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897B1 - 숯불구이판 - Google Patents
숯불구이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4897B1 KR102664897B1 KR1020230107981A KR20230107981A KR102664897B1 KR 102664897 B1 KR102664897 B1 KR 102664897B1 KR 1020230107981 A KR1020230107981 A KR 1020230107981A KR 20230107981 A KR20230107981 A KR 20230107981A KR 102664897 B1 KR102664897 B1 KR 1026648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ck
- support
- edge
- meat
- charcoa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71 so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IISBACLAFKSPIT-UHFFFAOYSA-N bisphenol A Chemical compound C=1C=C(O)C=CC=1C(C)(C)C1=CC=C(O)C=C1 IISBACLAFKSP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74 desic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38 functional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WYVGKFDLWWQJX-UHFFFAOYSA-N 1-ethenylazepan-2-one Chemical compound C=CN1CCCCCC1=O JWYVGKFDLWWQJ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HKHKXVYLBGOIT-UHFFFAOYSA-N acetaldehyde Diethyl Acetal Natural products CCOC(C)OCC DHKHKXVYLBGO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68 arom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22 che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77 ja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935 nutritio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82 organosila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951 phenoxy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O*)C([H])=C1[H]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가 잘 타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간접열인 원적외선이 다량으로 방사되도록 하고, 숯향이 많이 배이도록 하여 고기의 맛과 영양이 더욱 풍부해지도록 한 숯불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받침부; 받침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암석을 삽입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암석 삽입부; 및 암석 삽입부의 상부에 각각 장착되어, 고기를 올려놓고 구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불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숯불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기가 잘 타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간접열인 원적외선이 다량으로 방사되도록 하고, 숯향이 많이 배이도록 하여 고기의 맛과 영양이 더욱 풍부해지도록 한 숯불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불구이판은, 숯불을 이용하여 고기를 직화구이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석쇠' 및 '불판'이라고도 하며, 대부분 와이어에 의해서 망체로 형성되거나, 다공판으로 형성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401462호(2022.05.19 등록)는 구이용 불판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상면의 중앙에 구비된 구이부; 구이부의 외곽에 구비된 거치부; 거치부의 외곽에 구비된 테두리부; 및 하면에 구비되어 테이블의 설치부에 결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구이부는 거치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외곽의 프레임 및 양단이 프레임에 연결되고 복수가 평행하게 배치되는 리브를 포함하되, 프레임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결합제 100중량부, 내열강화제 10 중량부 및 건조방지제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코팅막에 의해 코팅되고, 건조방지제는 건조방지제 전체 중량 대비, 비스페놀A형 페녹시 30중량%, 감광성 액체 에폭시 20중량% 및 기능성 첨가제 50중량%을 포함하고, 기능성 첨가제는 아나타제 이산화티타늄 12 중량부,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4 중량부, 백금킬레이트 촉매 2 중량부, 비닐 폴리실록산 25 중량부, N-비닐 카프로락탐 10 중량부, 디알릴 에스테르 아세탈 4 중량부 및 유기실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1195호(2016.08.22 등록)는 숯불구이판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외측프레임, 외측프레임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외측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과;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 외측프레임에 일측이 연결되는 제 1보강연결대와, 제 1보강연결대의 타측에서 내측프레임의 하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내측프레임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제 2보강연결대로 구성되는 보강연결대와; 보강연결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외측프레임의 상부와 내측프레임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는 석쇠부재와; 내측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되는 구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숯불구이판은, 고기가 익으면서 발생하는 기름 및 양념 등이 하부로 추락하여 그대로 숯불에 떨어지게 되며, 숯불에 떨어진 기름은 발화하여 화염과 함께 많은 그을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고기의 바깥부위가 타거나 영양소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표면이 완전히 막혀있는 구이판의 경우 기름이 숯불에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숯불의 열기가 그대로 고기에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고기가 익는 속도가 느려지고, 숯불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향이나 원적외선 등의 효과를 보지 못하므로 고기의 맛과 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기가 잘 타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간접열인 원적외선이 다량으로 방사되도록 하고, 숯향이 많이 배이도록 하여 고기의 맛과 영양이 더욱 풍부해지도록 한 