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6583B1 - 숯을 이용한 쑥찜질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숯을 이용한 쑥찜질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6583B1
KR100426583B1 KR10-2001-0039546A KR20010039546A KR100426583B1 KR 100426583 B1 KR100426583 B1 KR 100426583B1 KR 20010039546 A KR20010039546 A KR 20010039546A KR 100426583 B1 KR100426583 B1 KR 100426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steamer
parts
weigh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2951A (ko
Inventor
김성연
Original Assignee
김성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연 filed Critical 김성연
Priority to KR10-2001-0039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583B1/ko
Publication of KR20030002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2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찜질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쑥을 콩, 밀가루, 찹쌀, 숯과 혼합시켜 원적외선 방사 효과 등이 강화된 쑥찜질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쑥찜질기는 숯을 첨가하므로써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원적외선 온열이 강화되며, 탈취, 항균 등의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쑥찜질기는 찹쌀과 밀가루를 사용하여 제작되어 재료물질 특유의 점성으로 조성성분간 접착이 견고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들 재료물질들은 쑥찜질기의 찰기를 향상시켜 쑥찜질기가 몸에 잘 부착되도록 하여, 그 결과 기구 안이 쉽게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쑥찜질기는 100% 천연재료만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화학물질로 제조된 찜질기와 같이 인체에 유해하지 않고, 전기찜질기와 같이 전자파 등의 발생이 없고, 구하기 쉬운 천연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경제성이 있으며, 가볍고 휴대하기 편하다.

Description

숯을 이용한 쑥찜질기 및 그 제조 방법{Mugwort-balneum-instrument using charcoal and method to manufacture the said instrument}
본 발명은 쑥찜질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쑥을 콩, 밀가루, 찹쌀, 숯과 혼합하여 제조하므로써 원적외선 방사 효과를 강화시킨 쑥찜질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쑥은 맛과 향이 뛰어난 식약초(食藥草)로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며, 줄기 높이가 약 20cm∼90cm정도이고, 잎 뒷면에는 흰털(白毛)이 밀생하고, 독특한 향기가 있다. 꽃은 7~10월에 담홍자색으로 핀다. 학명은 아르테미시아 불가리스 린네(Artemisia vulgaris linne)이며, 다른 이름으로는 영대(永臺), 의초(醫草), 황초(黃草), 애초(艾蒿)라고도 한다.
우리 역사의 기록상 약초에 관한 최초의 기록이 있을 정도로 우리나라에서 쑥은 오래 전부터 식용 또는 약용으로 널리 쓰여왔다. 쑥은 모든 체질에 이로운 식품이므로 갖가지 형태로 조리해 먹거나 뜸, 목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하면 질병 예방과 치유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쑥은 뛰어난 약효 때문에 의초 또는 천연초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쑥은 해혈, 진통, 해독, 구충작용을 하며, 생즙은 혈압강화와 소염작용에도 인정되고 있는가 하면, 옛부터 지혈 외에 복통, 토사의 치료에도 쓰여 왔다.
이처럼 쑥은 고대부터 구황식품으로 탈취제로 입욕제로 약으로, 다양하게 애용되어 왔다.
일반적인 쑥의 활용법으로 대표적인 것이 쑥차 요법으로서, 건조한 쑥 약 100-200g 정도에 물을 3컵 정도 붓고 약한 불로 30분 정도 달여서 하루에 세 번으로 나누어 먹는다. 쑥차를 만들 때는 보통 식용으로 사용되는 참쑥을 이용하는데 약쑥도 좋다. 쑥차는 만성피로, 비만, 냉체질, 빈혈, 위장질환, 복통, 설사, 고혈압, 월경불순, 변비, 시력감퇴, 신경통, 요통 등에 효과적이다.
