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002A - 대나무와 조릿대을 이용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사되는 연소용과 수용성 및 분말 첩부용 대나무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나무와 조릿대을 이용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사되는 연소용과 수용성 및 분말 첩부용 대나무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002A
KR20080095002A KR1020070039213A KR20070039213A KR20080095002A KR 20080095002 A KR20080095002 A KR 20080095002A KR 1020070039213 A KR1020070039213 A KR 1020070039213A KR 20070039213 A KR20070039213 A KR 20070039213A KR 20080095002 A KR20080095002 A KR 20080095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powder
moxibustion
patc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삼훈
Original Assignee
배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삼훈 filed Critical 배삼훈
Priority to KR1020070039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5002A/ko
Publication of KR20080095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85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articles applied to the patient
    • A61N2005/1087Ions; Prot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와 조릿대을 이용한 온열용 뜸연소재와 경피용의 첩부제뜸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나무뜸과 첩부제뜸 조성물은, 왕대, 맹종죽,솜대의 대나무줄기와 조릿대잎이 섬유질화 및 분말화되는 과정에서 추출된 열수및 압력솥 추출액과 죽력수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초음파 추출액과 주정에 용출된 죽력수의 추출액과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사 용해액 과정에서 발생된 추출액을 모두 취합한 혼합추출액을, 대나무 섬유질과 분말과 조릿대잎 분말과 죽순분말이 일정비율로 혼합된 혼합분말과 기능성의 약초및 첨가물과 일정비율로 혼합 교반하여 연소용 대나무뜸 성형 및 경피용 첩부제뜸을 조성하여 대나무와 조릿대의 줄기, 잎, 뿌리,죽피, 죽여, 죽순, 죽력의 각부위별 약리성분이 함유된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사 연소용 온열뜸과 경피용 첩부뜸으로 극대화된 뜸치료 및 뜸예방 효과를 한방 및 민간요법으로 제공함에있다.
Figure P1020070039213
대나무,조릿대, 왕대,맹종죽,솜대, 죽순, 죽력수,압력솥, 초음파, 광물질용해액, 첩부구

Description

대나무와 조릿대을 이용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사되는 대나무뜸과 첩부제뜸의 제조방법{omitted}
도1는 본 발명의 대나뜸의 (1)원주형,(2)원추형,(3)좌대형,(4)소라형의 평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첩부제뜸의(1)약물형패취,(2) 침봉형 패취,(3)원주형용기, (4)반구형 용기,(5) 분말포 패취의 평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원주형 11.점착지 21.분말포
2. 원추형 12.반구형 22.점착지
3. 지좌대형 13.박리지
4. 소라형 14.점착지
5. 지좌대 15.약물층
6. 점착지 16.박리지
7. 원주 17.침봉판
8. 점착지 18.점착지
9. 박리지 19.박리지
10.박리지 20.연소봉
전래(傳來)된 종래의 뜸법에는 불을 사용하여 연소재인 쑥을 태우는 온열뜸과 연소재없이 수용성 경피제로써 첩부요법(貼敷灸)으로 구별되어왔다.
직구(直灸), 간접구(間接灸), 격구(隔灸), 좌구(坐灸)뜸의 불을 사용한 온열요법과 불을 사용하지않은 첩부구의 수용성 경피요법이 피하(皮下) 미세혈관 확장및 신경을 자극하여 기혈(氣血)을 소통시켜 정기(精氣)를 돕고 냉기(冷氣)를 제거함으로써 인체의 순환계통과 소화계통과 조혈계통과 면역계통과 내분비계통을 개선하고 조정하는 작용으로 인체의 생리기능이 평형을 이루도록 하여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하는 한방및 민간요법으로 발전돼왔다.
불을사용하는 뜸법은, 쌀알정도의 크기로 쑥섬유를 뭉쳐서 환부나 혈(穴)에 놓고 태우는 직구(直灸)와 뜸기구를 사용하여 환부또는 경혈의 근접에서 쑥을 태우는 간접구(間接灸)와 피부위에 생강, 마늘, 대파, 콩, 팥, 연근, 부추, 백련, 고추, 같은 일상(日常)의 식(食)재료또는 산약,부자,창출,천초,망초,함초, 같은 기능성 약초와 황토,소금 같은 천연물질을 환부또는 경혈에놓고 그위에 쑥을 연소시켜 특정한 생약성분이 피하 심부에 경피됨으로써 치료효과를보는 격구(隔灸)와 뜨거운 열기와 수증기를 이용하여 온열을 회음혈에 조사하는 좌구(坐灸)가 있으며,
불을 사용하지않는 경피의 첩부뜸법은 기능성 약초 추출액또는 약초수용액과 기능성 약초분말과 더운성분의 생강, 마늘, 대파, 콩, 팥, 연근, 부추, 고추같은 식(食)재료 분말이 혼합반죽된 절편을 환부에 부착하거나,
약초를 침지한 곡주(穀酒)에서 울어난 약초 수용액(液)을 황토,소금 같은 천연분말과 혼합하여 반죽된 절편을 환부또는 혈(穴)에 부착하는 경피용 첩부구(貼敷灸)가 전래되어왔다
그러나, 전래되고 있는 연소용 뜸은 대부분이 쑥을 태우는 단조롭고 약성이 한정되어있어 일반 대중이 손쉽게 구하고,저렴하면서 약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치료와 예방의 효과를 갖는 새로운 뜸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따라서, 약리성분이 다양하고 우수한 대나무와 조릿대(산죽)의 줄기,잎,뿌리,죽피,죽여의 분말과 추출액 그리고 죽순, 죽력수,죽초액을 이용하여 연소용 온열뜸과 경피용의 첩부뜸으로써 치료및 예방재로 개발이 요구되고있다.
전세계에 400여 종류가 분포하며 한국에는 왕대속, 해장죽속, 조릿대속, 이대속의4속이 있다. 왕대속(Phyllostachys)은 중부 이남에서 왕대(참죽), 맹종죽(죽순대),오죽,솜대(담죽),반죽,관암죽 의 6종류가 있으며 해장죽속(Arundinaria)은 중부와 남부에 해장죽 1종이자라고, 이대속(Pseudosasa)은 남부의 산기슭이나 평지에 군생하며 이대, 자주이대 2종류가 있다.
조릿대속(Sasa)은 전국의 산야(山野)에 생육되는 산죽(조릿대, Sasa borealis Makino), 신이대(Sasa coreana Nakai), 이대(Sasa japonica Makino), 섬대(Sasa borealis var. gracilis), 제주조릿대(Sasa palmata Nakai), 갓대(Sasa borealis Makino),의 6종류가 있으며,
한방과 민간요법에 대나무와 조릿대의 줄기(竹代), 죽피(竹皮), 죽엽(竹葉), 죽근(竹根), 죽순(行筍), 죽황,죽여(竹茹)와 대나무기름인 죽력(竹瀝)과 죽력수와 대나무 탄화시 연기를 냉각시킨 죽초액이 치료 및 예방재로 이용되어 왔다.
