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772B1 -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 - Google Patents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772B1
KR102317772B1 KR1020190140229A KR20190140229A KR102317772B1 KR 102317772 B1 KR102317772 B1 KR 102317772B1 KR 1020190140229 A KR1020190140229 A KR 1020190140229A KR 20190140229 A KR20190140229 A KR 20190140229A KR 102317772 B1 KR102317772 B1 KR 102317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ed
cooking unit
food
minut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4285A (ko
Inventor
이동한
Original Assignee
천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수연 filed Critical 천수연
Priority to KR1020190140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77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7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가열 기구에 의해 150℃ 내지 170℃의 온도에서 가열된 가열 조리부로부터 전달되는 120℃ 이상의 열에 의해 8분 내지 12분 동안 간접적으로 가열되어 육류를 포함한 피가열 조리물을 굽는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가 제공된다.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는 제1 일정 온도로 가열되어 상면에 놓이는 피가열 조리물을 제2 일정 온도 이상 일정 시간 동안 가열 조리하는 가열 조리부; 상기 가열 조리부의 밑에 위치하여 상기 가열 조리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열 조리부에 의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받이 그릇; 및 상기 피가열 조리물 및 상기 받이 그릇을 담아놓는 식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INDIRECT HEATING TYPE PERSONAL ROASTER}
본 발명은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용 불판은 고기나 소세지 등의 식재료를 상부면에 올려놓고 구워서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가스렌지 등과 같은 화기 위에 간편하게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얇은 판재 형태의 취사 도구의 일종이다.
이러한 불판은 취급하고자 하는 식 재료의 종류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구조 또는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환경의 특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강, 철 주물(Iron casting), 구리, 또는 자연석 등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되어 지고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구이용 불판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구이용 불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불판(1)은 상부면에 고기 등과 같은 식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구조의 얇은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불판(1)은 사용 환경의 특성상 열전도성, 내식성, 강도, 중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물리적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이용 불판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일반적으로 불판은 열전도성과 중량 등을 고려하여 박판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상부에 전달되는 열에 의해 고기 등과 같은 식 재료가 쉽게 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고기를 먹지 못하고 버리게 됨으로써, 음식 낭비는 물론 환경 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둘째, 불판 위에 장시간 방치된 고기는 육즙이 빠져 나가 딱딱해짐으로써 식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셋째,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 익은 고기를 다른 접시나 야채 위에 올려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넷째, 고기가 타는 과정에서 발암 물질 중의 하나인 벤조피렌(Benzopyrene) 등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의 건강에 악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등록번호 제 10-1490601 호{등록일: 2015년 01월 30일}
본 발명은 가열 기구에 의해 150℃ 내지 170℃의 온도에서 가열된 가열 조리부로부터 전달되는 120℃ 이상의 열에 의해 8분 내지 12분 동안 간접적으로 가열되어 육류를 포함한 피가열 조리물을 굽는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는 제1 일정 온도로 가열되어 상면에 놓이는 피가열 조리물을 제2 일정 온도 이상 일정 시간 동안 가열 조리하는 가열 조리부; 상기 가열 조리부의 밑에 위치하여 상기 가열 조리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열 조리부에 의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받이 그릇; 및 상기 피가열 조리물 및 상기 받이 그릇을 담아놓는 식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일정 온도는 150℃ 내지 170℃이고, 상기 제2 일정 온도는 120℃이고, 상기 일정 시간은 8분 내지 12분이고, 상기 피가열 조리물의 크기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원형 상면 및 원형 하면,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측벽을 구비한 원기둥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이 그릇은 상부에 상기 가열 조리부의 상면에 놓인 상기 피가열 조리물을 가열 조리하는 중에 상기 피가열 조리물로부터 배출되는 기름 성분 및 상기 가열 조리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받이 그릇의 바닥면은 상기 가열 조리부의 상면 및 하면의 각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고기와 같은 육류를 직접 불에 가열하여 굽거나 가열되는 판에 올려 놓고 굽지 않고 가열 기구에 의해 1분 내지 3분 동안 150℃ 내지 170℃의 온도에서 가열된 열전도성 및 보온 효과가 우수한 쇠 덩어리와 같은 재료로 제조된 가열 조리부로부터 전달되는 120℃ 이상의 열에 의해 8분 내지 12분 동안 간접적으로 가열되어 구워지도록 함으로써 육류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고, 육즙을 최대한 보존하여 각종 육류 특유의 맛과 냄새 및 온도를 장시간 유지시켜 줄뿐 아니라, 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등 육류를 몸에 이롭게 또는 몸에 해가 되지 않게 먹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간접 열을 이용하여 피가열 조리물을 데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첫째, 고기를 태우지 않고 장시간 좋은 식감을 유지한 채로 따뜻하게 보존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다 익은 고기의 처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이 최소화되도록 하며, 셋째,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 또는 분리가 간편하여 제작, 취급 또는 세척이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구이용 불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열 조리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의 실제 사진을 나타낸 사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열 조리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의 실제 사진을 나타낸 사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는 가열 조리부(100), 받이 그릇(200), 및 식판부(300)를 포함한다.
가열 조리부(100)는 제1 일정 온도로 가열되어 상면에 놓이는 육류(12) 및 야채(14)를 포함한 피가열 조리물(10)을 제2 일정 온도 이상 일정 시간 동안 가열 조리(굽혀지거나 익힘)한다.
상기 제1 일정 온도는 150℃ 내지 170℃이고, 상기 제2 일정 온도는 120℃이고, 상기 일정 시간은 8분 내지 12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조리부(100)은 열전도성 및 보온 효과가 우수한 쇠 덩어리와 같은 재료로 제조되며, 가열 기구(미도시)에 의해 1분 내지 3분 동안 상기 제1 일정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조리부(100)는 상기 피가열 조미물(10)의 크기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원형 상면(110) 및 원형 하면(120), 상기 상면(110)과 상기 하면(120)을 연결하는 측벽(130)을 구비한 원기둥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이 그릇(200)은 상기 가열 조리부(100)의 밑에 위치하여 상기 가열 조리부(100)를 지지하고 상기 가열 조리부(100)에 의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받이 그릇(200)은 바닥면(210) 및 측벽(220)을 포함한다.
바닥면(210)에는 상부에 상기 가열 조리부(100)의 상면에 놓인 상기 피가열 조리물(10)을 가열 조리하는 중에 상기 피가열 조리물(100)로부터 배출되는 기름 성분 및 상기 가열 조리부(100)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측벽(220)은 상기 바닥면(210)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다.
상기 받이 그릇(200)의 바닥면은 상기 가열 조리부(100)의 상면(110) 및 하면(120)의 각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판부(300)는 상기 피가열 조리물(10) 및 상기 받이 그릇(200)을 담아 놓는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피가열 조리물
12: 육류
14: 야채
100: 가열 조리부
110: 상면
120: 하면
130: 측벽
200: 받이 그릇
210: 바닥면
220: 측벽
300: 식판부

