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550Y1 - 점화숯을 이용하기 위한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점화숯을 이용하기 위한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550Y1
KR200321550Y1 KR20-2003-0013705U KR20030013705U KR200321550Y1 KR 200321550 Y1 KR200321550 Y1 KR 200321550Y1 KR 20030013705 U KR20030013705 U KR 20030013705U KR 200321550 Y1 KR200321550 Y1 KR 2003215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charcoal
barrel
chamber
therm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성남
Original Assignee
추성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성남 filed Critical 추성남
Priority to KR20-2003-0013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5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5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5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숯을 점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점화숯의 점화시간을 단축하고, 눈메움 및 냄새 발생 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한 점화숯을 이용하기 위한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점화숯을 연소시켜 통상의 숯에 화력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외벽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입구(22)를 갖고, 이 공기유입구(22)에는 송풍팬(24)이 설치되어 있는 연소기 본체(20)와; 상기 연소기 본체(20)의 상단 중앙에 지지되고, 하부에 점화숯을 일정량 채워 넣을 수 있는 오목한 점화실(32)과, 이 점화실(32)의 바닥면에 다수의 급기공(32a)을 갖는 점화통(30)과; 상기 점화통(30)의 내측에 삽입되고, 저면의 평탄한 바닥에 다수의 화력공(42a)을 갖는 화력통(40)을 포함하여, 상기 점화통(30)의 점화실(32)에 채워진 수개의 점화숯을 발화시켜 화력통(40)에 채워진 통상의 숯에 화력을 제공토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점화숯을 이용하기 위한 구이장치{Grill for using ignition charcoal}
본 고안은 숯을 이용한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상의 숯을 점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점화숯의 점화시간을 단축하고, 눈매움 및 냄새 발생 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한 점화숯을 이용하기 위한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숯은 기공이 작고 단단하여 높은 온도의 화력을 수십분 동안 접촉시켜야지만 발화가 일어난다.
이를 위해 숯불을 이용하는 음식점의 경우 예컨대 가스 토치를 이용하여 화력을 제공한다.
이럴 경우 작업자는 외부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먼저 화덕에 숯을 올려놓고 가스 토치로 가열을 시킨다. 이렇게 하여 숯이 벌겋게 발화가 일어나게 되면 이를 실내로 가지고 들어와 화덕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럴 경우 작업자는 매번 번거롭게 발화된 숯통을 신중하게 옮겨다니는 불편한 이동작업을 해야 하고, 또한 손님은 뜨거운 불길에 위험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운반자의 자칫 부주의한 실수로 인해 화상 등의 위험을 당하지 않는 다는 보장이 없다.
이러한 이유는 손님의 편안하고 안전한 식사를 하는데 부적절한 서비스로 보여 업소에서도 하루 빨리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23201호로 점화숯의 제조방법을 포함시켜 출원하였다.
이 출원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점화숯은 기공이 일반적인 숯보다는 상대적으로 크고 무른 성질을 가지며, 사용시에는 알콜을 점화숯에 묻혀서 점화시키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고 종래와 같이 다른 장소에서 발화를 시켜 숯통을 들고 다닐 필요가 없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알콜을 이용하여 발화시키는 점화숯에 있어 이 점화숯에 묻어 있는 알콜의 냄새 및 눈매움이 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연소가 잘 일어나도록 한 점화숯을 이용하기 위한 구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이장치의 조립단면도로서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화력통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연소기 본체
22 : 공기유입구
30 : 점화통
32 : 점화실
32a : 급기공
36 : 공극
40 : 화력통
42 : 바닥뜸실
42a : 화력공
50 : 기름받이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이장치의 조립단면도로서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화력통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1,2에서 도면부호 '20'은 연소기 본체이다.
상기 연소기 본체(20)는 대략 원통형으로 외벽(21)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입구(22)를 갖고, 이 공기유입구(22)에는 송풍팬(2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송풍팬(24)에는 구동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25)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송풍팬(40)은 초소형으로 예컨대 전류가 0.5A 이하의 것이 채택될 수 있다.
도면부호 '30'은 점화숯을 저장 연소시키는 '점화통'이다.
상기 점화통(30)은 상기 연소기 본체(20)의 상단 중앙에 지지되고, 하부에 점화숯을 일정량 채워 넣을 수 있는 원통형의 오목한 점화실(32)을 구비하고 있고, 이 점화실(32)의 바닥면에는 점화실(32)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다수의 급기공(32a)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40'은 통상의 숯(점화숯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기공이 작으며 단단한 성질을 갖는다)을 태우는 '화력통'이다.
상기 화력통(40)은 상기 점화통(30)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으로, 저면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일정 공간의 바닥뜸실(4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바닥뜸실(42)의 표면에는 다수의 화력공(42a)이 형성되어 있다.(도 3,4 참조)
이때 화력공(42a)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상기 급기공(32a)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화력공(42a)을 통해 화력통(40)에서 점화된 점화숯의 화력이 쉽게 화력통(40)내의 숯에 직접 전달되기 위함이다.
