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542B1 - 타원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타원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542B1
KR102241542B1 KR1020190170296A KR20190170296A KR102241542B1 KR 102241542 B1 KR102241542 B1 KR 102241542B1 KR 1020190170296 A KR1020190170296 A KR 1020190170296A KR 20190170296 A KR20190170296 A KR 20190170296A KR 102241542 B1 KR102241542 B1 KR 102241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discharge
discharge
combustion chamber
oval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중
Original Assignee
조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태중 filed Critical 조태중
Priority to KR1020190170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37/079Charcoal igni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원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에 있어서, 특히 장작 연소실과, 두껍고 크기가 큰 타원형 고기 구이판으로 이루어지되, 고기 구이판의 중심부를 통해 연통을 설치하고, 타원형 고기 구이판의 하부에 장작 연소실을 결합하며, 상기 장작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열이 타원형 고기 구이판으로 전달되고, 동시에 장작 연소실에서 발생한 연기가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되며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를 통해 장작을 삽입하여 불을 피우는 연소실(1000)과; 상기 연소실의 상부에 결합되며 원형패널로 이루어지며, 패널의 상부에 고기를 탑재한 상태에서 장작 연소실에서 제공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기위한 타원형 구이판(2000)과; 상기 타원형 구이판에 일체형으로 연장 설치되며, 장작 연소실에 직접 맞닿지는 않지만 타원형 구이판의 열기를 전달받아 잔열이 존재하며 구워진 고기를 탑재하여 식지 않은 상태를 유지시키는 연장 패널(3000)과; 상기 연장 패널의 외측에 설치되며 볼록하게 돌출 설치되어 조리시에 음식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음식물 넘침 방지용 단턱(4000)과; 상기 음식물 넘침 방지용 단턱의 외측에 설치되며 타원형 구이판의 열기를 완전히 차단한 상태이고 반찬이가 밥을 탑재할 수 있고, 취식자가 구워진 고기를 꺼내어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취식용 패널(5000)과; 상기 타원형 구이판의 정 중앙에 설치하되 장작 연소실의 정 중앙에 위치하며 장작 연소실에서 발생된 연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연통(6000)과; 상기 취식용 패널과 타원형 구이판의 일부를 절단하여 이루어지며, 조리사가 들어가서 타원형 구이판에 각종 재료를 투입후 요리 작업을 진행하기 용이한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용 공간부(7000)와; 상기 연소실의 하우징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에어 공급수단으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취식자에게 제공하는 에어공급장치(8100)와; 상기 에어공급장치 형성하되, 연소실 주변에 앉는 취식자에게 고르게 에어를 공급하도록 다수개 형성되는 에어공급용 홀(8200)과; 상기 에어공급장치를 연소실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83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타원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A Large Sized Roasting Steel Plate}
본 발명은 타원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작 연소실과, 두껍고 크기가 큰 타원형 고기 구이판으로 이루어지되, 고기 구이판의 중심부를 통해 연통을 설치하고, 타원형 고기 구이판의 하부에 장작 연소실을 결합하며, 상기 장작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열이 타원형 고기 구이판으로 전달되고, 동시에 장작 연소실에서 발생한 연기가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고기나 돼지고기 등 육류를 조리하는 방법으로는 삶거나 튀기는 조리 방법도 있으나 일반 식당이나 가정에서는 양념한 고기를 구워서 조리하는 방법도 많이 사용된다.
육류를 굽기 위해 과거부터 사용되는 방법은 숯(Charcoal)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숯불로 구운 고기가 맛이 좋은 것은 숯에서 나오는 원적외선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원적외선이란 적외선 중에서 파장이 긴 적외선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다른 영역의 적외선에 비해 열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고기를 구울 때 그 불에는 다양한 파장의 빛이 존재하는데, 가열은 적외선 영역의 빛이 주로 담당한다.
그런데, 적외선 영역 중에서도 파장이 짧은 영역의 빛은 고온으로 육류를 익히는 과정에서 육류가 많이 타게 되나, 적외선 영역 중에서 파장이 긴 원적외선의 경우에는 온도는 낮으나 열량이 풍부하여 육류를 태우지 않고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숯불은 일반 불에 비해 원적외선을 많이 방출하기 때문에 태우는 것보다 주로 익히는 작용을 하게 되어 육류가 잘 타지 않으면서도 겉과 속이 잘 익게 된다.
