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783B1 - 함초를 이용한 뜸과 미용재 제조법 - Google Patents

함초를 이용한 뜸과 미용재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783B1
KR100564783B1 KR1020040042390A KR20040042390A KR100564783B1 KR 100564783 B1 KR100564783 B1 KR 100564783B1 KR 1020040042390 A KR1020040042390 A KR 1020040042390A KR 20040042390 A KR20040042390 A KR 20040042390A KR 100564783 B1 KR100564783 B1 KR 100564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eaweed
fermentation
vinegar
moxi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7163A (ko
Inventor
배삼훈
Original Assignee
배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삼훈 filed Critical 배삼훈
Priority to KR1020040042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78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7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함초를 주성분으로하는 뜸용 연소재와 수용성의 입욕제와 피부 맛싸지용으로써 함초를 분말화하여 미네랄과 효소가 함유되고 정제된 천연소금이 자체함유된 무독(無毒)성의 저연(底燃),무취(無臭),무흔(無痕),무점질(無粘質)의 함초뜸과 입욕제와 피부 맛싸지용으로 동시에 사용할수있는 함초 가공방법이다.
본발명은 곡주와 감초탕과 식초의 혼합물에 함초를 일정시간 침지함으로 초산발효와 숙성으로 유독성분이 감소 및 제거된 함초를 건조 및 분말화하여 일정비율의 함초분말과 황토와 숯과 기능성 약초분과 광물질 분말을 첨가하여 적정온도에서 2차로 일정시간을 발효숙성시켜 함초의 특성은 보전하면서 함초의 유기화합물에 함유된 일산화탄소,타르,페놀성분과 냄새와 연기를 감소 시켜 무독성 뜸과 미네랄과 효소가 풍부한 입욕제와 피부 맛싸지제가 성형 및 분말화되여 기능성 약초분말과 광물질 분말이 첨가되거나 성형물 표면에 분사 및 코팅되어 함초효능을 극대화함에 그특징이있다.

Description

함초를 이용한 뜸과 미용재 제조법{omitted}
본발명은 90여종의 미네랄과 무기질과 소금성분을갖는 함초를 1차로 곡주와 감초와 식초의 초산발효로 숙성시키고 2차로 황토와 숯의 미생물먹이로 유기물의 타르,페놀을 감소시켜 냄새와 유독성물질을 제거하여 저연과 저타르와 무취로 분말화하여 함초뜸,함초입욕제와 맛사지제로 사용함으로 함초의 용도를 극대화하였다.
종래의 뜸은 쑥을 분말과 섬유질화 하여 접착제와 물를 첨가한후 반죽하여 압출기로 일정굵기로 쑥관을 압출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건조하여 사용하거나 프레스로 쑥섬유질을 일정형으로 압착 성형하여 쑥봉을 점화하여 신체부위에 시술하였다.
일반적인 쑥뜸에있어서 연소시 쑥 목질부의 리그린에 내포된 유기화합물과 파라핀,씨네올,투욘,등의 지질(脂質)과 정유(精油)성분이 열분해와 불완전 연소로 인하여 발생되는 파란 연기는 끄림과 끈적끈적한 유성(油性)의 연기로 타르와 페놀화합물 성분이 녹아있어 시술자의 피부에 침착되어 끈적한 황갈색의 점액질로인한 타르 냄새를 발산시켰다.
파란연기는 일종의 연무질로 질소,산소,이산화탄소,일산화탄소,타르,등이주 성분이다. 타르는 200여가지의 화학화합물로 구성되며 크레오소트 같은 유효성분과 크레졸,벤조피렌 같은 유독성물질이있어 폐와 기관지에 작은입자로 침투하여 일부분이 체내에 잠식되어 인체에 해로웠다.
쑥의 지질(脂質)성분은 유지(油脂)와 왁스의 복합지질로써 연소(燃燒)성과 화력(火力)이 우수하나 연기와 끄림과 쑥타는 특이한 냄새가 여성과 청소년이 뜸을 기피하는 첫번째 대상이었다.