상기 바닥뜸실(42)은 상기 화력통(40)에 담긴 통상의 숯이 점화통(30)의 점화실(32)내에 담긴 점화숯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점화숯에 묻혀진 알콜로부터 증발된 가스가 모여 착화를 쉽게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점화통(30)과 상기 화력통(40)과의 사이에 형성된 원주방향의 둘레로 수 밀리밀리에서 수십 밀리까지 일정한 공극(36)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극(36)으로 인해 화력통(40)에서 발화된 숯의 화력 열이 점화통(30)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줄이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점화통(30)은 상기 연소기 본체(20)의 상단에 거치된 기름받이대(50)를 매개로 거치되어 있으나 연소기 본체(20)의 상단에 직접 거치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점화숯 연소장치는 연소기 본체(20)의 상단에 기름받이대(50)가 올려져 지지된다.(도 1 참조)
이 상태에서 기름받이대(50)의 중앙에 점화통(30)이 배치되어 기름받이대(50)의 중앙에 돌출된 환형의 걸림턱(51)에 점화통(30)이 거치되고, 이 점화통(30)의 내측에 화력통(40)이 삽입 위치된다.
이때 점화통(30)의 점화실(32)에는 소정량의 점화숯(5)이 채워지고, 이 점화숯(5) 3~5개에는 알콜이 묻혀진다.
이는 점화숯(5)을 점화통(30)내에 담아두고 알콜을 점화숯(5) 몇 개에 적당량 뿌려서 이루어지거나, 아니면 미리 몇 개의 점화숯(5)에 미리 알콜을 묻혀서 채워넣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화력통(40)의 내부에는 점화숯(5)보다 상대적으로 단단하고 기공이 작으며 크기가 큰 통상의 숯(6)이 채워진다.
이렇게 되면 통상의 숯(6)은 화력통(40)의 밑면에 의해 그 하방측에 위치하는 점화숯(5)과 물리적으로 접촉되지 않는다.
이는 본 고안에서 통상의 숯(6)이 점화숯(5)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다음과 같은 유리한 이점을 갖게 된다.
즉, 통상의 숯(6)에 함유되어 있는 미량의 수분이 점화숯(5)에 비접촉되므로 점화숯(5)이 수분의 영향을 받지 않아 점화를 빠르게 하고 완전연소가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점화숯(5)과 통상의 숯(6)이 준비되어, 각기 점화통(30)과 화력통(40)에 채워져 도 1과 같이 설치가 완료되면 점화숯(5)의 상방 즉, 화력통(40)의 밑면측 바닥뜸실(42)에는 점화숯(5)에 묻어진 알콜이 증발하여 알콜가스가 모여있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길고 끝단에 전기적 불꽃을 일으키는 통상의 점화기구(100)의 끝단측 착화단을 바닥뜸실(42)에 가까이 데고 불꽃을 일으키면 알콜가스가 순간적으로 발화되면서 알콜이 묻어 있는 점화숯(5)에 점화가 신속히 일어난다.
이때 스위치(25)의 온 구동신호에 의해 송풍팬(24)이 회전되면 외기가 급기공(32a)을 통과하여 점화실(32)로 유입되면서 산소가 불어넣어져 점화숯(5) 전체가 수십초 이내로 발화된다.
이때 점화숯(5)은 기공이 크고 무르고 일반적인 숯보다 저온에서 점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기 때문에 연속적이고 신속히 전체가 발화된다.
더욱이 점화숯(5)은 통상의 숯(6)과 이격되어 있어 수분의 발생이 없으며,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눈이 맵거나 냄새가 나지는 않는다.
점화숯(5)의 발화력은 송풍팬(24)의 급기에 의해 더욱 거세지고, 이 화력에 의해 통상의 숯(6)은 전체적으로 발화가 신속히 이루어진다.
즉, 점화숯을 사용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별도로 실외로 가지고 나가 점화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고기 구이 음식점에서 사용하더라도 점화한 후 이동이 없게 되므로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고기란 갈비를 포함한 육류, 생선 그 밖의 모든 구이의 대상이 되는 것을 통칭한다.
