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163Y1 -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 Google Patents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163Y1
KR200414163Y1 KR2020060003145U KR20060003145U KR200414163Y1 KR 200414163 Y1 KR200414163 Y1 KR 200414163Y1 KR 2020060003145 U KR2020060003145 U KR 2020060003145U KR 20060003145 U KR20060003145 U KR 20060003145U KR 200414163 Y1 KR200414163 Y1 KR 2004141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body portion
storage container
auxiliary storag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성재
Priority to KR2020060003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1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1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1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석쇠나 불판과 같은 구이판의 일측에 얹혀져서 사용됨과 더불어 무기질 물질로 형성되면서 그의 상면으로는 상기 구이판에서 조리된 조리물이 얹혀지고, 전체적으로 원형이나 타원형 혹은, 다각형 중 어느 한 도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과 조리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상기 조리물로부터 흘러내린 기름기가 해당 조리물에 재접촉됨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를 제공함으로써, 구워진 상태의 조리물을 보온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조리물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기름기는 원활히 제거될 수 있게 된다.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황토 초벌구이, 몸체부, 요철부, 기름기 제거

Description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receptacle}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f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의 요철부 구조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j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의 요철부 구조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정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이 제6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를 저면에서 본 저면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110. 몸체부
111. 평면 부위 112. 라운드진 부위
113. 관통공 115. 받침돌기
120. 요철부 121. 산
122. 골 123. 연통홈
130. 보조 요철부 140. 요입부
150. 받침부 160. 관통공
200. 구이판
본 고안은 구이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류나 어류 혹은, 어패류 등의 조리물을 화로나 가스레인지 등에 구워먹는 도중 완전히 구워진 조리 물이 타지않고 임시 보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나 어류 혹은, 어패류 등의 조리물을 구워먹고자 할 경우에는 화로나 가스레인지 등에 석쇠나 불판 등과 같은 별도의 구이판을 설치한 후 상기 구이판에 상기 조리물을 얹은 상태로 조리를 하였다.
전술한 일반적인 구이판은 금속재질이 대부분이었고, 일부의 구이판은 돌을 이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종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구이판은 조리물이 쉽게 달라붙는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구이판은 달구어진 상태에서는 조리물이 빨리 구워지기 때문에 천천히 구워진 조리물을 음미하면서 취식할 수 없었으며, 더욱이 불의 세기를 조절하여 온도를 낮춘다고 하더라도 한번 달구어진 구이판의 온도가 빨리 떨어지는 않았기 때문에 타서 버려지는 조리물의 양이 많았던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잦은 구이판의 교체가 이루어져야만 하는데, 이렇게 구이판이 교체되었을 경우에는 새로운 구이판이 조리물을 구울 정도의 온도에까지 달궈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었기 때문에 연료 소모도 크다는 문제점 역시 발생된다.
더욱이, 조리물이 구이판에 들러붙은 상태로 타게 될 경우 이 탄 성분들은 상기 구이판으로부터 쉽게 제거되지 않음에 따라 구이판의 세척도 어려웠던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구이판의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문제점 역시 발생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조리물이 쉽게 타는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조리 재료(예컨대, 양파나 고무마, 감자, 김치 등)를 구이판의 상면 일부에 깐 상태에서 상기 조리 재료 위에 완전히 구워진 조리물을 얹은 상태로 취식함에 따라 상기 조리 재료가 실제로는 먹지 못하고 버려졌던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 문제점은 구이판이 금속재질일 경우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돌로 이루어진 구이판도 마찬가지의 문제점을 가진다.
