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239B1 -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239B1
KR102012239B1 KR1020180008054A KR20180008054A KR102012239B1 KR 102012239 B1 KR102012239 B1 KR 102012239B1 KR 1020180008054 A KR1020180008054 A KR 1020180008054A KR 20180008054 A KR20180008054 A KR 20180008054A KR 102012239 B1 KR102012239 B1 KR 102012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delete delete
grill
free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0086A (ko
Inventor
홍 대 박
Original Assignee
박홍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대 filed Critical 박홍대
Publication of KR20180130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부와 바닥부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중앙에 통공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좌우 측면부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스탠드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숯망과, 상기 숯망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탠드에 의해 지지되는 수용석쇠와, 상기 몸체의 밑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재받이 및 상기 몸체의 측면부 상단에 설치된 기름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로서, 가스 및 숯불 사용이 용이하며 생선구이, 삼겹구이, 조개구이, 스테이크, 소고기 떡살, 장어구이 등 다양한 구이가 가능하고 연기가 없으며 단가가 저렴하여 가정용, 야외용, 업소용으로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MULTI-FUNCTION SMOKELESS CHARCOAL ROASTER}
본 발명은 숯불 가스를 이용하여 구이를 할 때 연기를 최소화하면서 다양한 구이를 할 수 있는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숯불 가스를 이용하여 구이를 할 때 연기를 최소화하면서 다양한 구이를 할 수 있는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 문화 발달로 인하여 고기섭취가 많아 과지방으로 인한 비만이 많은 실정이다. 특히 요즘 청소년까지 비만이 늘고 있으며, 지금까지 여러 가지 야외용 구이기가 많이 개발되었으나 저렴하면서 구입이 손쉬운 것은 기능이 아주 빈약한 실정이다.
특히 생선 구이 시 숯불에서 구이를 하면 환상적인 구이가 되는데, 기존에는 숯불 그릇이 작고 연기와 냄새로 인하여 구이를 하지 못하고 후라이팬이나 그릴을 사용하게 되는데 내부에 진득한 기름때가 끼어 청소가 번거롭고 맛과 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당해 분야의 종래의 기술로서는, 저가형 원형 로스터 또는 반 타원 로스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원형식은 부피도 적고 단가가 저가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나, 연기가 발생하고 구이 공간이 좁아 자주 옮겨야 한다. 반 타원식은 구이 도중 불까지 붙어 버리고 탄내가 나며 기름이 범벅이 된 채 섭취를 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 외는 '홍길몽'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좌우로 가스관을 구비하고 그 위에 손가락 크기의 숯을 올려 구이를 하는 방식을 적용한 것으로서, 숯불 구이로서는 순도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홈쇼핑으로 판매된 '자이글'은 전자 렌지 방식을 적용하여 원적외선을 전기로 만들어 구이를 하는 것으로서, 요리에서는 맛이 가장 중요한 것인데 사용자들은 이러한 구이기를 사용하면 고기가 맛이 떨어지고 단단해진다는 것을 경험하고 더 이상 사용을 하지 않아서 판매가 중단돼 버리고 말았다.
