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3115A - 대나무를 이용한 뜸 연소재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나무를 이용한 뜸 연소재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3115A
KR20100043115A KR1020080102248A KR20080102248A KR20100043115A KR 20100043115 A KR20100043115 A KR 20100043115A KR 1020080102248 A KR1020080102248 A KR 1020080102248A KR 20080102248 A KR20080102248 A KR 20080102248A KR 20100043115 A KR20100043115 A KR 20100043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powder
moxibustion
reacto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삼훈
Original Assignee
배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삼훈 filed Critical 배삼훈
Priority to KR1020080102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3115A/ko
Publication of KR20100043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7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chemical re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의 줄기,잎,가지,외피,내피,뿌리,에 함유된 각종 약리성분을 종합 분말화하여 온열요법의 연소재로 사용하는 대나무 뜸에 관한 것으로써, 반응기 내에 전분과 원적외선방사 광물질분말이 교반된 알카리 수용액에 대나무 조분쇄물과 섬유질분해효소를 혼합첨가하고 열탕 또는 초음파 처리한후 24시간을 숙성시켜 반응기 내에서 단단하고 치밀한 대나무 침상조직이 이완된 대나무 조분쇄물을 건조한후 일반적인 분쇄기에서 100∼300mesh 분말화하여 물,황토,숯가루,당과생강,마늘,쑥,솔잎,연잎,홍삼,함초,유황,죽염,군 중에서 하나이상을 첨가하고 1∼3일간 혼합침지하여 미생물의 유기화합물 분해활동으로 유해유기물이 감소된 분말을 PH 7∼8 중화하고, 성형보강제,보습제,방부제,결합제을 첨가하여 뜸봉의 성형성이 양호하고 점화시 연소성과 화력이 증진되여 연기와 끄림을 감소시키며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뜸의연소가 상단점화용과 저면점화용으로 구별하여 피부에 부착하는 대나무의 각 부위별 분말을 종합한 약성이 탁월한 1회연소용 뜸봉에 관한겄이다.
대나무,알칼리 수용액, 초음파,팽윤

Description

대나무를 이용한 뜸 연소재 및 제조방법{omitted}
본발명은 약성이 다양한 대나무의 줄기,잎,내피,외피을 분말화하여 온열요법의 뜸 연소재로 사용함에있어, 조직이 단단하고 치밀한대나무의 섬유조직을 팽화시켜 다공성의 섬유질로 성형하여 연소성과 화력이 양호하고 연기와 끄림과 침출액이 감소된 뜸용 연소재를 제조함에있다.
4계절 상록수 대나무는 화본과 식물로 우리나라에는 약 20종의 대나무 종류가 자생 또는 재배되고 있으며. 장려하는 품종은 왕대(참죽),맹종죽(죽순대),솜대(분죽,담죽),조릿대(산죽) 오죽,이있으며,
줄기(竹幹),껍질(竹皮),뿌리(竹根), 잎(竹葉), 속껍질인 죽여(竹茹),대나무 기름 죽력(竹瀝), 조릿대(산죽),죽순,이 옛적부터 작금까지 대나무 부위별로갖는 각,각의 약성으로 식용 및 한약재와 민간요법으로 이용되어 왔다
동의보감, 본초강목, 신농본초경에 따르면,
대나무 줄기는 중풍,당뇨,고혈압,류마치스관절염을 치료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대나무 잎은 해열, 거담,울화증, 불안증, 우울증 및 아토피피부염,불면증,폐렴,기관지염,구갈, 등에 사용하였고,
최근에는 뇌질환,고혈압, 죽상동맥경화,간경화, 심혈관계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며 항암 및 노화방지,변비,비만에 좋은 작물로 소개되고 있는데 대나무의 이러한 기능은 항암,항산화,항스트레스에 효과가 있으며, 또한 대나무에 존재하는 유기산, 식이섬유, 탄닌, 벤조후란과 같은 피토케미칼(phytochemical)들은 항산화 작용, 혈전용해작용, 지질저하작용 등을 통하여 순환기 계통의 질병에 탁월함이 공지되었다.