본발명은 함초가갖는 수십종의 미네랄과 효소와 소금 성분의 특성으로 종래의 쑥뜸이 연소시에 발생하는 냄새와 매연과 끄림과 ,타르 점액질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함초를 분말화하여 일정한 비율로 함초뜸봉을 성형하여 사용하는겄과 또는 함초를 곡주와 식초, 감초로 초산발효하여, 황토,숯, 의 효능과 기능성 약초와 기능성 광물을 첨가하여 미생물에의하여 재차 발효숙성되게 하여 그모든 특정성분들의 효과가 향오일과 상승작용을하여 함초뜸과 입욕제와 맛사지제의 효과를 극대화함으로 쑥을 주재(主材)로한 유독성과 불편함을 대체하여 저연,무취,저타르,무점액질의 함초뜸과 입욕제와 맛싸지제 로써 성형(成型)과 포장(包裝)에 따라 선별사용을 할수있게 함초를 다용도화하여 질병치료와 보건에 이바지함에 그기술적 목적이있다.
본발명은 함초의 섬유질과 목질부에 내포된 유기화합물에 함유된 타르,페놀,등의 유독성분의 함량을 감소시켜 함초뜸 연소시에 발생하는 불완전연소로 인하여 발생하는 일산화탄소(CO)와 피부에 침착되는 황갈색의 반점과 냄새를 발생시키는 유기화합물의 특정성분을 곡주와 감초와 식초가 혼합되어 1차 초산 발효숙성으로 감소시키고, 2차로 황토와 숯과 기타의 기능성약초와 광물를 첨가하여 발효숙성시켜 함초성분의 유익성은 보전하며 유독성분과 황갈색의 반점과 냄새와 기타의 불순물을 감소 및 제거하여 연소(燃燒)성과 화력(火力)이 우수한 함초뜸의 제조방법이다.
본발명은 4단계로 구별된다
(1)함초를 비증류술인 곡주와 감초와 식초의 혼합물에 침지하여 1차 초산발효와 숙성하는 단계
(2)건조된 잎부위와 대줄기 부위를 분리하여 일정비율로 분말화하여 배합하는 단계,
(3)잎과 줄기의 일정비율의 함초분말을 황토와 숯가루와 향오일과 기타의 기능성 약초와 광물질 분말을 일정비율로 선별혼합하여 미생물에 의한 2차 발효숙성하는 단계,
(4)성형직전또는 성형후에 향오일과 기능성 광물질을 첨가또는 표면에 분사하는 단계,
본발명에서 사용한 함초는 우리나라의 섬과 중부지방,남부서해안의 강 하구언이나 갯벌과 염전주위에 무리지어 자생하는 명주아과에 속하는 일년초로써,함초(鹹草),염초(鹽草),신초(神草)라고하며 통통한 마디가 있는 염생식물로 잎은 원통형의 다육질이며 줄기의 조직은 단단하다. 육지에서 자라면서도 바닷물속에 함유된 90여종류의 미네랄과 효소성분이 농축되어있으며 지구상에서 희소하게 소금을 흡수 하면서 자라는 식물이다.
미네랄은 생명체의 전기(電氣)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작용과 영양소 내의 핵심적인 역할을 함은 물론 인체의 자율신경과 자연치유력을 부여하는 매우 중요한 원소이다.
함초의 약리작용으로는 여성의 냉,대하증과 변비,비만증에 효과적이며,위의기능을 촉진하고 신장염,간염 및 고혈압,저혈압,빈혈증과 혈당강하,갑상선 기능 향상 등의 작용을한다,
중국최고의 의학책인「신농본초경」에는 "함초"로 일본의 「대화본초」에는 신초(神草)또는 복초(福草),염초(鹽草)로 불려지며 불로장생하는 풀이라 기록되어있다.
국립수산진흥원의 부위별 성분분석에 따르면,
아미노산은 잎에서 티로신(tyrosine), 글루타민산(glutamic acid),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줄기와 뿌리에서 베타인(betaine), 콜린(choline), 프로린(praline), 타우린(tauoline), 라이신(lysine), 글루타민산,우론산(uronic acid)이 다른 식물에 비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상기된 아미노산은 인체를 구성하는 신경전달물질의 합성, 대사기능촉진, 면역물질강화,청혈작용,인슐린분비,교감 및 부교감신경의조절 등의 필수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있다.
