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082B1 -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 - Google Patents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4082B1 KR101494082B1 KR20130063286A KR20130063286A KR101494082B1 KR 101494082 B1 KR101494082 B1 KR 101494082B1 KR 20130063286 A KR20130063286 A KR 20130063286A KR 20130063286 A KR20130063286 A KR 20130063286A KR 101494082 B1 KR101494082 B1 KR 1014940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loess
- meat
- far
- furn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내벽이 황토벽으로 된 화로와, 가열에 의해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다수의 황토 볼이 담긴 황토 볼판과, 육류의 가열 시에 유출되는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는 기름 받이판과, 육류를 구이는 돌판 조각이 평면적으로 깔린 구이판 및 훈제 시에 구이판을 덮는 내열성 투명 유리재질의 통상의 덮개의 결합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로에서 연료의 연소열에 의해 황토벽과, 황토 볼판의 황토 볼과, 구이판의 돌판에서 다량으로 발생되는 원적외선과 열기에 의해 각종 육류의 내외를 동시적으로 가열하게 되어 육질의 표면이 타지 않고 부드럽고 풍미 있게 구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로에서 연료의 연소열에 의해 황토벽과, 황토 볼판의 황토 볼과, 구이판의 돌판에서 다량으로 발생되는 원적외선과 열기에 의해 각종 육류의 내외를 동시적으로 가열하게 되어 육질의 표면이 타지 않고 부드럽고 풍미 있게 구이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내벽이 황토벽으로 된 화로와, 가열에 의해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다수의 황토 볼이 담긴 황토 볼판과, 육류의 가열 시에 유출되는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는 기름 받이판과, 육류를 구이는 돌판 조각이 평면적으로 깔린 구이판 및 훈제 시에 구이판을 덮는 내열성 투명 유리재질의 통상의 덮개의 결합으로 구성된 것으로 화로의 연료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된 화로의 황토벽과, 황토 볼판의 황토 볼과, 구이판의 돌판에서 다량으로 발생되는 원적외선과 열기에 의해 각종 육류의 내외를 동시적으로 가열하여 부드럽고 풍미 있게 구이하게 된 것이다.
각종 육류나 생선을 황토 숯불에 구이하는 다양한 종류의 구이기가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황토를 이용한 구이판에 관한 선행기술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① 등록실용시안공보 등록번호 20-0169875호(2000.02.15.공고) 원적외선 황토 숯불 통닭 구이기는 구이기 상단에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샤프트 상단에 쟁반을 고정시키어 구워진 통닭을 tr지 않게 보관시킬 수 있도록 된 보관실과; 보관실 하부에는 샤프트 말단부에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판을 고정시킨 다음 회전판 저면에는 다수의 보관관리를 설치하여 통닭을 결속한 갈쿠리가 걸어지도로 하고 하단의 바닥판 중앙에는 숯통이 설치되어 회전판의 보관 고리에 매달린 통닭을 구울 수 있게 있도록 하며, 내벽에는 단열재층과 황토층을 형성하되 황토층 표면에는 황토와 맥반석이 혼합된 혼합층으로 내벽이 형성된 구이실과; 바닥판의 기름 유출 파이프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수거할 수 있도록 수거통이 구비되고 기타 용기를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공간부가 구성된 것으로서, 통닭을 구을때 숯불로 익히도록 하여 닭에서 발생되는 기름 냄새와 느끼한 냄새를 숯으로 제거하고 동시에 내벽을 이루고 있는 황토와 맥반석에서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육질이 연하고 담백하며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육질이 딱딱하지 않고 맛좋은 통닭을 구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②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20152호(2001.04.16.공고) 바비큐 겸용 황토구이장치는 다수의 가열판이 내측벽에 형성된 함체상의 본체의 내부에 여러 개의 꼬치대를 가로의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모터에 의해 구동되게 하여 꼬치대에 꼬친 고기를 바비큐로 하고 또 받침판에 가로로 형성된 지지 파이프에 통닭을 넣은 토기를 상하로 지지시키어 별도의 모터에 의해 수평으로 회전시키면서 가열판에 의해 가열된 토기의 내부 담긴 통닭을 구이하게 된 것이다.