물론, 다 구워진 조리물을 별도의 접시 등의 그릇 등에 옮겨 담을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에는 상기 조리물이 식어 버린다는 고객의 불만과 더불어 상기 조리물로부터 발생된 기름기로 인해 해당 그릇의 세척이 어렵다는 불만이 야기된 문제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이판에 장착되어 사용되면서 구워진 상태의 조리물을 보온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조리물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기름기는 원활히 제거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새로운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가 구이판의 형상에 따라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일련을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는 석쇠나 불판과 같은 구이판의 일측에 얹혀져서 사용됨과 더불어 무기질 물질로 형성되면서 그의 상면으로는 상기 구이판에서 조리된 조리물이 얹혀지고, 전체적으로 원형이나 타원형 혹은, 다각형 중 어느 한 도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과 조리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상기 조리물로부터 흘러내린 기름기가 해당 조리물에 재접촉됨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철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는 황토를 초벌구이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둘레는 라운드 지도록 형성된 부위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부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구이판에 비해 대략 1/2 ∼1/8 정도의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과 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산과 골은 평면에서 볼 때 직선, 지그재그, 격자형, 물결무늬 등의 규칙적인 선 혹은, 여타의 비규칙적인 선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산과 골은 그의 정면에서 볼 때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여타의 라운드형 또는, 다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양측 끝단으로부터 그의 중앙측 부위로 갈수록 점차 오목 또는,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의 내측 부위에는 상기 몸체부의 상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돌기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몸체부의 상면 내측 부위에는 소정 깊이만큼 요입된 요입부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는 상기 요철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보조 요철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둘레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상향 절곡된 받침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는 그 상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크게 몸체부(110)와, 요철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체부(11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석쇠나 불판과 같은 구이판(200)의 상면 일측에 얹혀지며, 그의 상면으로는 상기 구이판(200)에서 조리된 조리물이 얹혀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부(110)는 무기질 물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몸체부(110)가 적당한 열을 받게 될 경우 육고기 등의 조리물로부터 배출되는 기름기를 흡수함과 더불어 원적외선을 방출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고기의 육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110)가 세라믹으로 구성됨을 제시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황토를 초벌구이하여 형성된 것임을 제시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한 몸체부(110)는 상기 구이판(200)에 비해 대략 1/2 ∼1/8 정도의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구이판(200)의 조리 영역은 최대한 확보할 수 있되, 조리물이 얹혀지는 영역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110)가 상기 구이판(200)에 비해 대략 1/6 정도의 크기를 이루도록 함을 제시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몸체부(110)는 전체적으로 원형이나 타원형 혹은, 다각형 중 어느 한 도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몸체부(110)가 상기 구이판(2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상기 구이판(200)의 형상이 사각형이라면 상기 몸체부(110)의 형상 역시 사각형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구이판(200)의 형상이 원형이라면 상기 몸체부(110)의 형상은 원형이나 타원형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물론, 구이판(200)의 형상이 사각형이나 다각형이라고 하더라도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10)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몸체부(110)는 상기 구이판(200)의 형상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110)가 전체적으로는 원형이나 타원형 혹은, 여타의 곡면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그의 둘레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평면 부위를 갖도록 형성됨을 제시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몸체부(110)는 그의 일측면을 라운드 지도록 형성함과 더불어 그의 타측면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형상은 구이판(200)의 형상에 따라 밀착 부위가 대응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몸체부(110)가 상기 구이판(200)으로부터 유동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서로간의 사이에 발생되는 사영역은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구이판(200)이 다각형일 경우에는 상기 몸체부(110)의 둘레면 중 평면 부위(111)를 상기 구이판(200)의 