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119B1 - 다목적 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119B1
KR101465119B1 KR1020130022018A KR20130022018A KR101465119B1 KR 101465119 B1 KR101465119 B1 KR 101465119B1 KR 1020130022018 A KR1020130022018 A KR 1020130022018A KR 20130022018 A KR20130022018 A KR 20130022018A KR 101465119 B1 KR101465119 B1 KR 101465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ousing
guide surface
coupling hole
collect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7875A (ko
Inventor
최경수
Original Assignee
최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수 filed Critical 최경수
Priority to KR1020130022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119B1/ko
Publication of KR20140107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 등을 굽기 위한 다목적 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레인지의 화염이 고기 등과 같은 음식물에 직접 접촉하여 음식물이 타서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새로운 구조의 다목적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 일측에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에는 결합링이 형성되어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결합홀에 결합하여 화염으로부터 열기를 수집하는 열수집기구, 그리고 상기 열수집기구의 상단에 결합하여 수집된 열기를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분배하는 열분배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다목적 구이 장치 {Multipurpose roa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고기 등을 굽기 위한 다목적 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레인지의 화염이 고기 등과 같은 음식물에 직접 접촉하여 음식물이 타서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새로운 구조의 다목적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가스레인지나 가정용 가스레인지에 석쇠나 불판을 얹어 고기 등과 같은 음식물을 굽는데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석쇠에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39580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18931호를 통해 이미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가스레인지에 석쇠를 얹어 고기를 굽는 경우, 석쇠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고기의 육즙이나 기름이 떨어져 화염에 접촉하면서 연기가 발생하게 되고, 불완전 연소되는 불꽃이 음식물에 직접 접촉하면서 음식물을 태우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석쇠 대신 불판을 가스레인지에 얹어 사용하는 경우에도, 불판에 놓인 고기에서 발생한 기름이 고온으로 달궈진 불판에 의해 고기가 타서 연기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가스레인지에서 발생한 화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석쇠나 불판을 사용자의 실수 또는 부주의에 의해 만지게 되는 경우 화상을 입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가스레인지의 화염이 음식물에 직접 접촉하여 음식물이 타거나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음식물을 굽는 방법 이외에 다양한 조리방법을 제공하는 다목적 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 일측에는 결합홀(11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110)에는 결합링(112)이 형성되어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결합홀(110)에 결합하여 화염으로부터 열기를 수집하는 열수집기구(200), 그리고 상기 열수집기구(200)의 상단에 결합하여 수집된 열기를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으로 분배하는 열분배기구(300)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열수집기구(200)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뿔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다수 개의 안착홈(2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210)의 사이에는 바람을 막도록 아래쪽으로 돌출형성되는 차폐다리(23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0)의 외부로 전달되는 열기를 차단하도록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열차단링(1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분배기구(300)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312)이 형성되는 저장몸체(310)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몸체(310)의 하단에는 상기 열수집기구(200)에서 전달된 열기를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로 전달하는 안내면(3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분배기구(40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412)이 형성되는 저장몸체(410)와, 상기 저장몸체(410)의 하단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열수집기구(200)로부터 수집된 열을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로 전달하는 안내면(421)이 형성되는 안내몸체, 그리고 그리고 상기 안내몸체와 저장몸체(310)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리브(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분배기구(400)의 안내면(421) 하단에는, 상기 결합홀(110)의 외곽에 안착되는 다수 개의 안착다리(4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내면은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내면은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는 다수 개의 안착플랜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 결합하는 뚜껑(4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 외곽에는 실리콘 재질의 차단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구이 장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레인지의 화염이 음식물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고기 등과 같은 음식물을 구울 때 음식물이 타거나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하우징의 상부에 뚜껑이 구비되어, 가스레인지로부터 전달된 열기를 하우징의 내부에 가두어 둘 수 있어 구이기능 이외에 오븐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열차단링과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된 차단부재로 인해 하우징의 외측이 뜨거워져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구이 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구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수집기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분배기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분배기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분배기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분배기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분배기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다목적 구이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구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구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구이 장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하여 화염으로부터 열기를 수집하는 열수집기구(200), 상기 열수집기구(200)의 상단에 결합하여 수집된 열기를 상측으로 분배하는 열분배기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수집기구(200)는 가스레인의 화염에 의해 발생하는 열기를 상기 열분배기구(300)로 모으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열분배기구(300)는 전달된 열기를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으로 고르게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00)의 구성>
