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873B1 -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 Google Patents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873B1
KR102328873B1 KR1020200021822A KR20200021822A KR102328873B1 KR 102328873 B1 KR102328873 B1 KR 102328873B1 KR 1020200021822 A KR1020200021822 A KR 1020200021822A KR 20200021822 A KR20200021822 A KR 20200021822A KR 102328873 B1 KR102328873 B1 KR 102328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jar
grill
jar container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820A (ko
Inventor
이태경
Original Assignee
이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경 filed Critical 이태경
Priority to KR1020200021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873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8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1)와, 볼록하게 형성된 측벽부(12)와, 이 측벽부(12)의 하단을 막는 바닥부(13)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점토로 구워 열처리되며, 상기 측벽부(12)의 하측 또는 바닥부(13)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4)이 형성된 항아리용기(10); 상기 항아리용기(10)의 내부에 구비되며, 항아리용기(10)의 개구부(11)를 통과할 수 있는 사이즈의 반원 또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단에는 절단부(31)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단위석쇠(30)가 절첩되거나 또는 분할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항아리용기(10)의 중간부에 원형으로 펼쳐지는 석쇠(20); 내부에 숯(42)이 수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망체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석쇠(20)의 단위석쇠(30)들의 내측단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공(21)에 끼워지며, 상단에는 석쇠(20)의 통공(21) 둘레부에 걸려지는 걸림턱(41)이 확장된 숯통(40); 및 상기 항아리용기(10)의 개구부(11)를 개폐하며, 일측에는 항아리용기(10) 내부의 숯불의 열기에 의해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공(51)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숯불의 열기를 상기 석쇠(20)로 반사하는 열반사판(52)이 형성된 뚜껑(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이다.

Description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Charcoal grill cooking apparatus using pottery}
본 발명은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아리를 있는 그대로 사용하여 그 내부에서 간편하게 숯불구이를 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연기와 냄새가 옷에 스며들거나 실내공기를 오염시키지 않고 원적외선에 의해 음식물의 맛과 영양을 높인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나 생선 등의 음식물을 굽기 위한 종래의 숯불구이장치는 숯이나 나무 등의 열원이 담겨지는 화로와, 이 화로의 상면에 교체가능한 석쇠로 이루어진다. 숯불구이는 뛰어난 식감과 맛으로 인해 식당이나 캠핑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숯불구이장치는 숯불의 화염이 육류나 생선과 같은 음식물에 직접 가해지므로 음식물의 겉이 먼저 익고 속은 서서히 익어서 겉은 타고 속은 덜 익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석쇠에 올려진 육류나 생선으로부터 추출되는 수분과 기름 등이 숯불에 낙하하면서 많은 연기와 화염이 발생되므로, 사용자의 옷에 고기 냄새가 스며들고 실내공기가 오염되는 등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있다. 특히, 삼겹살 등 기름이 많이 발생되는 부위는 조리 과정에서 숯불에 기름이 떨어져 연기가 많이 발생된다. 한편, 숯불의 열기가 외부로 노출되어 열손실이 발생되므로 육류 등을 굽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육류 등을 굽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숯의 양을 증가시켜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항아리 구이장치가 제안되었는데, 종래의 항아리 구이장치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9290호에서와 같이 석쇠를 항아리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 항아리를 특수하게 제작해야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석쇠는 항아리의 입구보다 작게 형성될 수밖에 없고 항아리 내주면에는 석쇠가 거치되도록 내향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항아리를 제작해야 