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799B1 -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799B1
KR101065799B1 KR1020100091524A KR20100091524A KR101065799B1 KR 101065799 B1 KR101065799 B1 KR 101065799B1 KR 1020100091524 A KR1020100091524 A KR 1020100091524A KR 20100091524 A KR20100091524 A KR 20100091524A KR 101065799 B1 KR101065799 B1 KR 101065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natural
bath
powder
s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효철
신영길
Original Assignee
신영길
안효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길, 안효철 filed Critical 신영길
Priority to KR1020100091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물과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된 천일염을 주재료로 하고, 상기 주재료인 천일염과 인체에 유익한 약리작용을 하는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천연식물과 온천(묘반온천)의 지표에서 분출하는 가스에서 채취한 결정으로서 약용효과가 높은 천연입욕제인 온천광물질(유노하나)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를 제조하되, 세정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을 탈수한 후에 소정의 기간 동안 숙성시켜 간수를 제거하고, 간수가 제거된 천일염을 고온으로 순간 건조시키고 소정의 크기로 분쇄하며, 분쇄된 천일염분말과 천연식물분말과 온천광물질분말(유노하나분말)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생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천일염 특히 외국(프랑스의 게랑드, 중국, 호주산)의 천일염보다 나트륨(Na)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면서도 미네랄성분이 더욱 풍부한 국산 천일염(Natural Sea Salt)을 주 원재료로 이용함으로써, 천일염만이 가기고 있는 삼투압작용을 이용하여 인체의 노폐물을 발산하여 제거할 수 있고 각종 피부질환 및 피부노화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A Product Method of Bath Preparation }
본 발명은 천일염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되는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유기물과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된 천일염을 주재료로 하고, 상기 주재료인 천일염에 인체에 유익한 약리작용을 하는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천연식물과 온천(묘반온천)의 지표에서 분출하는 가스에서 채취한 결정으로서 약용효과가 높은 천연입욕제인 온천광물질(유노하나)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를 제조하되; 세정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을 탈수한 후에 소정의 기간 동안 숙성시켜 간수를 제거하고, 간수가 제거된 천일염을 고온으로 순간 건조시키고 소정의 크기로 분쇄하며, 분쇄된 천일염분말과 천연식물분말과 온천광물질분말(유노하나분말)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생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성분 또는 이들의 합성 성분으로 이루어진 입욕제는, 욕조에 물을 충진하여 입욕을 할 때에 피부 미용과 건강 증진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 물에 투입되어 희석되는 목욕 보조제이다.
입욕제는 기본적인 피부 미용의 기능 이외에도, 입욕제에 함유된 다양한 성분들이 피부에 민감하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피부 장애를 야기하는 각종의 부작용들에 대하여 고려하여야 하며, 이러한 입욕제의 기본적 기능에 더하여, 피로 회복 및 각종의 질병 예방 등에 있어서도 긍정적으로 기능 하는 기능성 입욕제에 대하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능성 입욕제는 크게 인위적으로 합성한 성분들을 함유하는 합성 화학물질 입욕제와 자연식물 등으로부터 추출한 성분들을 함유하는 천연(추출)물질 입욕제에 대한 연구 개발로 분류된다.
통상적으로 종래 자연식물 등으로부터 추출한 성분들을 함유하는 천연(추출)물질 입욕제는 녹차 및 외국에서 생산되는 허브 식물을 이용한 목욕용 입욕제백의 형태로 된 것과, 우유 성분과 무기염 등을 함유한 제품으로 된 분말 형태의 입욕제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입욕제에서 천연(추출)물질을 이용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미용액(입욕제)으로 사용되는 아로마 오일 또는 죽초액 등은 유효성분이 거의 없고, 심리적 효과를 얻도록 하는 향기요법에 사용되는 것이며, 각종 꽃을 건조하여 목욕수에 직접 우려서 사용하는 제품도 일반화되어 있다.
특히, 아로마 오일, 허브오일이나 꽃을 직접 이용한 목욕법은 실질적인 건강한 피부 관리를 위한 목욕액이기보다 향기를 이용한 심리적 효과만 유발시키고 있어 천연 약리 작용에 의한 피부미용 효과가 매우 미미하다.
천연재료를 이용한 입욕제로서는, 일본국의 등록특허 제 제2535630호에 녹차로부터 추출한 녹차증류 엑기스를 혼입한 체취소실 효과를 갖는 입욕제가 개시되어 있고, 일본의 등록특허 제2518744호에 산과 알칼리 또는 쌀의 조직에 작용하는 효소를 이용하여 쌀 추출물 또는 유기용매 추출물을 알코올 발효시켜 그 여액을 함유하는 입욕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입욕제들로서는, 혈액순환 증진, 피로회복, 스트레스 해소, 각종 통증완화, 비만 및 각종 성인병의 예방, 피부노화방지, 피부 보습 효과 등 점차 다양해지는 현대 소비자들의 건강증진 욕구를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또 국내의 것으로는, 특허공보 공고번호 특1995-7046호에는 계피, 목별자, 백반의 혼합물을 추출하여 구성된 생약함유화장수가 제안되어 있고, 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05-91899호에는 약용쑥, 녹차, 당귀 박하, 천궁으로 조성된 조성물을 파절기로 절개하여 내용물을 부직포에 주입하여 제조된 한방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좌, 입욕제가 제안되어 있다.