상기 내용을 볼 때 단가가 저가이면서 휴대가 간편하고 연기가 없는 예술적인 생선 구이와 삼겹살 구이까지 가능한 실용적인 무연 구이장치가 절실하게 요구되어왔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11-0000010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8268호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한 바와 같이 과제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생선구이 방식과, 삼겹살구이 방식, 꼬치구이 방식 모두를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는 사각의 오목한 내부 공간과 중앙으로 통공된 홈을 이루며 그 위에 올려지는 원통형 숯망 및 사각형 숯망을 포함하고 몸체 좌우로 스탠드가 결합되어 임의대로 경사도 조절이 가능하고 높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생선구이 시 수용석쇠와 스탠드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정함으로서 기름이 줄줄 흐르지 않고 생선 껍질을 보존하고 고급스런 구이가 용이하며, 삼겹살 구이 시 수용 석쇠가 스탠드에 대각선을 이루면서 걸쳐지고 일측으로 기름받이를 구성하여 기름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석쇠 하단부의 레일을 따라 기름받이로 유입되어 종이컵으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인하여 삼겹살 또는 기름진 오리고기의 구이도 가능하며, 떡살구이와 소고기 스테이크 구이, 새우 구이, 조개 구이 등 다양한 구이가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자고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한 바와 같이 과제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생선구이 방식과, 삼겹살구이 방식, 꼬치구이 방식 모두를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는 사각의 오목한 내부 공간과 중앙으로 통공된 홈을 이루며 그 위에 올려지는 원통형 숯망 및 사각형 숯망을 포함하고 몸체 좌우 네 군데에 스탠드가 결합되어 임의대로 경사도 조절이 가능하고 높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생선구이 시 수용석쇠와 스탠드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정함으로서 기름이 줄줄 흐르지 않고 생선 껍질을 보존하고 고급스런 구이가 용이하며, 삼겹살 구이 시 수용 석쇠가 스탠드에 대각선을 이루면서 걸쳐지고 일측으로 기름받이를 구성하여 기름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석쇠 하단부의 레일을 따라 기름받이로 유입되어 종이컵으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인하여 삼겹살 또는 기름진 오리고기의 구이도 가능하며, 떡살구이와 소고기 스테이크 구이, 새우 구이, 조개 구이 등 다양한 구이가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직화 무연 숯불 구이기는 편하게 구입 하도록 단가가 저렴하며 연기 발생이 최소한으로 줄어들고 생선구이 시 최상의 구이가 제공되며 그 외 여러가지 다양한 구이가 가능하여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함으로 보다 맛난 구이를 하게 되고 발암물질 생성을 방지하여 호흡기 질환을 예방함으로써 소중한 국민건강과 미세먼지로 인한 환경 공해가 방지되는 등 실용적인 파급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석쇠와 숯망 투입 전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 구이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 구이기의 스탠드의 사시도.
도 3은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 구이기 분해 사시도 .
도 4는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 구이기를 야외용 가스버너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
도 5는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 구이기의 수용석쇠의 사시도.
도 6은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 구이기에 수용석쇠를 수평으로 올려놓은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7은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 구이기에 수용석쇠를 대각선으로 투입한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8은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 구이기에 꼬치창을 투입한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 구이기는 몸체(100), 스탠드(300), 기름받이(200), 재받이(120), 원통형 숯망(400), 사각형 숯망(410), 수용석쇠(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수용석쇠나 원통형 또는 사각형 숯망을 투입 하기 전의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 구이기를 나타낸 것이다. 몸체(100)는 생선 구이 및 신속한 구이를 위한 사각의 형상을 가지며 좌우 측면부에는 스탠드(300)를 결합하기 위한 볼트홈이 형성되고 좌우로 나무 손잡이(130)가 결합된다.
몸체(100)의 바닥부 중앙에는 통공홈(110)이 형성되고, 급할 때는 가스버너 위에 올리고 점화하여 가스 구이를 할 수도 있다.
몸체(100) 밑에는 숯불구이 시에만 사용되는 재받이(1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몸체(100) 일측의 기름받이(200)는 'ㄷ'자 형태로 절곡 형상되어 직사각형을 이루고 탈부착되며 일측단만 개방되어 모여진 기름이 일측단으로 흘러내리게 구성된다.
기름받이(200)는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단에 끼움부가 구성되어 몸체(100) 일측의 상단 모서리 위에 끼워지게 된다.
삭제
좀 더 이해가 쉽도록 도면을 보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는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 구이기의 스탠드(300)를 나타낸 것이다. 몸체(100)의 네 군데에 결합되는 스탠드(300)는 내측 한 방향으로 절곡이 되며, 상하 끝단에서 한번씩 절곡되고 중간부에서 2번 절곡되며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수평으로 돌출된 상하 한쌍의 지지판(320)이 구성된 후 일정 높이에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홈(310)과 양 측단 가장자리에 다수의 파공홈(330)이 형성된다.
