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775B1 - 휴대용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775B1
KR101957775B1 KR1020170079964A KR20170079964A KR101957775B1 KR 101957775 B1 KR101957775 B1 KR 101957775B1 KR 1020170079964 A KR1020170079964 A KR 1020170079964A KR 20170079964 A KR20170079964 A KR 20170079964A KR 101957775 B1 KR101957775 B1 KR 101957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means
box
heat source
portable
foo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671A (ko
Inventor
홍길몽
Original Assignee
홍길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길몽 filed Critical 홍길몽
Priority to KR1020170079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7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08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solely adapted for radia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보관을 위한 박스와, 상기 박스에 설치되고 수납부에는 열원(P)이 상부로 개방된 형태로 수납되며 다수개의 관통홀(40)이 상하방향으로 개구되는 가열수단(30)과, 상기 가열수단(30) 위에 설치되고 상기 열원(P)에서 발생된 열을 상부로 전달하는 동시에 식재료에서 발생되는 유체를 상기 가열수단(30)으로 배출시키는 구이판(70)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40)은 상기 가열수단(30)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를 전달하여 열원(P)이 가열되도록 하는 공기공급홀(41)과, 상기 식재료에서 발생되는 유체를 가열수단(30) 하부 방향으로 낙하시키는 유체배출홀(4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박스, 하부플레이트(20), 가열수단(30) 및 구이판(70)만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구성부품수가 적고 이들을 조립하는 방법도 매우 간소해진다.

Description

휴대용 구이장치{Portable roa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식재료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 또는 실내에서 간편하게 식재료를 구울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캠핑인구가 늘어나면서 야외에서 육류 등과 같은 식재료를 구워먹는 일이 많아지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식재료를 구울 때에는 휴대용 가스레인지나 휴대용 버너 또는 숯불과 석쇠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들은 화력 조절이 간편한 점은 있으나, 식재료를 굽기 위한 별도의 불판을 준비해야 한다는 점과, 사용 후에 청소 및 별도 보관이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무게가 가볍지 않아 휴대성이 높지 않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하여 일회용 숯불 구이기 셋트가 개발된 바 있으나, 기존의 일회용 구이기 셋트는 보관박스와 구이판 이외에도, 숯 등의 연료를 가열하기 위한 고체연료와, 연료를 보관하기 위한 연료보관함, 연료보관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 등을 포함하고 있어서 부품수가 많다. 부품수가 많으므로 조립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며, 제품의 부피가 커져 운송/보관 상의 불리한 면이 있었다.
또한, 숯 등의 연료를 가열하기 위해 별도의 고체연료가 필요하고, 고체연료가 다시 숯 등의 연료를 가열해야 하므로 사용방법이 복잡한 단점도 있었다.
그리고, 연료보관함의 크기가 제한되어 연료를 충분히 적재할 수 없었고, 따라서 일회용 숯불 구이기의 사용시간이 길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017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573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861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를 줄이고 간단한 구성만으로 식재료를 가열할 수 있는 휴대용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숯과 같은 연료의 적재량을 높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관을 위한 박스와, 상기 박스에 설치되고 수납부에는 열원이 상부로 개방된 형태로 수납되며 다수개의 관통홀이 상하방향으로 개구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 위에 설치되고 상기 열원에서 발생된 열을 상부로 전달하는 동시에 식재료에서 발생되는 유체를 상기 가열수단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구이판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가열수단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를 전달하여 열원이 가열되도록 하는 공기공급홀과, 상기 식재료에서 발생되는 유체를 가열수단 하부 방향으로 낙하시키는 유체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공급홀의 가장자리는 구이판 방향으로 돌출되어 식재료에서 발생된 유체의 통과를 방지하고, 상기 유체배출홀의 가장자리는 하부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되어 식재료에서 발생된 유체를 통과시킨다.
상기 가열수단의 하부에는 식재료로부터 발생하여 배출되는 유체를 보관하기 위한 하부플레이트가 더 구비된다.