동의보감, 본초강목, 신농본초경에 의하면,
대나무 추출액(죽력수)은 중풍, 고혈압을 치료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대나무 잎(竹葉)은 맛이 쓰고 성질이차서 열 내림의 청열(淸熱), 이뇨(利尿), 거담(祛痰), 청량(淸凉) 등의 효능이 있어 열병(熱病)으로 인한 번갈(煩渴), 토혈(吐血),기관지염(氣管支炎) 등에 사용하였으며, 최근에는 소화촉진,원기회복,주독(酒毒), 수면(睡眠) 및 중풍,고혈압, 동맥경화, 심혈관계질환의 치료와 살균 및 항진균작용 과 항암, 항당뇨 효과도 있는 것으로 공지되었다.
중약대사전, 동의보감, 본초강목, 등에서
죽력(竹瀝)은 대나무가 간접적인 열을 받아서 약성분이 진의 형태로 흘러내린 액체인데, 차고(寒), 달고(甘), 쓰며(苦),열을 내리고, 복부에 가스를 제거하고, 중풍, 고혈압, 항암에 치료제이며, 특히,중풍에 걸려 언어장애및 뇌졸증과 파상풍,소갈증,소아경간증 등의 일체 위급한 병과 눈을 밝게 하고 인체의 모든 감각기관과 배설기능을 촉진하는데 사용되어 왔으며,
죽력의 종류는 30cm 정도의 대나무 마디 사이를 절단하고 가운데 부분을 불에 쪼여 두 끝에서 나오는 기름을 수득하는것과 옹기에 톱밥을 덮어 태워서 간접열로 추출하는 화(火)죽력과 봄철 성장이 왕성할 때 생죽의 끝을 잘라 나오는 즙액인 생(生)죽력과 대나무를 잘게쪼개거나 분쇄하여 물또는 유기용매를 가열하여 추출하는 수(水)죽력인 죽력수(竹瀝水)의 3종류가 있다.
죽여(竹茹)는 대나무 외피를 벗기고 중간층을 긁어서 솜처럼 만들어 건조시킨 것으로, 명의별록(名醫別錄)약성론에 그 맛은 달고 성질은 약간 차며, 위경(胃經)·폐경(肺經)·간경(肝經)에 작용하여 열을 내리고 혈분에 사열(邪熱)을없애며 복통과 구토(止嘔)와 토혈(吐血)를 멎게 하는 효능이 있으며 가래를 삭이며, 임신중에 놀람(胎動不安), 태아를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열(胃熱)로 토하거나 딸꾹질, 담열(痰熱)로 가슴이 답답하고 통증 (煩熱) 과 기침이 나는 경우, 소아 경기와 체열, 토혈·코피·자궁출혈 등 혈열(血熱)로 인한 출열,등에 사용된다. 약리작용은 백색포도상구균, 고초열균,대장균, 티푸스균에 강력한 항균작용을하며, 근래 임상보고에서 죽여는 신경성구토, 폐결핵의 식은땀을 그치게 하며 급성이질, 안면신경염, 소아기관지염, 구강염과 세포 노화방지의 효능이 공지됐다
대나무뿌리 죽근(竹根)은 기운을 돋우고 구갈(口渴)과 번열(煩熱)및 심화(心火)를 해소하여 허약함을 다스린다. 심폐 기능강화, 오장의 소염(消痰)작용과 중금속에 대한 해독과 해열작용, 심장질환, 소아간질과 부인의 자궁하수증에 효과가 있으며,
죽피(竹皮)는 대나무껍질을 분말 환(丸)또는 탕액,즙액으로 복용하면 중풍예방과 신경안정에 특효하며, 바르면 2도이상의 피부화상에 특효하다하였고,
죽황(竹黃)은 대마디 속에 있는 흰빛의 얇은 막인데 맛은 달고 광물성약재의 독으로 나는 열을 없앤다.
죽순(竹筍)은 죽순은 90% 이상이 수분이고 다른 영양소의 함량이 낮고 단백질과 식이 섬유질이 많아 저칼로리 식품의 하나로 현대인의 식생활에 아주 적합한 식품이며 분말화하여 피부 미용제로 사용되왔다. 죽순중의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함량은 주로 타이로신, 아르기닌, 로이신, 등이다. 타이로신은 체내의 생화학적 대사를 촉진하는 효과와 아르기닌은 콜레스톨감소, 근육보존,면역기능강화,혈액순환촉진으로 심장기능을 개선하며, 로이신은 간의 기능을 원활하게하며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능이있다.
대나무 수액의 무기질 분석 결과, 5종의 함유된 무기성분은 수액1ℓ당 칼륨(2580.41 mg), 칼슘(422.1 mg), 마그네슘(165.9 mg), 나트륨(46.2 mg), 철분(0.5 mg)으로 인체를 구성하는 필수 영양소가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또한, 대나무 수액에는 수크로오스, 프락토오스, 글루코오스 가 함유되어 있으며, 아미노산으로서는 총 18종의 유리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고, 사람이 섭취해야만하는 필수아미노산 10개 중 9개의 아미노산 즉, 페닐알라닌, 로이신, 트레오닌, 메티오닌, 리신,이소로이신,히스티딘, 발린, 아르기닌,으로 각 죽종별 수액내에 아미노산 총량은 맹종죽(13.7mg), 왕대(7.6mg), 솜대(29.7mg)에함유되고, 최근에는 대나무 수액과 줄기 추출물에서 폴리페놀 화합물인 플라보노이드,카테민류 및 안토시안류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됨이 밝혀져 이들 성분들의 황산화 작용,노화 방지,고지혈증 억제 및 항종양 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어 인체에 유용한 성분을 다량함유하고 있다.
산림청 임업시험장에서 조사한바에 의하면 대나무 수액에는 포도당과 과당, 자당이 골고루 함유돼 있으며, 뼈에 이로운 나무라 해서 골리수라 불리는 고로쇠수액에 비해 대나무 수액에 함유된 칼슘,칼륨,마그네슘,나트륨은 무기질 함량이 각,각 2∼50 배나 높게 함유하고 수액이 이온화돼 인체에 쉽게 흡수되는 음료로 공지 하였다.
조릿대(산죽)(Sasa albo - marginata)는 전국 중부이남의 산중턱 아래 큰 나무 밑에 키는 1∼2m 지름은 3∼6mm로 무리를 지어 자라는 대나무 중에서 키가 작고 약성이 제일 강한 4계절 상록성 식물이다.
한방과 민간요법에 조릿대는 심장과 위장의 열을 내리고 간장의 열독(熱毒)과 심화(心火)를 풀어 억울한 마음과 정신과 뇌신경을 진정시켜, 신경쇠약, 불면증, 심화증, 홧병에 특효하며, 가래를 없애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염증을 치료하고 암세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조릿대 뿌리를 진하게 달여 그 물을 수시로 마시면 당뇨병,고혈압,간염·위염·위궤양에 특효하며 암,류마치스, 등의난치병을 치료 및 예방한다 하였으며,
조릿대는 크실로즈, 아리비노즈, 클루코즈, 만노즈, 갈락토즈 같은 다당류와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셀린, 트레아닌프로린, 알라닌치스테인 등의 아미노산이 많이 들어 있다. 이 밖에 지방, 칼슘, 규산, 비타민 B1과 K도 풍부하며,특히 비타민 K가 혈액이나 체액 속에 녹아 들어가 혈액을 맑게 하고 칼슘이온을 늘려 체질을 바꾸는 작용을 한다.