국내의 특허등록 제10-702408호의 한약재를 이용한 반신욕제의 제조방법은, 쑥, 녹차, 박하, 천궁, 당귀, 정향, 곽향, 소목을 그늘에서 자연 건조시키는 공정과, 건조된 한약재를 분말상으로 분쇄하는 공정과, 분쇄된 한약재를 배합하는 공정과, 배합된 분말상 한약재를 부직포로 된 포대에 충전하는 공정과 포대의 개국부를 고주파 융착으로 밀봉하는 공정으로 제조한다.
또 국내의 특허등록 제10-842035호의 이미용액의 제조방법은, 대나무뿌리 축출액과 쑤축출액에 녹차축출물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천일염을 첨가하여 교반 용해하여 제조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천연성분 피부미용 목욕제들은 한가지 식물을 사용하므로 피부미용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스트레스, 환경공해물질, 유독성 건축자재로 인한 실내 공기오염, 꽃가루, 진드기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을 해소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입욕제들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한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기물과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된 천일염을 주재료로 하고, 상기 주재료인 천일염과 인체에 유익한 약리작용을 하는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천연식물과 온천(묘반온천)의 지표에서 분출하는 가스에서 채취한 결정으로서 약용효과가 높은 천연입욕제인 온천광물질(유노하나)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세정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을 탈수한 후에 소정의 기간 동안 숙성시켜 간수를 제거하고, 간수가 제거된 천일염을 고온으로 순간 건조시키고 소정의 크기로 분쇄하며, 분쇄된 천일염분말과 천연식물분말과 온천광물질분말(유노하나분말)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생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일염 특히 외국(프랑스의 게랑드, 중국, 호주산)의 천일염보다 나트륨(Na)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면서도 미네랄성분이 더욱 풍부한 국산 천일염(Natural Sea Salt)을 주 원재료로 이용함으로써, 천일염만이 가기고 있는 삼투압작용을 이용하여 인체의 노폐물을 발산하여 제거할 수 있고 각종 피부질환 및 피부노화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삭제
삭제
세정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을 탈수하여 소정의 기간 동안 숙성시켜 간수를 제거하고, 간수가 제거된 천일염을 고온으로 순간 건조시킨 후에 소정의 크기로 분쇄하며, 분쇄된 천일염분말과 천연식물분말과 온천광물질분말(유노하나분말)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생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은,
삭제
삭제
세정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을 탈수한 후에 소정의 기간 동안 숙성시켜 간수를 제거하고, 간수가 제거된 천일염을 고온으로 순간 건조시키고 소정의 크기로 분쇄하며, 분쇄된 천일염분말과 천연식물분말과 온천광물질분말(유노하나분말)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생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일염 특히 외국(프랑스의 게랑드, 중국, 호주산)의 천일염보다 나트륨(Na)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면서도 미네랄성분이 더욱 풍부한 국산 천일염(Natural Sea Salt)을 주 원재료로 이용함으로써, 천일염만이 가기고 있는 삼투압작용을 이용하여 인체의 노폐물을 발산하여 제거할 수 있고 각종 피부질환 및 피부노화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과정을 보인 제조공정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을 이용한 웰빙입욕제(200)의 제조과정을 보인 웰빙입욕제 제조공정도(100)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을 이용한 웰빙입욕제(200)는 유기물과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된 천일염(10)을 주재료로 하는 것이 주지적인 특징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웰빙입욕제(200)는, 유기물과 미네랄이 풍부한 주재료의 천일염(10)과, 인체에 유익한 약리작용을 하는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천연식물과, 온천(묘반온천)의 지표에서 분출하는 가스에서 채취한 결정으로서 약용효과가 높은 천연입욕제인 온천광물질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웰빙입욕제(200)를 형성하기 위한 천일염(10)을 분말화시킨 천일염분말과 천연식물분말과 온천광물질분말의 혼합비율은, 천일염분말 90 ~ 96 중량% : 천연식물분말 3 ~ 8 중량% : 온천광물질분말 1 ~ 2 중량%의 비율로 혼합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웰빙입욕제(200)의 혼합비율을 100 중량%로 할 때에 천일염(10)을 분말화시킨 천일염분말을 90 ~ 96 중량% 혼합시켜 줌으로서, 풍부한 유기물과 미네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각종 질환의 치료와 개선 및 예방에 효과적인 효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웰빙입욕제(200)의 혼합비율을 100 중량%로 할 때에 천연식물분말을 3 ~ 8 중량% 혼합시켜 주는 것인데, 천연식물분말을 혼합시켜 줌으로서 각 천연식물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영양 성분이 손실되지 않도록 하면서 각 천연식물의 고유한 맛과 향을 방출시켜 주고, 천연식물분말을 3 ~ 8 중량% 혼합시켜 줌으로서 천연식물의 향이 너무 강하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천일염(천일염분말) 및 온천광물(온천광물질분말)과 최적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웰빙입욕제(200)의 혼합비율을 100 중량%로 할 때에 온천광물질분말을 1 ~ 2 중량% 혼합시켜 줌으로서, 온천광물질분말의 효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혼합물질인 천일염(천일염분말) 및 천연식물(천연식물분말)과 최적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웰빙입욕제(200)를 형성(제조)하기 위한 천일염분말의 천일염(10)은 바닷물을 바람과 태양열로 결정화한 것이다.