③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34060호(2011.05.12.공고) 받침판체가 아래로 열리는 황토구이기는 외부 프레임이 상승 하강수단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이동하고 관상의 중심축 부위에서 구이판체를 회전시키는 회전자를 가진 받침판체와; 하단이 개방된 마개형 받침판체 및 황토통을 덮으며 외면에 발영용 히터체를 가진 가열통과; 가열통의 열을 공기 전도 및 대류형상으로 전달받아 회전자에 결합하는 구이판체로 열을 전도하며 받침판체 및 구이판체를 덮도록 하단이 개방된 황토통과; 상기 외부 프레임에 하단이 개방되도록 고정되고 내부에 히터체, 가열통 및 황토통을 직경이 작아지는 순서로 지지하며 받침판을 통하여 하단 개방부가 닫히고 열리는 상부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승 하강수단에 의해 받침판체를 하강시키어 황토통 내부의 구이판에 고기를 넣고 다시 받침판을 상승시키어 상부 측에 배치된 히터체에 의해 가열되는 황토통 내부에서 통닭이 가열되게 하고 구이가 종료되면 다시 받침판을 하강시키어 구이된 통닭을 안전하게 꺼낼 수 있게 된 것이다.
상기한 선행기술의 구이기는 함체로 된 본체 내부에 황토통을 구비하여 황토통에 통닭 등을 넣어 외부에서 전열이나 숯불에 의해 황토통을 가열하여 육류를 구이하게 된 것으로 전기나 동력을 사용하게 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크며, 사용 후에 구이기의 청소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로형 구이기로서 숯불 화로 위에 돌판을 놓고 가열된 돌판 위에 육류를 구우면서 먹을 수 있게 된 것이 있으나 돌판에 의한 원적외선의 효과가 미미하고 대부분 숯불의 직화(直火)에 의해 구이되기 때문에 육질 깊게 익히는 동안 육질의 표면이 탄화되어 굳어지고 풍미가 높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로에서 연료의 연소열에 의해 화로의 황토벽과 황토 볼판의 황토 볼과 구이판에 깔린 돌판 조각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원적외선과 열기에 의해 육질의 표면과 내부가 동시에 가열되어 육질의 표면이 타지 않고 부드럽고 풍미 있게 구이되는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 후에 구이기를 분리하여 청결하게 소제할 수 있고 전원이나 동력을 사용하지 않아 어느 곳에서나 편리하게 각종 육류의 구이 및 훈제를 할 수 있는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내벽이 황토벽으로 된 화로와; 가열에 의해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다수의 작은 황토 볼이 평면적으로 담긴 황토 볼판과; 육류의 가열시에 유출되는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는 기름받이판과; 각종 육류를 구이는 돌판 조각이 평면적으로 깔린 구이판과; 훈제 시에 상기 구이판을 덮는 내열성 투명 유리재질의 통상의 덮개의 결합으로 구성된 것으로 화로의 연료의 연소열에 의해 화로의 황토벽과, 황토 볼판의 황토 볼 및 구이판의 돌판 조각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원적외선과 화로의 열기에 의해 각종 육류의 내외가 동시에 가열되어 타지 않고 부드럽고 풍미 있게 구이하게 된 것이다.
상기 화로는 기본적으로 로스틀의 하부 측의 재받이실과 로스틀 상부측의 연소실로 되어 있고 연소실 외통은 하부에서 상부에 이를수록 폭이 넓어진 역사다리 꼴의 직사각형 입방체로 되어 있다. 재받이실의 일측에는 공기 조절기를 가진 급기관이 관접되어 있고 연소실의 타 측벽 상부에는 배기 조절기를 가진 배기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로의 외통 내부에는 역사다리 꼴의 지지판에 일정한 두께의 황토층이 적층된 황토벽이 벽체에 구비된 손잡이를 잡고 화로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되어있으며 사용 중 균열된 황토벽은 황토 모르타르에 의해 보수하게 되어 있다. 상기 황토벽은 화로에서 연료의 가열 시에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된다.
상기 화로의 상부 측에 재치되는 황토 볼판은 직사각형의 다공판으로 되어 있고 다공판의 4 주변에는 황토볼이 외부로 굴러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측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황토 볼판에는 황토질로 형성된 다수의 황토 볼이 평면적으로 깔려 있다.
상기 황토 볼은 화로에서 연료의 연소열에 의해 다량의 원적왼선이 방출된다.