쑥은 약용으로 복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오래 전부터 쑥을 이용한 온열자극이나 연기, 증기 등을 쏘이는 방법으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간접뜸구인 쑥찜질기를 이용하여 쑥뜸을 뜨므로써 쑥의 약용효과를 뜸에 이용하여 왔다. 이러한 쑥찜질기를 이용하여 피부에 쑥뜸을 뜨게 되면 화상 없이도 쑥의 약리효과를 이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간접뜸구로서 쑥찜질기는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인공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되어 왔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쑥찜질기는 인공재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오래 사용할 경우 인공재질, 즉 화학 물질로부터 인체에 좋지 않은 환경호르몬 등이 발생하여 인체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한편, 전기를 이용한 찜질기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전기 찜질기의 경우 전기를 사용하게 되므로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쑥찜질기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경제성이 있고, 숯을 첨가하여 음이온 발생, 원적외선 온열 강화, 탈취, 항균 등의 효과가 개선된 쑥찜질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쑥찜질기의 일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쑥찜질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쑥찜질기의 사용상태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쑥찜질기는 쑥을 전체 성분에 있어서 5 내지 10 중량부, 숯을 5 내지 10 중량부, 콩을 60 내지 65 중량부, 찹쌀을 5 내지 10 중량부, 및 밀가루를 5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쑥찜질기의 제조 방법은, 5 내지 10 중량부의 쑥, 5 내지 10 중량부의 숯, 60 내지 65 중량부의 콩을 함께 분쇄하는 단계(a); 5 내지 10 중량부의 찹쌀을 분쇄 후 풀을 쑤어 식히는 단계(b); 상기 단계(a)의 분쇄물에 5 내지 25 중량부의 밀가루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c); 상기 단계(c)의 혼합물에 상기 단계(b)의 찹쌀 풀을 넣어 반죽하는 단계(d); 상기 단계(d)의 반죽물을 쑥찜질기 틀에 넣어 쑥찜질기를 찍어내는 단계(e); 및 상기 단계(e)의 쑥찜질기를 건조시키는 단계(f)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숯을 이용한 쑥찜질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틀에서 찍어낸 찜질기는 1개월 내지 1년 동안 건조시킨다.
쑥은 국화과(菊花科)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약 30여 종류가 있는데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적으로 아주 오랜 옛날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쑥은 그 성질이 따뜻하며 맛은 쓰고 독이 없다. 쑥은 항암작용을 하는 풍부한 엽록소와 식물성 섬유, 양질의 미네랄, 그리고 다양하고 풍부한 비타민 등을 함유하고 있다. 쑥의 생잎 100g 중에는 단백질 7.7g, 섬유질 3.3g, 회분은 2.0g, 그리고 칼슘 140mg, 인이 70mg, 비타민 B1 0.12mg, 비타민 B2 0.23mg, 비타민C 22mg, 비타민 A는 7940IU, 철분이 10.9mg과 그 외에는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쑥은 그 무엇보다 생명력이 강하여 메마른 땅에서도 비료나 농약이 전혀 없이 스스로 잘 자라는 완전 무공해의 식물로서 강한 알칼리성 식품이므로 산성 체질을 개선하고 피를 맑게 해준다. 쑥은 누구든지 어디에서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식물로서, 쑥에는 치네올, 콜린, 유칼리프톨, 아데닌, 모노기신, 아르테미신등의 약효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강한 청혈, 해독, 항균 강장, 강정, 소염, 진통, 면역, 이뇨, 지혈, 식욕증진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쑥은 약용과 다양한 먹거리로 이용되며 또한 입욕제, 방향제 및 쑥뜸에도 사용되는 활용법이 다양한 만능의 식물이다. 각종 약품, 비료, 농약 등의 독소를 분해해서 체외로 내보내는 공해독의 강력한 해독제로서 작용하기 때문이다.
쑥은 놀라운 생명력과 풍부한 영양소를 함유한 식물이기 때문에 먹는 것은물론 쑥을 이용한 온열자극이나 연기, 증기 등을 쏘이는 것도 건강에 유익한 방법이기 때문에 옛부터 쑥뜸을 실행해 왔다.