상기 천일염(10)은 다음과 같은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일염을 섭취하면 풍부한 미네랄 성분에 의해 심혈관계 질환이 감소하고, 천일염은 인체 내에서 일정한 삼투압을 유지시켜 순환기 계통의 질병을 예방하며, 각종 상처와 아토피 등 피부질환의 치료 및 개선과 예방에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천일염은 상기와 같은 효능 외에도, 장을 세척한 후에 매일 공복에 천일염을 물에 타서 섭취하면 위장질환ㆍ변비ㆍ혈액순환ㆍ당뇨가 개선되고 치매를 예방, 천일염(2 숟가락)을 물에 타서 마신 후에 천일염을 뜨겁게 하고 주머니에 넣은 후에 배꼽에 놓으면 얻어지는 설사 및 복통치료, 매일 천일염을 녹인 소금물로 족욕 또는 전신욕을 하여 얻어지는 관절염 예방, 소금물을 매일 2 ~ 3회 코로 마시면 얻게 되는 축농증 예방 및 개선, 천일염(1 큰술)에 생강과 생지황을 찧어 환부에 붙이고 찜질함으로서 얻어지는 디스크 예방과 개선, 구운 소금과 마늘을 함께 복용하게 되면 간 기능의 개선 및 암 예방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웰빙입욕제(200)를 형성(제조)하기 위한 천연식물분말의 천연식물로는 인체 무해한 천연식물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식물의 종류와 그 천연식물의 효능(약효)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식물로는, 쑥ㆍ로즈마리ㆍ진피(귤 껍질)ㆍ흑측(나팔꽃씨)ㆍ장미ㆍ감초ㆍ행인(살구씨)ㆍ율피(밤 껍질)ㆍ다시마ㆍ함초ㆍ솔잎ㆍ녹차ㆍ어성초ㆍ지실(어린 탱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각종 천연식물의 효능(약효)을 살펴 본다.
쑥은, 환부 등에 직접 영향을 미쳐 가려움 등에 효과적인 살균작용ㆍ하복부의 혈액순환 및 림프액순환을 촉진시키는 통증과 요통 및 신경통에 효과적인 진통작용ㆍ염증을 가라앉혀 항문질환과 자궁질환 및 전립선 등의 염증을 없애주는 소염작용ㆍ인체의 백혈구를 증강시켜 주는 성분이 피부질환의 세포를 재생시켜 주는 부활작용ㆍ치네올과 아밀라제와 구로칼슘 및 비타민 등의 성분이 영양을 공급시켜 피부가 탄력을 얻게 하는 영양작용ㆍ하복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노폐물을 제거하여 복부 비만에 효과적인 지방제거작용ㆍ출산 후 이완된 자궁 및 질수축에 효과적인 수축작용ㆍ기미와 여드름 및 주근깨를 이완시켜 피부를 개선시키는 미용작용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로즈마리는, 로즈마리를 이용하여 목욕을 하면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켜 주며, 향은 악몽을 막아주고 뇌가 액화되는 것을 막아주며, 뇌를 자극하여 기억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로즈마리는, 항균작용ㆍ살균작용ㆍ기억력증진ㆍ무기력증 해소ㆍ집중력향상ㆍ활력 증강ㆍ두통 해소ㆍ피로회복ㆍ노화 방지ㆍ비듬 억제ㆍ눈의 세정효과ㆍ진통 해소ㆍ방충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피(陳皮: 귤 껍질)에는 정유ㆍ플라보 노이드 배당체ㆍ비타민Cㆍ헤스페리딘 등이 들어 있고, 과육에는 말산ㆍ구연산 등이 들어 있으며, 그 밖에도 당질ㆍ지방질ㆍ단백질ㆍ칼슘ㆍ칼륨ㆍ 인ㆍ카로틴 등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다.
진피(陳皮: 귤 껍질)는, 다량 함유된 칼륨 성분과 감귤의 비타민은 고혈압과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심장병과 뇌졸중의 위험을 줄여주며, 지방 흡입억제로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이다.
현대 의학에서는 방향성 건위약으로 위염과 소화불량 등에 쓰이고, 기침 가래약으로 쓰며, 동맥경화 예방과 각기병의 치료, 설사, 두통 등에도 유효하며, 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폐기와 비기를 잘 통하게 한다.
특히, 귤 껍질의 '살베스트롤'이라는 성분은 암세포가 가진 효소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폐암이나 전립선암, 유방암 등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즉, 진피(陳皮: 귤 껍질)는, 감기ㆍ기관지염ㆍ과산성 만성 위염ㆍ노약자의 변비ㆍ담ㆍ만성 위염ㆍ비위암체ㆍ요통ㆍ유방암ㆍ자간 등에 효과가 있다.
흑측(나팔꽃씨)은, 기미 및 주근깨 피부에 효과가 좋고ㆍ피부 미백ㆍ모공수축ㆍ피부청결ㆍ아토피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장미(특히 식용장미)는, 비타민 A 가 토마토의 20배이고, 비타민 C 가 레몬의 20배이며, 에스트로겐이 석류의 8배인 것으로 밝혀졌다.
장미는, 노화방지ㆍ항암효과(면역력 강화)ㆍ숙취해소ㆍ변비ㆍ미백ㆍ항알러지(아토피, 천식, 기관지)ㆍ당뇨환자의 혈당치를 내려주는 효과가 있다.