상기 하우징(100)은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바닥 일측에는 결합홀(11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110)의 외곽에는 결합링(112)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에는 물이 저장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 안착된 석쇠 등에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기름이 튀는 것을 방지하고, 기름이 하우징(100)의 바닥에서 고열에 의해 타서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는 불판이나 석쇠 등을 얹을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안착플랜지(120)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플랜지(120)에 의해 불판이나 석쇠가 하우징(100)의 바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후술할 뚜껑(400)을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 안착하여 오븐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 내부에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열차단링(1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차단링(140)은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이 가스레인지의 열기에 의해 뜨거워져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 외곽에는 실리콘과 같이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차단부재(130)가 구비된다. 상기 차단부재(130)에 의해 가스레인지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이 가열된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는 뚜껑(4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 구비된 뚜껑(400)에 의해 열기를 내부에 저장할 수 있어,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구이 장치를 구이 기능 외에도 오븐과 같은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열수집기구(200)의 구성>
도 3a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수집기구(200)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수집기구(200)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열수집기구(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결합홀(110)에 결합되는데, 상기 열수집기구(200)는 대략 원뿔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원뿔 모양으로 형성되어 가스레인지에서 발생하는 화염이 상부로 모아져 상기 열분배기구(300)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수집기구(200)의 개구된 상단에는 삽입링(220)이 돌출형성되는데, 상기 삽입링(220)은 상기 하우징(100)의 결합링(112)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열수집기구(200)가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열수집기구(200)는 다양한 형태의 가스레인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단에는 안착홈(210)이 다수 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210)의 사이에서 아래쪽으로 차폐다리(23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도 3b 참조). 상기 차폐다리(230)는 열수집기구(200)를 가스레인지에 안착시켰을 때, 바람이 화염으로 불어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열분배기구(300)의 구성>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분배기구(300)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분배기구(300)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열분배기구(300)는 상부가 개구되어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312)이 형성되는 저장몸체(310)로 구성되는데, 상기 저장몸체(310)의 하단에는 상기 열수집기구(200)에서 전달된 열기를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로 전달하도록 안내면(3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안내면(311)은 대략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열수집기구(200)에서 전달된 열기를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로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안내면(311)이 반구형상 또는 상기 저장몸체(310)의 아래쪽으로 볼록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안내면(311)이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면(311')이 상기 저장몸체(310')의 아래쪽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안내면(311')이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면, 도 5와 같이 볼록한 형태의 안내면(311)에 비해 열기가 더 멀리까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상기 안내면을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형성하지 않고 경사진 면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열분배기구(300)의 하단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결합홀(110)의 외곽에 안착되는 다수 개의 안착다리(340)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열수집기구(200)로부터 수집되어 전달되는 열기가 상기 다수 개의 안착다리(340) 사이로 이동하여 상기 열분배기구(300)의 안내면(311)을 따라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착다리(340)는 저장몸체(310)의 중앙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기둥에서 안착다리(340)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다리(340'')가 상기 안내면(311'')의 직접 아래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수집기구(200)에서 수집된 열기가 안착다리(340)에 의해 저항을 받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분배기구(400)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열분배기구(400)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412)이 형성되는 저장몸체(410)와, 상기 저장몸체(410)의 하단에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리브(430), 그리고 상기 연결리브(430)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열수집기구(200)로부터 전달된 열기를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안내면(421)이 형성된 안내몸체(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몸체(420)의 하단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결합홀(110)의 외곽에 안착되는 다수 개의 안착다리(440)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열수집기구(200)로부터 수집되어 전달되는 열기가 상기 다수 개의 안착다리(440) 사이로 이동하여 상기 열분배기구(400)의 안내면(421)을 따라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열분배기구(40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앞에서 설명한 열분배기구(300)와 달리 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412)이 형성된 저장몸체(410)와 안내면(421)이 형성된 안내몸체(420)를 연결리브(430)에 의해 일정 거리 이격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열수집기구(200)로부터 전달된 열기가 상기 저장공간(312)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저장공간(312)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빨리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공간(412)에 저장된 물이 빨리 증발하여 사용자가 자주 물을 보충해야 하는 수고로움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다목적 구이 장치의 조립과 동작>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구이 장치의 조립과정과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다목적 구이 장치의 조립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열수집기구(200)를 가스레인지의 삼발이(500)에 안착시킨다. 일반적으로 가스레인에는 삼발이(500) 또는 사발이가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열수집기구(200)의 하단에는 다수 개의 안착홈(210)이 형성되어 있어, 가스레인지의 삼발이(500) 또는 사발이의 갯수나 형상에 무관하게 상기 열수집기구(200)에 가스레인지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홈(210)의 사이에서 아래쪽으로 형성되는 차폐다리(230)에 의해, 가스레인지의 화염에 바람이 불어들어가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수집기구(200)의 상단은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홀(110)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그 후, 상기 열전달기구를 상기 결합홀(110)이 형성된 하우징(100)의 외측에 상기 안착다리(340)를 이용해 안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열수집기구(200)와 하우징(100), 그리고 열분배기구(300)를 조립한 후, 상기 하우징(100)과 열분배기구(300)의 저장공간(312)에 물을 채워 넣는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 석쇠 또는 불판을 안착시킨 후, 가스레인지를 점화하여 음식물을 굽게 된다.