일반적으로 쑥뜸은 찬 기운을 물리치고 기(氣)를 따뜻하게 하여 기혈(氣血)을 잘 통하게 함으로써 각종 질환을 개선하며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고, 원기(元氣)를 증진시키는 강장작용을 한다. 현대 의학적으로도 쑥뜸을 세포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며 면역능력을 강화시키고 혈색소를 증가시키며 진통, 지혈작용을 한다고 한다.
쑥뜸에는 직접구(直接灸)와 간접구(間接灸)가 있다. 직접구는 말 그대로 쑥을 살 위에 직접 놓고 쑥에 불을 지피는 방법이고, 간접구는 생강이나 마늘, 소금 등에 쑥을 올려놓거나, 또는 별도의 뜸기구 또는 찜질기 등에 쑥을 올려놓고 쑥에 불을 지펴 쑥이 탈 때 발생하는 열과 쑥기운을 뜸기구 또는 찜질기를 통하여 피부에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이다.
쑥뜸의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 위에 5분 이상 타는 뜸장을 올려놓고 불을 붙이면 섭씨 700℃가 넘는 쑥이 위에서 아래쪽으로 타 들어가면서 기화되고, 기화된 쑥의 성분들이 체내에 흡수된다. 몸 속으로 흡수된 쑥의 기화된 성분은 내부장기, 혈액, 골수, 근육 속에 숨어있는 병균들을 죽이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뜸을 뜨게 되면 체온이 아니라 기의 통로라고 할 수 있는 경락의 온도가 100-150℃ 까지 올라간다. 일반 병균은 몸의 정상온도인 36.5℃에서 가장 번식력이 강하며 약간의 온도의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쑥뜸을 뜨게 되면 100℃가 넘는 강한 불기운과 약쑥의 영향으로 병균들은 생명력을 잃고 뜸자리로 돌아와 고름, 진물, 죽은 피 따위로 변해 몸밖으로 빠져 나온다. 대신 몸안의 피는 약쑥 기운의 작용으로 깨끗하게 걸러진다. 이를 온열기공요법이라고 하는데, 경혈에 열을 가하여 인체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게 된다.
쑥뜸을 뜨게 되면 살갗 속에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이 열에 의하여 분해되고 화상독소가 생긴다. 이 화상독소는 혈청에 흡수되어 자극소로서 혈액 속의 적혈구, 백혈구 수가 증가하는 등 혈액 성분에 변화를 일으키고, 또 이로 인해 생체 방어기구를 부활시킨다. 이외에도 현대적 약리실험에 따르면 쑥은 항균, 혈액응고, 자궁수축, 기관지확장, 해열작용 등이 있다고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쑥뜸에 이용되는 쑥찜질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쑥찜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쑥찜질기의 일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사용상태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쑥찜질기(1)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상부에는 쑥으로 만들어진 뜸장(2)이 놓여질 수 있도록 하향으로 원추형 형상을 이루는 뜸장 위치부(3)가 형성되어 있다. 뜸장 위치부(3)의 중앙에는 뜸장이 타면서 발생하는 쑥의 기화성분 및 열이 피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중앙공(4)이 형성되어 있다. 쑥의 기화성분 및 열이 피부에 더욱 넓게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중앙공(4)의 하부는 더 확장되어 중공부(5)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쑥찜질기(1)는 천연재료로 만들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쑥찜질기(1)에는 쑥이 전체 쑥찜질기(1)에 있어서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함유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쑥찜질기(1)에서는 쑥을 구성재료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쑥뜸을 뜰 때 원적외선의 강화,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쑥찜질기(1)에는 숯이 전체 쑥찜질기(1)에 있어서 5 내지 10 중량부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 의한 쑥찜질기(1)에 사용되는 숯은 활성숯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활성숯은 일반 숯과는 달리, 한번 구워진 숯을 고온(900~1200℃)에서 스팀과 공기를 적절히 투입하여 미세한 구멍을 확대시킴으로서 보통 숯보다 3~5배 더 강한 흡착력을 지니도록 재가공한 것으로서, 강력한 제독력, 냄새제거, 전자파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숯은 탄소가 85%, 미네랄이 10% 이상 차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숯은 크기가 1/1000 mm정도 되는 무수한 구멍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숯은 흡수, 흡습, 흡취 효능이 있어 인체에 유해한 바이러스, 박테리아, 독소 등을 집중적으로 흡착해 내고, 부패를 막는 탄소의 강력한 환원작용과 에너지 상승작용을 지니고 있어 정화·여과작용, 해독·탈취작용, 습도 조절작용을 한다. 또한 음이온을 발산하여 뇌파의 안정을 도와주며 원적외선을 내뿜어 혈액 순환을 돕고 숙면을 취하도록 도와준다. 원적외선 방사 효과로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세포기능 활성화, 생육촉진 작용, 물분자의 활성화 및 숙성 효과가 있다. 자극, 발열 작용이 있는 전자파를 차단하고 공기 중에 오염된 성분이나 유해한 불순물을 흡착·분해하여 공기를정화시키고 냄새를 제거시켜 준다.