대나무와 조릿대의 약리 효과는 이미 한방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각 부위마다 특별한 치료효과를 나타내어 민간치료 요법에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으며,또한,대나무와 조릿대를 이용한 항암제,혈압강화제,당뇨병치료제,화상치료제,신장질환치료제,간암치료제.항산화활성제,뇌신경질환제, 뇌혈류량증가조성물로 치료 및 예방제에 있어서 선행 등록된 특허는 다음과 같다.
1:항암제(등록특허:10-0301784호), 2:혈압강화제로서의 대나무 추출물의 용도(등록특허:10-0678562호), 3: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치료또는 예방조성물(등록특허:10-0678568호), 4:대나무 표피분말을 포함하는 화상치료제(등록특허 10-0592429호), 5:약물성 신장질환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등록특허10-0678575호), 6:죽초액을 포함하는 간암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등록특허 10-0660961호), 7:항산화 활성이있는 맹종죽엽추출물 및 그제조방법(등록특허 10-0486763호), 8: 죽엽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신경계 관련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등록특허 10-0646595호), 9: 뇌혈류량 증가용 조성물(등록특허:10-0678565호),
본 발명자는 공지된 대나무와 조릿대의 줄기,잎,뿌리, 죽여,죽황,죽피,죽순,죽력,의 각부위에 함유된 약리 효능을 이용한 다양한 사용법에 주목하여 대나무의 대중적 이용을 촉진하고자 온열뜸과 경피용의 첩부뜸으로써 다양한 약리성분으로 치료와 예방효과가 우수한 대나무와 조릿대의 한방과 민간요법을 제공함에있다.
본 발명은, 대나무와 조릿대 섬유질과 분말과 추출액과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사액과 부재(副材)의 생강,함초,쑥,솔잎,백련,인삼,황토,숯,금분의 분말과 대나무뜸 성형과 첩부제뜸 조성에 필수첨가물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연소용의 온열 죽뜸과 피부에 첩부하는 수용성(濕式)뜸 또는 분말형(乾式)뜸으로 구별되고, 특히, 토르마린,등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복사열에의해 피부의 모공과 피하심부의 미세혈관 확장에의한 약리성분의 빠른 환부침투와 음이온 활성에의한 치료및 예방효과가 상승되는것과 일반대중이 자신의 질병 및 체질과 기호에 맞게 연소형뜸과 무 연소 의 경피용 첩부뜸으로 선택 시술하여 대나무와 조릿대의 치료효능을 대중화함에 그기술적 목적이 있다.
본발명은 대나무의 줄기에서 섬유질과 분말을 가공하고 조릿대(산죽)의 잎과 죽순을 세절또는 분말화하여 물또는 에탄올 용매의 열수 및 압력솥과 초음파 추출에 의한 진액을 추출한후 대나무와 조릿대의 각부위별의 각종 약리성분은 보존하면서 추출액을 여과 정제하여 대나무의 리그닌과 섬유소속에 내포된 타르, 크레졸, 포름알데히드, 메탄올, 등의 유해화합물을 여과하여 감소 및 제거시켜 섬유질과 분말을 혼합한 죽뜸성형과 경피용의 첩부제 조성시에 정제된 추출액을 다시 첨가 사용함으로써 뜸연소시 발생할 수 있는 끄림과 냄세와 점질액을 감소시키고, 피부에 유해성의 유기화합물을 제거및 감소하는 동시에 뜸성형과 첩부제 조성에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사액과 기능성약초및 첨가물을 교반하여 약리성분이 피하심부에 투과촉진되어 극대화된 치료 및 예방효과를 제공함에있다.
대나무 섬유질과 분말과 추출액에 사용되는 주재료는 왕대속(Phyllostachys), 해장죽속(Arundinaria), 조릿대속(Sasa)및 이대속(Pseudosasa)의 4속에 줄기,가지,잎,뿌리,죽피,죽여,죽황,죽순,죽력,이 본발명에 모두 포함되며, 대나무의 종류와 수령에 따라 추출액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함량이 조금씩 차이가 나는 것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3년생의 왕대(참죽), 맹종죽(죽순대),솜대(담죽)와 조릿대(산죽)를 선택하여 섬유질과 분말과 추출액을 제조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왕대,맹종대,솜대의 줄기에서 섬유질과 분말과 죽력수를 취득하는공정과
(2):조릿대(산죽)잎을 세절하여 추출액을 취득후 잎을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공정과
(3):톱밥(50∼100mesh)정도의 대나무 줄기분말과 죽순분말과 조릿대잎 분말을 일정비율로 발효주정(酒精)에 침지하고 초음파추출된 진액(죽력수)을 취득하는 공정과
(4):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는 광물질 용해액을 취득하는 공정과
(5):1,2,3,4의 공정에서 취득된 4액을 취합하여 활성탄 여과기에서 2∼3회 여과후 증발 또는 감압농축한후 용기에 내입시켜 숙성시키는 공정과
(6): (1)공정의 섬유질과 분말, (2)공정의 조릿대 분말, (5)공정의 4가지 혼합액을 일정비율로 취합하고 죽뜸봉과 첩부제뜸에 첨가되는 기능성 약초와 첨가제를 혼합하는 최종공정으로 대나무뜸과 첩부제뜸의 수용성과 분말형으로 제조한다.
(1)공정은 대나무 줄기의 분말과 섬유질과 죽력수를 취득하는 3단계로 이루어진다
(a),왕대와 맹종대와 솜대중에서 1종또는 1종이상을 잔가지와 잎을 제거한 대나무 줄기를 10cm 이내로 커팅하여 1∼3mm 일정간격으로 잘게 쪼개진 조각,또는 드럼 치퍼를 이용하여1∼3 mm의 균일한 두께의 칩을 제조하여, 일부는 일반적인 분쇄기로 80∼200mesh로 분말화하여 취득보관하고,
일부는 압착식 롤러에 투입하여 두께 1∼2mm로 압착하여 압착된 분량의 5∼20배의 물을 충진한 가마솥또는 금속수조에 조각또는 칩을 침지하여 치밀한 구조적 특성 때문에 약품의 침투가 어려운 대나무 조각또는 칩을 1∼3일 열수에 불리는 작업이 완료된후 압력솥(다이제스터)에서 80∼100℃에서 30분∼90분을 중탕하여 대나무 진액이 울어난 1회 추출액을 취득하고, 재차 60∼100 ℃에서 30∼90분동안 칩의 5∼20배의 물또는 70∼80%에탄올,또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의 금속수조에서 초음파(20∼40Khz)추출한 2회 추출액을 1회 추출액과 취합하고,
(b),상기의 2회 추출이 끝난 대나무 조각이나 칩에 10∼20배의 물을 충진하고 가성소다(3∼10%) 또는 아황산소다 (5∼15%)와 혼합 첨가하여 30분∼90분을 100∼150℃의 압력솥(다이제스터)으로 추출한 3회추출액을 상온에서 냉각후 여과지,여과포 및 활성탄 여과기에서 2∼3회 여과하여 추출액에 함유된 화학물질과 유기물을 걸러내고, 1회와 2회의 취합된 추출액에 3회 여과된 추출액을 혼합하고 여과지,여과포 및 활성탄 여과기에서 2∼3회 여과하여 추출액속에 함유된 타르, 크레졸, 포름알데히드, 메탄올, 등의 일부 유기물을 제거한 추출액인 죽력수를 일정량의 증발 또는 감압농축하여 용기에 정치하여 죽뜸봉 성형과 첩부제뜸 조성시 반죽수와 첨가수로 사용된다.