특히, 인체의 뼈와 혈과 신경을 구성하는물질이 함초100g에 칼슘671mg, 마그네슘661mg, 칼륨475mg, 철441mg, 인139mg, 요오드65.88mg, 나트륨6.5%, 염분15.7% 등이 있고 구리,니켈,망간,등이 미량함유되어있다.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함초의 성분중에 지질(脂質,Lipid)과 정유(精油)성분이 없는점과 우리나라의 민간요법에 전래하는 고유의 소금뜸에 주목하였다,
소금뜸은 신체의 움푹패인 배꼽에 천일염을 채우고 그위에 쑥을 태워 그열기가 소금을 가열시켜 소금에서 발산하는 온열과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복부의 경혈을 자극하여 토사,곽란,복통,월경통,냉증,부인병과 위장병에 이용되어 치료 해왔다.
또는,소쿠리에 천일염을 담고 그위에 쑥을 태워 신체의 아픈부위에 소쿠리를 놓고 천일염을 가열하여 소금에서 방사하는 원적외선과 열기는 치료효과가 우수하였다.
함초는 정제된 천연의 소금을 자체 함유하고있어 함초 연소시 다량의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한다.
소금은 무좀,피부염,염증,해독,혈액순환,신진대사,등의 작용을하며 뜸에서는 지방을 분해하여 피부의 호흡기능을 촉진하며, 인체에 음이온을 보충하고 원적외선은 모공(毛孔)을 확대시켜 뜸의 열기가 진피(眞皮) 깊숙하게 전달되게 하여 인체의 온열효과에서 파생하는 내장과 기관과 자율신경을 조기활성화하는 효능이있다.
일반적인 쑥뜸에있어서, 쑥에 함유된 정유성분과 유지(油脂)와 왁스(Wax)의 복합체인 식물성 지질(脂質)성분은 쑥뜸봉이 연소되면서 불완전 연소로인하여 심한 연기와 끄림과 검붉은 타르점액질을 침출시켜 피부에묻어 세척해도 잘지워지지않는 냄새를 발생시켰다.
함초에는 지질과 정유성분이 없어 함초 섬유질이 연소시 유성(油性)의 연기 인 끄림은 발생하지않지만 함초의 섬유질과 목질부의 리그린에 내포된 각종 유기화합물이 열분해되면서 흰연기를 발생시키는데 하얀 액체연기(연무질)속에 타르와 페놀성분이 미량 함유되어있어 분말로 일정형으로 성형된 함초뜸봉이 연소되면서 뜸봉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연소열의 대류작용으로 뜸봉아래로 하향 이동된 뜨거운 갈색 점액질이 피부에 침착되어 잘지워지지않아 몸에 얼룩이져 불편하였다.
1단계에 있어서, 감초(甘草)를 물과1:50∼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50∼150℃로 1∼3시간 불로 중탕하여 상온에서 식은 감초탕에 곡주(穀酒)와 식초(食醋)의 혼합물을 첨가한다. 감초탕10중량부 대비 곡주300∼100중량,식초5∼10중량부로하여 곡주와 종균(種菌)인 식초의 혼합물에 함초를 2∼3cm로 세절하여 1:1또는 2:1로 침지하여 함초가 충분히 팽배했을 때 곡주와 감초탕과 식초의 혼합물이 그릇에 소량이 남아있게한 상태에서 30∼80℃에서 3∼10일간 발효속성시키면 소금성분과 미네랄과 효소를 함초내부에 보존하면서 함초에 있는 타르,페놀성분, 화학 화합물, 등 을 감초의 해독과 제독성분이 식초와 곡주와 발효되면서 상승작용을 일으켜 숙성기간동안에 유독성분을 분해하여 감소 및 제거시킨다.