그러나,대나무 줄기는 비목질계의 단단한 껍질로 둘러쌓여 고밀도의 조직으로 단단하고 질겨 일반적인 분쇄기로는 기계의 과부하로 고장이 잦아 줄기와 잎을 분말화에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분말화하여도 조직이 견고하고 단단하여 수분침투가 어렵고, 점착력이 전혀없으며, 특히, 세로로 쪼개지는 대나무 특성으로 날카로운 침상으로 분쇄되며, 잎도 조직이 치밀하여 비중이 무겁고, 점착력이 없으며,촉감이 거칠어 줄기와 잎의 분말과 물을 반죽하여 일정형의 뜸봉으로 제조함에 있어 성형성이 취약하고 통기성이없어 연소력과 화력이 약하고,연기와 끄림이 다량발생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
또한, 종래의 온열뜸에있어서 일반적으로 쑥을 분말화하여 일정형으로 성형하여 연소재로 사용하고있으나, 쑥의 약성이 단조로워 식생활이 서구화되어 성인병과 난치병과 정신질환이 증가된 근래에 적합한 대체요법으로는 미약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옛적부터 현재까지 일반대중의 식생활과 한방 및 민간요법에 다방면으로 이용되는 대나무의 줄기,잎,외피,내피,죽여,죽력,에 함유된 인체에 무해하며 다양한 약리효능으로 각종질환 치료 및 예방기능이 우수한 대나무의 효능을 이용한 뜸 연소재가 온열요법으로 일반대중에게 개발이 요구되었다.
일반 분쇄기로 분말화가 어려운 단단하고 질긴 대나무의 침상(針狀)조직을 전분,섬유질분해효소,원적외선 방사광물질,알칼리용액으로 물리·화학적 변화를 거치게 하여 섬유조직을 이완시켜 연질 및 팽윤화하고, 숙성시켜 대나무를 다공성으로 분말화하여, 줄기, 잎, 외피, 내피,에 내포된 각종 약리성분이 다양한 대나무의 각부위의 분말과 생강,마늘,쑥,연잎,함초,죽염,유황,군 중에서 하나이상을 선택한 분말의 약리성분이 종합된 뜸의 연소재로 성형하여 점화시 연소력과 화력이 양호하고, 연기와 끄림을 최소화하고, 인체에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원적외선을 발생시켜,암,중풍,당뇨,고혈압 및 순환기질병,정신질환 및 각종성인병에 효과적인 한방 및 민간요법으로 제공하는겄을 목적으로 한다
a,대나무 줄기와잎의 조분쇄물(50~100mesh)을 알칼리수용액에 침지하고 전분과 섬유질분해효소와 원적외선 방사 광물질 분말을 첨가한후, 반응기 내부를 감압(800~900torr)하여 저압(低壓)에서 80℃이상에서 30분이상을 중탕 또는 초음파(20~40Khz)처리에의한 알칼리용액에 기포와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견고한 섬유조직이 이완 및 팽윤된 조분쇄물을 탈수 및 수분함유율 10~20% 건조 단계,
b, 팽윤된 조분쇄물을 100~300mesh분말화하여 물,황토,숯가루,당을 혼합하고 생강,마늘,쑥,솔잎,연잎,홍삼,함초,유황,죽염,군 중에서 하나이상을 첨가하여 30~60℃에서 1~3일을 숙성시켜 미생물의 유기물 분해활동으로 섬유질에 함유된 유해성 유기화합물을 감소시켜 피부자극과 연기,끄림,침출액을 최소화하는 단계,
c, 숙성된 분말을 Ph7~8중화시킨후, 전분, 글리세린, 죽초액, 팽연왕겨, 펄프,을 혼합하고 수분함유율이 10~30% 되게 하여 스크류압출기,금형,프레스,고무몰드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뜸봉 상단에점화하는 원주좌대형 ,원추형과 저면에 점화하는 태극좌대형,코일좌대형으로 각각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겄에 특징이있다.