(c),또한, 3회 추출되는동안 가성소다와 아황산소다에 의하여 조직이 유연해진 대나무조각 또는 칩에 5∼10배의 물을 충진한 교반기 에서 1000∼3000 rpm 고속으로 교반하여 대나무 조직에서 분리된 미세 섬유 덩어리를 탈수 및 건조하여 대나무 섬유질을 취득함으로써, 상기의 공정에서 왕대, 맹종대, 솜대에서 줄기의 분말과 정제된 섬유질과 정제된 추출액의 죽력수를 취득한다
(2)공정은 조릿대(산죽)잎을 5∼20mm로 세절하여 추출액을 취득후 잎을 건조 하여 분말화하는 공정으로써,
세절된 조릿대잎의 10∼20배의 정제수에 80∼100℃에서 30분∼90분을 가열한 1차압력솥(다이제스터)추출과 10∼20배의 물을 가하고 60∼100℃에서30∼60분동안 금속수조에서 초음파(20∼40Khz)추출과 조릿대 잔여물에 5∼10배의 70∼80%에탄올 유기용매에서 60∼100℃에서 30∼60분동안 초음파추출로 수득한 3차추출액과 1차와 2차추출액을 취합하여 여과지및 활성탄여과기에서2∼3회 여과후 일정량 증발 또는 감압농축한후 용기에정치하고, 잔여물인 세절된 조릿대잎을 건조하여 일반적인 분쇄기에서 80∼200mesh로 분말화하여 죽뜸봉 성형과 첩부제 조성물에 사용된다.
(3)공정은 톱밥(50∼100mesh)정도의 대나무 줄기분말과 죽순분말과 조릿대잎 분말이 4:4:2의 혼합분말에 5∼10배의 주정(酒精)을 용기에 충진하고 30∼120분을 초음파(20∼40Khz) 추출하여 발효주정에 용출된 진액인 죽력수를 취득하는 공정이며,
(4)공정은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는 광물질 용해액을 취득함에있어서,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사 물질로는 규산나트륨, 알루미늄산나트륨, 산화아연, 티오황산나트륨, 이산화게르마늄, 산화칼륨(K2O), 산화칼슘(CaO) 산화붕소,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규소(SIO2), 산화나트륨, 산화망간(MnO2), 산화구리CuO), 산화철(Fe2O3),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니켈, 산화코발트, 산화크롬, 산화티탄(TiO2), 산화몰리브덴, 산화바륨, 산화리튬, 산화제2철(Fe2O3),등에서 1종이상과 알칼리성 이온을 띄는 음이온 성분들이 존재하는 희토류의 나트륨, 셀륨, 셀레늄, 란타늄, 게르마늄 및 홀뮴에서 1종이상을 선택 혼합하거나, 또는 상기 성분들이 함유된 토르마린, 게르마늄,자수정,맥반석, 옥, 페그마타이트,황토,중에서 200∼500mesh의 전기(電氣)석인 토르마린을 주재로 1종이상이 선택되어 혼합된 분말의 중량대비 10∼50배의 정제수또는 전해(電解)된 알칼리수에 물중량대비 수산화나트륨(2∼10%)또는 수산화칼륨(5∼10%)과 수산화칼슘(2∼10%)과 탄산칼륨(5∼10%)을 1종또는 2종의 혼합 용해액을 초음파 금속수조의 용매로 충진하고, 전기 또는 고주파 가열기로 80∼100℃로 유지하면서, 교반기(1000∼2000rpm)가 30분간 혼합분말과 용매를 균질하게 혼합한후, 20∼40KHz의 초음파을 30∼60분간 발생시켜 반응액인 용매에서 초음파 기포가 생성될때, 기포의 진동에 마이크로 과류가 발생되고 초음파 진동자에의한 공동화기포(Cabitationl bubble)의 생성과 기포파열의 고온,고압 충격압에의한 용해액과 광물질 분말입자의 혼합,박리, 분산,열분해, 응결의 물리,화학적 반응이 촉진되어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광물분말 입자들은 일정량이 알칼리 용매속에 용해되어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사 및 방출되는 "액상의 방사체"를 수득하고. 피부에 안전성을 위하여 구연산, 식초산 에서 선택 첨가하여 pH 7∼8로 중화한후 상온에서 3일 ∼ 10일 동안 정치 하여 용기 상층의 맑은 상등액만 분리하여 보관숙성시킨다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체란, 상온(20∼40℃)의 액체 상태에서 원적외선을 방출함으로서 생체에 여러 가지 생화학적 기능성을 가진 용액을 의미하며, 방사에너지가 생체 내의 세포의 분자를 1분에 2000회이상 진동자극하여 직접적이고 순간적인 열 전달에 의해 빠르게 생체를 가열하여 미세혈관을 확장 및 활성화시키는 마이크로파이다.
대부분 물과 단백질로 구성되어있는 인체에 미치는 원적외선의 작용은 생체 깊숙이 도달하여 흡수되며 활성화된 물분자에의하여 생체고유의 파장과 공명, 공진함으로써, 조직내로 흡수된 원적외선이 복사열로 변화여 피하 심부층의 체온이 상승되어 피부의 모공 및 미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전기석인 토르마린을 주성분으로 자수정,게르마늄, 페그마타이트, 옥,맥반석,황토에서 1종이상이 첨가된 특정한 빛과 파동의 천연광물질이 용해된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체가 복사열로써 약리성분이 피부에 촉진투과되어 치료효과를 상승시키며 따라서,죽뜸봉 연소시와 경피의 첩부제에도 다량의 원적외선이 조사되어 피부의 모공과 미세혈관을확장함으로 치료효과는 상승된다.
따라서, 토르마린(Tourmaline)을 주성분으로하는 특성은 다음과 같다.
(a) 주요 구성 성분으로는 Mg, Fe, B, Si, Ca 및 기타 알칼리 금속이 포함되어 있고, 광물 중에서, 유일하게 물을 전기분해 하는 특성으로서 물과접촉을 통한 전기분해에 의해 대표적인 음이온방출과 원적외선 효과의 복합 상승작용이있는 물질로서, 입자가 인체의 열과 접촉하여 (약 0.06mA) 미약전류를 발생시켜 피부의 말초순환계를 자극하여 혈류를 촉진하고 세포활성화 작용, 혈액 정화작용, 등의 전위치료효과와 피하 심부의 온열화에의한 세포의 신진대사 활성화와 미세혈관 확장으로 혈행 촉진을 하며,
(b) 토르말린 원석이나 분말이 수분에 닿으면 순간적으로 방전하여 물을 전기분해함으로써 미세한 전기에 의해 물의 클러스터가 분해되어 물분자가 작아져 피부와 세포로 보다 쉽게 침투및 흡수가 촉진되고, 또한, 물에서 계면활성을 가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토르말린의 계면활성 촉진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의 (1)∼(4)공정에서 취합된 각기다른 추출액들의 융화에따른 약리성분의 활성화를 촉진시킨다.