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기존의 항아리를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석쇠의 사이즈가 항아리의 볼록한 중간부에 비해 작기 때문에 육류 등의 음식물을 많이 올리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에는 석쇠의 사이즈를 크게 하기 위해서 항아리를 분할하여 석쇠를 투입하는 방식도 있는데, 항아리를 있는 그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분할된 틈새로 연기가 배출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929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사용되던 항아리용기를 있는 그대로 사용하여 숯불구이를 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절감되면서도 숯불의 화염이 육류나 생선 등의 음식물에 화염이 직접 가해지지 않아서 음식물이 까맣게 타지 않고 겉과 속이 골고루 익고, 연기와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지 않아서 사용자의 옷에 고기 냄새가 스며드는 것과 실내공기가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며, 숯불이 신속하게 열순환되고 집중되어 손실을 줄임으로써 굽는시간이 단축되어 부대비용을 줄여 단가를 낮추면서 손님에게 보다 신속하게 음식을 제공할 수 있고, 항아리와 맥반석에서 뿜어져 나오는 원적외선에 의해 육류나 생선의 맛과 영양을 살리는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1)와, 볼록하게 형성된 측벽부(12)와, 이 측벽부(12)의 하단을 막는 바닥부(13)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점토로 구워 열처리되며, 상기 측벽부(12)의 하측 또는 바닥부(13)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4)이 형성된 항아리용기(10); 상기 항아리용기(10)의 내부에 구비되며, 항아리용기(10)의 개구부(11)를 통과할 수 있는 사이즈의 반원 또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단에는 절단부(31)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단위석쇠(30)가 절첩되거나 또는 분할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항아리용기(10)의 중간부에 원형으로 펼쳐지는 석쇠(20); 내부에 숯(42)이 수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망체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석쇠(20)의 단위석쇠(30)들의 내측단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공(21)에 끼워지며, 상단에는 석쇠(20)의 통공(21) 둘레부에 걸려지는 걸림턱(41)이 확장된 숯통(40); 및 상기 항아리용기(10)의 개구부(11)를 개폐하며, 일측에는 항아리용기(10) 내부의 숯불의 열기에 의해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공(51)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숯불의 열기를 상기 석쇠(20)로 반사하는 열반사판(52)이 형성된 뚜껑(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항아리용기(10) 내부에서 숯통(40)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숯통(40)에서 낙하되는 숯(42)의 재가 수거되는 재수거통(60)과, 상기 항아리용기(10)의 내부에서 재수거통(60)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된 링형상이며 내부에는 맥반석(71)이 수용되는 맥반석트레이(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석쇠(20)의 단위석쇠(30)의 외주면에는 상기 항아리용기(10)의 중간부 내주면에 고정수단(80)에 의해 고정되는 절곡플랜지부(32)가 형성되고, 상기 항아리용기(10)의 측벽부(12)에는 상기 고정수단(80)이 설치되는 복수개의 설치공(16)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면 개구부(11), 볼록한 측벽부(12) 및 바닥부(13)가 일체로 형성된 기존의 항아리용기(10)를 있는 그대로 사용하면서 항아리용기(10)의 개구부(11)를 통과할 수 있는 사이즈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단위석쇠(30)가 절첩되거나 또는 분할된 형태이며 원형으로 펼치면 항아리용기(10)의 개구부(11)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석쇠(20)를 항아리용기(10)의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석쇠(20)의 중앙에는 숯통(40)이 끼워지는 삽입공(21)이 상하로 관통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구이기본체를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항아리용기를 특수한 형태로 새롭게 제작하거나 항아리용기를 일부 잘라내는 등 구조적으로 변경하지 않고 기존에 사용되는 항아리용기(10)를 거의 있는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절감되면서 항아리용기(10)의 개구부(11)보다 직경이 큰 석쇠(20)를 항아리용기(10)의 내부에 설치하여 더 많은 양의 음식물(1)을 한꺼번에 구울 수 있다. 또한 육류나 생선 등의 음식물(1)에 숯불이 직접 가해지지 않고 항아리용기(10) 내부에서 열순환되면서 음식물(1)을 굽게 되므로, 음식물(1)의 겉이 까맣게 타지 않고 겉과 속이 골고루 잘 익게 된다. 그리고 항아리용기(10) 자체에서 원적외선이 뿜어져 나오면서 음식물(1)에 침투하여 육류 등의 음식물(1)을 살균하고 냄새를 제거하며 맛과 영양소가 살아있는 상태로 구울 수 있다.