조직이 치밀하고 단단한 대나무 섬유질을 연질의 다공성으로 팽화시켜 줄기, 가지, 죽옆, 내피, 외피,의 각부위의 다양한 약성이 종합되고, 부재(副材)로 생강, 마늘,함초,쑥,솔잎,연잎,홍삼,유황,죽염의 군 중에서 선택된 특정한 성분분말과 원적외선 발생 광물질 분말이 혼합되어 성형된 대나무뜸은 뜸봉 연소시 다량의 원적외선이 조사되어 복사열로써 모공과 미세혈관의 확장으로 대나무 각부위의 약리성분들이 피부에 투과촉진되어 치료 및 예방효과를 증대시키며 미생물의 분해활동으로 유해유기물이 감소된 분말성형 뜸용 연소재는 연소시 연소성과 화력이 양호하여 불완전 연소에서 발생되는 연기,끄림,침출액을 감소시켜 한방 및 민간요법으로 시술효과는 상승된다.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대나무 종은 왕대속(Phyllostachys),조릿대속(Sasa) 및 이대속(Pseudosasa) 이며, 본발명의 원재료는 왕대(참죽), 맹종죽(죽순대), 솜대(분죽),오죽,산죽(조릿대)의 군 중에서 하나이상을 사용한다
대나무의 무기질 분석 결과, 수액1ℓ당 칼륨(2580.41 mg), 칼슘(422.1 mg), 마그네슘(165.9 mg), 나트륨(46.2 mg), 철분(0.5 mg)으로 인체를 구성하는 필수 영양소와 수크로오스, 프락토오스, 글루코오스 가 함유되어 있으며, 아미노산으로서는 총 18종의 유리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고, 사람이 섭취해야하는 필수아미노산 10개 중 9개의 아미노산 즉, 페닐알라닌, 로이신,트레오닌, 메티오닌, 리신,이소로이신,히스티딘, 발린, 아르기닌,으로 죽종(竹種)별 수액내에 아미노산 총량은 맹종죽(13.7mg), 왕대(7.6mg),솜대(29.7mg)에 함유되있으며, 최근에는 대나무 수액과 줄기 추출물에서 폴리페놀 화합물인 플라보노이드,카테민류 및 안토시안류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됨이 밝혀져 이들 성분들의 황산화 작용,노화 방지,고지혈증 억제 및 항종양 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어 인체에 유용한 성분이 다량 함유됨이 발표됐다.
또한,산림청 임업시험장의 통계에 의하면 대나무에는 포도당과 과당, 자당이 골고루 함유돼 있으며, 뼈에 이로운 고로쇠 수액에 비해 대나무 수액에 함유된 칼슘,칼륨,마그네슘,나트륨은 무기질 함량이 각,각 2~50 배나 높게 함유됨을 공지하였다.
본 발명의 대나무 뜸봉 제조는 3공정으로 구별된다.
(1)공정: 대나무 조분쇄물의 이완 및 팽윤 공정
대나무 원료는 왕대,맹종대,솜대,조릿대(산죽)의 군 중에서 하나 또는 하나이상을 선택하여 줄기와 잎을 8:2또는9:1 비율로 톱밥(50~100mesh) 정도의굵기로 조분쇄하여 입구벨브(29)를 통하여 반응기(27)에 투입하고, 조분쇄물의 10∼15배의 물을 충진하여,물 중량대비 수산화나트륨(NaOH)2∼5%/w, 수산화칼륨(KOH)2∼5%/w, 탄산나트륨(Na2Co3) 2∼5%/w 군 중에서 하나 또는 하나이상을 첨가한 알칼리 수용액을 교반하면서 쌀,밀,옥수수의 전분 군 중에서 하나또는 하나이상을 선택하여 물 중량대비 전분(2∼5%/w)과 섬유질분해효소(Cellulasel)(2∼5%/w)을 첨가하고,200∼500mesh의 흑운모(3∼5%/w)또는 토르마린(3∼5%/w)을 단독또는 혼합 첨가된 알칼리 수용액의 상단부에 위치한 입구벨브(29)를 통해 진공모타에 의해 반응기 내부를 감압(800∼900torr)하여 저압(低壓)에서 80℃이상에서 30분이상을 가열한 전기 열전대(32)에의한 중탕 또는 통상의 초음파(20∼40Khz)(31)처리에의한 알칼리용액에 기포와 열에너지(cabitationl bubble)를 발생시켜 조분쇄물의 조직내부에 흡수된 초음파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뀜으로 견고한 섬유조직이 가열되어 세포벽 구성물질인 섬유소 및 리그린의 조직이 이완 및 팽윤된다.