이때, 상기 열수집기구(200)는 가스레인지의 화염에서 발생한 열기를 수집하여 상단으로 전달하고, 전달된 열기는 열분배기구(300)의 하단에 형성된 안내면(3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 즉 석쇠나 불판으로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과 열분배기구(300)의 저장공간(312)에는 물이 채워져 있어, 고기와 같은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기름이나 육즙 등이 상기 하우징(100)과 열분배기구(300)에 떨어지면서 높은 온도로 가열된 하우징(100)과 열분배기구(300)에 닿아서 타거나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는 뚜껑(400)을 설치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상기 뚜껑(400)을 설치하게 되면, 가스레인지의 화염에서 전달된 열기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가두어 둘 수 있어,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구이 장치를 오븐과 같은 기능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고기를 굽는 조리 방법 이외에도, 고구마나 감자 기타 여러가지의 음식 재료를 다양한 조리방법에 의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측벽 내부에는 열차단링(140)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100)의 측벽이 가스레인지의 화염에 의해 뜨거워져 사용자가 부주의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의 측벽을 만지거하 했을 때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 측벽에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의 차단부재(130)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부주의에 의해 뜨겁게 달궈진 상기 하우징(100)의 측벽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임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하우징
110:결합홀
120:안착플랜지
130:차단부재
140:열차단링
200:열수집기구
210:안착홈
300,400:열분배기구
310,410:저장몸체
311,421:안내면
312,421:저장공간
340,440:안착다리
430:연결리브
500:뚜껑

Claims (12)

  1.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 일측에는 결합홀(11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110)에는 결합링(112)이 형성되어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결합홀(110)에 결합하여 화염으로부터 열기를 수집하는 열수집기구(200); 및
    상기 열수집기구(200)의 상단에 결합하여 수집된 열기를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으로 분배하는 열분배기구(300)를 포함하며,
    상기 열분배기구(300)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312)이 형성되는 저장몸체(310)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몸체(310)의 하단에는 상기 열수집기구(200)에서 전달된 열기를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로 전달하는 안내면(3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구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집기구(200)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뿔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다수 개의 안착홈(2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구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210)의 사이에는 바람을 막도록 아래쪽으로 돌출형성되는 차폐다리(2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구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0)의 외부로 전달되는 열기를 차단하도록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열차단링(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구이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배기구(400)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412)이 형성되는 저장몸체(410)와,
    상기 저장몸체(410)의 하단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열수집기구(200)로부터 수집된 열을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로 전달하는 안내면(421)이 형성되는 안내몸체, 그리고
    그리고 상기 안내몸체와 저장몸체(310)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리브(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구이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배기구의 안내면 하단에는, 상기 결합홀(110)의 외곽에 안착되는 다수 개의 안착다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구이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은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구이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은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구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는 다수 개의 안착플랜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구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 결합하는 뚜껑(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구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 외곽에는 실리콘 재질의 차단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구이 장치.
KR1020130022018A 2013-02-28 2013-02-28 다목적 구이 장치 KR101465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018A KR101465119B1 (ko) 2013-02-28 2013-02-28 다목적 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018A KR101465119B1 (ko) 2013-02-28 2013-02-28 다목적 구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875A KR20140107875A (ko) 2014-09-05
KR101465119B1 true KR101465119B1 (ko) 2014-11-25

Family

ID=5175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018A KR101465119B1 (ko) 2013-02-28 2013-02-28 다목적 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1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6903A (ja) * 1995-03-20 1996-10-08 Yoshino:Kk 加熱調理器
KR20100117311A (ko) * 2009-04-24 2010-11-03 윤철호 구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6903A (ja) * 1995-03-20 1996-10-08 Yoshino:Kk 加熱調理器
KR20100117311A (ko) * 2009-04-24 2010-11-03 윤철호 구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875A (ko)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51567B (zh) 户外炊具和烟熏器及用于其的燃料燃烧器
JP5906211B2 (ja) 加熱調理容器
KR101459370B1 (ko) 고기구이장치
KR101465119B1 (ko) 다목적 구이 장치
JP3173614U (ja) 断熱機能を有する側板を備えたコンロ
KR101591515B1 (ko) 복합가열식 숯불구이기
KR101705554B1 (ko) 휴대용 구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이장치 가열방법
KR20100011608U (ko)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
KR101688860B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
KR101671629B1 (ko) 수직 직립형 석쇠 구이 방식의 가열조리기구
KR101379055B1 (ko) 반사열을 이용한 숯불 구이기
KR200487595Y1 (ko) 다용도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로, 테이블, 가습기, 보일러, 조리장치 및 온수매트
KR101140260B1 (ko) 열기 유도형 주방용기
ZA200705970B (en) Portable cooking apparatus
KR101819384B1 (ko) 석쇠받침 보조불판
KR200443515Y1 (ko) 양면조리를 할 수 있는 가스기기의 그릴용 생선 구이판
KR200479718Y1 (ko) 다용도 불판 및 이를 이용한 불판 장치
US20100192936A1 (en) Easy to start heating apparatus at any attempt without need for flammable fluid and blowing
KR200365215Y1 (ko) 숯불 구이기
KR101816664B1 (ko) 구이용 팬
KR102014727B1 (ko) 고기구이장치
KR101957775B1 (ko) 휴대용 구이장치
KR200431916Y1 (ko) 석쇠구이장치
KR101688177B1 (ko) 휴대용 가스렌지
KR200321550Y1 (ko) 점화숯을 이용하기 위한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