또한 숯통(40)이 석쇠(20)의 중앙의 삽입공(21)에 설치되고 숯불이 뚜껑(50)의 열반사판(52)에서 반사되어 석쇠(20)로 가해져서 육류 등의 음식물(1)이 구워지므로, 음식물(1)이 구워지면서 발생된 기름이 숯으로 낙하되지 않아서 연기가 많이 발생되지 않고 항아리용기(10)의 입구(11)에 뚜껑(50)이 결합되므로, 종래와 같이 음식물이 구워지면서 발생되는 냄새나 연기가 옷에 스며들지 않아서 세탁비가 절감되고 실내공기가 오염되지 않아서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종래와 같이 숯불의 화염이 오픈된 공간에 놓이지 않고 항아리용기(10) 내부에 구비되며 뚜껑(50)의 열반사판(52)에 의해 열이 음식물(1)에 집중되므로 열손실이 최소화된다. 이에 따라, 연료비가 절감되면서도 음식물(1)을 굽는 시간이 단축되어 식당에서 손님이 음식물을 오래 기다리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항아리용기(10)의 내부에 숯(42)의 재를 수거하는 재수거통(60)이 구비되어 청소가 용이하다. 더욱이, 항아리용기(10)의 하측에 외기유입공(12)이 형성되므로 입구(11)에서 물을 부으면 외기유입공(12)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청소가 상당히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재수거통(60)에 물(2)을 저장하여 재가 날리는 것이 방지되면서 숯불에 의해 수증기가 발생되어 육류 등의 음식물(1)이 구워지면서 빠지는 수분이 보충됨에 따라 음식물(1)이 좀 더 촉촉해져서 식감과 맛이 더욱 좋아진다. 한편, 재수거통(60)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된 링형상이며 맥반석(71)이 수용된 맥반석트레이(70)가 항아리용기(10)의 내부에 구비되므로, 숯불의 열순환에 의해 맥반석(71)이 달궈지면서 원적외선이 방출됨에 따라 항아리용기(10) 자체의 원적외선에 더해져서 대량의 원적외선이 육류 등의 음식물(1)에 깊숙이 침투되어 상기의 효과가 더욱 더 증대된다.
한편, 상기 석쇠(20)를 이루는 단위석쇠(30)의 외측단에 절곡플랜지부(32)가 형성되고, 항아리용기(10)의 측벽부(12)에 단위석쇠(30)의 절곡플랜지부(32)에 결합되는 고정수단(80)이 설치되는 설치공(16)이 형성되어, 단위석쇠(30)의 절곡플랜지(32)가 항아리용기(10)의 측벽부(12)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항아리용기(10)의 개구부(11)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석쇠(20)를 항아리용기(10)의 구조를 거의 변경하지 않고 항아리용기(10)의 내부에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외관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는 항아리용기(10), 석쇠(20), 숯통(40) 및 뚜껑(50)을 포함한다.
상기 항아리용기(10)는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1)와, 상하방향 중간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측벽부(12)와, 이 측벽부(12)의 하단을 막는 바닥부(13)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점토로 구워 열처리 형성된 것으로, 된장이나 간장 등을 담는 통상적인 항아리용기이다. 항아리용기(10)의 측벽부(12) 또는 바닥부(13)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4,15)이 형성되는데, 이 통공(14,15)은 외기가 유입될 뿐 아니라 청소과정에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측벽부(12)와 바닥부(13)에 각각 통공(14,15)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측벽부(12)에만 형성되거나 바닥부(13)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측벽부(12)에만 통공(14)이 형성될 경우, 측벽부(12)와 바닥부(13)가 만나는 측벽부(12)의 최하단에 위치되면 외기가 유입되고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바닥부(13)에만 통공(15)이 형성될 경우, 바닥부(13)를 바닥면에서 벽돌 등으로 이격시킴에 따라 외기가 유입되고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14,15)을 통해 음식물(1)이 구워지면서 발생되는 기름이 배출될 수도 있다.