탈부착되는 스탠드(300)가 몸체(100)에 볼트로 조여지더라도 전후 방향으로 스탠드(300)가 움직일 수 있는데, 이때 도면처럼 하부의 절곡부가 몸체(100)의 아래에 밀착됨으로써 전후 방향의 유동이 사라지게 된다. 또한, 하단의 절곡부는 야외용 가스렌지 상부와 맞게 설계 및 제작됨으로써 가스렌지 위에 안전하게 올려질 수 있다.
또한, 상부의 지지판(320)은 스탠드(300)의 일부가 파공되도록 안쪽으로 절곡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ㄷ'자 레일을 용접으로 접합시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판(320)은 수용석쇠(60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수용석쇠(600)가 위치하는 높낮이를 변경하여 구이가 될 때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해주며, 수용석쇠(600)를 대각선으로 투입할 때 지지해주는 역할도 한다.
구이가 되면 스탠드(300) 상단의 절곡된 부분에 수용석쇠(600)를 올려놓으면 구이가 식지 않아서 천천히 섭취하여도 고기가 따뜻하고 부드러우며, 기름이 잘 빠져 단백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 수단은 최대한 무게를 가볍고 탈부착이 용이하면서도 간편한 구조를 가지도록 하였다.
도 3은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 구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사각형 용기 형태의 몸체(100)의 좌우에 스탠드(300)가 나비 볼트와 너트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으로 기름받이(200)가 결합되고 몸체(100) 하단에는 재받이가(120) 설치된다.
몸체(100) 안으로 원통형 숯망(400)을 올리거나 사각형 숯망(410)이 올려진다.
수용석쇠(600)는 대각선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구이를 할 수도 있고, 수평으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구이를 할 수도 있다.
사각형 숯망(410)은 바닥부가 망으로 구성되고 테두리를 이루는 측벽들은 철판으로 절곡되며, 사각형 숯망(410)의 양쪽에 연결되는 긴 손잡이는 그 끝단이 테두리 안쪽으로 절곡되어 나비 볼트 및 너트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사각형 숯망(410)은 대각선으로 기울일 수도 있어서 대각선 구이 시 유용하다.
사각형 숯망(410)은 면적이 넓어서 많은 구이를 하거나 꼬치창을 이용한 구이를 할 때 및 길이가 긴 생선 구이를 할 때 통으로 구이를 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원통형 숯망(400)은 측면 및 바닥부 모두 망으로 구성되고, 소수의 인원이 구이를 해 먹을 때 유용한데 숯도 적게 들고 구이 면적이 적어지도록 하여 구이 속도가 적당하며 익은 고기를 석쇠 외곽에 놓으면 잘 식지도 않고 천천히 섭취할 수가 있다.
몸체(100) 밑으로 유입되는 재받이(120)는 가스 사용 시에는 빼서 열어두었다가 숯불 사용 시에는 유입시켜 재를 수거하는 데 사용한다. 재받이(120)는 지그재그 절곡이 되어 몸체(100) 내부 중앙의 통공홈(110)을 통해 떨어지는 재를 수거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100)의 일측 상단에 결합되는 기름받이(300)는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며 위쪽 방향으로 삼면이 절곡되어 세워지고 일측이 개방되어 개방된 일측을 통해 자동으로 기름이 흘러내리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 구이기를 야외용 가스버너에 올려놓은 모습을 타낸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일측 상단에 기름받이(200)가 올려진 후 수용석쇠(600)가 대각선으로 기울어져 스탠드(3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쳐져서 경사를 이루며, 스탠드(300)의 하단부가 가스버너 상부 받침대(530)의 상면과 맞닿도록 올려진다.
이 상태에서 조리물에서 나온 기름은 수용석쇠(600)를 타고 내려와 기름받이(200)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이때 주의 할 것은 수용석쇠(600)를 달군 후 기름 칠을 상하로 한 다음 사용해야 기름이 잘 흐른다는 점이다.
도 6은 수용석쇠(600)를 이용하여 수평식 구이를 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삭제
사각형 숯망(410)을 몸체(100) 안으로 유입시키고, 수용석쇠(600)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판(320)에 유입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며, 이러한 방식은 길이가 긴 생선구이, 조개구이, 새우구이 및 장어구이 시 유용하다.
