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774Y1 - 화로형 맥반석 난로 - Google Patents

화로형 맥반석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774Y1
KR200240774Y1 KR2020010002109U KR20010002109U KR200240774Y1 KR 200240774 Y1 KR200240774 Y1 KR 200240774Y1 KR 2020010002109 U KR2020010002109 U KR 2020010002109U KR 20010002109 U KR20010002109 U KR 20010002109U KR 200240774 Y1 KR200240774 Y1 KR 200240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anban stone
stove
plate
hea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욱
Original Assignee
애드윈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드윈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드윈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2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7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774Y1/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화로의 위험성과 번거러움을 해결하는 화로형 맥반석 난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열의 절연체이며 이중벽으로 설치되어 지그재그로 관통하는 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걸림턱에 놓여지는 맥반석판과, 맥반석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안전덮개와, 맥반석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맥반석판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화로형 맥반석 난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화로형 맥반석 난로{FIRE POT TYPE GANGUE STOVE}
본 고안은 화로형 난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맥반석판을 가열판으로 하는 화로형 맥반석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난방의 종류로는 온돌과 같이 바닥을 가열하는 바닥난방과히터, 라디에이터, 벽난로 및 화로와 같이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난방으로 나눌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종래에는 바닥난방이 주류를 이루었지만 점차로 침대문화가 발달하면서 공기난방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공기난방을 위한 공기 가열원은 히터나 화로같은 이동식과 라디에이터와 같은 고정식이 있다. 여기서 이동식은 이동이 가능하므로 장소를 이동시키며 사용하기에 편리하나 화재의 위험이 있고, 고정식은 증기로 난방하므로 화재의 위험은 없으나 이동이 불편하다.
한편 화로는 통상 놋쇠나 도기로 제작되며 숯불을 담고 그 위를 재로 덮어 불씨를 보관하게 된다. 한편 전통적인 난방방법인 온돌난방은 바닥은 따뜻하지만 공기가 차가우므로 화로가 공기를 따뜻하게 하는 보조수단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화로는 재위에 고구마나 밤같은 음식물을 굽거나 데울 때 간이 취사도구로도 사용된다. 더불어 화로는 겨울철에 가족이 모여 대화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게 되므로 가족간의 정이 돈독하게 되어 세대간의 갈등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종래의 화로는 내부에 불씨가 남아 있으므로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발생될 수 있고 가스나 기름에 의한 난방이 일반화되므로 별도로 숯불을 준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난로제조업체에서 전통적인 화로의 개발은 뒤로 미루고 서구식 난로의 개발에만 역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장점을 살리면서 단점을 해결할 화로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로의 위험성과 번거러움을 해결하는 화로형 맥반석 난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2 : 맥반석판
14 : 안전덮개 16 : 가열수단
20 : 걸림턱 30 : 전열코일
36 : 타이머 40 : 가스버너
42 : 가스탱크 44 : 안정기
50 : 석유버너 52 : 석유탱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열의 절연체이며 이중벽으로 설치되어 지그재그로 관통하는 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걸림턱에 놓여지는 맥반석판과, 맥반석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안전덮개와, 맥반석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맥반석판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화로형 맥반석 난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대한 제1실시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로형 맥반석 난로는 본체(10)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맥반석판(12)과, 맥반석판(12)의 상부에 설치되는 안전덮개(14)와, 맥반석판(12)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열수단(16)인 전열코일(3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체(10)는 열의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열의 전도도가 낮고 고온에 잘 견디는 세라믹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는 상방으로 개구되고 이중벽으로 설치되며 지그재그로 다수개의 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0)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복사열의 형태로 직접 방출되지 않고 이중벽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방출된다.
한편 본체(10)의 내측 상부에는 맥반석판(12)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걸림턱 (20)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맥반석판(12)은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걸림턱(20)에 놓여지며 가열수단(16)에 의해 가열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은 통상 가시광선보다 긴 파장인 5.6㎛에서 1000㎛까지의 파장영역을 말한다.
한편 원적외선은 세포의 심층까지 침투하여 세포를 진동시켜 주므로 체온이 상승하게 되어 땀이 발생되고 노폐물이 이 땀과 함께 배출된다. 또한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혈류가 개선되고 세포가 활성화 되어 피부에 탄력을 주거나 기억력을 증진시키게 된다. 또한 맥반석판(12)이 가열되므로 맥반석판(12)위에 고구마나 밤같은 음식물을 올려놓아 굽거나 데우므로 간이취사를 할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안전덮개(14)는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안전덮개(14)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의 상부에는 손잡이(2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전덮개(14)는 어린이와 노약자들이 고열의 맥반석판(12) 위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더불어 음식물을 보온할 때 안전덮개(14)위에 음식물을 얹어 놓으므로 보온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가열수단(16)으로는 맥반석판(12)의 하부에 전기에너지을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전열코일(30)이 설치된다.
전열코일(30)은 맥반석판(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류를 인가하므로 전열코일(30)이 발열하게 되어 맥반석판(12)이 가열된다.