상기 석쇠(20)는 항아리용기(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육류 등의 음식물(1)을 항아리용기(10)의 내부에서 구울 수 있게 된다. 도 2와 같이, 석쇠(20)는 항아리용기(10)의 입구(11)를 통과할 수 있는 사이즈의 반원 또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단에는 절단부(31)가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개의 단위석쇠(30)가 절첩되거나 또는 분할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절첩 또는 분할된 단위석쇠(30)는 항아리용기(10)의 개구부(11)를 통해 투입되어 항아리용기(10)의 내부 중간부에 원형으로 펼쳐져서 사용되고, 미사용시에는 단위석쇠(30)로 절첩 또는 분할되어 항아리용기(10)의 개구부(11)를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석쇠(20)가 복수개의 단위석쇠(30)로 분할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이와 같은 복수개의 단위석쇠(30)는 항아리용기(10)의 내부에서 원형으로 펼쳐지도록 설치되는데, 외측단이 항아리용기(10)의 측벽부(12)의 볼록한 내주면에 근접되거나 접하는 사이즈가 된다. 이때, 단위석쇠(30)는 항아리용기(10)의 측벽부(12) 또는 바닥부(13)에 설치된 볼트, 브래킷, 설치바 등의 고정수단(80)에 의해 상기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단위석쇠(30)의 절단부(31)에 의해 삽입공(2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항아리용기(10)의 개구부(11)보다 사이즈가 큰 석쇠(20)를 특수제작하거나 분할하는 등 구조를 변경하지 않은 기존부터 사용되던 항아리용기(10)의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부터 사용되던 항아리용기(10)에 통공(14,15)만 형성할 뿐 구조를 거의 변경하지 않고 거의 있는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여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숯통(40)은 내부에 숯(42)이 수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망체 형태로 이루어져서 석쇠(20)의 삽입공(21)에 끼워진다. 숯통(40)의 상단에는 석쇠(20)의 삽입공(21)의 둘레부에 걸려지도록 확장되는 걸림턱(41)이 형성된다.
상기 뚜껑(50)은 항아리용기(10)의 개구부(11)를 개폐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항아리용기(10) 내부의 열에 의해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공(51)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숯(42)의 화염을 반사하는 열반사판(52)이 구비된다. 뚜껑(50)에는 스팀배출공(51)의 개폐 및 크기를 조절하는 밸브(53)가 구비되고, 손잡이(54)가 구비된다. 열반사판(52)은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열을 하측으로 좀 더 신속하게 반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복수개의 단위석쇠(30)를 항아리용기(10)의 개구부(11)를 통해 내부로 투입하여 고정수단(80)에 의해 원형으로 펼쳐진 형태의 석쇠(20)가 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숯(42)이 담긴 숯통(40)의 걸림턱(41)이 석쇠(20)의 삽입공(21)에 걸려지도록 끼운다. 이와 같이 세팅된 숯불구이장치의 석쇠(20)에 육류나 생선 등과 같은 음식물(1)을 올리고 항아리용기(10)의 개구부(11)를 뚜껑(50)으로 폐쇄시킨다. 이에 따라, 항아리용기(10) 내부의 음식물(1)이 숯불구이가 되는데, 숯불의 화염이 뚜껑(50)의 열반사판(52)에서 반사되어 음식물(1)을 가열하게 되므로, 음식물(1)이 보다 신속하게 구워진다. 또한 음식물(1)이 숯불에 직접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음식물(1)이 겉이 까맣게 타지 않고 겉과 속이 골고루 잘 익게 된다. 그리고 항아리용기(10) 자체에서 뿜어져 나오는 원적외선이 음식물(1)에 깊숙이 침투되어 맛과 영양소가 살아있는 상태로 음식물(1)이 구워지며 음식물(1)이 살균되고 돼지고기 잡내 등의 냄새도 잡아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아리를 이용한 구이장치는 재수거통(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재수거통(60)은 항아리용기(10) 내부에서 숯통(40)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숯통(40)에서 낙하되는 숯(42)의 재가 수거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재수거통(60)에 물(2)을 채운다. 이에 따라, 숯(42)에서 낙하되어 재수거통(60)에 수거된 재가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에 의해 날리는 것이 방지되면서 숯불에 의해 수증기가 형성되면서 육류 등의 음식물(1)이 구워질 때 빠지는 수분이 보충되므로 육류 등의 음식물(1)이 촉촉해져서 식감과 맛이 더욱 좋아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아리를 이용한 구이장치는 맥반석(71)이 수용되는 맥반석트레이(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맥반석트레이(70)는 항아리용기(10)의 내부에서 재수거통(60)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된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같이, 맥반석트레이(70)는 외주면이 