특히, 장어구이 시 장어가 동그랗게 말리게 되는데 동그랗게 말리려는 것을 위아래 한 쌍의 수용석쇠(600)가 말리지 않도록 눌러주게 된다. 생선구이 시 기름이 흐르면 위로 올리고 하여 기름이 머물면서 구이가 되도록 함으로써 타지 않고 노릇하게 되며 육즙이 보존되고 촉촉해진다. 좀더 구체적인 부분은 도 5의 수용석쇠(600)를 보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수용석쇠(600)의 상세도이다.
생선구이 시 생선의 크기로 인하여 수용석쇠(600)가 벌어지기 때문에 상부에 위치하는 수용석쇠(600)의 전방 가장자리에는 좌우로 걸고리봉(610)이 구비되고 하부에 위치하는 수용석쇠(600)의 전방 가장자리에는 걸고리홈(620)이 구비되어 걸고리봉(610)이 걸고리홈(620)에 끼워진다. 그후 생선의 크기에 따라 걸고리봉(610)이 벌어지거나 좁혀져서 생선의 크기를 수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수용석쇠(600)를 뒤집을 때 손잡이로 하여 눌리게 되는데, 이때 이때 걸고리홈(620)에 들어간 걸고리봉(610)은 탄성으로 인하여 눌리지 않고 눌림이 적게 되어 생선 껍질이 수용석쇠(600)에 들러붙지 않게 된다.
도 7은 수용석쇠(600)가 대각선을 이룬 상태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0) 안에 들어갈 숯망의 종류를 선택하고, 수용석쇠(600)는 대각선으로 기울어지도록 걸친 다음 수용석쇠(600)에 고기를 올리면, 기름은 수용석쇠(600) 하단부로 흘러서 일측 기름받이(200)로 기름이 수집되고 기름받이(200)의 개구된 면 아래에 있는 종이컵으로 기름이 모이면서 연기가 사라지면서 노릇하게 구워지는 무연 숯불 직화구이가 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원통형 숯망(400)이 아닌 사각형 숯망(410) 사용 시 숯망을 눌러서 대각선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고르게 숯열기를 수용석쇠(600)로 가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가진다.
도 8은 꼬치창을 이용하여 구이하는 경우의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일측 스탠드(300)의 지지판(320)에 꼬치창(700)을 횡대로 올리고 난 후 꼬치창을 대각선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올려 구이를 하게 된다. 이때 되도록 고기를 토막내지 않고 일자로 썰어 햄버거처럼 꼬치창에 끼우는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숯불 구이기를 사용하면 숯불과 일대일로 구워져서 원초적인 바비큐와 같이 구이가 되며, 때때로 양념을 한 후 사용 시 일반 석쇠 사용 시보다 양념이 타는 것이 없고 달콤 매콤한 양념구이를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0 = 몸체, 110 = 통공홈, 120 = 재받이,
130 = 나무 손잡이, 200 = 기름받이, 210 = 끼움부, 300 = 스탠드,
310 = 볼트홈, 320 = 지지판,
400 = 원통형 숯망, 410 = 사각형 숯망,
500 = 가스버너, 530 = 가스버너 상부 받침대,
600 = 수용석쇠, 610 = 걸고리봉, 620 = 걸고리홈, 700 = 꼬치창

Claims (8)

  1. 측면부와 바닥부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중앙에 통공홈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좌우 측면부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스탠드;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숯망;
    상기 숯망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탠드에 의해 지지되는 수용석쇠; 및
    상기 몸체의 밑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재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몸체의 일 측면부의 상단에는 기름받이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중 일정 높이 부위에는 상기 수용석쇠를 받쳐주기 위한 지지판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4.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기름받이는, 직사각형을 이루는 바닥부와 일정 높이로 삼면을 둘러싸는 측벽으로 구성되고 일측면이 개방되며, 하단에는 상기 몸체와의 고정을 위한 끼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숯망은, 직육면체 용기 형태로서 하단은 망으로 이루어지고 전면부 및 후면부에 손잡이가 결합되는 사각형 숯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숯망은, 원통형 용기 형태로서 바닥부와 측면이 망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 숯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석쇠는, 하부판과 상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 중 하나에는 걸고리봉이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걸고리봉이 삽입되는 걸고리홈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에 위치하는 구이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걸고리봉이 상기 걸고리홈에 삽입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8.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석쇠는, 일측단은 상기 스탠드에 의해 받쳐지고 타측단은 상기 기름받이에 놓여서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KR1020180008054A 2017-05-26 2018-01-23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KR102012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300 2017-05-26
