숯이 사용되고, 그리고 활성탄은 바람직하게는 야자각(야자열매 및 야자나무의 껍질)을 탄화시키고, 수증기 처리 등에 의해 활성화된 야자활성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야자활성탄은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로부터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쑥탄성형체(31)의 제조는 200 내지 300메쉬(mesh) 크기의 상기 숯탄혼합물과 상기 허브류의 건조분말(약 100메쉬 크기) 및 전분풀을 혼합한 후, 350 내지 450㎏/㎤의 압력으로 성형하고, 80 내지 90℃에서 건조한 후, 200 내지 350℃에서 열처리 하여 성형체내의 일부 유기물을 탄화시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한 성형압력, 건조온도범위 및 열처리온도 등은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쑥탄성형체의 제 조에 바람직한 범위를 반복되는 실험을 통하여 선정한 것이기는 하나, 본 고안이 상기한 조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쑥탄성형체는 직경이 4 내지 6㎝, 두께가 1 내지 1.5㎝ 및 무게는 50 내지 100g 정도의 규격을 가질 수 있으나, 본 고안이 상기한 규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크기 및 중량 등을 적의 조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상기한 바의 규격을 갖는 쑥탄성형체는 연소 시, 750 내지 850℃의 최대순간온도, 3.25X102 내지 4.99X102W/㎡의 원적외선 방사 에너지 및 0.72 내지 0.89의 방사율(3 내지 20㎛의 파장)을 갖는다. 상기 쑥탄성형체(31)는 50 내지 100g의 범위의 중량을 갖도록 제조되는 경우, 20 내지 30분 정도의 연소시간 동안 연소되면서 훈증과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으며, 이 시간 동안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또는 사용자가 견디기 어려운 경우, 잠시 일어났다가 다시 앉아서 계속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시간 동안 작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2)의 저면에는 상기 쑥탄성형체(31)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성형체수용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체수용홈(24)은 상기 쑥탄성형체(31)의 위치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켜 항상 사용자의 회음부에로 훈증 및 원적외선이 적용되도록 하는 장점을 갖도록 한다.
상기 성형체수용홈(24)은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그를 통하여 통과할 수 있는 그물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그물눈 구조로 인하여 그 위에 올려놓여지는 상기 쑥탄성형체(31)는 용이하게 연소될 수 있으며, 연소될 때 발생하는 훈증은 공기의 가열로 인한 대류운동에 의한 상승작용으로 사용자의 회음부에 더욱 잘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쑥탄성형체(31)가 완전 연소되는 것을 도와주며, 연소 도중 꺼지지 않도록 기능한다.
상기 성형체수용홈(24)은 바람직하게는 전력의 공급에 의하여 발열하여 상기 쑥탄성형체(31)를 착화시킬 수 있는 발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발열체는 통상의 니크롬선 등과 같이 전류의 통과에 의해 발열할 수 있는 금속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발열체를 전선(41)과 플러그(42)를 통하여 가정용 전원 등에 연결하거나 또는 건전지 등의 통상의 전원에 연결하여 발열시켜 상기 성형체수용홈(24) 내에 수용되는 상기 쑥탄성형체(31)를 별도로 착화시키지 않고도 전원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발열체의 발열로 착화 및 연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쑥뜸을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성형체수용홈(24)은 통상의 타이머 또는 스위치 등에 연결되어 착화 및 연소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타이머 또는 스위치 등은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성형체수용홈(24)은 통상의 파일럿램프 등에 연결되어 상기 성형체수용홈(24)을 구성하는 발열체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파일럿램프 역시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훈증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훈증기(21)를 통상의 좌변기(11)의 착좌덮개(12)를 들어올리고, 이를 올려놓는 것만으로 설치가 완료될 수 있으며, 그 후, 상기 훈증기(21)의 상기 본체부(22) 내에 쑥뜸을 위한 쑥탄성형체(31)를 투입하고, 이를 연소시키는 것에 의해 인체의 회음혈에의 쑥뜸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쑥탄성형체(31)는 토오치 등을 사용하여 점화 및 연소시킨 후, 상기 본체부(22),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22)에 형성되는 성형체수용홈(24) 내에 위치시키고, 그 위에 걸터 앉는 것에 의해 쑥뜸의 훈증과 원적외선을 사용자의 회음부에 간단하게 그리고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22)가 세라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성형체수용홈(24)이 발열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를 전원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발열체의 발열에 의한 착화 및 연소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토오치 등을 사용하여 별도로 착화를 선행하지 않고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더욱 용이한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건강보조기구의 제조 산업 등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훈증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좌변기용 훈증기의 좌변기에의 고정방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좌변기용 훈증기의 단면도로서 특히 성형체수용홈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5)