여기서 전열코일(30)은 지지대(32)에 의해 지지되는 절연체(34)의 상부에 형성된 요부에 삽입되며 전선을 통하여 전원에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전원에 연결되는 중간에 타이머(36)가 장착되어 일정시간 후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므로 안전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전열코일(30)은 맥반석판(12)을 가열하게 되고 가열된 맥반석판(12)은 원적외선을 방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로형 맥반석 난로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맥반석판(12)과, 맥반석판(12)의 상부에 설치되는 안전덮개(14)와, 맥반석판(12)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열수단(16)인 가스버너(40)로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의 화로형 맥반석 난로는 맥반석판(12)과 안전덮개(14)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본체(10)와 가열수단(16)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체(10)는 열의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열의 전도도가 낮고 고온에 잘 견디는 세라믹으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는 상방으로 개구되고 이중벽으로 설치되며 지그재그로 다수개의 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0)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복사열의 형태로 직접 방출되지 않고 이중벽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방출된다.
한편 본체(10)의 내측 상부에는 맥반석판(12)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걸림턱(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스버너(40)의 연소를 위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본체(10)의 하부에 제1통기공(10a)이 설치되고 연소가스가 방출되도록 본체(10)의 상부에 제2통기공 (10b)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가열수단(16)으로는 맥반석판(12)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스를 연소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가스버너(40)가 설치된다.
가스버너(4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지지대(46)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에는 가스를 분출하며 연소시키는 노즐(40a)이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48)이 연결되며, 공급관(48)과 가스탱크(42)사이에는 안정기(44)가 설치되어 일정한 압력으로 가스버너(40)에 가스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가스버너(40)는 본체(10)와 가스탱크(42)를 일체로 결합하여 가스를 공급하는 일체형과 본체(10)와 가스탱크(42)를 별도로 분리하여 가스를 공급하는 분리형이 둘다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화로형 맥반석 난로의 안전을 위하여 분리형으로 설치하여 가스를 공급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대한 제3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로형 맥반석 난로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맥반석판(12)과, 맥반석판(12)의 상부에 설치되는 안전덮개(14)와, 맥반석판(12)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열수단(16)인 석유버너(50)로 이루어진다.
제3실시예의 화로형 맥반석 난로는 맥반석판(12)과 안전덮개(14)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고 본체(10)와 가열수단(16)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체(10)는 열의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열의 전도도가 낮고 고온에 잘 견디는 세라믹으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는 상방으로 개구되고 이중벽으로 설치되며 지그재그로 다수개의 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0)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복사열의 형태로 직접 방출되지 않고 이중벽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방출된다.
한편 본체(10)의 내측 상부에는 맥반석판(12)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걸림턱 (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석유버너(50)의 연소를 위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본체(10)의 하부에 제1통기공(10a)이 설치되고 연소가스가 방출되도록 본체(10)의 상부에 제2통기공 (10b)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가열수단(16)으로는 맥반석판(12)의 하부에 설치되며 가스를 연소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석유버너(50)가 설치된다.
석유버너(50)는 석유를 흡수하는 심지(56)와 내부에 심지(56)가 삽입되는 원통형 가이드(54)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심지(56)의 하부에는 석유탱크(52)가 설치되어있다.
여기서 심지(56)는 석유를 흡수하여 심지(56)의 상단부까지 상승시킨다. 또한 심지(56)의 상단부에서는 액체상태의 석유가 기화되어 연소되므로 열에너지가 발생된다.
한편 석유버너(50)는 본체(10)와 석유탱크(52)를 일체로 결합하여 석유를 공급하는 일체형과 본체(10)와 석유탱크(52)를 별도로 분리하여 석유를 공급하는 분리형이 둘다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석유탱크(52)를 결합한 일체형으로 석유를 공급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대한 작용에 대해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20)위에 맥반석판(12)을 올려놓고 맥반석판(12)의 상부에 안전덮개(14)를 올려놓은 후 가열수단(16)을 통하여 맥반석판 (20)을 가열한다.
즉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열코일(30)을 전원에 연결하여 전류를 인가하므로 전열코일(30)을 적열시켜 맥반석판(20)을 가열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스버너(40)에 가스를 공급하고 점화시켜 연소시키므로 맥반석판(12)을 가열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석유버너(50)에 석유를 공급하고 점화시켜 연소시키므로 맥반석판(12)을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가열수단(16)에 의해 발생된 열은 본체(10)의 걸림턱(20)에 놓여진 맥반석판(12)을 가열하게 되고 일부는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 (1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맥반석판(12)을 가열하게 되면 맥반석판(12)에서 원적외선이 발생하여 안전덮개(14)에 형성된 구멍(22)을 통하여 외부로 원적외선을 방출하게 된다. 이렇게 안전덮개(14)의 구멍(22)을 통하여 방출되는 원적외선의 일부는 사람에게 전달되어 피부의 심층까지 침투하여 세포을 진동시켜 주므로 체온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모세혈관이 확장되고 세포가 활성화 되므로 피부에 탄력을 주고 기억력 증진에 도움이 된다.
한편 맥반석판(12)위에 고구마나 밤같은 음식물을 얹어 놓으므로 굽거나 데우므로 간이취사를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화로형 맥반석 난로는 소화한 후에는 불씨가 남아있지 않으므로 화재가 방지되며, 바로 점화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숯불이 필요없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맥반석판에서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므로 원적외선이 세포의 심층까지 침투하여 세포를 진동시켜 주므로 체온이 상승되어 땀을 통하여 노폐물이 체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모세혈관의 혈류가 개선되므로 세포가 활성화 되어 피부에 탄력을 주거나 기억력을 증진시키게 된다.