한편, 화력통(40)내의 숯이 타는 도중에 측방으로 발산되는 열은 화력통(40)과 점화통(30)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36)에 의한 1차 단열구조 및 점화통(30) 자체의 2차 단열구조에 의해 열 손실이 줄어들어 화력통(40)에서는 높은 열량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화력통(40)의 바닥면을 평탄하게 구성하여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점화통(30)에 점화숯을 담은 후 가스토치(예로, 부탄가스통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토치)로 점화숯 2~3개에 발화시킨 후 화력통(40)을 점화통(30)에 얹혀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알콜을 사용하지 않고도 화력통(40)에 담긴 일반적인 숯에 화력을 쉽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점화통(30)에 목탄의 한 종류인 점화숯이 들어가는 것으로 한정하였지만 본 고안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점화숯을 이용하기 위한 구이장치에 따르면, 점화통의 점화실에 채워진 수개의 점화숯에 알콜을 묻혀놓은 후 화력통에 통상의 숯을 채워서 점화통에 삽입 거치시켜 놓으면 화력통 하부측 바닥뜸실로 알콜 가스가 채워져 착화가 신속히 일어나고 눈메움현상이나 냄새가 없고, 점화숯의 완전연소와 함께 2단 열차단구조에 의해 높은 화력을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점화숯을 연소시켜 통상의 숯에 화력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외벽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입구(22)를 갖고, 이 공기유입구(22)에는 송풍팬(24)이 설치되어 있는 연소기 본체(20)와;
    상기 연소기 본체(20)의 상단 중앙에 지지되고, 하부에 점화숯을 일정량 채워 넣을 수 있는 오목한 점화실(32)과, 이 점화실(32)의 바닥면에 다수의 급기공(32a)을 갖는 점화통(30)과;
    상기 점화통(30)의 내측에 삽입되고, 저면의 평탄한 바닥에 다수의 화력공(42a)을 갖는 화력통(40)을 포함하여,
    상기 점화통(30)의 점화실(32)에 채워진 수개의 점화숯을 발화시켜 화력통(40)에 채워진 통상의 숯에 화력을 제공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숯을 이용하기 위한 구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력통(40)의 저면에 상기 다수의 화력공(42a)을 갖고 상방으로 돌출된 일정 공간의 바닥뜸실(42)을 구비하여, 상기 점화통(30)의 점화실(32)에 채워진 수개의 점화숯에 알콜을 묻혀놓은 후 화력통(40)에 통상의 숯을 채워서 점화통(30)에 삽입 거치시켜 놓으면 바닥뜸실(42)로 알콜 가스가 채워져 착화가 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숯을 이용하기 위한 구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통(30)은 상기 연소기 본체(20)의 상단에 거치된 기름받이대(50)를 매개로 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숯을 이용하기 위한 구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통(30)과 상기 화력통(40)과의 사이에는 둘레로 일정한 공극(36)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숯을 이용하기 위한 구이장치.
KR20-2003-0013705U 2003-05-01 2003-05-01 점화숯을 이용하기 위한 구이장치 KR2003215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705U KR200321550Y1 (ko) 2003-05-01 2003-05-01 점화숯을 이용하기 위한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705U KR200321550Y1 (ko) 2003-05-01 2003-05-01 점화숯을 이용하기 위한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550Y1 true KR200321550Y1 (ko) 2003-07-28

Family

ID=4941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705U KR200321550Y1 (ko) 2003-05-01 2003-05-01 점화숯을 이용하기 위한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5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2342A1 (ko) * 2012-09-12 2014-03-20 Kim Young Bong 구이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2342A1 (ko) * 2012-09-12 2014-03-20 Kim Young Bong 구이 용기
JP2015531645A (ja) * 2012-09-12 2015-11-05 セジン ハイテック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焼き器
US9861231B2 (en) 2012-09-12 2018-01-09 Sejin Hightech Co., Ltd Roas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91622B2 (en) Burner for household or recreational use
KR20100052585A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US20190162411A1 (en) Integrated gas igniter for solid fuel fire pit
KR100462938B1 (ko) 할로겐 램프에 의해 참숯을 가열하는 로스터 및 가열방법
KR101153703B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CN107339688B (zh) 颗粒燃料燃烧用烘烤机
KR200321550Y1 (ko) 점화숯을 이용하기 위한 구이장치
KR200425017Y1 (ko) 숯불 구이장치
KR20110060131A (ko) 세라콜이 설치된 가스 및 숯불겸용 로스터
KR101650175B1 (ko) 가연성 숯 착화 용기
KR101664456B1 (ko) 가스를 이용한 직화 구이기
US10624495B2 (en) Ignition device using pellet fuel
KR200439230Y1 (ko) 과열방지용 이동식 부탄연소기
KR101282727B1 (ko) 휴대용 조리기
JP6927781B2 (ja) 両面焼きグリル
KR100495670B1 (ko) 상업용 가스밥솥의 버너
KR200240774Y1 (ko) 화로형 맥반석 난로
KR200375333Y1 (ko) 회전식 숯 점화장치
KR102390179B1 (ko) 캠핑용 다기능 구이기
JPH06165730A (ja) 容器の保持装置
KR102241542B1 (ko) 타원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200250356Y1 (ko) 고기구이기
KR200414273Y1 (ko) 연소기
KR200390620Y1 (ko) 자동점화밸브가 부착된 가스그리들/오븐
KR200390619Y1 (ko) 자동점화밸브가 부착된 가스렌지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