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175Y1 - 전기 오븐 - Google Patents

전기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175Y1
KR200396175Y1 KR20-2005-0017715U KR20050017715U KR200396175Y1 KR 200396175 Y1 KR200396175 Y1 KR 200396175Y1 KR 20050017715 U KR20050017715 U KR 20050017715U KR 200396175 Y1 KR200396175 Y1 KR 200396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eat
oven
cooking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준엽
Original Assignee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7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1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1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오븐에 관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그릴 요리시 기름이 오븐 내실로 튀는 현상을 방지하고, 요리물로부터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오븐 내실의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오븐은 선반이 설치되고, 후방에 열흡입구 및 열배출구가 형성된 오븐 내실과, 오븐 내실의 선반 위에 설치되며, 상부 및 후방이 개방된 제1용기와, 제1용기에 결합된 제2용기와, 오븐 내실의 열흡입구 외측에 설치되어, 열흡입구를 통해서 제1용기 및 제2용기쪽으로 열을 제공하는 히터와, 히터의 후방에 설치되어, 히터의 열이 열흡입구를 따라서 제1용기 및 제2용기쪽으로 신속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팬으로 이루어진 전기 오븐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전기 오븐{Electric oven}
본 고안은 전기 오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그릴 요리시 기름이 오븐 내실로 튀는 현상을 방지하고, 요리물로부터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전기 오븐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전기 오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 오븐(100')은 대략 육면체 형태로서 후면에 다수의 열흡입구(111') 및 열배출구(112')가 형성된 오븐 내실(110')과, 상기 오븐 내실(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릴 요리시 열을 제공하는 상부 히터(120')와, 상기 오븐 내실(110')의 대략 중앙에 설치되어 그릴 요리물 또는 오븐 요리물이 안착되는 선반(130')과, 상기 선반(1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오븐 요리시 열을 제공하는 하부 히터(140')와, 상기 하부 히터(140')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릴 요리물 또는 오븐 요리물로부터 배출되는 각종 수분을 담는 물받이(150')와, 상기 오븐 내실(110')의 후면에 부착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16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 오븐은 그릴 요리(예를 들면, 생선)시 요리물을 선반(130') 위에 올려놓고 상부 히터(120')를 작동시킴으로써 그릴 요리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전기 오븐은 오븐 요리(예를 들면, 빵)시 요리물을 선반(130') 위에 올려놓고 하부 히터(140')와 팬(160')을 작동시킴으로써, 하부 히터(14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열흡입구(111')를 통해 상,하에 위치한 열배출구(112')로 열을 배출하여 오븐 요리를 수행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35'는 그릴 요리를 위한 요리물을 도시한 것이고, 미설명 부호 161'은 팬 커버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기 오븐은 그릴 요리와 오븐 요리가 별도의 열원에 의해 조리됨으로써, 조리 효율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오븐 요리뿐만 아니라 그릴 요리가 같은 공간에서 수행됨으로써, 그릴 요리시 발생되는 각종 연기, 냄새, 기름이 오븐 내실을 심하게 오염시키고, 따라서 오븐 내실의 청소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히터가 설치됨으로써,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고, 또한 요리시 요리물을 소정 시간마다 뒤집어야 하는 별도의 행위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그릴 요리시 기름이 오븐 내실로 튀는 현상을 방지하고, 요리물로부터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전기 오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오븐은 선반이 설치되고, 후방에 열흡입구 및 열배출구가 형성된 오븐 내실과, 상기 오븐 내실의 선반 위에 설치되며, 상부 및 후방이 개방된 제1용기와, 상기 오븐 내실의 열흡입구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흡입구를 통해서 제1용기쪽으로 열을 제공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의 열이 상기 열흡입구를 따라서 제1용기쪽으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팬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용기는 개방된 후방이 상기 오븐 내실의 열흡입구에 밀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선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용기 내측에는 그릴 요리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요리물 선반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용기 상부에는 하부 및 후방이 개방된 채, 상기 제1용기에 결합되는 제2용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용기는 개방된 후방이 상기 오븐 내실의 열배출구에 밀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용기에는 일정량의 물이 채워진 상태로 그릴 요리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오븐은 후방에 설치된 히터 및 팬의 작동으로 열기가 요리물의 상,하 양면에 골고루 제공됨으로써, 조리시 요리물을 뒤집을 필요가 없다.
또한, 본 고안은 그릴 요리시 발생하는 각종 기름 및 수분 등이 제1용기 및 제2용기의 바깥으로 튀기지 않음으로써, 오븐 내실을 직접적으로 오염시키지 않게 된다.
물론, 본 고안은 그릴 요리시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가 열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신속히 배출됨으로써, 오븐 내실에 각종 냄새가 흡수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은 후방에 설치된 하나의 히터로 그릴 요리 및 오븐 요리를 모두 수행함으로써, 오븐 내실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본 고안은 별도의 제1용기 및 제2용기를 채택함으로써, 요리후 오븐 내실을 청소할 필요가 없고, 또한 요리후 제1용기 및 제2용기만을 세척하면 됨으로써 오븐의 사용이 간편해진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그릴 요리시 히터로부터 발생되는 열과 함께 제1용기 및 제2용기의 복사열에 의해서도 요리가 수행됨으로써, 요리물이 타거나 덜 익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오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오븐중 그릴 요리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b는 오븐 요리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c는 그릴 용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c는 그릴 용기의 후방 구조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오븐(100)은 오븐 내실(110)과, 오븐 내실(110)에 설치된 제1용기(120)와, 상기 제1용기(120)에 결합된 제2용기(130)와, 상기 제1용기(120) 및 제2용기(130)에 소정 열을 제공하는 히터(140)와, 상기 히터(140)의 열이 제1용기(120) 및 제2용기(130)쪽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팬(150)을 포함한다.