설탕또는 물엿의 당(糖)을 2∼5%/w첨가하면 발효숙성을 촉진시킨다.
곡주는 맥주,쌀막걸리,약주,청주,탁주에서 1종또는2종이혼합되며,식초는 곡물 또는 과일열매로 빚은 양조식초로 선택한다.
곡주와 양조식초에는 미네랄과 효소와 당질이 풍부하여 함초의 식물세포 조직으로 침투하여 저장되 있다가 함초가 뜸봉으로 연소시에는 곡주의 당(糖)질이 함초분말의 섬유조직에 잔류하여있다가 연소촉진제로서 점화되어 연소(燃燒)성과 화 력(火力)을 상승시켜 불완전 연소로인한 일산화탄소(CO)와 끄림이 일정량 감소된다.
곡주(탁주)가 알코올과 산으로 분해되어 초산발효가되는데 일반적인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C2 H12O6→2C2H5 OH +2CO2
C2H5OH+O2→CH3 COOH(Acetic Acid)+H2 O
알코올 초산발효는 산화반응이기 때문에 발효과정중에 다량의 산소를 필요로하기 때문에 표면이 넓은용기를 사용하여 자주 휘젓거나 회전모타(15∼20 RPM)로 저속교반 한다.
감초(甘草)의 주요성분은 감미질인 글리시리진(Glycyrrhizin),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인 리키리틴(Liquiritin),서당,포도당,만니톨,아스파라긴 등을 들수있다.특히 글리시리진은 단맛을내는 성분으로 온갖약초의 독을 해독시키는 작용을 갖으며 각종약품의 중독 및 식물의 중독을 해독함으로 고래로 한방에서 없어서는 안될 기본적인 약제로 사용하고있다.
2단계에 있어서, 곡주와 식초와 감초탕의 혼합물로써 부피가 팽배된 함초를 자연건조 또는 원적외선과 초음파 또는 고주파로 가열하여 수분함량이 2∼5%로 분쇄되기 양호한상태로 함수되게 건조한다.
둥글게 구성된 잎은 손으로 비벼도 부셔지는 탄성의 섬유로쌓인 다공질의 스펀지로 구성되어있어, 다공질속의 공기는 성형된 함초뜸봉이 연소시 산소공급원으 로써 작용함으로 원활한 연소를 위하여 잎부위는 공극이 많은 50∼100mesh가 적합하며, 단단한 대줄기부위는 150∼250mesh로 분쇄함이 적합하다.
또는,건조된 함초를 잎부위와 대줄기를 동시에 분쇄하여 50∼100mesh를 먼저선별하고 더욱 분쇄하여 150∼300mesh를 나중에 취득하여 일정비율로 배합하거나, 50∼300mesh에서 선택하여 하나의 mesh로 뜸봉을 성형할수있다.
뜸용으로 화력과 연소성이 양호한 분말비율은 50∼100mesh:150∼250mesh의 1:2∼ 1:3이 바람직하고, 입욕제와 맛사지제는 200∼300mesh가 바람직하다.
3단계에 있어서, 일정비율로 배합된 함초분말에 황토와 숯가루을 10:3:2또는 10:2:1비율로 혼합하고 필요한 용도에 따라서 석류,삼백초,어성초,무화과잎,쑥,마늘,건생강,산초,의 기능성 약초분말 또는 광물질로써 진주(Pearl),운모,맥반석,옥,금, 의 분말을 1종 단독 또는 2종을 혼합하여,
함초와 황토와숯을 합한 중량대비로 5∼10%첨가하여 20℃∼80℃의 실내에서 수분함유율이 약 10%∼15%의 함초 혼합분말과 배합하여 통기성의 자루,질그릇,나무통에 담아 3일∼10일간을 발효숙성시키면, 1차로 곡주와 감초와 식초에 의한 초산발효과 숙성기간에 유독성물질이 분해 및 감소된 상태에서 식물성 약초의 성분 또는 광물성의 특정 성분이 골고루 함초분말에 스며들어 함초와 약초와 광물질의 성분이 상승작용을하여 유독한 화학 유기물을 감소 및 제거함으로 함초뜸과 입욕제와 맛사지 미용제로서의 치료 및 보건, 미용 효과가 배가된다.