삭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열수단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걸림단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공급홀과 유체배출홀은 상기 가열수단의 바닥부에 엇갈려 각각 다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가열수단의 바닥부에는 다수개의 강도보강리브가 구비되되 상기 강도보강리브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박스의 중심에는 선택적으로 개방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열수단의 걸림단은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구이판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그물망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열원은 에탄올(Ethanol)에 함침된 숯이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구이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박스, 하부플레이트, 가열수단 및 구이판만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구성부품수가 적고 이들을 조립하는 방법도 매우 간소해지기 때문에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별도의 열원보관함 없이, 가열수단 안에 숯 등 연료를 직접 적재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연료를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된다. 따라서 보다 많은 양의 연료를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식재료를 가열할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남과 동시에 가열온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 중에 식재료로부터 발생한 유체는 가열수단에 떨어지지만, 떨어진 유체는 유체배출홀을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되고, 이와 동시에 공기는 가열수단의 공기공급홀을 통해 연료 쪽으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구이장치의 열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성부품수가 적어 전체 부피가 작아지기 때문에 휴대용 구이장치의 보관/운송이 용이해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가열수단이 유체를 바로 배출해 주기 때문에 유체를 보관할 공간이 필요 없고, 그만큼 두께를 얇게 만들 수 있어 구이장치 전체 보관부피가 줄어든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구이장치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구이장치가 분해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구이장치를 구성하는 가열수단와 구이판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구이장치를 구성하는 가열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구이장치를 구성하는 가열수단의 다른 실시례가 적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가열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가열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구이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휴대용 구이장치는 도 2에서 보듯이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데, 기본적으로 박스(10)의 내부공간(12)에 내장된 상태로 보관 및 운송되다가, 사용시에 각 부품이 내부공간(12)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상기 내부공간(12)을 조립공간 및 공기공급로로 활용하여 하나의 휴대용 구이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다르게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구이장치는 박스(10)에 담겨 휴대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부품 중 일부만이 박스(10)에 담겨 휴대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박스(10)는 휴대용 구이장치의 전체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 1에서 보듯이 사각형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박스(10)는 가벼운 무게구현과 환경오염 방지를 위하여 골판지와 같은 종이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스(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2)은 상기 박스(10)의 개폐부(14)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내부공간(12)은 다시 설치공간과 보관공간으로 나뉠 수 있는데, 여기서 설치공간은 후술할 하부플레이트(20)나 가열수단(30) 등이 설치되는 공간을 가리키며, 상기 보관공간은 부품들이 사용되기 전에 보관되는 공간이다. 물론, 상기 보관공간과 설치공간이 서로 구획되지 않고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박스(10)의 측면부에는 박스통기공(15)이 형성된다. 상기 박스통기공(15)은 상기 박스(10)의 내부공간(12)을 외부와 연통시켜, 외부의 공기가 내부공간(1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박스통기공(15)은 상기 박스(10)의 측면부(33)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평소에는 상기 박스통기공(15)이 막힌 상태이다. 상기 박스통기공(15)은 상기 측면부(33)를 둘러 다수개가 구비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박스(10)의 상면(13)의 중심에는 절취선(19)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선(19)을 통해 원형의 개구부(18)가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8)는 후술할 구이판(70)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개구부(18)를 통해 구이판(70)이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박스(10)의 일측에는 개폐부(14)가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14)는 상기 박스(10)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12)을 차폐하거나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평소에 상기 개폐부(14)는 닫힌 상태이며, 구이장치를 사용할 때에 개방되어 보관공간의 부품들을 꺼낼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구조는 박스(10)의 일실시례이며, 박스(10) 자체의 형상 및 구조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부플레이트(20) 및 가열수단(30) 등은 박스(10)에서 꺼내진 후에 박스(10)의 내부공간(12)에 설치되지 않고 박스(10)와 별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를 보면, 하부플레이트(20)가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0)는 상기 내부공간(12)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플레이트(20)는 일종의 얇은 그릇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0)는 구이판(70)의 식재료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이나 수분이 낙하하여 보관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될 가열수단(30)의 유체배출홀(43)을 통해 배출된 유체가 하부플레이트(20)의 유체보관홈(22)에 고인다. 따라서 박스(10) 내부나 바닥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0)는 얇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0)의 위쪽에는 가열수단(30)이 있다. 상기 가열수단(30)은 그 내부에 열원(P), 예를 들어 숯을 수납하고, 가열된 숯의 열기가 구이판(70)에 전달되어 식재료가 구워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가열수단(30)에는 위쪽으로 개방된 수납부가 있고, 이 수납부에는 다수개의 열원(P)이 수납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2와 4를 참조해서 상기 가열수단(30)의 구조를 자세히 보면, 상기 가열수단(30)은 바닥부(31)와 측면부(33)를 포함한다. 바닥부(31)는 가열수단(30)의 바닥을 형성하는 부분이고, 측면부(33)는 바닥부(31)에서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됨으로써 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가열수단(30)은 대략 원형의 평면형상을 갖는데, 안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수납부를 만드는 구조이다. 수납부에 대한 도면부호는 생략되어 있다.