또한,음이온의 작용은 혈액정화작용, 세포의 활성작용, 저항력 증가작용, 자율신경계 조절작용, 피로회복 및 통증완화 작용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음전위가 신체에 접촉되면 혈액중의 미네랄성분인 칼슘, 나트륨,칼륨,등의 이온화가 증가하고, 세포막에서의 전기적 물질 교류가 촉진되어 혈액의 약 알칼리화가 진행되어 혈액이 정화된다. 또한,음이온이 늘어나면 혈청 중에 포함된 면역성분인 감마 글로불린이 현저하게 증가되어 질병과 감염증세에대한 면역력이 높아지고,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기능을 하는 자율신경계를 원활하게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 대나무뜸과 첩부제 뜸 이란,
분류학상 왕대속(Phyllostachys), 조릿대속(Sasa), 해장죽속(Arundinaria), 이대속(Pseudosasa)에 속하는 대나무로 분류되는 식물의 줄기와 잎, 가지, 뿌리, 죽피, 죽여,죽황, 죽순, 죽력으로부터 얻어진 섬유상, 분말상, 액상(液狀) 또는 고형상(固形狀)의 물질로 일정량의 비율로 성형 및 조성되어 피부에 가해지는 연소용 온열요법과 경피용의 첩부요법으로써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갖는한 "뜸"으로 정의할수있으며,
본 발명의 경피용 첩부제 조성물은 대나무를 주재(主材)로, 바람직하게는 3년생의 왕대(참죽), 맹종죽(죽순대),솜대(담죽)와 조릿대(산죽)를 이용하여 섬유상,분말상,액상(液狀) 또는 고형상(固形狀)과 추출액을 증발 및 감압농축한후 동결 건조한 분말로 일정량의 비율로 성형 및 조성되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부형제를 첨가하여 제제(製劑)화함으로써 일정형의 건조엑스제 및 분말성형또는 과립제, 패취제,통기성 분말팩으로 제조되어 피부에 부착됨으로 원적외선의 복사열에 의한 모공과 미세혈관확대작용으로 피하심부에 약성이 투과될수있는 경피용 분말형 첩부제뜸이라 할수있으며 또한, 합성수지와 고무 또는 대나무 분말성형 용기내에 내입시켜 고형(固形)상, 점착성젤, 용액, 현탁액, 로션, 경고, 연고로 제조되어 경피용의 수용성 첩부제뜸으로 정의할수 있다.
(5)공정은 상기의 1∼4의 공정에서 취득된 4종류의 추출액을 적량의 비율로 배합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는 액상의 방사체(죽력수)를 제조하는 최종공정으로써,
(1)공정의 b단계에서 대나무의 1차와 2차와 3차의 취합된 혼합추출액과 (2)공정에서 조릿대잎의 1차와 2차,3차 추출액이 취합된 총중량 대비 3∼5:1의 비율로 (3)공정의 대나무와 조릿대와 죽순의 분말 진액이 용출된발효주정액을 첨가하고 (4)공정의 광물질 용해액의 "액상의 방사체"는 (3)공정까지의 전체 총 추출액의 0.2∼5%를 첨가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는추출액,즉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사 죽력수"를 구연산(0.5∼1%)또는 식초산(0.5∼1%)을 첨가하여 pH7∼8로 조절한후, 죽력수 방사체의 수율(樹率) 증가를 위하여 20∼30%를 증발 또는 감압농축한후 혼합분말을 사용한 죽뜸봉 성형과 첩부제 조성에 반죽수 및 첨가수로 사용을 대비한다.
상기된 (1)공정 a단계의 대나무 분말과 c단계의 대나무 섬유질과 (2)공정의 조릿대 분말을 대나무 분말(80∼100mesh)40∼60%:조릿대분말(80∼200mesh)40∼60%:섬유질10∼20%과 죽순분말(100∼200)5∼10%을 배합하고, 총중량대비 곡주(穀酒) (20∼40%)와 황토(2∼5%)와 숯분말(2∼5%)과 적량의 당(糖)(2∼5%)을 첨가하여 실내온도20∼40℃에서 3∼10일동안 발효 및 숙성시켜 열수추출 및 초음파추출 과정에서 제거 되지않은 일부 유기물에의해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속의 끄림과 냄새와 리그린의 침출액의 유해성을 황토에 기생하는 미생물 군(群)에의한 분해, 해독, 여과작용,등과 숯의 흡착성, 축전(蓄電)성, 부패를 막는 탄소의 환원작용과 에너지 상승작용, 탈취, 정화,습도 조절,등의 작용으로 잔류유기물의 유해성이 감소 및 제거된, 상기의 대나무줄기분말:조릿대분말: 섬유질:죽순분말이 4∼6: 4∼6:1∼2:0.5∼ 1의 비율로 배합된 "최종혼합분말"에 중량대비 (5)공정의 최종혼합수인 "원적외선방사죽력수"를 60∼100%의 적량첨가하고 전분(2∼3%)과 화력보강제로 쑥섬유질(5∼10%), 또는 쑥분말(5∼10%)과 솔잎분말(5∼10%), 백련분말(5∼10%)과 연소촉진제의 당(糖)(2∼5%)과 보습제의 솔비톨(0.5∼3%)또는 글리세린(0,5∼3%)을 균질하게 혼합반죽하여 압출기,프레스,또는 금형(金型),합성수지 몰드에서 중앙이 통공된 원주(圓柱)형(1)과 내부가 원뿔형으로 중공(中空)된 원추(圓錐)형(2)과,저면에 박리지(19)와 점착지(6)가 부착된 지(紙)좌대(坐臺)형(3), 상단에 연소봉(20)이 구성되고 내부가 나선형으로 중공된 소라형(4)으로 성형되며, 자연건조,열풍건조 또는 초음파,고주파,등의 전자파 건조하여 연소용의 죽뜸봉을 제조한다.