황토는 지표면에서 1m정도길이에서 채취하여 황사와 산성비의 중금속에 오염않된겄을 채취하여 200∼300mesh로 선별하여 사용한다.
황토안에는 타르,페놀성분 및 기타의 유기화합 물질을 감소 및 제거하는 다양한 특성을 가진 수많은 미생물이 상호보완 및 견제를하면서 활동하고있다. 미생물이 생육하기위해서는 영양분을 흡수하여 증식해야되는데 그영양원을 섭취하여 증식하기위해서는 많은단계를 거쳐 물질을 순화지켜야하는테 여기에 작용하는겄이 유기화합물의 효소이다. 관련된 효소에는 셀룰로우스(Cellulase),프로테제(Protease),아미라아제(Amylase)등 수많은 종류가있으며 이들효소가 연쇄적으로 작용하여 미생물이 생육한다.
미생물의 작용은 병해경감,생육촉진,등 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고있는 경우가많아 적용영역은 길항 및 천적 미생물에의한 작물 병충해 방제, 미생물에 의한 잡초제어, 작물생육촉진, 미생물에의한 유,무기원소공급,폐자원재활용,중금속의 생물학적 불활성화 등 매우광범위하다.
황토속에 생육하는 미생물 먹이에 의하여 함초 분말속에 함유된 유기화합물의 함량은 감소되어 함초뜸봉 연소중에 유기화합물이 열분해되어 발생되는 흰색의 연무질이 감소됨으로 피부에 침착되는 타르,페놀화합물의 점액질도 감소되어 피부에 묻는 황갈색의 반점또는 얼룩이 감소된다.
또한, 황토는 생육광선인 원적외선을 다량방출하여 인체의 생리활동을 증대시키고,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히하고 상호 공진에 의한 자기발열 및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효과가 있으며, 정화력,분해력이 있는 황토는 인체의 독을 제거해주어 제독제,해독제로 사용되기도한다.
또한,숯은 탄소,미네랄로 구성되어있는 다공성 구조로써 흡착력이 강해 유해 세균이나 악취를 제거하고 음이온을 발생시킬뿐아니라 칼슘,칼륨,철,인,나트륨 등의 5대 미네랄외에 구리,아연,망간,마그네슘,크롬,모리부덴,등이 함유되있다. 숯 자체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은 산소가 풍부하여 공기를 맑게하고 모든 생명활동을 돕는 작용을 한다. 다공성 표면에 착생하는 미생물은 미생물막을 형성하여 숯이 흡착한 물이나 공기중의 유기물이나 냄새의 근원이 되는 불순물을 비롯하여 유해한 화학물질을 분해한다.
황토와 숯에서 발산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과 산소는 황토와 숯의 각각의 미생물들의 생명활동을 촉진하여 유기화합물의 분해를 더욱 활성화함으로 황토와 숯의 효능이 상승작용되어 함유된 유독성분인 타르와 페놀성분과 기타의 유기화합물을 감소 및 해독시킨다.
따라서, 뜸과 입욕제와 맛사지제 에있어서 황토와 숯은 필수첨가물이다.
또한,일반적으로 공지된 엣션셜 향오일을 첨가하여 향기로써 심리적,신체적으로 쑥뜸 시술효과를 더욱 상승시킬수있다.