상기 가열수단(30)에는 걸림단(35)이 있다. 걸림단(35)은 상기 측면부(33)의 가장자리에 돌출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박스의 원형의 개구부(18) 가장자리에 걸린다. 걸림단(35)이 개구부(18)에 걸리면 가열수단(30)이 박스에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가열수단(30)의 바닥부(31)는 박스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어느 정도 이격된 상태가 되고, 공기가 하부에서 상부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30)에는 관통홀(40)이 있다. 상기 관통홀(40)은 상기 가열수단(30)의 바닥부(31)를 관통해서 형성된 것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40)은 2가지 종류가 있는데, 상기 가열수단(30)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를 전달하여 열원(P)이 가열되도록 하는 공기공급홀(41)과, 상기 식재료에서 발생되는 유체를 가열수단(30) 하부 방향으로 낙하시키는 유체배출홀(43)이다.
도 7을 보면, 상기 공기공급홀(41)의 가장자리는 구이판(70)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유체배출홀(43)의 가장자리는 하부플레이트(20)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것은 (i) 공기공급홀(41)을 통해서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만(화살표①) 공기만 통과하고 식재료에서 발생된 유체가 하방으로 통과하는 것은 방지되며, (ii) 유체배출홀(43)을 통해서만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화살표②)는 식재료에서 발생된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공기공급을 위한 부분과, 유체배출을 위한 부분이 구별될 수 있다. 이는 원활한 공기공급과 유체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공기공급홀(41)과 유체배출홀(43)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배열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공기공급홀(41)과 유체배출홀(43)은 일정한 배열 없이 가열수단(30)의 바닥부(31)에 엇갈려 각각 다수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40a는 중심홀을 나타낸다.
도 5에 보듯이, 상기 가열수단(30)의 바닥부(31)에는 다수개의 강도보강리브(37)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강도보강리브(37)는 가열수단(3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바닥부(31)에서 돌출되어 바닥부(31)의 강도를 보강한다. 상기 강도보강리브(37)는 가열수단(30)을 프레스 가공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성형되거나, 또는 별도의 성형구조를 두어 인위적으로 만들어낼 수도 있다. 상기 강도보강리브(37)는 가열수단(30) 바닥부(31)의 가장자리에서 중심홀(40a)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중심홀(40a)까지 닿지는 않고, 일부구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열수단(30) 위에는 구이판(70)이 설치된다. 상기 구이판(70)은 상기 박스(10)의 내부공간(12)에 수납되어 있다가 사용될 때에는 꺼내어져 가열수단(30) 상부에 설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구이판(70)의 가장자리가 상기 가열수단(30)의 가장자리, 즉 걸림단(35)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구이판(70)은 열원(P)에서 발생된 열을 상부로 전달하는 동시에 식재료에서 발생되는 유체를 상기 가열수단(30)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구이판(70) 위에서 식재료가 구워진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구이판(70)은 그물망구조이다. 전기전도성이 높은 세장(細長)형의 금속모재(75)가 엇갈려 만들어진 구이판(70)이 그물망구조를 가진다. 이를 통해 가열수단(30)에 수납된 열원(P)의 열이 보다 원활하게 식재료에 전달될 수 있고, 동시에 식재료의 유체는 하부로 잘 빠질 수 있다. 물론 그물망구조이므로 구이판(70)의 무게도 가벼워질 수 있다. 상기 구이판(70)은 그물망구조 이외에 다양한 불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열수단(30)의 수납부에는 열원(P)이 수납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열원(P)은 숯인데, 상기 숯은 에탄올(Ethanol)에 함침된 숯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열원(P)은 토치램프 등으로 쉽게 연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원(P)인 숯은 가열수단(30)의 넓은 수납부에 많은 양이 수납될 수 있어 가열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구이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박스(10)의 개폐부(14)를 열고 내부공간(12)에 수납된 구성품을 꺼낸다. 구성품은 하부플레이트(20), 가열수단(30), 구이판(70)과 열원(P)이다. 