첩부제뜸은 수용성 첩부제와 분말형 첩부제로 구변되며, 뜸 부착시 연기,냄새 끄림이없어 청결함과 화상을 예방하고 체질적으로 화독(發赤)과 수포(水泡)에 민감하여 피부에 뜨거운 온열뜸을 할 수 없는 환자에게 바람직하며,
상기의 "최종혼합분말"에 "원적외선 방사 죽력수"를 첨가하여 조성되는 기본 구성은 대나무 뜸과 동일하다
수용성 첩부제뜸은 "최종혼합분말"에 중량대비 "원적외선방사 죽력수"를 60∼100% 첨가하고, 한방에서 더운성질로 분류한 생강분말(2∼5%),쑥분말(5∼10%), 솔잎분말(5∼10%), 백련분말(5∼10%),인삼분(2∼5%),금분(0.2∼1%)과 90여가지의 미네랄이 풍부한 함초분말(5∼10%)에서 1종이상을 선택하여 첨가하고, 보습제의 솔비톨(0.5∼3%)또는 글리세린(0,5∼3%)을,셀룰로스(1∼2%),구아검(Guargum)(0.2∼2%),항균제의 리크로산(0.1∼0,5%)또는 죽초액(0.2∼2%)과 수율(樹率)과 점도 조절제로 "원적외선방사 죽력수"를 첨가하여 교반기에서 균질하게 혼합교반하여 합성수지와 고무,라텍스 또는 대나무 분말성형의 원주형(7)과 반구형(12) 용기내에 고형(固形)상, 증류액,현탁액, 젤, 용액, 연고,로 내입시켜 용기저면의 박리지(9,10)를 탈리시키면 점착지(8,11)에 의해 피부에 접착되면서 피하 조직내로 흡수된 원적외선이 복사열로 변화여 미세혈관 확대에의한 혈액순환 촉진의 "수용성 첩부뜸"으로 정의할수있으며,
분말형 첩부제뜸은 수용성 첩부제의 조성성분을 분말화한것으로 특히,
"원적외선방사 죽력수"를 증발 및 감압농축한후 동결건조하여 취득한 청색의 분말과 죽초액(0.2∼2%)이 첨가된 건조엑스제를 사용한 패취제,파스제,통기성 분말팩으로 제조되어 피부에 부착됨으로 인체의 열과 수분, 체액,피부호흡과 조직내로 흡수된 원적외선이 복사열로 변하여 피부의 모공 및 미세혈관을 확장시켜 피하 심부에 약성이 경피되며 특히, 다수의 침봉이 돌기된 건조엑스 원판(17)과 점착성의 약물층(15)이 중아에 도포된 패취제와 건조엑스 분말포(21)의 패취제가 있으며 박리지(13,16,미도시)를 제거하여 점착지(14,18,22)로 피부에 접착하면 원적외선효과,침효과를 동반하여 심부층의 체온이 상승되어 대나무약성을 빠르게 심부 에 전달한다.
조릿대를 비롯하여 모든 대나무는 그 성질이 차(冷)다.
찬 성질은 몸 안의 열을 내리고 열 때문에 가슴이 답답한 것을 풀어 주기도 하지만 혈압이 낮거나 몸(體)과 수족(手足)이 찬(冷) 사람에게는 오히려 해를 끼칠 수도 있다. 따라서, 첩부제의 수용성 경피제에는 더운성질의 생강,백련,쑥,솔잎,인삼의 분말과 금분(金粉)과 죽염(竹鹽)같이 대나무와 조화를 이루는 90종의 미네랄이 풍부한 바다 염초(鹽草)인 함초분말을 첨가하여 인체에 미네랄을 보충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생강은 약제성분과 지질(脂質)을 융화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대나무 지질의 유화제로 사용되며, 한방에는 감초처럼 필수처방제이다. 또한,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치와 혈압, 혈액의 점도를 낮추며 심장을 원활히하고 생강의 매운 맛이 위액의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촉진과 속을 따뜻하게 함으로 복통, 설사,을 완화하고 관절염과 류머티즘의 통증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다.
솔잎의 테레빈유는 연소시 연소력이 강하며, 다량의 불포화지방산과 비타민A, 에스테르, 글리코기닌, 아피에틴산, 클로로필, 비타민C,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오장을 편케하고 혈압,비만, 중풍 모발생성, 솔잎즙은 상처의 살균소독, 식품 방부 제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쑥의 주요 성분은 시네올 50%, 아데닌, 콜린, 타닌,등의 다량의 정유성분 속에 알코올(alcohol), 에테르(ethers), 에스테르(esters),등이 함유되어 연소력과 화력(火力)이 양호하고 연소시 혈관확장 작용을 한다.
백련은 다년생 수생 식물이며, 한방에서는 설사, 두통과 어지럼증, 토혈, 산후 어혈치료, 야뇨증, 해독작용, 비타민 결핍치료, 등에 사용되며,
함초는 바닷물속에 함유된 90여종류의 미네랄과 효소성분이 농축되어있으며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소금을 흡수하면서 자라는 식물로써,
미네랄은 생명체의 전기(電氣)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작용과 영양소 내의 핵심적인 역할을 함은 물론 인체의 자연치유력을 부여하는 매우중요한 원소로써, 함초의 약리작용으로는 변비,비만증에 효과적이며,위의기능을 촉진하고 신장염,간염 및 고혈압,저혈압,빈혈증과 혈당강하,갑상선 기능향상과 여성의 냉, 대하증, 등의 개선작용을한다
숯과 황토와 당은 죽뜸봉 연소시 화력(火力)을 증가시켜 피부의 모공과 미세혈관을 확장하여 약리성분의 피부 투과를 촉진한다.
또한, 황토는 생육광선인 원적외선을 다량방출하며,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히하고 불포화지방산,과산화지방산,과산화지질,오염된 물 등에 작용하여 인체의 생리활동을 증대시켜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상호 공진에의한 자기발열 및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효과와 정화력,분해력이 있는 황토는 인체의 독을 제거해주어 제독제,해독제로 사용되기도한다.
숯은 탄소,미네랄로 구성되어있는 다공성 구조로써 흡착력이 강해 유해세균이나 악취를 제거하고 음이온을 발생시킬뿐아니라 칼슘,칼륨,철,인,나트륨, 등의 5대 미네랄외에 구리,아연,망간,마그네슘,크롬,모리부덴,등이 함유되있으며, 숯 자체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은 산소가 풍부하여 공기를 맑게하고 모든 생명활동을 돕는 작용을 한다. 다공성 표면에 착생하는 미생물은 미생물막을 형성하여 숯이 흡착한 물이나 유기물이나 냄새의 근원이 되는 불순물을 비롯하여 유해한 화학물질을 분해한다.
20℃∼40℃에서 황토와 숯에서 발산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과 산소는 황토와 숯의 각각의 미생물들의 생명활동을 촉진하여 유기화합물의 분해를 더욱 활성화함으로 황토와 숯의 효능이 상승작용되어 대나무와 조릿대 분말에 함유된 잔여 유독성분을 감소 및 해독시킨다.
금분(金粉)은 「동의보감」등에서 금이 진정 작용과 노폐물 제거 등 해독작용, 피부정화 및 혈액순환에 효능이있다 하였고, 금은 양이온이므로 몸의 에너지를 채워주는 효과가 알려져 있으며, 특히, 한방에서는 금침(金針)과 금박(金箔)이 의약적으로 광범위하게 쓰여왔다
종래의 쑥을 태우는 약성이 한정되어있는 온열요법과는 달리 대나무와 조릿대의 줄기, 죽옆, 죽여,죽피,죽근, 죽력,죽황,죽순,의 특별한 약리효과들이 종합 추출된 죽력수와 천연광물질이 용해된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방사액과 혼합되고 부재(副材)로 숯가루,황토와 생강,함초,쑥,솔잎, 백련,인삼,금분,죽초액의 특정한 성 분들이 선택첨가되어 성형 및 조성된 대나무뜸과 첩부뜸을 일반대중이 저렴하게 접할수있음으로 각종질환에 해당되는 경혈과 환부에 연소형의 온열요법과 무연소형의 첩부제 경피요법으로 선택하여 한방과 민간요법으로써 혈액순환,신진대사촉진으로 관절염,피부병,당뇨,신장병, 간장병, 고혈압,심장병,퇴행성질환,뇌질환,등의 자가치료및 예방할수있으며, 또한,왕대,맹종대,솜대와 조릿대를 활용함으로써 사양화의 죽 생산농가 및 죽세공 농가에도 경제적으로 도움이 예상된다.