본 발명에서는 쑥찜질기(1)에 숯을 함유하므로써 탈취, 항균, 습도조절, 음이온 발생, 원적외선 온열 강화 등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쑥찜질기(1)에는 콩을 주재료로 포함하고 있는데, 분말형태의 콩이 전체 쑥찜질기(1)에 있어서 60 내지 65 중량부로 함유된다. 주재료가 되는 콩은 껍질의 얇음과 두꺼움이 없이 단단하고, 낱알이 고르고, 수분 함량이 14% 이하로 이물질이 없으며, 품종 고유의 낱알 모양을 갖고, 보통의 숙도를 가진 건전한 낱알인 것을 선별하여 사용한다.
콩은 그 주성분이 단백질(40%)과 탄수화물(30%), 그리고 지질(20%)이다. 이외에 각종 비타민과 칼슘, 인, 철, 칼륨 등의 무기성분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성분들 중 이소플라본은 암, 골다공증을 방지하고, 풍부한 비타민 E는 노화를 방지하며, 레시틴은 뇌에 건강과 활력을 주고, 사포닌은 근본적인 비만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밖에도 콩은 동맥경화와 뇌졸증을 예방하고 대장암 주범인 변비를 예방한다.
본 발명의 쑥찜질기(1)에서는 위와 같은 콩을 찜질기(1) 본체를 구성하는 주 재료로 사용하므로써, 쑥뜸을 뜨거나 찜질을 할 때, 콩으로부터의 위와 같은 유용성분이 체내에 전달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쑥찜질기(1)의 다른 재료로서 찹쌀을 전체 쑥찜질기(1)에 있어서 5 내지 10 중량부로 함유하고 있으며, 밀가루를 5 내지 25 중량부로 함유하고 있다. 상기 찹쌀과 밀가루는 특유의 점성으로 본 발명의 쑥찜질기(1)에 사용된 다른 재료들을 서로 접착시키고 찰기를 높여주므로써, 사용시 쑥찜질기(1)가 몸에 잘 붙게 하여 쑥찜질기(1)의 중공부(5)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는 것을 도와 주게 된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쑥찜질기의 제조 방법 및 그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앞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쑥찜질기(1)의 재료인 콩, 쑥, 숯의 정해진 분량을 함께 분쇄한다. 다음으로는 앞서 정한 분량의 찹쌀을 분쇄하여 풀을 쑤어 식힌다. 분쇄된 콩, 쑥, 숯의 가루에 밀가루를 첨가하여 잘 섞어 준다. 콩, 쑥, 숯 및 밀가루가 혼합된 것에 찹쌀 풀을 넣어 여러 번 반죽한다. 반죽물을 쑥찜질기 틀에 넣어 모양을 만든다. 만들어진 쑥찜질기를 그늘지고 퉁풍이 잘 되는 곳에서 1개월 내지 1년간 건조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쑥찜질기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쑥찜질기(1)를 신체 피부에 올려놓고, 쑥찜질기(1)의 원추형 뜸장 위치부(3)에 쑥반죽으로 만들어진 뜸장(2)을 올려놓는다. 뜸장(2)에 불을 지피면 뜸장이 타게 되고, 뜸장(2)이 타면서 발생하는 쑥의 기화성분 및 열은 중앙공(4)과 중공부(5)를 통하여 피부로 전달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쑥찜질기(1)는 숯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숯에 의하여 음이온이 발생되고, 원적외선 온열이 강화되며, 탈취, 항균 등의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찹쌀과 밀가루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들 특유의 점성에 의하여 쑥찜질기(1)에 사용된 다른 재료들을 서로 접착시키고 찰기를 높여주므로써, 쑥찜질기(1)가 몸에 잘 붙게 하여 쑥찜질기(1)의 중공부(5) 내부가 용이하게 진공상태가 되며, 이러한 진공상태에 의하여 피부로부터 유해 물질을 빨아들이는 부황효과도 발휘하게 되고 그에 따라 뜸과 찜질에 의한 약리효과가 향상된다.