상기 황토 볼판 상부에 재치되는 상기 기름받이판은 직사각형의 프레임에 배유홈이 상향으로 만곡된 여러 개의 배유판이 일정한 간격의 병렬로 배치된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과 같은 크기의 직사각형의 프레임에 배유홈이 하향으로 만곡된 여러 개의 배유판이 하부판의 배유판과 상하에서 중첩되게 배치된 상부판의 결합으로 되어 있다.
상기 하부판에 배치된 배유판의 양단부측에는 집유홈이 하부판의 프레임에 세로로 형성되어 상기 배유판에서 흐른 기름이 집유홈을 따라 배유공을 통하여 하방 측에 비치된 집유통에 집유하게 되어 있다.
상기 기름받이판의 상부에 재치되는 구이판은 직사각형의 다공판으로 되어 있고 구이판의 4 주변에는 돌판 조각의 두께 보다 높게 측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이판에는 여러 개의 돌판 조각이 평면적으로 배치되어 그 위에 각종 육류를 놓고 구이하게 되어 있다.
상기 돌판 조각에서 가열에 따라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된다.
상기 구이판을 덮는 통상의 덮개는 외부에서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내열성 투명 유리로 되어 있고 덮개의 내주연부에 형성된 걸림턱이 상기 구이판에 걸쳐 덮게 되어 있으며, 손잡이는 덮개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구이기는 화로 위에 황토 볼판과 기름받이판 및 구이판이 일조로 조립되고 필요에 따라 구이판에 덮개를 덮는다.
예를 들어 육류를 구이할 경우 화로의 연소실에 숯, 또는 장작 등의 연료를 연소하며, 이때 급기관은 개방하고 배기관은 조절기에 의해 닫아 둔다, 연소실에서 연소되는 연소열은 연소가스와 함께 황토 볼판의 다공판과, 기름받이판의 각 배유판 사이의 공극과, 구이판의 다공판을 통하여 상승되며, 황토벽과 황토 볼 및 돌판 조각이 가열된다. 육류를 구이할 수 있을 정도로 가열되었으면 구이판에 깔린 돌판 조각 위에 구이할 육류를 놓고 구이한다.
이때 화로 측에서 상승되는 열기와, 또 황토벽과, 황토볼 및 돌판 조각에서 다량의 원적외선이 발생되어, 육류 내부로 투사되는 원적외선과 육류 표면을 가열하는 열기에 의해 육류의 외부와 내부가 동시적으로 가열된다.
또 구이 중에 가열에 따라 육류에서 배출되는 지방분이 녹은 액상의 기름은 기름받이판의 상판에 구비된 배유판과 하판에 구비된 배유판을 통하여 집유홈으로 유입되어 배유공을 통하여 배유공 하부에 놓인 집유통에 집유된다.
따라서 종래의 구이기와 달리, 열기와 원적외선에 의해 육류의 표면과 내부가 동시에 가열되기 때문에 보다 단시간에 구이가 완료되며 육류의 표면이 타지 않고 고르게 구이된다. 또한 가열 중에 육류의 내부의 가열에 따라 지방분이 모두 탈지되기 때문에 구이된 육류가 부드럽고 느끼함이 없으며, 전체적으로 풍미가 더하여 맛있게 먹을 수 있다.
또한 구이판에서 통닭이나 오리고기, 또는 육류를 훈제할 경우에는 구이판위에 덮개를 덮어 열기가 외부로 방열도지 않게 하고 동시에 화로의 연소를 위해서 배기관을 조절기에 의해 개방하여 둔다.
그리하면, 본 발명의 구이기는 연소열이 집중되는 오븐이 되며, 숯불이나 소나무장작, 또는 참나무장작을 연료로 사용하면 나무의 특유한 향과 그름이 훈제하는 육류의 표면에 부착되면서 수분이 탈수되고 유해균이 소멸되며 적절하게 익어,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고 맛이 좋은 훈제를 만들 수 있다.
또 구이기를 사용한 후에는 구이판, 기름받이판, 황토 볼판, 심지어 화로의 황토 벽판까지 분리가 가능하므로 그름이나 기름 흔적 등을 청결하게 소제할 수 있다.
또한 황토 볼은 별도로 소성(燒成)하지 않아도 사용 중에 화로의 열기에 의해 자연적으로 소성된다.
또한 화로의 황토 벽은 갈라지거나 박리된 부분이 있으면 황토 모르타를 발라 보수할 수 있다.