상기 오븐 내실(110)은 속이 비어 있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를 하며, 대략 중앙에 선반(11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오븐 내실(110)의 후방에는 다수의 열흡입구(112)와 열배출구(11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열흡입구(112)는 상대적으로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열배출구(113)는 상대적으로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용기(120)는 상기 오븐 내실(110)의 선반(111) 위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부 및 후방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용기(120)의 후방은 상기 오븐 내실(110)에 형성된 열흡입구(112)와 대략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용기(120)의 개방된 후방 역시 상기 열흡입구(112)에 밀착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열흡입구(112)를 통한 열은 상기 제1용기(120)의 후방을 통해서 내부로 전달된다. 더불어, 상기 제1용기(120) 내측에는 그릴 요리시 사용될 수 있도록 요리물 선반(121)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제1용기(120) 내측에는 그릴 요리시 일정량의 물(123)이 채워질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2는 그릴 요리물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용기(130)는 상기 제1용기(120)와 유사한 형태를 하며 상기 제1용기(120) 위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제2용기(130)는 하부 및 후방이 개방된 형태를 한다. 더불어, 상기 제2용기(130)의 후방은 상기 오븐 내실(110)에 형성된 열배출구(113)와 대략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제2용기(130)의 개방된 후방 역시 상기 열배출구(113)에 밀착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용기(120) 및 제2용기(130) 내부의 열은 상기 열배출구(113)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다른 말로, 상기 제1용기(120) 및 제2용기(130) 내부의 그릴 요리물(122)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연기 및 냄새는 상기 열배출구(113)를 통해서 외부로 신속히 배출된다.
상기 히터(140)는 오븐 내실(110)의 열흡입구(112)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140)의 열은 상기 열흡입구(112)를 통해서 제1용기(120) 및 제2용기(130)의 내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터(140)는 전기 히터일 수 있으나, 가스 히터도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팬(150)은 상기 히터(140)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팬(1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히터(140)의 열은 상기 열흡입구를 통해서 제1용기(120) 및 제2용기(130)의 내측으로 전달된다. 도면중 미설 부호 151은 팬(150)이 고정되는 팬커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오븐(100)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그릴 요리시에는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용기(120) 내부에 요리물 선반(121)이 설치되고, 또한 바닥에는 일정량의 물(123)이 채워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요리물 선반(121) 위에 그릴 요리물(122)이 안착된다.
이어서, 상기 제1용기(120) 위에 제2용기(13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용기(120) 및 제2용기(130)의 대략 후방 영역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하는데, 이러한 개방된 영역은 오븐 내실(110)의 후방에 설치된 열흡입구(112) 및 열배출구(113)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이어서, 히터(140) 및 팬(150)이 작동한다. 그러면, 상기 히터(140)의 열은 열흡입구(112)를 통해서 제1용기(120) 및 제2용기(130)의 내측 영역으로 신속하게 전달된다. 물론, 상기 팬(15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용기(120) 및 제2용기(130) 내측 영역에서는 열기가 빠르게 대류한다. 이때, 일부의 열과, 그릴 요리물(122)로부터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는 열배출구(113)를 통해서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된다. 따라서, 그릴 요리물(122)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냄새 및 연기가 오븐 내실(110)에 흡착 또는 흡수되지 않게 된다. 더욱이, 그릴 요리물(122)로부터 발생되는 다량의 기름은 제1용기(120)에 채워진 물(123) 또는 물이 없는 경우에는 바닥면 위로만 낙하됨으로써, 그릴 요리물(122)로부터 발생되는 기름이 오븐 내실(110)을 오염시키지 않게 된다.
한편, 오븐 요리시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용기(120) 내부에 오븐 요리물(124)이 직접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용기(120) 위에는 제2용기(130)가 결합되지 않는다. 즉, 그릴 요리시와 다르게 오븐 요리시에는 제1용기(120)만이 이용된다. 물론, 이때 상기 제1용기(120)의 후방은 용기 내실(110)의 후방에 설치된 열흡입구(112)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설치될 수도 있다.
이어서, 히터(140) 및 팬(150)이 작동한다. 그러면, 상기 히터(140)의 열은 열흡입구(112)를 통해서 제1용기(120) 및 그 주변으로 신속하게 전달된다. 물론, 상기 팬(15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용기(120)로 열기가 더욱 빠르게 움직인다. 이때, 일부의 열과, 오븐 요리물(124)로부터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는 열배출구(113)를 통해서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된다. 더욱이, 상기 히터(140)로부터 제공되는 열은 제1용기(120)뿐만 아니라 그 하부 영역 및 상부 영역에서 활발하게 대류하기 때문에, 오븐 요리 고유의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오븐은 후방에 설치된 히터 및 팬의 작동으로 열기가 요리물의 상,하 양면에 골고루 제공됨으로써, 조리시 요리물을 뒤집을 필요가 없다.
또한, 본 고안은 그릴 요리시 발생하는 각종 기름 및 수분 등이 제1용기 및 제2용기의 바깥으로 튀기지 않음으로써, 오븐 내실을 직접적으로 오염시키지 않게 된다.
물론, 본 고안은 그릴 요리시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가 열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신속히 배출됨으로써, 오븐 내실에 각종 냄새가 흡수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은 후방에 설치된 하나의 히터로 그릴 요리 및 오븐 요리를 모두 수행함으로써, 오븐 내실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본 고안은 별도의 제1용기 및 제2용기를 채택함으로써, 요리후 오븐 내실을 청소할 필요가 없고, 또한 요리후 제1용기 및 제2용기만을 세척하면 됨으로써 오븐의 사용이 간편해진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그릴 요리시 히터로부터 발생되는 열과 함께 제1용기 및 제2용기의 복사열에 의해서도 요리가 수행됨으로써, 요리물이 타거나 덜 익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오븐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전기 오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오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오븐중 그릴 요리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b는 오븐 요리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c는 그릴 용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d는 그릴 용기의 후방 구조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오븐
110; 오븐 내실 111; 선반
112; 열흡입구 113; 열배출구
120; 제1용기 121; 요리물 선반
122; 그릴 요리물 123; 물
124; 오븐 요리물 130; 제2용기
140; 히터 150; 팬
151; 팬커버