테두리측 벽면에 밀착시켜 사용하고, 상기 구이판(200)이 원형일 경우에는 상기 몸체부(110)의 둘레면 중 라운드진 부위(112)를 상기 구이판(200)의 테두리측 벽면에 밀착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요철부(120)에 대하여 첨부된 도 2a 내지 도 3j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요철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과 조리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상기 조리물로부터 흘러내린 기름기가 해당 조리물에 재접촉됨을 방지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요철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한 엠보싱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요철부(120) 가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121)과 골(1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요철부(120)의 산(121)과 골(122)은 평면에서 볼 때 직선형, 곡선형, 지그재그형, 격자형, 물결무늬 등의 규치적인 선이나 혹은, 여타의 비규칙적인 선으로 이루어진 도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산(121)과 골(122)은 첨부된 도 1 및 도 2a와 같이 몸체부(110)의 어느 한 측으로부터 다른 한 측을 향해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b 및 도 2c와 같이 어느 한 측으로부터 다른 한측을 향해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d와 같이 전체적으로 격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2e와 같이 일부는 도면상 수직한 방향을 따라 산(121)과 골(122)을 형성함과 더불어 나머지 일부는 도면상 수평한 방향을 따라 산(121)과 골(122)을 형성할 수도 있고, 도 2f와 같이 물결무늬나 여타의 곡률을 갖는 형상으로 산(121)과 골(12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요철부(120)의 산(121)과 골(122)은 첨부된 도 3a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저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그의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리물이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되 상기 조리물로부터 흘러나온 기름기는 원활히 제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요철부(120)의 산(121)과 골(122)은 그의 정면에서 볼 때 원형, 타원형, 여타의 라운드형 혹은,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산(121)과 골(122)은 첨부된 도 3b와 같이 산(121)과 골(122) 모두가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c와 같이 산(121)과 골(122) 모두가 사다리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d와 같이 산(121)과 골(122) 모두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도 3e 내지 도 3j와 같이 산(121)과 골(122)을 서로 다른 도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에서는 상기한 산(121)과 골(122)을 명확히 표시하고자 과도하게 큰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질적으로 산(121)과 골(122)의 크기(폭이나 높이 등)는 극히 작을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산(121)과 골(122)은 몸체부(110)의 상면에 얹히는 조리물로부터 배출되는 기름기가 상기 조리물에 재접촉됨이 최소화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의 사용 예를 설명하면 후술되는 바와 같다.
우선, 버너나 숯불 등에 의해 가열되는 구이판(200)의 상면 중 어느 한 측 모서리부위에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를 얹는다.
이때, 상기 구이판(200)이 다각형일 경우에는 첨부된 도 4a와 같이 상기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는 몸체부(110)의 둘레면 중 평면 부위(111)를 상기 구이판(200)의 테두리측 벽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구이판(200)이 원형일 경우에는 첨부된 도 4b와 같이 상기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는 몸체부(110)의 둘레면 중 라운드진 부위(112)를 상기 구이판(200)의 테두리측 벽면에 밀착시킨다.
이의 상태에서, 상기 구이판(200)의 상면 중 여타 부위(구이용 보조 수납용 기가 얹혀지지 않은 부위)를 이용하여 육류 등의 조리물을 굽고, 구워진 조리물은 상기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의 몸체부(110) 상면에 얹는다.
이때, 상기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는 상기 구이판(200)으로부터 열을 전도 받기 때문에 상기 구이판(200)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지만 조리물을 보온할 수 있을 정도의 온도는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에 얹혀지는 조리물은 식거나 타지 않으면서 적정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이때에는 상기 조리물로부터 기름기가 배출된다. 하지만 상기 배출되는 기름기는 상기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의 요철부(120)가 이루는 골(122)을 따라 흐르기 때문에 상기 조리물과의 재접촉됨은 방지된다.
더욱이, 상기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는 황토를 초벌구이하여 형성된 것임을 고려할 때 상기 조리물로부터 배출된 기름기를 몸체부(110)가 흡수하게 됨으로써 상기 조리물이 상기 기름기에 의해 젖음은 방지된다.
이로 인해, 상기 조리물은 기름기의 제거가 이루어진 상태인 우수한 육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된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는 일회성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불에 가열하는 일련의 작업에 의해 재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가 초벌구이하여 형성된 것임을 고려할 때 불에 재차적으로 구울 경우 몸체부(110)에 흡수된 기름기 등이 타서 제거됨에 따라 그의 재생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으로만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를 다양하게 변형한 각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 5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각각 설명한다.