하부플레이트(20)는 꺼내지 않고 박스(10)의 내부공간(12) 안쪽에 둘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박스(10)의 절취선(19)을 따라 박스(10) 상면을 뜯으면 원형의 개구부(18)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원형의 개구부(18) 가장자리에는 가열수단(30)이 안착된다. 가열수단(30)의 걸림단(35)이 개구부(18)의 가장자리에 걸리면 가열수단(30)은 개구부(18) 안쪽으로 떨어지지 않고 하부플레이트(20)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가열수단(30)의 수납부에 열원(P)을 담는다. 열원(P)인 숯은 가열수단(30)의 수납부에 고르게 수납될 수 있는데, 이는 수납부가 가열수단(30) 전체에 걸쳐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상기 열원(P)을 가열하면 열원(P)이 연소되면서 열을 발생시킨다. 열원(P)을 가열시키는 방법은 토치램프를 이용하거나 단순히 라이터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열원(P)은 에탄올(Ethanol)에 함침된 것이므로 쉽게 연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가열수단(30) 위쪽에 구이판(70)을 얹으면 구이판(70) 가장자리는 가열수단(30)의 걸림단(35)에 걸려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구이판(70) 상부에 식재료를 얹으면 식재료가 열원(P)의 열에 의해 구워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적은 수의 구성품으로 구성되므로 쉽게 조립할 수 있고, 별도의 열원(P)보관함 없이 가열수단(30) 안에 숯 등 연료를 직접 적재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연료를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된다. 따라서 보다 많은 양의 연료를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식재료를 가열할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남과 동시에 가열온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식재료가 구워지는 동안에는 공기는 가열수단(30)의 공기공급홀(41)을 통해 연료 쪽으로 원활하게 공급되고, 식재료로부터 발생한 유체는 가열수단(30)에 떨어지지만, 떨어진 유체는 유체배출홀(43)을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이는 공기공급홀(41)과 유체배출홀(43)이 뚤린 방향이 서로 반대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0)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가열수단(30)에서 배출되는 유체는 박스의 내부에 고이거나, 또는 외부 바닥에 직접 떨어질 수 있다.
10: 박스 12: 내부공간
20: 하부플레이트 30: 가열수단
40: 관통홀 41: 공기공급홀
43: 유체배출홀 70: 구이판
P: 열원

Claims (9)

  1. 보관을 위한 박스와,
    상기 박스에 설치되고 수납부에는 열원이 상부로 개방된 형태로 수납되며 다수개의 관통홀이 상하방향으로 개구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 위에 설치되고 상기 열원에서 발생된 열을 상부로 전달하는 동시에 식재료에서 발생되는 유체를 상기 가열수단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구이판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가열수단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를 전달하여 열원이 가열되도록 하는 공기공급홀과,
    상기 식재료에서 발생되는 유체를 가열수단 하부 방향으로 낙하시키는 유체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공급홀의 가장자리는 구이판 방향으로 돌출되어 식재료에서 발생된 유체의 통과를 방지하고, 상기 유체배출홀의 가장자리는 하부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되어 식재료에서 발생된 유체를 통과시키는 휴대용 구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의 하부에는 식재료로부터 발생하여 배출되는 유체를 보관하기 위한 하부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는 휴대용 구이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열수단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걸림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구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홀과 유체배출홀은 상기 가열수단의 바닥부에 엇갈려 각각 다수개가 배치되는 휴대용 구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의 바닥부에는 다수개의 강도보강리브가 구비되되 상기 강도보강리브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휴대용 구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중심에는 선택적으로 개방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열수단의 걸림단은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되는 휴대용 구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그물망구조로 구성되는 휴대용 구이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에탄올(Ethanol)에 함침된 숯인 휴대용 구이장치.