숯불구이판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암석을 삽입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암석 삽입부; 및 상기 암석 삽입부의 상부에 각각 장착되어, 고기를 올려놓고 구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불판부를 포함하는 숯불구이판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받침부는,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는 외곽 테두리부재; 상기 외곽 테두리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 구획을 나누기 위한 구획 테두리부재; 상기 외곽 테두리부재 중 하나의 테두리 부분 하부 내측에서 다른 하나의 테두리 부분 하부 내측에 서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암석 삽입부를 받쳐주기 위한 복수개의 받침부재; 및 상기 외곽 테두리부재 중 하나의 테두리 부분 외측과 다른 하나의 테두리 부분 외측에 형성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2개의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외곽 테두리부재의 테두리 부분 외측에 2개씩 돌출 형성되며, 관통공이 구비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구이장치에 걸기 위한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암석 삽입부는,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는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 및 상기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 중 하나의 테두리 부분 하부 내측에서 다른 하나의 테두리 부분 하부 내측에 서로 연결 형성되어, 암석을 받쳐주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암석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암석 삽입부는, 상기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의 내면에 형성되어, 암석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불판부는,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는 불판 테두리부재; 및 상기 불판 테두리부재 중 하나의 테두리 부분 상부 내측에서 다른 하나의 테두리 부분 상부 내측에 서로 연결 형성되어, 고기를 받쳐주기 위한 복수개의 고기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암석 받침부재의 상부 또는 상기 고기 받침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구획을 나누기 위한 복수개의 구획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름과 양념 등이 숯불에 바로 떨어지지 않게 되어 그을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화염과의 직접적인 접촉없이 고기를 익히게 되면서 고기가 잘 타지 않고 맛있게 구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숯불로 의해 발산되는 숯향 및 열기를 통과시켜 숯향이 고기에 골고루 배이도록 함과 동시에 암석으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고기의 풍미를 더욱 향상시키고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생성 및 발산되며, 고기의 표면이 타지 않고 육즙이 살아있는 부드럽고 담백한 맛을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받침부, 암석삽입부 및 불판부가 서로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어 보관성과 휴대성이 크게 향상되며, 손상 및 오염되었을 때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숯불구이판을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숯불구이판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받침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받침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암석 삽입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암석 삽입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불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숯불구이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숯불구이판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받침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받침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암석 삽입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암석 삽입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불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숯불구이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숯불구이판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숯불구이판을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숯불구이판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숯불구이판은, 받침부(100), 암석 삽입부(200), 불판부(300)를 포함한다.
받침부(100)는, 숯불 화덕 등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B) 위에 암석 삽입부(200)와 불판부(300)를 안정적으로 받쳐준다.
암석 삽입부(200)는, 받침부(100)의 상부에 하나 또는 복수개로 배치되며, 내부에 복수개의 암석(A)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암석(A)은, 맥반석, 옥돌 등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는 천연암석일 수 있다.
불판부(300)는,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암석 삽입부(200)의 상부에 각각 장착되어, 고기를 올려놓고 구울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숯불구이판은, 암석 삽입부(200)에 의해 기름과 양념 등이 숯불에 바로 떨어지지 않게 되어 그을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화염과의 직접적인 접촉없이 고기를 익히게 되면서 고기가 잘 타지 않고 맛있게 구울 수 있다.
또한, 받침부(100), 암석 삽입부(200) 및 불판부(300)는, 숯불에 의해 발산되는 숯향 및 열기를 통과시켜 숯향이 고기에 골고루 배이도록 함과 동시에 암석 삽입부(200)에 삽입된 암석(A)으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고기의 풍미를 더욱 향상시키고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생성 및 발산되며, 고기의 표면이 타지 않고 육즙이 살아있는 부드럽고 담백한 맛을 낼 수 있다.
또한, 받침부(100), 암석삽입부(200) 및 불판부(300)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어 보관성과 휴대성이 크게 향상되며, 손상 및 오염된 경우 교체가 매우 용이하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받침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받침부(100)는, 외곽 테두리부재(110), 구획 테두리부재(120), 받침부재(130), 손잡이부재(140)를 포함한다.