전분은 약 60∼100℃의 온도에서 파괴되어 수분에 의해 표면을 팽창시키는 호화현상(gelatinization)의 전분입자와 원적외선 발생 흑운모 또는 토르마린의 용출된 미세한 입자가 이완된 섬유질의 미세한 틈새에 침투하여 전분과 광물질 입자에 함유된 수분팽창으로 쐐기역활을 하며, 대나무 섬유조직의 팽윤 촉진을 위해 1∼24시간 임펠라(15)로 서서히 교반하여 팽윤된 대나무 조분쇄물을 출구벨브(28)로 탈수 및 수거하여 수분함량이 10∼20% 되게 전기열또는 전자파 건조시킨다.
반응기내의 초음파(20∼40Khz)작동은 물질 교반작용이 일어나기 전에,즉, 대나무 줄기와 잎의 약효성분이 알칼리 수용액에 추출되기전에 5∼10분간 짧게,수회 반복 작동후 멈춘다.
(2)공정:대나무 분말의 숙성공정
1공정에서 건조된 대나무의 이완되고 팽윤된 조분쇄물을 통상의 분쇄기로 100∼300mesh 분말화 하여 대나무 분말 중량대비 물(40∼60%/w), 황토(3∼5%/w)와 숯가루(3∼5%/w)와 당(糖)(2∼5%/w)을 각각첨가하고,혼합교반하여 30∼60℃에서 1∼3일을 숙성시켜 황토,숯가루, 당이 대나무분말에 골고루 스며들게 하고 황토와 숯의 미생물의 유기물 분해활동으로 대나무 섬유에 함유된 타르, 크레졸, 포름알데히드, 메탄올, 등의 유해성의 유기화합물을 감소시켜 피부의 자극을 방지한다.
당은 미생물의 유기물 분해활동을 촉진하고 연소시 화력을 증진시킨다.
또한, 대나무는 한방에서 찬(冷)성질의 약제로 분류된다,
따라서 더운(溫)약제로 생강, 마늘,쑥,솔잎,연잎,홍삼, 함초, 유황,죽염,의 분말 군 중에서 하나이상 첨가(3∼10%/w) 되어야 대나무 뜸의 효능을 증대시킬수 있다
(3)공정: 뜸봉 성형 및 제조공정
피부에 가해지는 자극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나무혼합분말 중량대비 구연산(0.5∼2%)또는 식초산(0.5∼2%)을 단독 또는 혼합첨가하여 pH7∼8로 중화한후,대나무분말 중량대비 전분(2∼5%/w)과 보습제의 글리세린(0.5∼2%/W)과 방부제의 죽초액(0.5∼2%/W) 또는 목초액과 결합 및 연소촉진용의 대나무펄프(5∼30%/W) 또는 제지펄프(2∼5%/W)을 첨가하여 분말과 펄프 수분함유율이 10∼30% 되게 건조하여,금형,압출기,고무몰드,프레스,에서 하나를 사용하여 중앙이 통공되고 지름이 0.5∼2cm 높이가 1∼3cm의 원주형과 내부속의 중앙이 중공되고 저면 지름이 1∼ 5cm,높이가 1∼5cm의 원추형으로 뜸봉상단에 착화(着火)하는 하향식 연소용과 나선형으로 일단이 뾰족하고 안쪽 끝단이 넓은 중심부에 종이좌대(紙座臺)와 뜸의 이탈을 방지하는 핀을 꽂는 핀홀(10)이 구비된두께 0.5∼1cm 폭0.5∼2cm,나선길이 5∼20cm의 태극형과 두께0.5∼1cm,폭이0.5∼2cm,길이10∼50cm의 나선식 코일형으로 모기향식의 저면(底面)연소용으로각각 성형하여 박리지가 저면에 부착되고 내측 상단에 연소재를 걸러주는 철 또는 섬유 망사가 설비되고 외주면에 통기공이 타공된 원통형의 종이좌대와 결합하여 박리지를 제거하면 점착질에의해 피부에 부착되어 온열 및 약리성분이 피부에 투과되는 1회용 대나무뜸 연소재로 성형 및 제조한다.