먼저,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는 몸체부(110)의 저면에 보조 요철부(130)가 더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보조 요철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요철부(120)와 대응되는 형상 즉,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보조 요철부(130)는 상기 요철부(120)가 조리물로부터 배출되는 기름기로 인해 심하게 오염되었을 경우 상기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를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
즉,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의 상하면 모두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한 보조 요철부(130)의 구성으로 인해 구이판(200)과의 실질적인 접촉면적이 최소화됨에 따라 상기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가 빨리 가열됨을 최대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는 몸체부(110)의 상면 내측 부위에 요입부(140)가 더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요입부(140)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요입 형성되는 부위로써, 조리물 등이 상기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의 외측으로 떨어짐을 방지하는 일종의 단턱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가 용기의 형상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조리물의 수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첨부된 도 6과 같이 상기한 요입부(140)의 내부에만 요철부(120)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첨부된 도 7과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 중 상기 요입부(140)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도 상기 요철부(12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는 몸체부(110)의 둘레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상향 절곡된 받침부(150)가 더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받침부(150)는 구워진 조리물을 상기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의 몸체부(110) 상면에 얹는 도중 상기 조리물이 다층(多層)으로 포개어질 경우 해 당 조리물의 어느 한 측부를 받쳐줌으로써 상기 포개어진 조리물의 쓰러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일련의 구성이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9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는 몸체부(110)에 그 상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160)이 더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관통공(160)은 상기 요철부(120)를 따라 유동되는 기름기를 더욱 원활히 몸체부(1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일련의 구성이다.
즉, 요철부(120)의 각 산(121)과 골(122)이 몸체부(110)에 대하여 수평하게 형성됨을 고려할 때 상기 요철부(120)의 각 골(122)에 기름기가 고여있을 수 있지만,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관통공(160)을 형성할 경우 상기 각 골(122)에 고여있는 기름기는 상기 관통공(160)을 통해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의 저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특히, 이때에는 상기 요철부(120)의 각 골(122)이 상기 각 관통공(16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욱이, 전술한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구성은 전술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에서 요입부(140)의 내부에 형성할 경우 상기 요입부(140)에서 고일 수 있는 기름기가 보다 원활히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이의 상태는 첨부된 도 10과 같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11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 기(100)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의 몸체부(110)는 전술한 본 고안의 여타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몸체부(110)와 같이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몸체부(110)가 그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중앙측 부위로 갈수록 점차 오목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함을 제시한다.
이러한 형상은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를 그릇의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에 조리물이 안정적으로 담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도면상 몸체부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요철부(120)는 대략 물결무늬(혹은, 나이테 무늬) 등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형상으로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가 형성될 경우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에는 상기 요철부(120)의 각 골(122)과 골(122)을 수직한 방향(중력 방향)으로 연통시키는 연통홈(123)이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통홈(123)은 상기 각 골(122)에 고여있는 기름기가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 중앙측 부위(가장 오목한 부위)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황토를 초벌구이하여 형성한 몸체부(110)에 의해 미처 흡수되지 못한 기름기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 내측 부위로 모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 내측 부위에 상기 몸체부(110)의 상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113)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 다. 이때, 상기 관통공(113)은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 내측 부위 중 중앙측 부위에 형성될 수도 있고, 둘레측 부위로 일부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관통공(113)을 상기 몸체부(110) 내의 둘레측 부위로 일부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는 이유는 구이판(200)이 어느 한 측으로부터 다른 한 측으로 갈수록 하향되게 기울어지도록 설치될 경우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의 몸체부(110) 내에 고이는 기름기는 상기 구이판(200)의 경사 방향을 향해 치우친 위치에 고이기 때문이다.