1.라벤다(Labends): 살균,방충,정신안정,두통,숙면효과
2.티트리(Teatree): 항우울증,상처살균,피부재생
3.펜 넬(Fennel): 정신고양,스트레스해소
4. 홉(Hop): 진정,최면작용
5.유칼리(Eucalyptus): 감기,천식,냄새제거,살균,정신고양,스트레스해소
6.우드럽(woodruffs): 두통
7.재 스 민(Jasmine): 냉증,정신고양
8.주 니 퍼(Juniper): 기관지염
9.스피어민트(Spearmint): 집중력,기억력증강
10. 애플민트(Applemint): 기분고양
11.페퍼민트(Peppermint): 냄새제거,살충,살균
12. 딜 (Dill): 진정작용
상기된 식물의 향유중에서 선택된1종 또는 혼합된 엣션셜 향오일은 입욕제와 맛사지제는 함초 혼합물이 성형되기 직진에 일정량의 물과 알코올과 배합되어 함초혼합물에 첨가또는 표면에 분사하며, 뜸은 폴리비닐알콜(2-5%)또는 메틸셀루로오스(2-5%)가 용해된 물에 적당량의 알코올로 희석시킨 향유를 첨가하여 향유 혼합액을 표면에 스프레이 코팅을하여, 뜸연소제가 연소되면서 가열될때, 표면에 코팅된 향오일이 휘발되어 향기를 발산하면서 향유의 종류에따라 독특한 성분이 훈증되어 인체의 피부자극과 호흡에의한 신경과 심리 및 신체에 유용하게 작용한다. 또한, 뜸 연소중에 발생하는 냄새와 입욕시와 맛사지 할 때 황토혼합물의 냄새를 오일의 향기가 희석시켜 사용자의 거부감이 한층 감소되어 쾌적한 안정된 분위기를 조성한다.
본발명에 따른 함초뜸과 동일한 내용물의 입욕제을 목욕온수에 침지시켜 놓은 상태에서 입욕을하면 온수에 용해 및 용출된 향기와 약초 또는 광물질의 특정성분으로 얻어지는 심신안정과 피부미용과 치료,미용의 효과와 황토와 숯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의 인체활성효과와 피부노화방지 효과를 얻게된다. 맛사지제도 상기의 성분들에 의해서 심신안정과 피부의 미용과 신진대사촉진의 효과를 얻게된다.
4단계에는,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진 함초분말과 황토와 숯가루와 기능성 약초와 광물질 분말에 2∼5%의 전분을 첨가하여 수분 함유율3∼10%으로 일정비율로 배합된 함초 혼합물은 금속또는 고무,프라스틱,등의 성형틀에서 프레스압 또는 기타의 가압력으로 원추(圖錐)형,고봉(高峯)형,반구(半球)형으로 성형되거나 또는 사출형 스크류압과 원통형 압출식으로 함초 혼합물이 압출되어 중앙이 통공된 원주(圓柱)형으로 성형되어 2∼3cm의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거나 하여 자연건조,또는 원적외선,초음파,고주파 가열기 중에서 선택하여 일정시간을 50℃∼150℃에서 건조하고, 상기의 성형된 일정형들은 뜸용,입욕제,맛사지제로써 용도에 따라 사용할수있다.
또는, 표면에 물에 용해가 쉬운 방습 코팅제인 폴리비닐알콜(PVA),또는 메틸세룰로오스(methyl cellulose)등,을 적당량의 물과 알코올에 회석하여 적당한 점도의 점질액에 황토,진주분,운모,금분,에서 1종을또는2종을 선택하여 첨가한후 일정두께로 기계 분사하여 표면을 코팅한후, 건조시키면 방습으로 뜸봉의 보관성이 양호하며.입욕시 한 개씩 적당량을 온수에 투입하거나, 맛사지는 한 개씩 용기에 담아 물에 개어 바르면 사용이 편리하다.
특히,입욕제와 맛사지제의 성형물에 금분또는 진주분 (Pearl)을 첨가 또는 표면에 분사 코팅하면 물에 수용되어 미용제와 치료제로서 효능을 극대화할 수있다.
금분은 금이 발하는 전류가 인체내의 미약전류와 거의 유사하여 세포조직의 기능작용,신진대사를 활성화시켜 피부기능을 재생시키며 진정,해독,소염,살균,의 효능있다.
진주분은 수용성으로 피부를 약산성으로 유지하며 피부면역력강화,노화방지,보습효과,혈액순환,기미,주근깨의 미백작용과 세정작용이 탁월하다.
입욕제와 맛사지제의 성형물은 구형,원주형,타원형 또는 분말로서 통기성 팩 또는 비닐팩에 넣어 사용한다.