감초(甘草)는,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으며, 모든 독을 풀어준다.
감초(甘草)는, 오장육부의 한열사기를 몰아내고, 모든 혈맥을 이롭게 하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면서 살찌게 한다. 비위기능이 허약하여 기운이 없고 몸이 나른하여 아무 의욕도 생기지 않을 때 및 사지무력과 식욕부진에 유효하다. 심장의 혈기가 부족하여 맥박이 고르지 않고 가슴이 뛰는 증상에 쓰인다. 정신을 안정시켜 히스테리를 다스리고 폐에 작용하여 진해거담의 효과가 있고, 사지의 경련을 풀어주며, 독극성 물질을 해독시키는 해독작용이 있다. 부신피질 자극 작용이 있고, 세포의 탐식능력을 높여준다.
감초(甘草)는, 신체의 인테페론 유리를 촉진시켜 주는 항염작용, 위를 보호하는 항 위궤양작용,약에 독성이 있을 경우에 독을 풀어 중화 및 완화시키는 약의 독성 중화, 오장육부를 다스려 신체의 생리작용을 정상으로 만들어주는 생리작용, 모든 약의 독성을 해독해주고 초약을 서로 조화시켜 약효를 나타내게 하는 액의 독성 해독, 식중독과 약물중독 및 항암 제독을 풀어주며, 근육통신경치료와 동맥경화 예방 및 간장기능의 강화ㆍ늑막염 및 폐결핵치료와 피부염치료 및 기침 가래약으로 사용된다.
행인(살구씨)은, 불포화지방산과 여러 가지 피부에 유용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행인(살구씨)은, 감기몸살, 목이 쉬거나 아플 때, 항암제, 잡티제거와 주근깨 예방, 오래된 각질 제거기능, 햇볕에 탄 피부를 재생시키는 기능(미백효과), 거친피부 및 노화피부 개선 기능(피부 청결 및 윤기 있게 회복), 살구씨 기름을 이용한 아토피 개선 효과 등이 있다.
율피(밤 껍질)는, 밤의 껍질 속에 피지 분비를 억제하는 효능과 피부의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여드름ㆍ뾰루지ㆍ각질 제거ㆍ잡티제거ㆍ피부탄력에 효과적이며, 타닌성분이 풍부하여 모공이 큰 피부에 유용한 모공수축에 효과적이다.
다시마는, 칼슘ㆍ칼륨ㆍ마그네슘 등 50여 종의 미네랄과 인체에 필요한 미량 영양소 공급에 최고의 식품으로서, 다시마의 칼슘은 혈액으로 흡수율이 귤껍질의 1.6배이고 의료용 탄산칼슘의 3배나 되어 어느 식품보다 흡수가 잘 되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다시마는, 강력한 조혈작용에 의해 세포 내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피부노화를 억제하고 혈행을 좋게 하여 피부를 건강하게 하는 피부노화 억제효능, 라미닌 성분은 혈압을 내려주고 알긴산은 콜레스테롤 흡수를 방해하는 콜레스테롤 및 혈압조절 효능, 담즙과 결합하여 지방의 흡수를 낮추고 몸 밖으로 배출하여 잉여지방을 제거하는 다이어트 효능, 혈당치를 내려 당뇨를 막아주는 당뇨예방효능, 갑상선 질환 예방기능,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변비를 막아 주는 변비예방효능, 발암물질을 배출시켜 주는 대장암 예방효능, 칼슘이 풍부하여 뼈와 이를 튼튼하게 하는 효능, 탈모를 막고 머리카락에 윤기를 주는 효능, 숙취 해소 및 간질환 예방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함초는 바닷가에서 염분을 먹고 자라는 식물이다.
함초는, 함초는 자신의 몸속에 저장하고 있는 미네랄과 함초에 남아 있는 독소가 제거된 소금에 의한 숙변 제거와 변비 치료 및 비만증 치료 효능,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피를 맑게 하며 혈관을 튼튼하게 하는 고혈압 및 저혈압 치료 효능, 화농성 염증을 치료하고 갖가지 균을 죽이는 작용에 의한 축농증 및 신장염 및 관절염 치료 효능, 숙변이 없어지면 피부가 깨끗해지고 기미 주근깨 여드름 등이 치유되면서 피부를 아름답게 하는 효능, 장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고 위장기능을 촉진하여 변비와 숙변 및 탈항과 치질 등을 치료하는 위장 기능 개선 효능,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요드에 의한 갑상선 기능저하 및 갑상선기능 항진 효능, 함초를 복용하면 혈당치가 정상으로 회복되는 당뇨병 치료 효능, 기관지 점막의 기능을 회복하여 기관지 천식을 완화시키거나 완치시키는 기관지 천식치료 효능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솔잎은 당질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고, 단백질, 지방질, 칼슘, 인, 철분, 비타민 AㆍC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솔잎은, 타박상ㆍ불면ㆍ부종ㆍ피부질환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솔잎을 끓인 물에 피부를 씻어 주면 습진 및 가려움증을 없애주는 효능, 솔잎을 생식하면 종양이 없어지고 모발이 돋아나며 오장을 편하게 하는 효능, 위장병ㆍ중풍ㆍ신경통ㆍ불면증ㆍ빈혈ㆍ천식 등에 효과적이며, 각종 유기산이 풍부하여 냉대하증과 같은 부인병에 좋으며, 솔잎에는 산소와 무기질이 풍부하여 피로할 경우에 솔잎을 따사 생식하면 피로가 빨리 회복되는 기능, 미용식과 건강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녹차에는 인체가 산소를 통해 에너지를 얻을 때에 필수불가결하게 발생하는 일종의 부룬물인 유해산소를 차단하는 강력한 항산화 물질인 카테킨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녹차는, 다양한 비타민 성분이 풍부하여 자주 먹으면 피부가 맑아지고 노화를 예방해주는 피부미용 효과, 강력한 항암 효과, 염증과 세균 감염 억제, 혈당 상승치 억제 및 완화, 항산화작용(노화억제), 다이어트 효과, 중금속과 니코틴 해독작용, 체질의 산성화 예방, 충치 및 입냄새 제거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성초(魚腥草)는, 산속 음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서, 붉은 색의 줄기에 고구마 잎사귀를 닮게 생긴 맛이 약간 맵고 열에 속하는 약간의 독성이 있는 풀(약초)이며, 방광ㆍ요도ㆍ자궁ㆍ치루ㆍ탈홍ㆍ여드름 등의 염증 치료에 쓰이고, 폐렴ㆍ중이염ㆍ축농증 등에 쓰이며, 변비ㆍ고혈압 등에 쓰인다.