Claims (6)

  1. 선반이 설치되고, 후방에 열흡입구 및 열배출구가 형성된 오븐 내실;
    상기 오븐 내실의 선반 위에 설치되며, 상부 및 후방이 개방된 제1용기;
    상기 오븐 내실의 열흡입구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흡입구를 통해서 제1용기쪽으로 열을 제공하는 히터; 및,
    상기 히터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의 열이 상기 열흡입구를 따라서 제1용기쪽으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오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는 개방된 후방이 상기 오븐 내실의 열흡입구에 밀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선반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오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 내측에는 그릴 요리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요리물 선반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오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 상부에는 하부 및 후방이 개방된 채, 상기 제1용기에 결합되는 제2용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오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는 개방된 후방이 상기 오븐 내실의 열배출구에 밀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오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에는 일정량의 물이 채워진 상태로 그릴 요리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오븐.
KR20-2005-0017715U 2005-06-20 2005-06-20 전기 오븐 KR2003961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715U KR200396175Y1 (ko) 2005-06-20 2005-06-20 전기 오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715U KR200396175Y1 (ko) 2005-06-20 2005-06-20 전기 오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175Y1 true KR200396175Y1 (ko) 2005-09-20

Family

ID=4369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715U KR200396175Y1 (ko) 2005-06-20 2005-06-20 전기 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1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5517B2 (en)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EP3806701B1 (en) Air-based fryer
KR101680521B1 (ko) 에어순환식 로스터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JP4654096B2 (ja) 加熱調理器
JP5906211B2 (ja) 加熱調理容器
JP4572253B2 (ja) 調理容器蓋の臭い排出装置
JP5896979B2 (ja) グリル皿及び加熱調理器
JP2006258337A (ja) 加熱調理器
JP5612792B1 (ja) 調理器用のグリル装置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KR200396175Y1 (ko) 전기 오븐
KR101232617B1 (ko)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KR101708435B1 (ko) 유증기 여과장치 부착형 렌지 겸용 구이기
JP2000274699A (ja) 加熱調理装置
RU2786582C2 (ru) Аэрофритюрница
KR200479718Y1 (ko) 다용도 불판 및 이를 이용한 불판 장치
KR20040025059A (ko) 세라믹 유리판의 가열부를 갖춘 전기조리장치
KR102148014B1 (ko)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KR100433315B1 (ko) 조리기
CN213248349U (zh) 烹饪器具
JP3684923B2 (ja) シチリン
KR101844027B1 (ko) 숯수용부를 구비한 기능성테이블
JP2007120778A (ja) 卓上用加熱調理装置
US20040154607A1 (en) Grill unit and cooking apparatus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