외곽 테두리부재(110)는, 상하가 개방된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외곽 테두리부재(110)는, 사각틀 형태로 설명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원형틀 또는 다각형틀 등 다양한 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획 테두리부재(120)는, 외곽 테두리부재(1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곽 테두리부재(120)의 내부를 복수개의 분할 공간으로 구획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구획 테두리부재(120)는, 암석 삽입부(200)에 따라 ‘ㅡ’자, ‘ㄷ’자 등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획 테두리부재(120)는, 외곽 테두리부재(110)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부재(130)는, 복수개로 구비되되, 외곽 테두리부재(110) 중 하나의 테두리 부분 하부 내측에서 다른 하나의 테두리 부분 하부 내측에 서로 연결 형성되어, 암석 삽입부(200)를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부재(130)는, 외곽 테두리부재(110) 중 좌측 테두리 부분 하부 내측과 우측 테두리 부분 하부 내측에 서로 연결 형성될 수 있으며, 구획 테두리부재(12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부재(130)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막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부재(130)는, 암석 삽입부(200)를 받쳐주면서 숯불에 의해 발산되는 숯향 및 열기를 통과시키기 위해 서로 일정 간격(예를 들어, 5 ~ 10cm)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재(140)는, 2개로 구비되며, 외곽 테두리부재(110) 중 하나의 테두리 부분 외측과 다른 하나의 테두리 부분 외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재(140)는, 외곽 테두리부재(110) 중 좌측 테두리 부분 외과 우측 테두리 부분 외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숯불구이판은, 숯불 화덕 등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B)의 숯불로부터 상부로 공기순환이 원활토록 함으로써, 숯불에 의해 발산되는 숯향 및 열기를 통과시켜 숯향이 고기에 골고루 배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획 테두리부재(120)에 의해 구획 형성된 분할 공간에 암석 삽입부(200)가 삽입되면서 고정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받침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받침부(100)는, 외곽 테두리부재(110), 구획 테두리부재(120), 받침부재(130), 손잡이부재(140), 돌출부재(150), 걸림부재(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곽 테두리부재(110), 구획 테두리부재(120), 받침부재(130), 손잡이부재(140)는 도 3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돌출부재(150)는, 외곽 테두리부재(110)의 각 테두리 부분 외측에 2개씩 한쌍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며, 관통공(151)이 구비된다.
걸림부재(160)는, 돌출부재(150)에 구비된 관통공(151)을 관통하여, 구이장치(B)에 걸어준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부재(160)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막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쌍의 돌출부재(150)에 구비된 관통공(151)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구이장치(B)에 올려놓거나 걸어줄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숯불구이판은, 받침부(100)의 크기가 구이장치(B)와 맞지 않더라도 걸림부재(160)를 관통공(151)에 결합하여 구이장치(B)에 걸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암석 삽입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암석 삽입부(200)는,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210), 암석 받침부재(220)를 포함한다.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210)는, 상하가 개방된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210)는, 사각틀 형태로 설명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원형틀 또는 다각형틀 등 다양한 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210)는, 구획 테두리부재(120)에 의해 구획 형성된 분할 공간에 알맞은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그 분할 공간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210)는, 상부가 외곽 테두리부재(110)와 구획 테두리부재(12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암석 받침부재(220)는,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비되되,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210) 중 하나의 테두리 부분 하부 내측에서 다른 하나의 테두리 부분 하부 내측에 서로 연결 형성되어, 암석(A)을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암석 받침부재(220)는,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210) 중 좌측 테두리 부분 하부 내측과 우측 테두리 부분 하부 내측에 서로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암석 받침부재(220)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막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암석 받침부재(220)는, 암석이 빠지지 않도록 하면서 받침부(100)를 통과한 숯향 및 열기를 상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서로 일정 간격(예를 들어, 5 ~ 10mm)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암석 받침부재(220)는, 필요에 따라 격자판 형태나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판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숯불구이판은, 숯불 화덕 등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B)의 숯불로부터 상부로 공기순환이 원활토록 함은 물론, 암석(A)에서 나오는 다량의 원적외선이 고기에 방사되게 하여 고기의 맛을 향상시키고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210)와 암석 받침부재(220)의 구성을 통해 암석(A)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수납할 수 있으며, 암석(A)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암석 삽입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암석 삽입부(200)는,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210), 암석 받침부재(220), 반사부재(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210), 암석 받침부재(220)는 도 5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반사부재(230)는,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210)의 내면에 형성되어, 암석(A)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을 반사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반사부재(230)는, 반사효과가 우수한 아연판, 알루미늄판 또는 은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외에 원적외선을 반사시키기 위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 예에서, 반사부재(230)는, 필요에 따라 암석 받침부재(220)의 상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숯불구이판은, 암석(A)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이 반사부재(230)에 의해 반사되는 것으로, 원하는 특정방향으로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암석(A)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상부 방향, 즉, 고기 쪽으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 효율성이 우수하고 고기의 영양 손실 없이 안과 밖을 골고루 익힐 수 있으며, 고기의 풍미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불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불판부(300)는, 불판 테두리부재(310), 고기 받침부재(320)를 포함한다.