또 구이판에 깔린 돌판 조각은 훼손되는 일이 없으므로 세척하여 여러 번 사용이 가능하며, 돌판 조각은 화강암, 맥반석, 편마암, 토모라이트, 옥돌, 작은 자갈, 기타 석산에서 나오는 쇄석 등 각종 광물질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에 의하면, 화로에서 연료의 연소열에 의해 화로의 황토벽과, 황토 볼판의 황토볼과, 구이판의 돌판조각에서 다량으로 발생되는 원적외선과 열기에 의해 각종 육질이 내외 동시적으로 가열되어 육질의 표면이 타지 않고 부드러우면서 풍미가 풍부하게 구이할 수 있다.
또한 구이기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 후에 구이기를 분리하여 청결하게 소제할 수 있으며, 전원이나 동력을 사용하지 않아 어느 곳에서나 편리하게 각종 육류의 구이 및 훈제를 사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하판과 상판이 조립된 기름받이판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구이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하판과 상판이 조립된 기름받이판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구이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 예시도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R)는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내벽이 황토벽으로 된 화로(1)와; 가열에 의해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다수의 작은 황토 볼이 평면적으로 담긴 황토 볼판(2)과; 육류의 가열 시에 유출되는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는 기름받이판(3)과; 각종 육류를 구이는 돌판 조각이 평면적으로 깔린 구이판(4)과; 훈제 시에 상기 구이판을 덮는 내열성 투명 유리재질의 통상의 덮개(5)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화로(1)는 재받이실(1a)과 연소실(1b)이 로스틀(1r)에 의해 구분되고 연소실(1b) 외통(1c)은 하부에서 상부에 이를수록 폭이 넓어진 역사다리 꼴의 직사각형 입방체로 되어 있다. 상기 재받이실(1a)의 일 측에는 공기 조절기(1n')를 가진 급기관(1n)이 관접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1b)의 타측벽 상부에는 배기조절기(1u')을 가진 배기관(1u)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로의 외통(1c) 내부에는 역사다리 꼴의 지지판(1d)에 일정한 두께의 황토층(sr)이 적층된 황토벽(1w)이 벽체에 구비된 손잡이(1h)를 잡고 화로(1)의 연소실(1b)의 외통(1c) 내부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화로(1)의 상부 측에는 황토 볼판(2)이 재치된다. 황토 볼판(2)은 화로의 상단부의 평면형태와 상응한 직사각형의 다공판(2h)으로 되어 있고 다공판(2h)의 4 주변에는 황토 볼(b)이 외부로 굴러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측판(2w)이 구비되어 있으며 황토 볼판(2)에는 황토질로 형성된 다수의 황토 볼(sb)이 평면적으로 깔려 있다.
상기 기름받이판(3)은 도2 및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황토 볼판(2)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는 상응한 크기의 직사각형의 프레임(3f)에 배유홈(3u)이 상향으로 만곡된 여러 개의 배유판(3p)이 일정한 간격의 병렬로 배치된 하부판(3a)과, 상기 하부판(3a)과 같은 크기의 직사각형의 프레임(3f')에 배유홈(3n)이 하향으로 만곡된 여러 개의 배유판(3p')이 하부판(3a)의 배유판(3p)과 상대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된 상부판(3b)의 결합으로 되어 있다.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3a)에 배치된 배유판(3u)의 양단부측에는 집유홈(3g)이 하부판(3a)의 프레임(3f)에 세로로 형성되어 상기 배유판(3u)에서 흐른 기름이 집유홈(3g)에 유입되어 배유공(3h)을 통하여 하방 측에 비치된 도시되지 않은 집유통에 집유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이판(4)은 상기 기름받이판(3)에 결합될 수 있는 크기의 직사각형의 다공판(4h)으로 되어 있고 구이판(4)의 4 주변에는 돌판 조각(sp)의 두께 보다 높게 측판(4w)이 형성되고 구이판(4)에는 여러 개의 돌판 조각(sp)이 평면적으로 배치되어 그 위에 각종 육류(M)를 놓고 구이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이판(4)을 덮는 통상의 덮개(5)는 외부에서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내열성 투명 유리로 되어 있고 덮개(5)의 내주연부에 형성된 걸림턱(5t)이 상기 구이판(4)의 상단부에 걸쳐 덮게 되어 있으며 덮개(5)의 상단부에 손잡이(5h)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구이기는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화로(1) 위에 황토 볼판(2)과 기름받이판(3) 및 구이판(4)이 상하로 조립되고 필요에 따라 구이판(4)에 덮개(5)를 덮는다.