어성초는, 현대의 항생제를 압도할 정도로 해독능력이 뛰어나 천연 항생제로 불려지는 해독작용,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피를 맑게 해주고 독소를 없애 피부에 좋으며 피부트러블을 예방하여 주는 피부미용, 대장벽의 모세혈관을 깨끗하게 해주어 변비나 설사 증상을 해소해 주는 변비해소, 혈관 내의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해주어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피를 맑게 해주는 신진대사, 꾸준히 섭취하면 수분대사가 활발해져 소변이 잘 나오고 색깔도 맑아지는 이뇨작용, 여드름과 악창 및 축농증 등의 염증을 없애주는 탈월한 소염작용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실(탱자)은, 운향과에 속한 탱자나무 열매로 열매는 둥글고 황색이며 향기가 좋으나 먹지 못하며, 주요성분으로는 배당체로서 나린진 및 정유성분인 리모넨이 있으며, 비타민과 무기질 및 각종 유기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차를 끓이거나 술을 담는데 주로 이용한다.
지실(어린 탱자)은, 어린 지실 탱자꽃이 피자 마자 열매 맺은 것이 피부병 치료에 특효가 있고, 음식을 소화시키며, 나쁜 피를 흩어지게 하며, 쌓인 것과 굳은 것을 깨뜨리고, 위장 속의 습열을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실(탱자의 어린 열매나 완숙된 것)은, 모두 소화기에 작용하여 복통을 없애면서 음식물의 소화력을 높여주며 흉복부의 팽만증을 풀어 주는데 유효한 효과가 좋다.
지실은, 소화불량ㆍ 복부창만ㆍ 잦은 트림ㆍ 복통 등을 치료하고, 소화 장애로 명치끝이 그들먹하고 답답하며 식욕이 떨어지고 정신과 몸이 피곤한 증상에 쓰이며, 위와 장관의 경련 발작을 완화시키면서 음식물의 소화력을 증강시키고 오래된 이질 증상을 다스리는데 효험을 나타낸다.
지실은, 식중독, 두드러기(지실을 다려서 마시면), 그 물로 자주 씻어주면 가려움증이 사라진다. 신효, 아토피 및 일체 피부질환에 지실 다린 물로 환처를 씻어주면 가려운 증상이 줄어들면서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웰빙입욕제(200)를 형성하기 위하여 분말천일염에 혼합시키는 천연식물분말의 천연식물로는, 쑥ㆍ로즈마리ㆍ진피(귤 껍질)ㆍ흑측(나팔꽃씨)ㆍ장미ㆍ감초ㆍ행인(살구씨)ㆍ율피(밤 껍질)ㆍ다시마ㆍ함초ㆍ솔잎ㆍ녹차ㆍ어성초ㆍ지실(어린 탱자)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천연식물로 형성되는 천연식물분말 중에서 어느 하나를 혼합시키거나 또는 하나 이상 혼합시키는 것을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웰빙입욕제(200)를 형성하기 위하여 분말천일염과 천연식물분말에 혼합되는 온천광물질분말로는 유노하나를 들 수 있다.
상기 유노하나는, 일본의 벳푸 묘반 온천 일대에서 온천증기가 분출되는 장소의 상측(지상)에 움막을 짓고, 움막의 내부에서 분출되는 온천증기의 상측에 작은 자갈(돌멩이)을 깔아 자갈밭을 만들고 청점토(학명: 몬모릴로 나이트)를 깔아 준 상태에서 생성되는 것으로서, 지상으로 분출되는 온천증기가 자갈의 틈새를 통하여 청점토의 안으로 들어가 가스성분과 청점토의 성분이 결정을 만들게 되며, 이와 같이 만들어진 결정이 유노하나이다.