Claims (3)

  1. (a):왕대, 맹종대, 솜대를 단독,또는 혼합사용하여 줄기를 10cm이내로 절단하고 잘게 쪼개거나,드럼치퍼를 사용하여 두께 1∼3mm의 칩으로 가공하여 2∼3일 물에 불린후 압착식 롤러에 압착하여 칩의 5∼20배의 물이 충진된 80∼100℃의 압력솥(다이제스터) 에서 30∼90분동안 감압중탕한 1회 추출액과 칩의 5∼10배의 70∼80% 에탄올또는 물과 에탄올 혼합용매의 초음파(20∼40Khz)추출된 2회 추출액과 가성소다(3∼10%) 또는 아황산소다(5∼15%)와 혼합첨가하여 30분∼90분을 80∼150℃의 압력솥(다이제스터)에서 칩의 5∼10배물을 감압중탕한 3회추출액을 1, 2회추출액과 취합하고 여과하여 30∼50%증발 및 감압농축하여 용기에 정치숙성하는 공정:과
    (b):조직이 유연해진 대나무칩에 5∼10배의 물을 충진한 교반기 에서 1000∼3000 rpm으로 교반하여 조직에서 분리된 섬유를 탈수 및 건조하여 대나무 섬유질을 취득하고 왕대, 맹종대, 솜대에서 줄기를 5∼30cm로 절단하고 잘게 쪼개거나,드럼치퍼를 사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제조한후 분쇄기로 80∼200mesh로 대나무 줄기를 분말화하는공정:과
    (c):조릿대 잎을 5∼20mm로 세절하여 10∼20배의 물을 충진한 압력솥을 80∼100℃에서 30분∼90분을 감압중탕한 1회 추출하고, 10∼20배의 물을 충진한 60∼100℃ 금속수조에서 30∼60분동안 초음파(20∼40Khz)추출한 2회 추출액과 조릿대잎에 5∼10배의 70∼80% 에탄올용매에서 60∼100℃의 30∼60분동안 초음파추출로 수 득한 3차 추출액과 1회와 2회 추출액을 취합하여 여과후 30∼50%증발 또는 감압농축하여 용기에 정치하고,
    잔여 조릿대잎은 건조하여 80∼200mesh로 분말화하는 공정,과
    (d): 대나무 줄기와 조릿대잎과 죽순이 50∼100mesh 분말화되고 4;4;2 비율로 혼합분말에 5∼10배의 발효주정(酒精)을 용기에 충진하고 30∼120분을 초음파(20∼40Khz) 추출하여 3∼10일 숙성뒤에 주정에 용출된 죽력수와 분말을 분리하여 취득하는 공정,과
    (e): 토르마린을 주제로 200∼500mesh의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는 분말 또는 광물질과 희토류를 포함한 1종이상이 첨가된 중량대비 10∼50배의 정제수또는 전해(電解)된 알칼리수에 수산화나트륨(2∼10%)또는 산화칼륨(5∼10%)과 수산화칼슘(2∼10%)과 탄산칼륨(5∼10%)의 분말을 1종또는2종을 첨가하여 30∼60분간 80∼100℃의 교반기(1000∼2000rpm)에서 교반한후, 초음파(20∼40KHz)을 30∼60분간 발생시켜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사 물질이 용해된 용매에 구연산(0.5∼1%), 식초산(0.5∼1%)을 첨가하여 pH 7∼8로 중화하는 공정,과
    (f): 5공정의 종합 추출액과 6공정의 종합분말을 반죽하여 대나무뜸봉과 첩부제뜸을 제조에 있어서,
    (1)공정의 b단계에서 대나무의 1, 2, 3차 취합된 추출액과
    (2)공정의 조릿대잎 1, 2,3차의 취합된 추출액을 혼합하여 1,2공정의 혼합액에
    (3)공정의 진액이 용출된 주정액을3∼5:1의 비율로 첨가하고
    (4)공정의 광물질 용해액의 "액상의 방사체"를 (3)공정까지의 총 혼합액에 0.2∼5%를 첨가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사 죽력수"를 취득하고 구연산(0.5∼1%)또는 식초산(0.5∼1%)을 첨가하여 pH 7∼8로 조절한후, 30∼50%를 증발 또는 감압농축한후 수율(樹率)을 증가시킨 (5)공정:과
    (1)공정 a, c단계의 대나무 분말(80∼100mesh) 40∼60%: 섬유질10∼20%:
    (2)공정의 조릿대 분말(80∼200mesh) 40∼60%에 죽순분말(100∼200mesh) 5∼10%을 첨가한 혼합분말에 총중량대비 곡주(穀酒) (20∼40%)와 황토(2∼5%)와 숯분말(2∼5%)과 적량의 당(糖)(2∼5%)을 첨가하여 실내온도20∼40℃에서 3∼10일동안 숙성된 "최종의 종합분말"에 (5)공정의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사 죽력수"를 60∼100%를 첨가하고 전분(2∼3%)과 화력보강제로 쑥섬유질(5∼10%),또는 쑥분말(5∼10%), 솔잎분말(5∼10%),과 연소촉진제의 당(糖)(2∼5%)과 보습제의 솔비톨(0.5∼3%)또는 글리세린(0,5∼3%)을 혼합반죽하여 압출기,프레스,또는 금형(金型),합성수지 몰드에서 중앙이 통공된 원주(圓柱)형(1)과 내부가 원뿔형으로 중공(中空)된 원추(圓錐)형(2)과 저면에 점착지(6)와 박리지(19)가 부착된 종이(紙)좌대(坐臺)형(3), 상단에 연소봉(20)이 구성되고 내부가 나선형으로 중공된 소라형(4)으로 성형되며, 자연건조,열풍건조 또는 초음파,고주파,등의 전자파 건조하여 연소용의 대나무 뜸봉을 제조하며,
    (g): 수용성 첩부제뜸은 "최종혼합분말"에 중량대비 "원적외선방사 죽력수"를 60∼100% 첨가하고, 더운성분의 생강(5∼10%),쑥(5∼10%), 솔잎(5∼10%), 백련(5∼10%), 함초(5∼10%),인삼,의 분말과 금분(金粉)에서 1종이상을 선택하여 첨가하고, 보습제의 솔비톨(0.5∼3%)또는 글리세린(0,5∼3%)을,점도조절제의 셀룰로스(1∼2%)또는 구아검(Guargum)(0.2∼2%)과 항균제의 리크로산(0.1∼0,5%)또는 죽초액(0.2∼2%)을 혼합교반하여 합성수지, 고무,라텍스 또는 대나무 분말로 성형된 원주형(7)과 반구형(12)의 용기내에 고형(固形)상, 증류액, 용액, 현탁액,젤, 연고,가 내입된 용기(容器) 저면의 박리지(9,10)를 제거하면 점착지(8,11)가 피부에 접착되어 약리성분이 피하심부에 투과되며,
    분말형 첩부제뜸은 통기성 건조엑스 분말포(布)형(21)패취와 중앙에 다수의 침봉이 돌기된 건조엑스 원형판(17)의 침봉형 패취와 점착성 약물층(15)이 중앙에 도포된 약물형 패취제가 점착지(22,14,18)와 박리지(13,16,미도시)로 구성되어 박리지를 제거하면 패취제가 피부에 접착되어 원적외선효과와 침효과를 동반한 약리성분이 피하심부층에 빠르게 투과하는 특징을 갖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는 대나무뜸과 첩부제뜸.