특히, 본 발명의 쑥찜질기(1)에서는 쑥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쑥으로 만들어진 뜸장이 탈 때 방출되는 원적외선 효과가 쑥찜질기(1) 자체에 함유된 쑥에 의하여 더욱 배가된다. 그 뿐만 아니라, 뜸장(2)으로부터의 쑥 향기 및 쑥진 뿐만 아니라, 쑥찜질기(1) 자체로부터도 쑥진과 향이 우러나와 체내에 흡수되므로 뜸 및 찜질 효과가 더욱 좋아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쑥찜질기는 100% 천연재료만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화학적인 재료로 제조된 종래의 찜질기와 같은 인체 유해성이 전혀 없으며, 전기찜질기에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전자파 등의 발생이 없다. 또한, 구하기 쉬운 천연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경제성이 있으며, 가볍고 휴대하기 편하다.

Claims (3)

  1. 원통형의 쑥찜질기로서,
    상기 쑥찜질기의 상부에는 쑥으로 만들어진 뜸장(2)이 놓여질 수 있도록 하향으로 원추형 형상을 이루는 뜸장 위치부(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뜸장 위치부(3)의 중앙에는 뜸장(2)이 타면서 발생하는 쑥의 기화성분 및 열이 피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중앙공(4)이 형성되어 있고,
    뜸장(2)이 타면서 발생하는 쑥의 기화성분 및 열이 피부에 더욱 넓게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중앙공(4)의 하부에는 중공부(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쑥찜질기는 전체 성분에 있어서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의 쑥,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의 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찜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쑥찜질기는, 60중량부 내지 65중량부의 콩,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의 찹쌀 및 5 내지 25 중량부의 밀가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찜질기.
  3. 5 내지 10 중량부의 쑥, 5 내지 10 중량부의 숯, 60 내지 65 중량부의 콩을 함께 분쇄하는 단계(a);
    5 내지 10 중량부의 찹쌀을 분쇄 후 풀을 쑤어 식히는 단계(b);
    상기 단계(a)의 분쇄물에 5 내지 25 중량부의 밀가루를 첨가하여 혼합하는단계(c);
    상기 단계(c)의 혼합물에 상기 단계(b)의 찹쌀 풀을 넣어 반죽하는 단계(d);
    상기 단계(d)의 반죽물을 쑥찜질기 틀에 넣어 쑥찜질기를 찍어내는 단계(e); 및
    상기 단계(e)의 쑥찜질기를 건조시키는 단계(f)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찜질기의 제조 방법.