예를 들어 육류(돼지고기 삼겹살)을 구이할 경우 화로(1)의 연소실(1b)에 숯, 또는 장착 등의 연료(f)를 연소하며, 이때 급기관(1n)은 조절기(1n')에 의해 개방하고 배기관(1u)은 조절기(1u')에 의해 닫아 둔다. 배기관(1u)이 닫히면 연소실(1b)에서 연료(f)의 연소되는 연소열은 연소가스와 함께 황토 볼판(2)의 다공판(2h)과, 기름받이판(3)의 각 배유판(3p)(3p') 사이의 틈과, 구이판(4)의 다공판(4h)을 통하여 상승되며, 황토벽(1w)과 황토 볼(sb)및 돌판 조각(sp)이 가열된다. 육류를 구이할 수 있을 정도로 가열되면 구이판(4)에 깔린 돌판 조각(sp)위에 구이 할 육류(M)를 놓고 구이 한다.
이때 화로(1)측에서 상승되는 열기와, 또 황토벽(1w)과, 황토볼(sb) 및 돌판 조각(sp)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원적외선에 의해 육류(M)의 외부와 내부가 동시적으로 가열된다.
또 구이 중에 가열에 따라 육류에서 배출되는 지방분이 녹은 액상의 기름은 기름받이판(3)의 상판(3a)에 구비된 배유판(3p')의 배유홈(3n)과 하판(3a)에 구비된 배유판(3p)의 배유홈(3u)을 통하여 집유홈(3g)으로 유입되어 배유공(3h)을 통하여 배유공(3g) 하부에 놓인 도시되지 않은 집유통에 집유된다.
따라서 종래의 구이기와 달리, 열기와 원적외선에 의해 육류의 표면과 내부가 동시에 가열되기 때문에 보다 단시간에 구이 되며 육류의 표면이 타지 않고 고르게 구워진다.
또한 구이 중에 육류의 내부의 가열에 따라 지방분이 모두 탈지되기 때문에 구이 된 육류가 부드럽고 느끼함이 없으며, 전체적으로 풍미가 더하여 맛있게 먹을 수 있다.
또 구이판(4)에서 통닭이나 오리고기, 또는 육류를 훈제할 경우에는 구이판(4) 위에 덮개(5)를 덮어 열기가 외부로 방열도지 않게 하고 동시에 화로(1)의 연소를 위해서 배기관(1u)을 조절기(1u')에 의해 개방하여 둔다.
그리하면, 연소열이 구이판(4)으로 집중되며, 숯불이나 소나무장작, 또는 참나무장작 등을 연료로 연소하면 나무의 특유한 향과 그름이 훈제하는 육류의 표면에 부착되면서 수분이 탈수되고 유해균이 소멸되며 적절하게 익어,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고 맛이 좋은 훈제를 만들 수 있다.
또 구이기를 사용한 후에는 구이판(4), 기름받이판(3), 황토 볼판(2), 심지어 화로(1)의 황토 벽판(1w)까지 분리가 가능하므로 그름이나 기름 흔적 등을 청결하게 소제할 수 있다.