KR20170065300 2017-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086A KR20180130086A (ko) 2018-12-06
KR102012239B1 true KR102012239B1 (ko) 2019-10-21

Family

ID=64671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054A KR102012239B1 (ko) 2017-05-26 2018-01-23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2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481U (ko) 2022-09-05 2024-03-12 김진광 다층형 직화 구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9759A (ja) 2001-01-24 2002-07-30 Joy Tec Kk 無煙ロースター
JP2004504902A (ja) 2000-08-02 2004-02-19 ジョーン シー トゥール 調節可能な換気システムを備えた調理容器
KR100794233B1 (ko) 2007-07-04 2008-01-14 전상신 직화구이기
US20120255542A1 (en) 2011-04-07 2012-10-11 Arkadiy Kukuliyev Portable Gril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492Y2 (ko) * 1988-09-22 1992-06-01
JPH081717Y2 (ja) * 1991-12-27 1996-01-24 株式会社エポン バーベキューコンロ
JP2759774B2 (ja) * 1995-07-11 1998-05-28 浅香工業株式会社 コンロ
KR970018850U (ko) * 1995-10-31 1997-05-26 가스렌지의 그릴석쇠 높이조정장치
KR101380623B1 (ko) * 2011-08-05 2014-04-07 홍 대 박 다기능 무연 구이기
KR20140000548U (ko) * 2012-07-12 2014-01-27 나원규 야외용 숯불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4902A (ja) 2000-08-02 2004-02-19 ジョーン シー トゥール 調節可能な換気システムを備えた調理容器
JP2002209759A (ja) 2001-01-24 2002-07-30 Joy Tec Kk 無煙ロースター
KR100794233B1 (ko) 2007-07-04 2008-01-14 전상신 직화구이기
US20120255542A1 (en) 2011-04-07 2012-10-11 Arkadiy Kukuliyev Portable Gri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481U (ko) 2022-09-05 2024-03-12 김진광 다층형 직화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086A (ko) 2018-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3837A (en) Dual purpose barbecue grill and rotisserie
US5460159A (en) Multi smoke cooker
US3140651A (en) Charcoal cooker
US7469630B1 (en) Steamer and smoker accessory for a barbecue grill
US3693534A (en) Cooking device
US20050039612A1 (en) Multiple bottom outdoor grill accessory
US3581731A (en) Portable cooking unit
US5947013A (en) Outdoor grill for charcoal grilling
US8365717B1 (en) Barbecue accessory and method of use
KR101006018B1 (ko) 다목적 숯불 구이기
US20120024171A1 (en) Kettle grill accessory
US3389651A (en) Portable charcoal broiler
US4561417A (en) Barbecue oven
US20060011192A1 (en) Multi-chambered convertible grilling device
KR102012239B1 (ko)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KR101128821B1 (ko) 숯불 구이판
US3302555A (en) Charcoal brazier
US9155421B2 (en) Rotisserie grill
US6883512B2 (en) Portable grilling apparatus
KR20070000744U (ko) 다용도 불고기 구이장치
KR200448258Y1 (ko) 숯불용 육류구이장치
JP6856839B1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
KR102475613B1 (ko) 휴대용 고기구이기
KR102476189B1 (ko) 휴대용 바비큐 그릴
CN212489633U (zh) 一种双面红外燃气同时加热烧烤机的多用组合式烤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