KR10-2001-0039546A 2001-07-03 2001-07-03 숯을 이용한 쑥찜질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0426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546A KR100426583B1 (ko) 2001-07-03 2001-07-03 숯을 이용한 쑥찜질기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546A KR100426583B1 (ko) 2001-07-03 2001-07-03 숯을 이용한 쑥찜질기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951A KR20030002951A (ko) 2003-01-09
KR100426583B1 true KR100426583B1 (ko) 2004-04-08

Family

ID=2771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546A KR100426583B1 (ko) 2001-07-03 2001-07-03 숯을 이용한 쑥찜질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5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584B1 (ko) * 2002-04-30 2004-11-08 이태국 휴대용 온열기
CN103976865A (zh) * 2014-05-04 2014-08-13 卢景梅 一种艾灸脐疗装置
CN105560046A (zh) * 2015-12-17 2016-05-11 湖南省高圣中药饮片有限公司 草药垫片及带草药垫片的艾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9344A (ja) * 1990-07-06 1992-03-04 Yoshinobu Sugimoto 無煙無臭灸組成物及びその成形物
KR960030905A (ko) * 1995-02-02 1996-09-17 원인호 사상(四象)과 오행(五行)약초의 엑기스를 함유시킨 뜸용 약쑥과 이의 제조방법
KR19990078682A (ko) * 1999-07-26 1999-11-05 김진섭 뜸용 쑥의 제조방법
KR200163274Y1 (ko) * 1999-07-01 2000-02-15 한봉수 뜸치료기
KR200211113Y1 (ko) * 2000-06-20 2001-01-15 함승하 약쑥을 이용한 여성용 훈연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9344A (ja) * 1990-07-06 1992-03-04 Yoshinobu Sugimoto 無煙無臭灸組成物及びその成形物
KR960030905A (ko) * 1995-02-02 1996-09-17 원인호 사상(四象)과 오행(五行)약초의 엑기스를 함유시킨 뜸용 약쑥과 이의 제조방법
KR200163274Y1 (ko) * 1999-07-01 2000-02-15 한봉수 뜸치료기
KR19990078682A (ko) * 1999-07-26 1999-11-05 김진섭 뜸용 쑥의 제조방법
KR200211113Y1 (ko) * 2000-06-20 2001-01-15 함승하 약쑥을 이용한 여성용 훈연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951A (ko) 200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5506B2 (ja) 漢方温灸剤
CN105284936B (zh) 一种驱蚊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793941A (zh) 杀菌抗病毒熏香及其制备方法
CN107495282B (zh) 火锅底料及其制作方法
CN105815502A (zh) 一种减肥凉茶饮料、制备方法及其应用
CN105831594A (zh) 一种香麻辣条及其制备方法
CN103478571B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年糕及其生产工艺
CN106259533A (zh) 驱蚊组合物及由驱蚊组合物制成的驱蚊包及其驱蚊包的使用方法
KR101488642B1 (ko) 한방약초 방향이 나오는 소형 공기청정기
KR100426583B1 (ko) 숯을 이용한 쑥찜질기 및 그 제조 방법
CN103798726A (zh) 一种何首乌美容养颜火锅调料及生产方法
CN105029730A (zh) 一种灵香草天然芳香保健纺织文胸及其制作方法
KR100654825B1 (ko) 쑥뜸조성물이 내장된 부항기
CN101129315A (zh) 养生润肤药浴液
KR20010104791A (ko) 민들레차제조방법
KR102478258B1 (ko) 뜸쑥의 제조 방법
KR102405844B1 (ko) 근적외선 쑥뜸벨트
KR101186509B1 (ko) 발아 곡식을 이용한 주먹밥 제조방법
CN106310172A (zh) 一种治疗疼痛性疾病的膏泥膜药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5495606B (zh) 一种治疗耳鸣的药膳及其制作方法
CN104069452A (zh) 一种改善新陈代谢的外用散剂
CN103768255A (zh) 可治疗湿热症的药用组合物
CN105410865B (zh) 一种长寿葫芦麦酱的制备方法
CN104940785A (zh) 用于防治仔猪营养不良性贫血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995905A (zh) 一种具有保健功能的香粉及其制备方法与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