대나무 펄프의 길이는 0.5∼5cm이며 분말과의 혼합비율은 뜸의 종류에 따라서 10:0,5∼10:3으로 조절하여 뜸봉 성형시 결합보강 및 화력을 증진시킬수 있다.
도1는 본 발명의 원주 좌대형,원추형,태극 좌대형,코일 좌대형의 평면사시도.
도2는 반응기 내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원주 좌대형 7, 71 ,72 통기공 13.출구밸브
2. 원추형 8, 81,82 박리지 14.반응기
3. 태극 좌대형 9. 태극형 15.임펠라
4. 코일 좌대형 10.101 핀 홀 16.초음파기
5. 원주 11.코일형 17.열전대
6, 61,62 지좌대 12.입구밸브

Claims (3)

  1. 본발명의 원재료는 왕대, 맹종죽, 솜대,오죽,산죽의 군 중에서 하나 또는 하나이상을 사용하여 줄기와 잎을 100∼300mesh 분말화하여 뜸용으로 성형함을 특징으로하는 1회용 대나무뜸 연소재.
  2. a,대나무 줄기와 잎을 8:2∼9:1 비율로 톱밥(50∼100mesh)굵기로 조분쇄하고 입구벨브(29)를 통하여 반응기(27)에 투입하고 분쇄물 중량대비 10∼15배의 알칼리 수용액에 전분(2∼5%/w)과 섬유질 분해효소(2∼5%/w)와 흑운모(3∼5%/w) 또는 토르마린(3∼5%/w)을 단독또는 혼합첨가하여 반응기 내부를 감압(800∼900torr)하여 반응기에서 80℃이상 30분 이상을 전기열전대(32)에의한 중탕 또는 통상의 초음파(20∼40Khz)(31)처리후 1∼ 24시간 임펠라(15)로 서서히 교반한후 출구벨브(28)로 탈수하여 수분함량이 10∼20%되게 팽윤된 조분쇄물을 전기열또는 전자파 건조시키는 단계;및
    b,건조된 조분쇄물을 100∼300mesh 분말화 하여 분말 100%중량대비 물(40∼60%/w),황토(3∼5%/w)와 숯가루(3∼5%/w)와 당(糖)(2∼5%/w)을 혼합하고 생강,마늘,쑥,솔잎,연잎,홍삼, 함초, 유황,죽염,의 분말 군 중에서 하나이상을 첨가(3∼10%/w)하여 30∼60℃에서 1∼3일을 숙성시키는 단계;및
    c,숙성된 대나무 혼합분말을 pH7∼8로 중화한후, 분말 100%중량대비 전분(2∼5%/w), 글리세린(0.5∼2%/W),죽초액(0.5∼2%/W),팽연왕겨(5∼10%/w),대나무 펄프(5∼30%/W)또는 제지펄프 (2∼5%/W)를 각각첨가하여 혼합분말 수분함유율이 10∼30%되게 건조하여 대나무 뜸으로 성형함을 특징으로하는 1회용 대나무뜸 연소재.
  3. 대나무 뜸은 스크류 압출기, 금형,고무몰드,프레스,에서 하나를 사용하여 중앙이 통공된 지름 0.5∼2cm 높이 1∼3cm의 원주(5)와 내부 중심이 원뿔형으로 중공되고 저면 지름이 1∼5cm,높이가 1∼5cm의 원추형(2)으로 뜸봉상단에 착화(着火)용 또는 중심부에 핀홀(10.101)이 타공된 두께 0.5∼1cm,폭0.5∼2cm,나선길이 5∼20cm의 태극형(9)과 두께0.5∼1cm, 폭 0.5∼2cm,길이10∼50cm의 나선형 코일형(11)의 저면(底面)연소용으로 성형하여 박리지(8,81,82)가 저면에 부착되고 외주면에 통기공(7,71,72))이 타공된 종이원통의 내측상단에 망사(미도시)가 설비된 종이좌대(6,61,62))와 결합하여 박리지를 제거하면 점착질에의해 피부에 부착되는 원주좌대형(1),태극좌대형(3),코일좌대형(4)으로 제조되는겄을 특징으로하는 1회용 대나무 뜸 연소재.