항아리용기(1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항아리용기(1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맥반석트레이(70)는 망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항아리용기(10)의 내부에 맥반석(71)이 구비되므로, 숯(42)의 열기가 뚜껑(50)의 열반사판(52)에 의해 항아리용기(10) 내부에서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맥반석(71)이 달궈짐에 따라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항아리용기(10) 자체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과 더해짐으로써, 대량의 원적외선이 음식물(1)에 보다 깊숙이 침투되어 맛과 영양소가 더욱 더 살아있는 상태로 육류 등의 음식물(1)을 구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숯불에 더하여 맥반석(71)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 복사열로 육류 등의 음식물(1)을 굽기 때문에 음식물(1)이 보다 신속하게 구워지면서도 겉이 까맣게 타지 않고 속이 골고루 잘 익는다. 이에 따라, 식당에서는 손님들의 기다리는 시간이 단축되어 손님은 편의성이 향상되고 테이블 로테이션이 빨라져서 식당주인은 매출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아리를 이용한 구이장치는 석쇠(20)의 단위석쇠(30)의 외주면에 절곡플랜지부(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항아리용기(10)의 측벽부(12)에는 고정수단(80)이 설치되는 복수개의 설치공(16)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과 같이, 단위석쇠(30)의 절곡플랜지부(32)는 단위석쇠(30)에서 상향 또는 하향 절곡된 것으로, 단위석쇠(30)의 원호를 따라 연장된 복수개의 만곡와이어(32a)가 상하로 이격된 형태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다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등 고정수단(80)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도 3과 같이, 고정수단(80)은 항아리용기(10)에 관통결합되는 볼트(81) 및 너트(82)와 한 쌍의 걸림판(83,8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걸림판(83,84)은 볼트(81)가 관통되며, 볼트(81) 헤드, 석쇠(20)의 절곡플랜지부(32)의 이격된 만곡와이어(32a) 및 너트(82)가 걸려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단위석쇠(30)의 절곡플랜지부(32)를 항아리용기(10)의 측벽부(12)의 내주면에 고정수단(80)으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음식물 10 : 항아리용기
11 : 개구부 12 : 측벽부
13 : 바닥부 14,15 : 통공
16 : 설치공 20 : 석쇠
30 : 단위석쇠 31 : 절단부
32 : 절곡플랜지부 40 : 숯통
50 : 뚜껑 60 : 재수거통
70 : 맥반석트레이

Claims (3)

  1.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1)와, 볼록하게 형성된 측벽부(12)와, 이 측벽부(12)의 하단을 막는 바닥부(13)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점토로 구워 열처리되며, 상기 측벽부(12)의 하측 또는 바닥부(13)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4)이 형성된 항아리용기(10);
    상기 항아리용기(10)의 개구부(11)를 통해 내부로 출입되며, 항아리용기(10)의 개구부(11)를 통과할 수 있는 사이즈의 반원 또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단에는 절단부(31)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단위석쇠(30)가 절첩되거나 또는 분할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절첩 또는 분할된 단위석쇠(30)가 항아리용기(10)의 개구부(11)를 통해 내부 중간부에 원형으로 펼쳐져서 사용되고 미사용시 단위석쇠(30)로 절첩 또는 분할되어 항아리용기(10)의 개구부(11)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석쇠(20);
    내부에 숯(42)이 수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망체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석쇠(20)의 단위석쇠(30)들의 내측단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공(21)에 끼워지며, 상단에는 석쇠(20)의 통공(21) 둘레부에 걸려지는 걸림턱(41)이 확장된 숯통(40); 및