상기와 같이 생산(생성)되는 유노하나는 산화칼슘ㆍ산화나트륨ㆍ산화마그네슘ㆍ산화철ㆍ산화망간ㆍ산화실리콘ㆍ수분 등과 같은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약용효과가 뛰어난 입욕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각종 피부병과 기저귀 발진, 무좀, 류마티스, 근육통, 신경통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 상기 유노하나는, 무기염류가 피부의 단백질과 결합하여 막을 만들고, 몸의 열 방산을 막아주기 때문에 입욕 후의 온습효과가 높아 모이 차가워지지 않게 되고, 피분 땀선 등의 피지나 노폐물을 유화시키는 세정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천일염(10)을 이용한 웰빙입욕제(200)는 도 1에 예시된 웰빙입욕제 제조공정도(100)와 같은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삭제
상기 웰빙입욕제 제조공정도(100)는, 천일염(10)구입단계(110), 천일염세정단계(120), 세정천일염 탈수단계(130), 세정천일염 숙성단계(140), 숙성천일염 순간건조단계(150), 건조천일염 분쇄단계(160), 분쇄천일염ㆍ천연식물ㆍ온천광물질 혼합단계(170), 웰빙입욕제(200)획득단계(180), 웰빙입욕제 포장단계(190), 출하단계(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웰빙입욕제 제조공정도(100)의 천일염(10)구입단계(110)는, 국내산 천일염(Natural Sea Salt)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내산 천일염(Natural Sea Salt)은, 프랑스의 게랑드, 중국, 호주산의 천일염보다 나트륨(Na)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면서도 미네랄성분이 더욱 풍부하고, 천일염만이 가기고 있는 삼투압작용을 이용하여 인체의 노폐물을 발산하여 제거할 수 있고 각종 피부질환 및 피부노화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웰빙입욕제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천일염(Natural Sea Salt)은, 유기물과 미네랄 등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어, 현대인에게 우수한 미네랄을 제공할 수 있고, 농산물은 질소 및 인과 같은 한정된 화학비료의 사용으로 인해 질 좋은 미네랄이 부족하게 되지만 천일염(Natural Sea Salt)에 의해 이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웰빙입욕제 제조공정도(100)의 천일염세정단계(120)는, 공기를 분사시키는 버블 방식을 이용하는 폭기식에 의해 순간 세정하여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바닷물의 염도를 높여서 폭기식으로 분사하여 순간 세정하여 줌으로서, 천일염이 녹는 현상을 방지하고, 천일염이 가지고 있는 염도를 줄이지 않도록 하며, 천일염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불순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웰빙입욕제 제조공정도(100)의 세정천일염 탈수단계(130)는, 세정되어 불순물이 제거된 세정천일염을 원심력을 이용하는 고속이 탈수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탈수시킨다.
상기 세정천일염 탈수단계(130)는, 천일염의 고유성분을 파괴시키지 않으면서 쓴맛의 간수를 제거하여 주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웰빙입욕제 제조공정도(100)의 세정천일염 숙성단계(140)는, 세정천일염 탈수단계(130)에서 탈수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탈수를 실시더라도 탈수된 세정천일염에는 간수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를 지붕이 있고 통풍이 잘되는 창고에서 3 ~ 6개월간 방치하여 잔류간수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세정천일염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상기 웰빙입욕제 제조공정도(100)의 숙성천일염 순간건조단계(150)는, 숙성된 숙성천일염을 고온에서 순간적으로 건조시켜 숙성천일염의 표면 및 내부에 잔류하는 수분(간수)을 완전히 제거하여 주는 단계이다.
상기 숙성천일염 순간건조단계(150)는, 700 ~ 900℃에서 시간당 200 ~ 400 ㎏씩 건조시켜 숙성천일염의 표면 및 내부에 잔류하는 수분(간수)을 완전히 제거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웰빙입욕제 제조공정도(100)의 건조천일염 분쇄단계(160)는, 금속성분이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된 특수한 크롬분쇄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분쇄시키되, 입자의 알갱이가 10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크기로 분쇄시켜 주며, 분쇄된 입자를 자속(영구자석)으로 통과시켜 분쇄된 천일염분말의 입자 속에 잔류할 수 있는 금속성분이 자속(영구자석)에 부착되어 완전히 제거되도록 한다.
상기 웰빙입욕제 제조공정도(100)의 분쇄천일염ㆍ천연식물ㆍ온천광물질 혼합단계(170)는, 상기 분쇄단계에 의해 분쇄된 천일염분말과 천연식품 및 온천광물질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시켜 주는 단계로서, 천일염분말 90 ~ 96 중량% : 천연식물분말 3 ~ 8 중량% : 온천광물질분말 1 ~ 2 중량%의 비율로 혼합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웰빙입욕제 제조공정도(100)의 웰빙입욕제(200)획득단계(180)는, 상기 혼합단계에 의해 천일염분말과 천연식품 및 온천광물질이 소정의 비율로 혼합된 실질적인 본 발명에 따른 웰빙입욕제(200)를 획득한다.
상기 웰빙입욕제 제조공정도(100)의 웰빙입욕제 포장단계(190)는, 천일염분말과 천연식품 및 온천광물질이 소정의 비율로 혼합된 실질적인 본 발명에 따른 웰빙입욕제(200)를 소정의 무게단위로 포장하여 주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웰빙입욕제(200)를 이용하여 입욕을 실행할 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300 ~ 1000g단위로 포대에 포장하여 주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회에 사용할 수 있도록 500g단위로 포대에 포장하여 주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소정의 무게단위로 포장된 웰빙입욕제(200)포대는 여러 개의 포대를 용량이 큰 캡 또는 포대에 포장할 수 있다.