(실시예1)
상기의 비율로 황토와 숯이 혼합된 초산발효의 함초분말로 높이 3cm지름 3cm의 원추형의 뜸봉을 제작하여 백색의 시험지위에 높이 5m/m나무조각을 2개를 나란히 벌려놓고 그위에 뜸봉을 점화하여 연소시켰다.
원추형의 뜸봉이 연소되면서 대류작용에 의하여 뜸봉아래로 하향 이동하는 뜨거운 열기속에 내포된 타르와 페놀의 끈적한 점액질이 백지위에 거의 안보일정도로 감소되었고, 황갈색의 색소반점도 거의 소멸하였으며, 냄새가 없고 연기도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초산발효없이 황토와 숯의 미생물발효된 원추형의 뜸봉을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연소하였고, 냄새없는 연기가 발생했으며 백지위에 짙은 갈색의 검은반점이 소량 침착되었으나 뜸하기에는 양호한 편이었다.
(실시예2)
스크류압으로 길이3cm 지름1cm의 중앙이 통공된 원주형의 함초구관(灸管)을 성형하여 표면에 알코올에 라벤다오일을 미량첨가하여 회석된 알코올액을 스프레이로 분사하였다
뜸구관 3개를 구멍이 3개있는 간접구에 삽입하여 복부의 경혈에 고정시켜 3회를 반복하여 연소하였다. 통상 연소시간이 15분∼17분간 소요되었으며 타르와 페놀의 점액질은 현저히 감소되어 피부색갈과 구별이 어려웠고, 함초뜸의 화력은 종래의 쑥구관(灸管)의 화력과 거의 동일하였으며 연소연기에 향기가 섞여 분위기가 상쾌함을 주었 다.
(실시예3)
함초분,황토, 감초분,숯분,식초,당,이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고 탁주함유율(100∼200%/w) 이 상온에서 1일3O분씩 5회 저속 교반되어 3∼5일간의 급속발효후, 건조된 함초 혼합물을 고봉(高峯)형의 금형에 충진하고 일정시간후 금형에서 탈형하였다.
좌변기의 저수된물위에 종이를띄워 그위에 좌욕뜸(坐灸)으로 3회 연소하였으나 항문,회음혈,생식기에 유성(油性)의 끄림이 침착되지 않았고 통상 25분정도 연소되었으며 연소화력이 양호하였다.
상기된 함초 의 초산발효와 황토와 숯의 미생물 발효숙성에 의하여, 함초의 유기화합물에 함유된 타르 및 페놀성분의 황갈색의 점액질과 불완전연소로 인한 연기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우수한 함초의 성분과 효능으로 함초뜸과 온수 입욕제와 얼굴 및 피부 맛싸지제로써 치료와 건강과 미용에 이바지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
본발명의 초산발효와 미생물의 발효숙성에 따라 타르,페놀성분의 점액질과 일산화탄소,연기,끄림,등의 함량이 소멸 및 현저하게 감소되어, 기존의 숙뜸으로 발생되는 불편한점을 해소하여, 혐오감없이 누구나 실내에서 민간요법과 대체의학으로써 우리나라 전래의 천연 소금뜸을 함초로 할수있으며, 함초의 90여가지의 미네랄 성분과 각종 효소와 향오일과 기능성 약초와 광물질의 효능으로 치료와 미용효과가 극대화된 입욕제와 맛사지제로써 한국의 특산물인 함초를 다용도화하여 세계화와 질병의 치료 및 미용과 보건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다 .