    상기 항아리용기(10)의 개구부(11)를 개폐하며, 일측에는 항아리용기(10) 내부의 숯불의 열기에 의해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공(51)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숯불의 열기를 상기 석쇠(20)로 반사하는 열반사판(52)이 형성된 뚜껑(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아리용기(10) 내부에서 숯통(40)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숯통(40)에서 낙하되는 숯(42)의 재가 수거되는 재수거통(60)과, 상기 항아리용기(10)의 내부에서 재수거통(60)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된 링형상이며 내부에는 맥반석(71)이 수용되는 맥반석트레이(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20)의 단위석쇠(30)의 외주면에는 상기 항아리용기(10)의 중간부 내주면에 고정수단(80)에 의해 고정되는 절곡플랜지부(32)가 형성되고, 상기 항아리용기(10)의 측벽부(12)에는 상기 고정수단(80)이 설치되는 복수개의 설치공(16)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KR1020200021822A 2020-02-21 2020-02-21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Active KR102328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822A KR102328873B1 (ko) 2020-02-21 2020-02-21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822A KR102328873B1 (ko) 2020-02-21 2020-02-21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820A KR20210106820A (ko) 2021-08-31
KR102328873B1 true KR102328873B1 (ko) 2021-11-18

Family

ID=7748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822A Active KR102328873B1 (ko) 2020-02-21 2020-02-21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5871A (ko) 2022-09-30 2024-04-08 신정환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5865A (ko) 2021-09-06 2023-03-14 김주복 황토 참숯 훈제 항아리와 이를 이용한 조리방법
KR20240001789U (ko) 2023-04-24 2024-10-31 김남건 2단 적층식 항아리형 구이 장치
KR102635692B1 (ko) * 2023-10-16 2024-02-08 이민희 고기 구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637A (ja) 1999-10-15 2001-04-24 Samii:Kk 焼き物機
KR200451873Y1 (ko) 2010-07-16 2011-01-14 이근용 고기구이 겸용 황토가마 조리기
KR101327985B1 (ko) * 2013-08-01 2013-11-13 캠프랑 주식회사 가스오븐
KR101719455B1 (ko) * 2016-06-20 2017-03-24 김성동 옹기를 이용한 구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688U (ko) * 2008-06-09 2009-12-14 이영삼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
KR101647132B1 (ko) * 2014-12-08 2016-08-09 진둥쉔 항아리를 이용한 구이장치
KR20160069290A (ko) 2014-12-08 2016-06-16 강소연 항아리 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637A (ja) 1999-10-15 2001-04-24 Samii:Kk 焼き物機
KR200451873Y1 (ko) 2010-07-16 2011-01-14 이근용 고기구이 겸용 황토가마 조리기
KR101327985B1 (ko) * 2013-08-01 2013-11-13 캠프랑 주식회사 가스오븐
KR101719455B1 (ko) * 2016-06-20 2017-03-24 김성동 옹기를 이용한 구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5871A (ko) 2022-09-30 2024-04-08 신정환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820A (ko)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8873B1 (ko)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KR101415926B1 (ko) 구이 용기
US20050039612A1 (en) Multiple bottom outdoor grill accessory
KR101286834B1 (ko) 열전달이 용이한 회전식 구이기
US4436023A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and extracting smoke
KR200439439Y1 (ko) 다기능 식품조리기
KR200463731Y1 (ko) 황토 아궁이식 구이장치
KR100205120B1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200425826Y1 (ko) 신선로 겸용 고기구이판
KR101449555B1 (ko)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KR100582691B1 (ko) 오븐
KR101689089B1 (ko) 가마형 구이장치
KR200207270Y1 (ko) 바베큐용 조리기
KR20130016044A (ko) 다기능 무연 구이기
KR100950183B1 (ko) 간접열을 이용한 균일 가열이 이루어지게 한 구이장치
KR101043790B1 (ko) 구이기
KR20110094623A (ko) 직화구이기
KR101009173B1 (ko) 로스터
KR102826341B1 (ko) 분해조립되는 가마형 구이장치
KR20110027891A (ko) 무연 가스 구이기
KR102506559B1 (ko)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KR200214938Y1 (ko)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이용한 가열용기
KR102660047B1 (ko)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
KR20110053591A (ko) 직화 오븐기
JP2006087854A (ja) オーブン機能を備えた引き出し付きバーベキュウ用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