Claims (4)

  1. 난로에 있어서,
    열의 절연체이며 이중벽으로 설치되어 지그재그로 관통하는 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걸림턱에 놓여지는 맥반석판과, 상기 맥반석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안전덮개와, 상기 맥반석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맥반석판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화로형 맥반석 난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전열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로형 맥반석 난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가스버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로형 맥반석 난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석유버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로형 맥반석 난로.
KR2020010002109U 2001-01-30 2001-01-30 화로형 맥반석 난로 KR200240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109U KR200240774Y1 (ko) 2001-01-30 2001-01-30 화로형 맥반석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109U KR200240774Y1 (ko) 2001-01-30 2001-01-30 화로형 맥반석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774Y1 true KR200240774Y1 (ko) 2001-09-25

Family

ID=7306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109U KR200240774Y1 (ko) 2001-01-30 2001-01-30 화로형 맥반석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7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423B1 (ko) * 2002-03-29 2004-04-17 (주)대상에스코테크 전열식 화로
KR101764602B1 (ko) 2016-01-18 2017-08-04 최인상 가스 벽난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423B1 (ko) * 2002-03-29 2004-04-17 (주)대상에스코테크 전열식 화로
KR101764602B1 (ko) 2016-01-18 2017-08-04 최인상 가스 벽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95506A1 (en) Kiln
AU739705B2 (en) Electric cooking oven with infrared gas broiler
EP3505825B1 (en) Combustion device
US10920989B2 (en) Kiln and heating method thereof
US10920988B2 (en) Kiln
US10823426B2 (en) Kiln
EP3504975A1 (en) Kiln
KR200240774Y1 (ko) 화로형 맥반석 난로
KR200236785Y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구이실 가열 시스템
KR200362233Y1 (ko) 숯 화덕을 구비한 로스터
KR101694156B1 (ko) 다기능 구이기
KR200385433Y1 (ko) 다목적 난방기
KR200310161Y1 (ko) 불판 겸용 석쇠
KR101729401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세라믹 발열렌지
KR200236784Y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구이실 가열 시스템
JP3155094U (ja) コンロ及びコンロ用の加熱装置
JPH0714722Y2 (ja) 煮炊機用ガスかまど
KR100426423B1 (ko) 전열식 화로
KR200321550Y1 (ko) 점화숯을 이용하기 위한 구이장치
JP2024068034A (ja) [発明の名称]発熱蓄熱ブロック、火起しユニットおよび火起し兼炭火調理器
KR100692081B1 (ko) 구이기용 버너
JPS5840435A (ja) 調理器
KR20030093570A (ko) 가스복사조리기의 단열구조
KR200278261Y1 (ko) 전열식 화로
CN108131688A (zh) 电热炉和燃气炉组合的多头炉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