  2. 대나무뜸의 원료는 분류학상 왕대속(Phyllostachys), 조릿대속(Sasa), 해장죽속(Arundinaria), 이대속(Pseudosasa)에 속하는 대나무로 분류되는 식물이 모두포함되며, 왕대,맹종죽,솜대와 조릿대(산죽)의 줄기와 잎,가지,뿌리,죽피,죽여, 죽순, 죽력으로부터 얻어진 섬유질,분말,추출액,증류액,또는 고형상(固形狀)의 물질로써 일정량의 비율로 성형된 연소용의 온열 뜸과 경피용의 첩부뜸으로써 온열요법과 경피요법으로 시술범위가 포함되는 특징을 갖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는 대나무뜸과 첩부제뜸.
  3.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사 추출액은 광물질또는 성분분말과 희토류가 1종이상이 충진된 80∼100℃의 금속수조에서 교반기(1000∼2000rpm)가 10∼60분간 혼합분말과 알칼리 용매에서 교반한후, 20∼60분간 초음파(20∼40khz) 추출되며 PH 7∼8로 조절한후 대나무와 조릿대와 죽순의 분말과 반죽되어 대나무뜸봉과 용기(容器)형과 패취또는 분말팩으로 제조됨을 특징을 갖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는 대나무뜸과 첩부제뜸.
KR1020070039213A 2007-04-23 2007-04-23 대나무와 조릿대을 이용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사되는 연소용과 수용성 및 분말 첩부용 대나무뜸 제조방법 KR20080095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213A KR20080095002A (ko) 2007-04-23 2007-04-23 대나무와 조릿대을 이용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사되는 연소용과 수용성 및 분말 첩부용 대나무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213A KR20080095002A (ko) 2007-04-23 2007-04-23 대나무와 조릿대을 이용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사되는 연소용과 수용성 및 분말 첩부용 대나무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002A true KR20080095002A (ko) 2008-10-28

Family

ID=4015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213A KR20080095002A (ko) 2007-04-23 2007-04-23 대나무와 조릿대을 이용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사되는 연소용과 수용성 및 분말 첩부용 대나무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500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433B1 (ko) * 2008-12-05 2009-07-02 (주)범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탈취성이 우수한 수성도료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2908247A (zh) * 2012-09-25 2013-02-06 章玮 一种温灸器
KR101443114B1 (ko) * 2012-08-30 2014-09-26 배삼훈 쌀막걸리에 숙성된 백미와 미강을 이용한 쌀뜸봉 제조방법.
CN107164962A (zh) * 2017-07-06 2017-09-15 江苏宇道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纺丝油剂及其制备方法
CN107375252A (zh) * 2017-08-16 2017-11-24 哈尔滨医科大学 一种新型艾灸贴剂及艾灸贴剂组合
CN110063890A (zh) * 2019-05-28 2019-07-30 深圳前海艾王科技有限公司 一种可续灸的便捷艾灸器
CN110897868A (zh) * 2018-09-17 2020-03-24 馆陶县科学技术局 一种便于携带的艾草温灸器
US11973736B2 (en) 2020-07-28 2024-04-30 Motorola Solutions,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resolving misunderstandings on text or audio channels via opening a video channel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433B1 (ko) * 2008-12-05 2009-07-02 (주)범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탈취성이 우수한 수성도료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43114B1 (ko) * 2012-08-30 2014-09-26 배삼훈 쌀막걸리에 숙성된 백미와 미강을 이용한 쌀뜸봉 제조방법.
CN102908247A (zh) * 2012-09-25 2013-02-06 章玮 一种温灸器
CN102908247B (zh) * 2012-09-25 2014-05-07 章玮 一种温灸器
CN107164962A (zh) * 2017-07-06 2017-09-15 江苏宇道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纺丝油剂及其制备方法
CN107375252A (zh) * 2017-08-16 2017-11-24 哈尔滨医科大学 一种新型艾灸贴剂及艾灸贴剂组合
CN107375252B (zh) * 2017-08-16 2020-07-07 哈尔滨医科大学 一种艾灸贴剂及艾灸贴剂组合
CN110897868A (zh) * 2018-09-17 2020-03-24 馆陶县科学技术局 一种便于携带的艾草温灸器
CN110063890A (zh) * 2019-05-28 2019-07-30 深圳前海艾王科技有限公司 一种可续灸的便捷艾灸器
US11973736B2 (en) 2020-07-28 2024-04-30 Motorola Solutions,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resolving misunderstandings on text or audio channels via opening a video chan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5002A (ko) 대나무와 조릿대을 이용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사되는 연소용과 수용성 및 분말 첩부용 대나무뜸 제조방법
KR100606452B1 (ko)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KR20140049673A (ko) 함초, 민들레, 생강나무 등 125가지의 원재료를 생물의 물성에 따라 CO2(또는 N2) Carrier Gas를 이용하여 추출농축, 설탕에 절임에 의한 천연발효 효소법에 의해 추출 및 Microwave와 Filter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들을 혼합발효숙성하여 제조한 조성물과 그 조성방법
CN104000127B (zh) 绿豆清凉润喉咀嚼片及其生产方法
KR101454315B1 (ko) 인삼열매발효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연질 흑삼 제조 방법
CN102940153A (zh) 一种改善肉质、蛋质的家禽饲料
KR101065799B1 (ko)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
KR102289438B1 (ko) 헛개나무, 마가목, 오리목 및 칡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
CN109077167A (zh) 一种祛湿茶及其制备方法
KR20100082689A (ko) 월드 인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186508B1 (ko) 발아 곡식을 이용한 건강식품 제조방법
CN106579109A (zh) 一种解酒护肝柑橘粉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647559A (zh) 一种壮骨补钙制剂及其制备方法
CN110093239A (zh) 一种诺丽配制酒及其制备方法
KR100619508B1 (ko) 연(蓮)을 이용한 뜸과 선향의 연소재와 입욕재 제조법
CN106857937A (zh) 一种具有辅助降血压功效的龙胆槐菊茶饮料
CN103798520B (zh) 一种替代抗生素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01950983B1 (ko) 엘더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음료의 제조 방법
KR101969983B1 (ko) 토판염을 함유한 탈모개선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1788B1 (ko) 갈대 숯, 갈대 초액 및 황토를 포함하는 건강보조 용품
KR101195586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혼합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7041A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미네랄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방 소금의 제조방법
KR20100043115A (ko) 대나무를 이용한 뜸 연소재 및 제조방법
CN105326754B (zh) 无添加剂食品级绿豆祛痘养护面膜及其绿色生产方法
KR102488255B1 (ko) 건식 찜질용 효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