Claims (3)

  1. 제1 일정 온도로 가열되어 상면에 놓이는 피가열 조리물을 제2 일정 온도 이상 일정 시간 동안 가열 조리하는 가열 조리부;
    상기 가열 조리부의 밑에 위치하여 상기 가열 조리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열 조리부에 의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받이 그릇; 및
    상기 피가열 조리물 및 상기 받이 그릇을 담아놓는 식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일정 온도는 150℃ 내지 170℃이고, 상기 제2 일정 온도는 120℃이고, 상기 일정 시간은 8분 내지 12분이고,
    상기 가열 조리부는 상기 피가열 조리물의 크기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원형 상면 및 원형 하면,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측벽을 구비한 원기둥 형상을 갖고, 상기 150℃ 내지 170℃의 제1 일정 온도에서 열전도성이 우수하고 상기 120℃의 제2 일정 온도이상 상기 8분 내지 12분의 일정 시간 동안 열보온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내는 쇠 덩어리로 제조되고,
    상기 받이 그릇은
    상부에 상기 가열 조리부의 상면에 놓인 상기 피가열 조리물을 가열 조리하는 중에 상기 피가열 조리물로부터 배출되는 기름 성분 및 상기 가열 조리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받이 그릇의 바닥면은 상기 가열 조리부의 상면 및 하면의 각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
  2. 삭제
  3. 삭제
KR1020190140229A 2019-11-05 2019-11-05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 Active KR102317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229A KR102317772B1 (ko) 2019-11-05 2019-11-05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229A KR102317772B1 (ko) 2019-11-05 2019-11-05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285A KR20210054285A (ko) 2021-05-13
KR102317772B1 true KR102317772B1 (ko) 2021-10-25

Family

ID=75913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229A Active KR102317772B1 (ko) 2019-11-05 2019-11-05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7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163Y1 (ko) * 2006-02-03 2006-04-17 이성재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JP2012242061A (ja) * 2011-05-24 2012-12-10 Panasonic Corp 配膳車システム及びそれに適する食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7714U (ko) * 1989-08-22 1991-04-11
KR100499251B1 (ko) * 2003-07-22 2005-07-07 허석 조리용기
KR101490601B1 (ko) 2013-07-11 2015-02-06 변종언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를 이용한 2단 불판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163Y1 (ko) * 2006-02-03 2006-04-17 이성재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JP2012242061A (ja) * 2011-05-24 2012-12-10 Panasonic Corp 配膳車システム及びそれに適する食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37714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285A (ko)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7331A (en) Cooking food in a food preparation kit in a microwave and in a thermal oven
JP2009500109A (ja) 調理のための重量調節可能な食品プレス器
US106388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ipping food
KR101167657B1 (ko) 회전형 구이용 그릴
KR20070029235A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US20170332840A1 (en) Cooktop Insert
KR101490601B1 (ko)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를 이용한 2단 불판유닛
US8137723B1 (en) Healthy cookware
KR10138184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KR102317772B1 (ko)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
US3777653A (en) Cooking accessory
CN204541815U (zh) 多功能木炭无烟烧烤炉
KR101350636B1 (ko) 다용도 조리기구
US5465652A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JP3146060U (ja) 肉の網焼き器具用プレート
KR200424658Y1 (ko) 신선로 겸용 취사기
KR200355889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090012688U (ko)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CN212678917U (zh) 一种多功能锅
KR2011005350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FI68512C (fi) Grillhalster
KR200252788Y1 (ko) 만능구이기
KR200317017Y1 (ko) 튀김 조리기용 구이장치
KR200430591Y1 (ko) 찜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11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