KR1020170079964A 2017-06-23 2017-06-23 휴대용 구이장치 KR101957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964A KR101957775B1 (ko) 2017-06-23 2017-06-23 휴대용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964A KR101957775B1 (ko) 2017-06-23 2017-06-23 휴대용 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71A KR20190000671A (ko) 2019-01-03
KR101957775B1 true KR101957775B1 (ko) 2019-03-14

Family

ID=65022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964A KR101957775B1 (ko) 2017-06-23 2017-06-23 휴대용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7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798Y1 (ko) 2005-08-31 2005-11-22 우원호 일회용 숯불구이기
KR200418879Y1 (ko) 2006-03-28 2006-06-15 김광지 불고기 구이장치
KR101495738B1 (ko) 2013-12-24 2015-02-25 정창모 구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991A (ko) * 1998-05-23 1999-12-15 윤수철 불고기판
KR20010044740A (ko) * 2001-03-21 2001-06-05 배정민 충전물 내장 고기구이 불판
KR20100086814A (ko) * 2009-01-23 2010-08-02 주식회사 비 에프 엘 조립식 화로
KR101078690B1 (ko) * 2009-03-30 2011-11-02 김용경 화염이 직접 고기에 닿지 않는 이중 직화식 구이판
KR20110067670A (ko) * 2009-12-15 2011-06-22 (주)센포유 숯 점화탄 및 그 제조방법
KR101378612B1 (ko) 2013-08-02 2014-03-27 홍길몽 일회용 구이기 셋트
KR20160085119A (ko) * 2015-01-07 2016-07-15 이진규 다기능 구이판
KR101705554B1 (ko) * 2015-07-02 2017-02-10 홍길몽 휴대용 구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이장치 가열방법
KR20170067263A (ko) * 2015-12-08 2017-06-16 지홍민 숯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798Y1 (ko) 2005-08-31 2005-11-22 우원호 일회용 숯불구이기
KR200418879Y1 (ko) 2006-03-28 2006-06-15 김광지 불고기 구이장치
KR101495738B1 (ko) 2013-12-24 2015-02-25 정창모 구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71A (ko)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6211B2 (ja) 加熱調理容器
US20130298894A1 (en) Cooking Grill Using Pellet Fuel
US20130276643A1 (en) Portable baking oven
US11976822B2 (en) Combustion chamber for pellet grills
US20090205629A1 (en) Barbecue grill
AU2019358216A1 (en) Pellet grill
KR101957775B1 (ko) 휴대용 구이장치
KR101705554B1 (ko) 휴대용 구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이장치 가열방법
US7578291B2 (en) Closed cooking system
KR20190087332A (ko)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장치
KR102447372B1 (ko) 조립식 항아리형 바비큐 장치
KR20140021939A (ko) 구이기
KR101680690B1 (ko) 휴대용 구이 장치
KR101379055B1 (ko) 반사열을 이용한 숯불 구이기
CN115666338A (zh) 便携式直火烧烤炉
JP5896951B2 (ja) 加熱調理容器
KR200359428Y1 (ko) 바비큐 구이기
KR20190048426A (ko) 가스 점화유닛을 가지는 숯불 로스터
JP3110858U (ja) 立体アーチ構造を具有するグリル装置
CN211290156U (zh) 燃气器具
KR101975121B1 (ko)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판
KR20170064365A (ko) 휴대용 구이장치
KR890008906Y1 (ko) 간이 숯불 풍로
JPS5940915Y2 (ja) 食品焼成装置
KR200384147Y1 (ko) 고기구이용 화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