상기 웰빙입욕제 제조공정도(100)의 출하단계(200)는, 상기와 같이 웰빙입욕제(200)를 소정의 무게단위로 포장한 제품을 출하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웰빙입욕제조공정도(100)에 의해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웰빙입욕제(200)의 제조방법은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산 천연소금 즉, 천일염(10)을 구입하였고, 구입한 천일염(10)을 바닷물을 분무하면서 세정하는 폭기식 순간 세정을 실시하여 천일염(1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이물질이 제거된 세정천일염을 탈수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투입하여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시간당 300 ㎏씩 탈수하였고, 탈수된 천일염을 5개월 방치하여 잔류간수가 완전히 배출되도록 하였다.
잔류간수가 완전히 배출된 숙성천일염을 800℃에서 시간당 300 ㎏씩 건조시켜 숙성천일염의 표면 및 내부에 잔류하는 수분(간수)을 완전히 제거하였고, 잔루 수분(간수)이 완전히 제거된 건조천일염을 크롬분쇄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분쇄시키되 입자의 알갱이가 10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입자(크기)로 분쇄시켰고, 분쇄된 입자를 자속(영구자석)으로 통과시켜 분쇄된 천일염분말의 입자 속에 잔류할 수 있는 금속성분이 자속(영구자석)에 부착되도록 하여 금속성분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10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입자(크기)로 분쇄되고 금속성분이 완전히 제거된 분말천일염과 천연식품 및 온천광물질을 혼합하되, 천일염분말 90 중량% : 천연식물분말로서 쑥 8 중량% : 온천광물질분말로서 유노하나 2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월빙입욕제(200)를 얻었다.
국내산 천연소금 즉, 천일염(10)을 구입하고, 세정과 탈수 및 숙성과 건조 및 분쇄하는 과정을 실시 예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0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입자(크기)로 분쇄되고 금속성분이 완전히 제거된 분말천일염과 천연식품 및 온천광물질을 혼합하되, 천일염분말 90 중량% : 천연식물분말로서 율피 9 중량% : 온천광물질분말로서 유노하나 1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월빙입욕제(200)를 얻었다.
상기 실시 예1과 실시 예2에 의해 얻어진 월빙입욕제(200)를 500g단위로 포장하여 최종 목적물인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를 얻었다.
삭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하고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천일염 100: 웰빙입욕제 제조공정도
110: 천일염구입단계 120: 천일염 세정단계
130: 세정천일염 탈수단계 140: 세정천일 염숙성단계
150: 숙성천일염 순간건조단계 160: 건조천일염 분쇄단계
170: 분쇄천일염ㆍ천연식물ㆍ온천광물질 혼합단계
180: 월빙입욕제 획득단계 190: 웰빙입욕제 포장단계
200: 출하단계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유기물과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된 천일염을 이용하여 입욕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일염을 세정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을 탈수한 후에 숙성시켜 간수를 제거하며, 간수가 제거된 천일염을 700 ~ 900℃에서 건조시킨 후에 분쇄하며, 분쇄된 천일염분말과 천연식물분말과 온천광물질분말(유노하나분말)을 혼합하여 웰빙입욕제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웰빙입욕제를 제조하는 공정은;
    나트륨(Na)의 함량이 적으면서도 미네랄성분이 풍부한 천일염(Natural Sea Salt)을 구입하는 천일염구입단계(110);
    천일염이 녹는 현상을 방지하고, 천일염이 가지고 있는 염도를 줄이지 않도록 하면서, 천일염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천일염세정단계(120);
    세정되어 불순물이 제거된 세정천일염을 원심력을 이용하는 고속이 탈수장치에 의해 탈수시키되, 천일염의 고유성분을 파괴시키지 않으면서 쓴맛의 간수를 제거하는 세정천일염 탈수단계(130);
    탈수된 세정천일염에는 간수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를 지붕이 있고 통풍이 잘되는 창고에서 3 ~ 6개월간 방치하여 잔류간수가 완전 배출되도록 하여 세정천일염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세정천일염 숙성단계(140);
    숙성된 숙성천일염을 700~ 900℃에서 건조시켜 숙성천일염의 표면 및 내부에 잔류하는 수분(간수)을 완전히 제거하여 주는 숙성천일염 순간건조단계(150);
    상기 건조된 건조천일염을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입자로 분쇄하고, 분쇄된 입자를 자속(영구자석)으로 통과시켜 천일염분말의 입자 속에 잔류할 수 있는 금속성분이 자속(영구자석)에 부착되어 완전히 제거되도록 하는 건조천일염 분쇄단계(160);
    상기 분쇄단계에 의해 분쇄된 천일염분말과 천연식품 및 온천광물질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시켜 주는 분쇄천일염ㆍ천연식물ㆍ온천광물질 혼합단계(170);
    상기 혼합단계에 의해 천일염분말과 천연식품 및 온천광물질이 소정의 비율로 혼합된 웰빙입욕제(200)를 획득하는 웰빙입욕제획득단계(180);
    획득된 웰빙입욕제(200)를 소정의 무게 단위로 포장시켜 주는 웰빙입욕제 포장단계(19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선택한 천일염을 세정하는 천일염세정단계(120)는;
    소금물 또는 바닷물을 버블타입으로 분무하여 세정하는 폭기식 순간세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숙성된 숙성천일염을 고온에서 순간적으로 건조시는 숙성천일염 순간건조단계(150)는;
    700 ~ 900℃에서 시간당 200 ~ 400 ㎏씩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건조된 천일염을 분쇄시키는 건조천일염 분쇄단계(160)는;
    분쇄입자의 알갱이를 10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분쇄천일염ㆍ천연식물ㆍ온천광물질 혼합단계(170);
    천일염분말 90 ~ 96 중량% : 천연식물분말 3 ~ 8 중량% : 온천광물질분말 1 ~ 2 중량%의 비율로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