불판 테두리부재(310)는, 상하가 개방된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불판 테두리부재(310)는, 사각틀 형태로 설명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원형틀 또는 다각형틀 등 다양한 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불판 테두리부재(310)는,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210)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불판 테두리부재(310)는,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210)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불판 테두리부재(310)는,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210) 중 외곽 테두리부재(110)와 구획 테두리부재(120)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에 결합되고, 외곽 테두리부재(110)와 구획 테두리부재(120)의 상부에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고기 받침부재(320)는, 복수개로 구비되되, 불판 테두리부재(310) 중 하나의 테두리 부분 상부 내측에서 다른 하나의 테두리 부분 상부 내측에 서로 연결 형성되어, 고기를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고기 받침부재(320)는, 불판 테두리부재(310) 중 좌측 테두리 부분 상부 내측과 우측 테두리 부분 상부 내측에 서로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기 받침부재(320)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막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기 받침부재(320)는, 고기가 빠지지 않도록 하면서 암석 삽입부(200)에서 배출되는 숯향, 열기 및 원적외선을 통과시키기 위해 서로 일정 간격(예를 들어, 3 ~ 5mm)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숯불구이판은, 불판 테두리부재(310)와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210)의 결합이 용이하고, 불판 테두리부재(310)가 외곽 테두리부재(110)와 구획 테두리부재(120)의 상부에 접촉되어 흔들림을 차단하고 안정적으로 안착됨으로써,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숯불구이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숯불구이판은, 구획바(400)를 더 포함한다.
구획바(400)는, 복수개로 구비되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석 받침부재(220)의 상부에 형성되어 구획을 나누어주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 받침부재(320)의 하부에 형성되어 구획을 나누어준다.
일 실시 예에서, 구획바(400)는, ‘ㅡ’자 또는 격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획을 나누어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숯불구이판은, 구획바(400)에 의해 암석 테두리부재(210) 또는 불판 테두리부재(310)의 내부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함으로써, 암석(A)이 골고루 깔리도록 하며, 흐트러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암석 삽입부(200)에 암석(A)을 삽입한 후, 암석 삽입부(200)의 상부에 불판부(300)를 장착하여 흔들어주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석(A)이 골고루 분포되면서 구획바(400)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받침부
110 : 외곽 테두리부재
120 : 구획 테두리부재
130 : 받침부재
140 : 손잡이부재
150 : 돌출부재
151 : 관통공
160 : 걸림부재
200 : 암석 삽입부
210 :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
220 : 암석 받침부재
230 : 반사부재
300 : 불판부
310 : 불판 테두리부재
320 : 고기 받침부재
400 : 구획바
A : 암석
B : 구이장치
110 : 외곽 테두리부재
120 : 구획 테두리부재
130 : 받침부재
140 : 손잡이부재
150 : 돌출부재
151 : 관통공
160 : 걸림부재
200 : 암석 삽입부
210 :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
220 : 암석 받침부재
230 : 반사부재
300 : 불판부
310 : 불판 테두리부재
320 : 고기 받침부재
400 : 구획바
A : 암석
B : 구이장치
Claims (5)
-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암석을 삽입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암석 삽입부; 및
상기 암석 삽입부의 상부에 각각 장착되어, 고기를 올려놓고 구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불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석 삽입부는,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는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
상기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 중 하나의 테두리 부분 하부 내측에서 다른 하나의 테두리 부분 하부 내측에 서로 연결 형성되어, 암석을 받쳐주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암석 받침부재; 및
상기 암석 삽입 테두리부재의 내면에 형성되어, 암석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불판부는,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는 불판 테두리부재; 및
상기 불판 테두리부재 중 하나의 테두리 부분 상부 내측에서 다른 하나의 테두리 부분 상부 내측에 서로 연결 형성되어, 고기를 받쳐주기 위한 복수개의 고기 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암석 받침부재의 상부 또는 상기 고기 받침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구획을 나누기 위한 복수개의 구획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는 외곽 테두리부재;