Claims (2)

  1. 함초가 세절되고 분말화되어 곡주와 감초탕과 식초와 혼합하여 20℃∼80℃에서 초산발효하고, 함초가 분말화되어 50∼100mesh와 150∼300mesh로 선별되어 1:2∼3으로 배합되거나 함초분말 50∼300mesh중에서 1목(目)을 선택하여 약초분과 광물분을 1종또는2종,3종을 첨가한후 20℃∼80℃에서 황토와 숯의 미생물에 의하여 2차 발효숙성된 함초혼합분말에 전분을2∼5% 첨가하여 성형되기 직전에 향오일 또는 금분,진주분,황토분,운모분을 선택 첨가하고 성형기또는 압출기로 높이 2∼3cm의 저면이 타공된 원추형, 반구형, 고봉형과 중앙이 통공된 원주형의 함초뜸을 성형하고 함초 입욕재와 함초 맛사지재가 분말 또는 구형, 원주형, 타원형으로 성형되어 각각 표면에 향오일 또는 금분,진주분,황토분,운모분,이 코팅되는것과 50℃∼150℃로 열건조 또는 자연건조, 동결건조,또는, 원적외선, 초음파, 고주파, 발생기로 가열건조 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를 이용한 뜸과 미용재 제조법.
  2. 삭제
KR1020040042390A 2004-06-09 2004-06-09 함초를 이용한 뜸과 미용재 제조법 KR100564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390A KR100564783B1 (ko) 2004-06-09 2004-06-09 함초를 이용한 뜸과 미용재 제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390A KR100564783B1 (ko) 2004-06-09 2004-06-09 함초를 이용한 뜸과 미용재 제조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163A KR20050117163A (ko) 2005-12-14
KR100564783B1 true KR100564783B1 (ko) 2006-03-28

Family

ID=37290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390A KR100564783B1 (ko) 2004-06-09 2004-06-09 함초를 이용한 뜸과 미용재 제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7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441B1 (ko) * 2007-09-13 2008-10-28 배삼훈 홍련,백련을 이용한 연뜸과 연향(蓮香) 제조 및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682B1 (ko) * 2021-02-04 2022-12-29 최혁 식초 숙성 점액 여과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441B1 (ko) * 2007-09-13 2008-10-28 배삼훈 홍련,백련을 이용한 연뜸과 연향(蓮香) 제조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163A (ko)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97182B (zh) 一种改善肌肤肤质的复方精油
CN1899139B (zh) 香体健身强化蜂宏微量元素无尼古丁香烟及生产方法
CN101990913A (zh) 中药空气消毒制剂及其制备方法
KR20080095002A (ko) 대나무와 조릿대을 이용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사되는 연소용과 수용성 및 분말 첩부용 대나무뜸 제조방법
KR101028822B1 (ko) 갈대 숯과 갈대 초액을 이용한 비누 및 세제용 조성물
KR20050079947A (ko) 황토 유황 소금을 함유한 입욕제 조성물
JP2022533930A (ja) ドクダミ成分を含む頭皮健康改善用スプレー組成物
CN109007967B (zh) 一种含中草药的香烟及其制作方法
KR100348133B1 (ko) 건강증진용 혼합물 제조방법 및 그 혼합물이 부착된 침구커버
KR20070023315A (ko) 유황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6259533A (zh) 驱蚊组合物及由驱蚊组合物制成的驱蚊包及其驱蚊包的使用方法
KR100564783B1 (ko) 함초를 이용한 뜸과 미용재 제조법
KR100619508B1 (ko) 연(蓮)을 이용한 뜸과 선향의 연소재와 입욕재 제조법
KR100865441B1 (ko) 홍련,백련을 이용한 연뜸과 연향(蓮香) 제조 및 제조방법.
CN105999010A (zh) 复方茶籽粉泡脚剂及其制备方法
KR100403976B1 (ko) 위생기능성 혼합물 제조방법 및 그 혼합물이 부착된속내의류
KR101807946B1 (ko) 유자, 석류가 함유된 바디워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661258A (zh) 一种口腔清洁消炎用草本漱口水
KR100433380B1 (ko) 솔림욕 이미용제(황솔팩)와 입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7342A (ko) 황토와 칡을 이용한 전통 종가 장류 간장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391788B1 (ko) 갈대 숯, 갈대 초액 및 황토를 포함하는 건강보조 용품
CN106359203A (zh) 提高鱼品质的方法
KR100977650B1 (ko) 건식 효소욕 매질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0144A (ko) 라벤더오일 분말이 포함된 목초액 혼합분말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목초수액패치
KR100878563B1 (ko) 황토 함유 미용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