KR1020080102248A 2008-10-18 2008-10-18 대나무를 이용한 뜸 연소재 및 제조방법 KR20100043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248A KR20100043115A (ko) 2008-10-18 2008-10-18 대나무를 이용한 뜸 연소재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248A KR20100043115A (ko) 2008-10-18 2008-10-18 대나무를 이용한 뜸 연소재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115A true KR20100043115A (ko) 2010-04-28

Family

ID=42218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248A KR20100043115A (ko) 2008-10-18 2008-10-18 대나무를 이용한 뜸 연소재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31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6872A (zh) * 2014-06-09 2014-08-13 朱莉 一种可携带自动调整高度悬灸啄灸装置
CN103989582A (zh) * 2014-06-09 2014-08-20 李文峰 一种可携带自动调整高度行走悬灸啄灸装置
KR20190022053A (ko) * 2017-08-25 2019-03-06 정경균 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6872A (zh) * 2014-06-09 2014-08-13 朱莉 一种可携带自动调整高度悬灸啄灸装置
CN103989582A (zh) * 2014-06-09 2014-08-20 李文峰 一种可携带自动调整高度行走悬灸啄灸装置
CN103976872B (zh) * 2014-06-09 2015-11-18 张慧玉 一种可携带自动调整高度悬灸啄灸装置
KR20190022053A (ko) * 2017-08-25 2019-03-06 정경균 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98965B (zh) 一种罗汉果和菊花茶
KR101454315B1 (ko) 인삼열매발효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연질 흑삼 제조 방법
CN106389541A (zh) 一种肉苁蓉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080095002A (ko) 대나무와 조릿대을 이용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사되는 연소용과 수용성 및 분말 첩부용 대나무뜸 제조방법
Brahma et al. In-depth analysis on potential applications of jackfruit peel waste: A systematic approach
KR20100043115A (ko) 대나무를 이용한 뜸 연소재 및 제조방법
KR101066717B1 (ko) 팽화된 대나무분말을 이용한 뜸연소재 및 제조방법.
CN103783263A (zh) 杜仲叶与红薯混合发酵产品及其制备方法
KR100865441B1 (ko) 홍련,백련을 이용한 연뜸과 연향(蓮香) 제조 및 제조방법.
KR102002337B1 (ko) 홍삼액이 함유된 검은콩 청국장 제조방법
CN110801499A (zh) 一种解酒护肝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9938335A (zh) 一种天麻锁阳咀嚼片及其制备方法
KR102304571B1 (ko) 기능성 두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3114B1 (ko) 쌀막걸리에 숙성된 백미와 미강을 이용한 쌀뜸봉 제조방법.
KR20180056903A (ko) 왕겨분말 뜸봉과 그 제조방법
KR101781410B1 (ko) 연잎분말과 왕겨,왕겨탄,미강의 분말이 혼합 성형된 연뜸봉 및 그제조방법.
CN103798520B (zh) 一种替代抗生素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11838598A (zh) 南瓜降糖咀嚼型鲜榨米片的加工方法
KR20120138968A (ko) 현미를 주재로한 곡물뜸 연소재
KR20020072602A (ko) 기능미의 제조방법
KR20160131220A (ko)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압안정 및 혈액순환개선용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의 건강보조식품
KR102002351B1 (ko) 약초 추출액이 함유된 섬유질 솜 뜸봉 및 그 제조방법
KR102377223B1 (ko) 작약, 복령, 숙지황, 유산균을 포함하는 면역증진 및 피로 개선용 한방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5162708A (ja) アガリクス茸の抽出方法およびその抽出エキスを有効成分とする抗腫瘍剤および健康食品
KR20030055677A (ko) 생분해성 용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