즉,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 내측 부위로 모여져 상기 몸체부(110)로 미처 흡수되지 못한 기름기는 상기 관통공(113)을 통해 상기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 중앙측 부위에는 소정 깊이만큼 요입된 요입홈(도시는 생략됨))을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기름기가 상기 몸체부(110)에 완전히 흡수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고여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이의 경우에도 상기 요입홈 내에 상기 관통공(113)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는 구이판(200)의 상면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빨리 가열될 수 있다는 문제점과 대략 그릇의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구이판(200)의 상면에 얹었을 경우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의 저면에는 첨부된 도 12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돌기(115)를 더 형성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받침돌기(115)는 상기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가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구이판(200)의 상면에 얹혀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110)와 구이판(20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는 중앙측으로 갈수록 오목한 형상을 이루는 형상 이외에도 첨부된 도 13과 같이 중앙측으로 갈수록 상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예컨대, 조개껍질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의 경우 조리물로부터 기름기의 제거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물론, 첨부된 도 14와 같이 상기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의 몸체부(110)가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듯,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100)는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와 같이 그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 변경이 가능한 유용한 고안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는 구이판에 장착되어 사용되면서 구워진 상태의 조리물을 보온 상태로 취식 가능하게 보관할 수 있음에 따라 조리물이 타거나 식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조리물이 구이판에서 타는 문제점이 해결되어 상기 구이판의 잦은 교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이판에 조리물이 눌러 붙는 문제점이 해결되 어 구이판의 세척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는 조리물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기름기를 원활히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출되는 기름기가 상기 조리물에 재접촉됨이 방지되어 상기 조리물의 육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함께,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는 구이판의 형상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0)

  1. 석쇠나 불판과 같은 구이판의 일측에 얹혀져서 사용됨과 더불어 무기질 물질로 형성되면서 그의 상면으로는 상기 구이판에서 조리된 조리물이 얹혀지고, 전체적으로 원형이나 타원형 혹은, 다각형 중 어느 한 도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과 조리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상기 조리물로부터 흘러내린 기름기가 해당 조리물에 재접촉됨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황토를 초벌구이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둘레는 라운드 지도록 형성된 부위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부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구이판에 비해 대략 1/2 ∼1/8 정도의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과 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골은 저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그의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산과 골은 평면에서 볼 때 직선, 지그재그, 격자형, 물결무늬 등의 규칙적인 선 혹은, 여타의 비규칙적인 선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산과 골은 그의 정면에서 볼 때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여타의 라운드형 또는, 다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양측 끝단으로부터 그의 중앙측 부위로 갈수록 점차 오목 또는,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측 부위에는 상기 몸체부의 상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돌기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 내측 부위에는
    소정 깊이만큼 요입된 요입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13. 제 9 항 또는,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 내측 부위에는
    소정 깊이만큼 요입된 요입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14.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는 상기 요철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보조 요철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 내측 부위에는
    소정 깊이만큼 요입된 요입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상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17.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 내측 부위에는
    소정 깊이만큼 요입된 요입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 수 납용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상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1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둘레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상향 절곡된 받침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2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그 상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KR2020060003145U 2006-02-03 2006-02-03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KR2004141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145U KR200414163Y1 (ko) 2006-02-03 2006-02-03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145U KR200414163Y1 (ko) 2006-02-03 2006-02-03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163Y1 true KR200414163Y1 (ko) 2006-04-17

Family

ID=4176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145U KR200414163Y1 (ko) 2006-02-03 2006-02-03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1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386B1 (ko) * 2006-09-22 2007-07-24 최응한 일체형 기름 접시
KR20210054285A (ko) * 2019-11-05 2021-05-13 천수연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386B1 (ko) * 2006-09-22 2007-07-24 최응한 일체형 기름 접시
KR20210054285A (ko) * 2019-11-05 2021-05-13 천수연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
KR102317772B1 (ko) * 2019-11-05 2021-10-25 천수연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5260A (en) Tile for use with a cooking grill
KR200399822Y1 (ko) 구이용 불판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KR101078690B1 (ko) 화염이 직접 고기에 닿지 않는 이중 직화식 구이판
KR200433024Y1 (ko) 기름 배출 수단이 구비된 숯불구이판
KR200414163Y1 (ko)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KR200497835Y1 (ko) 구이용 불판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KR200179509Y1 (ko) 고기 구이기
KR100940370B1 (ko) 탄화방지 기능을 갖는 구이용 불판
KR20220109323A (ko) 그을음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석쇠
JP2006029622A (ja) 加熱調理用受け皿セット及び加熱調理器
KR100520912B1 (ko) 솥뚜껑 구이 장치
KR200412774Y1 (ko) 전기 구이기
KR200355889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0298909Y1 (ko) 구이판
KR200359184Y1 (ko) 구이기
JP2001061672A (ja) 加熱調理用焼き板
KR200318145Y1 (ko) 전골요리 겸용 돌 구이판
KR200481251Y1 (ko) 다기능 불판 세트
KR200471303Y1 (ko) 석쇠가 포함되는 프라이팬
KR200297827Y1 (ko) 구이판
KR200212904Y1 (ko) 육류 구이판
KR200264164Y1 (ko) 구이판의 양면을 사용할 수 있는 전기 후라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