- 내부에 쑥탄성형체를 수용하기 위한 연소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좌변기의 상단에 걸쳐놓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단 주연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상기 본체부의 저면에는 상기 쑥탄성형체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성형체수용홈이 형성되며,상기 성형체수용홈은 공기가 그를 통하여 통과할 수 있는 그물눈 구조로 이루어지며, 또한 전력의 공급에 의하여 발열하여 상기 쑥탄성형체를 착화시킬 수 있는 발열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훈증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쑥탄성형체가 쑥, 구일초, 구절초, 포공영(민들레), 익모초, 사상자, 천궁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허브류의 건조분말 5 내지 15중량%, 결합제로서 전분풀 15 내지 30중량% 및 잔량으로서 숯탄혼합물을 포함하되, 상기 숯탄혼합물이 숯과 활성탄을 숯 : 활성탄의 혼합비가 중량비로 1 내지 9 : 9 내지 1의 비율로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훈증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3097U KR200455606Y1 (ko) | 2008-09-30 | 2008-09-30 | 좌변기용 훈증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3097U KR200455606Y1 (ko) | 2008-09-30 | 2008-09-30 | 좌변기용 훈증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3748U KR20100003748U (ko) | 2010-04-08 |
KR200455606Y1 true KR200455606Y1 (ko) | 2011-09-15 |
Family
ID=4444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3097U KR200455606Y1 (ko) | 2008-09-30 | 2008-09-30 | 좌변기용 훈증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5606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52A (ja) * | 1991-06-22 | 1993-01-08 | Yoshinobu Sugimoto | 灸組成物及びその成形物 |
KR200233036Y1 (ko) * | 2001-02-14 | 2001-10-25 | 김미란 | 훈증기 |
KR100453156B1 (ko) * | 2004-01-20 | 2004-10-15 | (주)메디필 | 훈열기를 구비한 헬스의자 |
KR20070027896A (ko) * | 2005-08-30 | 2007-03-12 | 김동선 | 무연성 탄화쑥뜸구 및 그 제조 방법 |
-
2008
- 2008-09-30 KR KR2020080013097U patent/KR20045560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52A (ja) * | 1991-06-22 | 1993-01-08 | Yoshinobu Sugimoto | 灸組成物及びその成形物 |
KR200233036Y1 (ko) * | 2001-02-14 | 2001-10-25 | 김미란 | 훈증기 |
KR100453156B1 (ko) * | 2004-01-20 | 2004-10-15 | (주)메디필 | 훈열기를 구비한 헬스의자 |
KR20070027896A (ko) * | 2005-08-30 | 2007-03-12 | 김동선 | 무연성 탄화쑥뜸구 및 그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3748U (ko) | 2010-04-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0544B1 (ko) | 단열 쑥뜸기 | |
CN105816321A (zh) | 砭灸养生床及方法 | |
KR101195579B1 (ko) | 좌훈기 | |
KR20110008282U (ko) | 황토 용기 온구기 | |
KR200455606Y1 (ko) | 좌변기용 훈증기 | |
KR100266907B1 (ko) | 훈증 좌욕기 | |
CN205163619U (zh) | 砭灸养生炉 | |
KR101831287B1 (ko) | 알루미늄 박지 주름갓이 내삽된 좌훈용 종이컵 | |
KR100470408B1 (ko) | 여성질환 및 항문질환에 유용한 회음간접구 | |
KR101262746B1 (ko) | 숯을 이용한 좌훈제 및 이를 이용한 좌훈 장치 | |
KR20160000942U (ko) | 회음부 뜸질용 온열패드 | |
KR20080016208A (ko) | 좌훈기 | |
KR200360510Y1 (ko) | 회음간접구 | |
CN206324996U (zh) | 一种艾相伴无烟聚能扶阳艾灸器 | |
KR100300770B1 (ko) | 뜸치료기 | |
KR20080001273U (ko) | 뜸 치료기 | |
KR200315880Y1 (ko) | 좌욕 훈증기 | |
KR200373026Y1 (ko) | 여성질환 및 항문질환에 유용한 회음간접구 | |
CN201379781Y (zh) | 一种灸疗用床 | |
KR200373027Y1 (ko) | 여성질환 및 항문질환에 유용한 회음간접구 | |
KR100603779B1 (ko) | 쑥뜸기 및 쑥뜸 방법 | |
KR20050059386A (ko) | 건식훈증기를 구비한 한방헬스 의자 | |
KR200163274Y1 (ko) | 뜸치료기 | |
CN221964086U (zh) | 一种陶瓷艾灸罐 | |
US20040143310A1 (en) | Burn heat therapy instru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4 Year of fee payment: 8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