KR1020100091524A 2010-09-17 2010-09-17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 KR101065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524A KR101065799B1 (ko) 2010-09-17 2010-09-17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524A KR101065799B1 (ko) 2010-09-17 2010-09-17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799B1 true KR101065799B1 (ko) 2011-09-19

Family

ID=4495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524A KR101065799B1 (ko) 2010-09-17 2010-09-17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79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192B1 (ko) 2010-10-21 2013-05-27 전라남도 간수를 이용한 편백나무 성분 추출법
KR101606381B1 (ko) * 2013-05-30 2016-03-25 염산천일염유통영농조합법인 친환경 가공천일염을 이용한 융복합 미용솔트 제조방법
KR20170040951A (ko) 2015-10-06 2017-04-14 오진혁 아로마 컬러 테라피를 위한 천일염 입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20358A (ko) * 2016-08-17 2018-02-28 김민수 천연재료를 이용한 다회성 입욕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다회성 입욕제
KR20200094962A (ko) 2019-01-31 2020-08-10 김재현 송근, 송엽, 송목피 추출물과 구운소금을 주원료로 하는 입욕제조성물 제조방법 및 티백형입욕제
WO2021177703A1 (ko) * 2020-03-05 2021-09-10 전정호 소금을 이용한 과립형 세정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360A (ko) * 1994-10-05 1996-05-22 이상수 수종의 약초식물과 천일염으로 구성되는 목욕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JPH08198726A (ja) * 1995-01-19 1996-08-06 Sanyo Cafe:Kk 入浴剤またはマッサージ剤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360A (ko) * 1994-10-05 1996-05-22 이상수 수종의 약초식물과 천일염으로 구성되는 목욕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JPH08198726A (ja) * 1995-01-19 1996-08-06 Sanyo Cafe:Kk 入浴剤またはマッサージ剤の製造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192B1 (ko) 2010-10-21 2013-05-27 전라남도 간수를 이용한 편백나무 성분 추출법
KR101606381B1 (ko) * 2013-05-30 2016-03-25 염산천일염유통영농조합법인 친환경 가공천일염을 이용한 융복합 미용솔트 제조방법
KR20170040951A (ko) 2015-10-06 2017-04-14 오진혁 아로마 컬러 테라피를 위한 천일염 입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9196B1 (ko) * 2015-10-06 2017-05-23 오진혁 아로마 컬러 테라피를 위한 천일염 입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20358A (ko) * 2016-08-17 2018-02-28 김민수 천연재료를 이용한 다회성 입욕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다회성 입욕제
KR101884653B1 (ko) * 2016-08-17 2018-08-03 김민수 천연재료를 이용한 다회성 입욕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다회성 입욕제
KR20200094962A (ko) 2019-01-31 2020-08-10 김재현 송근, 송엽, 송목피 추출물과 구운소금을 주원료로 하는 입욕제조성물 제조방법 및 티백형입욕제
WO2021177703A1 (ko) * 2020-03-05 2021-09-10 전정호 소금을 이용한 과립형 세정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7554B2 (ja) 薬用花を活用した包み発酵法およびこれを活用した皮膚外用剤組成物
Bakhru Herbs that heal: natural remedies for good health
CN106212338A (zh) 一种河虾的环保养殖方法
KR101065799B1 (ko)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
CN105901715A (zh) 一种鹿胶糕及其制备方法
KR102288724B1 (ko)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29455A (ko) 두피건강 및 강정식품의 제조방법
CN104856909A (zh) 一种可减少黑色素沉积的睡眠面膜及其制备方法
KR100873033B1 (ko) 마사지팩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4827B1 (ko) 참외씨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CN106720777A (zh) 一种具有润肠通便、化浊降脂功效的代用茶
CN104116672A (zh) 一种复方天然面膜及其制备方法
CN109077167A (zh) 一种祛湿茶及其制备方法
CN109364184A (zh) 一种改善睡眠的保健型记忆枕
KR20090002854A (ko) 생약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4196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과 생약제가 함유된 오메가 - 3 제조방법
KR101606381B1 (ko) 친환경 가공천일염을 이용한 융복합 미용솔트 제조방법
CN104856920A (zh) 能祛除痘印的睡眠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163069B1 (ko) 주름 및 잡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7074B1 (ko)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
CN110680794A (zh) 一种纯天然无化学添加剂的食品级珍珠蜂蜜茶味口腔护理组合物的绿色制备方法及其应用
KR102240938B1 (ko) 환성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22302A (ko) 약초를 이용한 기능성 생리활성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KR101969983B1 (ko) 토판염을 함유한 탈모개선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941715A (zh) 一种清热祛火袋泡茶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