상기 외곽 테두리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 구획을 나누기 위한 구획 테두리부재;
상기 외곽 테두리부재 중 하나의 테두리 부분 하부 내측에서 다른 하나의 테두리 부분 하부 내측에 서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암석 삽입부를 받쳐주기 위한 복수개의 받침부재; 및
상기 외곽 테두리부재 중 하나의 테두리 부분 외측과 다른 하나의 테두리 부분 외측에 형성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2개의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외곽 테두리부재의 테두리 부분 외측에 2개씩 돌출 형성되며, 관통공이 구비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구이장치에 걸기 위한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판.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07981A KR102664897B1 (ko) | 2023-08-18 | 2023-08-18 | 숯불구이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07981A KR102664897B1 (ko) | 2023-08-18 | 2023-08-18 | 숯불구이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64897B1 true KR102664897B1 (ko) | 2024-05-08 |
Family
ID=9107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07981A KR102664897B1 (ko) | 2023-08-18 | 2023-08-18 | 숯불구이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4897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0476Y1 (ko) * | 2003-04-10 | 2003-07-23 | 권정하 | 돌 구이판 |
KR20140000304U (ko) * | 2012-07-06 | 2014-01-15 | 김상돈 | 회전가능한 절첩식 석쇠 |
KR20140142398A (ko) * | 2013-06-03 | 2014-12-12 | 윤필 |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 |
KR200481195Y1 (ko) | 2015-04-29 | 2016-08-26 | (주)영신스톤 | 숯불구이판 |
KR20160004327U (ko) * | 2015-06-09 | 2016-12-19 | 스마트로스터 (주) | 기름낙하가 방지되는 그릴 |
JP2022049802A (ja) * | 2020-09-17 | 2022-03-30 |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加熱調理器 |
KR102401462B1 (ko) | 2021-12-08 | 2022-05-24 | 주식회사 신근식푸드 | 구이용 불판 |
-
2023
- 2023-08-18 KR KR1020230107981A patent/KR1026648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0476Y1 (ko) * | 2003-04-10 | 2003-07-23 | 권정하 | 돌 구이판 |
KR20140000304U (ko) * | 2012-07-06 | 2014-01-15 | 김상돈 | 회전가능한 절첩식 석쇠 |
KR20140142398A (ko) * | 2013-06-03 | 2014-12-12 | 윤필 |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 |
KR200481195Y1 (ko) | 2015-04-29 | 2016-08-26 | (주)영신스톤 | 숯불구이판 |
KR20160004327U (ko) * | 2015-06-09 | 2016-12-19 | 스마트로스터 (주) | 기름낙하가 방지되는 그릴 |
JP2022049802A (ja) * | 2020-09-17 | 2022-03-30 |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加熱調理器 |
KR102401462B1 (ko) | 2021-12-08 | 2022-05-24 | 주식회사 신근식푸드 | 구이용 불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67457A (ko) | 다단 그릴 랙 시스템 및 그릴 마운트들 | |
KR100776351B1 (ko) | 숯불구이장치 | |
US20050039612A1 (en) | Multiple bottom outdoor grill accessory | |
US20090311393A1 (en) | Food Flavoring System and Method | |
KR20090010615A (ko) | 기능성 조리가열장치 | |
KR102328873B1 (ko) |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 |
KR102664897B1 (ko) | 숯불구이판 | |
KR101163871B1 (ko) | 숯불 구이 장치 | |
KR200463731Y1 (ko) | 황토 아궁이식 구이장치 | |
JP4203896B2 (ja) | ガスコンロに取付可能な串焼き装置 | |
KR100308324B1 (ko) | 양측면 가열식 고기구이기 | |
KR200481195Y1 (ko) | 숯불구이판 | |
KR101748088B1 (ko) | 친환경 숯 내장 한지 구이판 및 이에 사용되는 프라이팬 | |
JP2006087854A (ja) | オーブン機能を備えた引き出し付きバーベキュウ用コンロ | |
KR200406422Y1 (ko) | 조리 기구 | |
JP2021078952A (ja) | バーベキューグリル | |
JP2019005536A (ja) | 焼物用プレート | |
KR102377194B1 (ko) | 열 효율이 우수한 다용도 조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구 세트 | |
KR200302065Y1 (ko) | 돌솥 돌구이기 | |
JP2515952B2 (ja) | 軽石を用いた焼肉方法と焼肉装置 | |
JPH0824143A (ja) | 遠赤外線加熱調理装置 | |
KR20240076995A (ko) | 직화구이용 석쇠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직화구이 방법 | |
KR200298994Y1 (ko) | 꼬치구이기 | |
KR20240076997A (ko) | 직화구이용 화원(火源)용기(容器) 및 이를 이용한 직화구이 방법 | |
JPH04347112A (ja) | ロースタ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