1 : 화로 1a : 재받이실 1b : 연소실 1d : 지지판 1n : 급기관
1r : 로스틀 1u : 배기관 1w : 황토벽 2 : 황토 볼판
2h : 다공판 2w : 측판 3 : 기름받이판 3a : 하판 3b : 상판
3n,3u : 배유홈 3f,3f' : 프레임 3g : 집유홈 3h : 집유공
3p,3p' : 배유판 4 : 구이판 4h : 다공판 4w : 측판 5 : 덮개
5h : 손잡이 5t : 걸림턱 sr : 황토층 sb : 황토볼 sp : 돌판조각
f : 연료 M : 육류 R : 구이기
1r : 로스틀 1u : 배기관 1w : 황토벽 2 : 황토 볼판
2h : 다공판 2w : 측판 3 : 기름받이판 3a : 하판 3b : 상판
3n,3u : 배유홈 3f,3f' : 프레임 3g : 집유홈 3h : 집유공
3p,3p' : 배유판 4 : 구이판 4h : 다공판 4w : 측판 5 : 덮개
5h : 손잡이 5t : 걸림턱 sr : 황토층 sb : 황토볼 sp : 돌판조각
f : 연료 M : 육류 R : 구이기
Claims (5)
-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에 있어서,
황토층(sr)이 지지판(1d)에 적층된 황토벽(1w)이 사방의 연소실(1b)의 내통(1c)에 내장된 화로(1)와;
상기 화로(1)의 상부에 올려놓게 된 직사각형의 다공판(2h)에 다수의 황토볼(sb)이 재치된 황토볼판(2)과;
상향으로 만곡된 배유홈(3u)이 형성된 여러 개의 배유판(3p)이 프레임(3f)에 구비된 하부판(3a)과, 하향으로 만곡된 배유홈(3n)이 형성된 여러 개의 배유판(3p')이 배유판(3u)과 중첩가능하게 프레임(3f')에 형성되고 기름받이홈(3g)과 집유공(3h)이 구비된 상부판(3b)으로 이루어져 상기 황토볼판(2) 위에 재치하게 된 기름받이판(3)과;
상기 기름받치판(3) 위에 재치되는 직사각형의 다공한(4h)에 여러 개의 돌판(sp)이 깔리어 육류를 구이할 수 있게 된 구이판(4)의;
결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63286A KR101494082B1 (ko) | 2013-06-03 | 2013-06-03 |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63286A KR101494082B1 (ko) | 2013-06-03 | 2013-06-03 |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2398A KR20140142398A (ko) | 2014-12-12 |
KR101494082B1 true KR101494082B1 (ko) | 2015-02-17 |
Family
ID=52459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63286A KR101494082B1 (ko) | 2013-06-03 | 2013-06-03 |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408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1248Y1 (ko) * | 2016-01-08 | 2016-09-05 | 최병희 | 구이용 화로 |
KR102664897B1 (ko) * | 2023-08-18 | 2024-05-08 | 진문석 | 숯불구이판 |
KR102681770B1 (ko) * | 2023-11-13 | 2024-07-05 | 황현수 | 가열된 세라믹볼을 이용한 연기제거 구이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8103U (ko) * | 1998-10-15 | 2000-05-06 | 권용수 | 맥반석을 이용한 바비큐 장치 |
KR200375308Y1 (ko) | 2004-11-08 | 2005-03-11 | 주식회사 한수라유통 | 고기구이기 |
-
2013
- 2013-06-03 KR KR20130063286A patent/KR1014940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8103U (ko) * | 1998-10-15 | 2000-05-06 | 권용수 | 맥반석을 이용한 바비큐 장치 |
KR200375308Y1 (ko) | 2004-11-08 | 2005-03-11 | 주식회사 한수라유통 | 고기구이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2398A (ko) | 2014-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7990B1 (ko) | 측면직화구이장치 | |
KR101315045B1 (ko) | 무연 숯불구이 장치 | |
KR101494082B1 (ko) |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 | |
KR200397274Y1 (ko) | 고기구이용 화덕 | |
KR101731702B1 (ko) | 직화 훈제 겸용 조리기구 | |
KR200444305Y1 (ko) | 가스버너를 이용한, 테이블 착탈식 숯불구이기 | |
CN102397016B (zh) | 炭烤炉 | |
KR100704443B1 (ko) | 하향 방열식 구이 장치 | |
US20220071447A1 (en) | Grill device that prevents burning of grilled food | |
KR101380623B1 (ko) | 다기능 무연 구이기 | |
JP3170738U (ja) | 焼き芋器 | |
DE3631372A1 (de) | Ein tragbares und mehrfach verwendbares koch- und grillgeraet | |
KR101530810B1 (ko) | 육류 구이용 화덕 및 육류 구이 방법 | |
WO2010131875A4 (ko) | 복합 휴대 구이기 | |
CN209733625U (zh) | 多功能烧烤炉 | |
JP3146060U (ja) | 肉の網焼き器具用プレート | |
KR200467019Y1 (ko) | 이중 열원을 갖는 구이기 | |
CN217659390U (zh) | 一种碳烤炉 | |
JP2515952B2 (ja) | 軽石を用いた焼肉方法と焼肉装置 | |
KR200214938Y1 (ko) |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이용한 가열용기 | |
KR20010045794A (ko) | 식탁용 바베큐 구이기 | |
KR101975121B1 (ko) |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판 | |
RU173882U1 (ru) | Печь коваленко | |
KR200369525Y1 (ko) | 구이기 | |
KR20140071682A (ko) | 숯불 삼겹살구이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