또한, 숯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숯불의 복사열로 육류를 익히게 되므로 육류의 육즙이 증발하지 않게 되어 육류의 풍부한 맛을 느끼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는 숯불구이기는 숯불이 넣어지는 화덕이 하부측에 구성되고 상부측에는 고기가 올려지는 불판이 구성되어 불판에 올려진 고기가 숯불구이기의 숯불열을 직접적으로 받게 되어 고기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고기가 쉽게 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다시 말해, 불판에 올려진 고기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고기에 함유된 기름이 떨어지게 되는 바, 이러한 기름이 불판의 하부측에 구성되는 숯불측으로 그대로 떨어지게 되고 떨어진 기름에 의해 숯불에 강한 화염이 발생되어 화염이 직접적으로 구워지는 고기에 닿게 됨으로써 고기가 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양념갈비의 경우에는 갈비에 묻혀진 양념국물이 그대로 숯불에 떨어지기 때문에,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많은 연기가 발생되고 또한 직접적인 화염에 의해 고기가 쉽게 타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근자들어서는, 가스를 이용하여 고기를 직접 굽는 방식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가스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방법은 편리한 반면 가스불의 센 화력에 의해 고기가 쉽게 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적외선에 의한 복사열로 고기를 익히는 것이 아니라 대류열에 의하여 고기를 익히게 되므로 고기의 육즙이 증발하여 고기의 풍부한 맛을 잃게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열을 이용한 할로겐과 같은 발열램프를 구성하여 고기를 전기열로 굽는 전기 로스터가 안출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전기 로스터를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제20-0371734호인 개량형 전기 로스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일정크기이며 중앙 하부로 경사지는 내부판이 내측에 구비되는 외통과, 상기 내부판의 상측에 설치되어 열기를 발산하는 할로겐 히터와, 상기 할로겐 히터의 후측에 설치되되, 상기 할로겐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반사하도록 상기 할로겐 히터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며 상기 할로겐 히터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세라믹재질의 반사판과, 상기 내부판의 상측에 착탈이 가능하게 구비되되 고기가 그 상부에 놓여지는 구이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개량형 전기식 로스터는 할로겐 히터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 열기와 세라믹 재질의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거나 자체발생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고기의 내외부를 단시간에 굽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반사판이 할로겐 히터의 측면에서 할로겐 히터열을 상부측으로만 반사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반사판의 반사효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기를 구워먹음과 동시에 국물이 있는 불고기나 전골류 찌개 등을 같이 조리하여 먹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원통 또는 다각형통 형태의 장작 연소실을 구비하고, 상기 장작 연소실의 상부에 고기 구이판을 설치하되, 상기 고기 구이판의 중앙에 홀을 형성하고 그 홀을 통해 연통을 설치하여 구성토록하고, 이로 인하여 고기 구이판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도록함과 동시에 상기 고기 타원형 구이판에 전달되는 열기를 통해 각종 구이와 찌게류 등을 뎁혀서 취식할 수 있도록하며, 아울러 장작 연소실을 통해 곧바로 연통이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연기가 실내에 퍼지지 않고 실외로 곧바로 출력되도록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착석자의 전방으로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여 시원한 상태로 취식이 가능토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기 구이판의 일단에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오염물질 제거수단을 더 설치하여 고기 구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을 적절히 제거토록하여 양질의 식사 환경을 제공코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며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를 통해 장작을 삽입하여 불을 피우는 연소실(1000)과; 상기 연소실의 상부에 결합되며 원형패널로 이루어지며, 패널의 상부에 고기를 탑재한 상태에서 장작 연소실에서 제공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기위한 타원형 구이판(2000)과; 상기 타원형 구이판에 일체형으로 연장 설치되며, 장작 연소실에 직접 맞닿지는 않지만 타원형 구이판의 열기를 전달받아 잔열이 존재하며 구워진 고기를 탑재하여 식지 않은 상태를 유지시키는 연장 패널(3000)과; 상기 연장 패널의 외측에 설치되며 볼록하게 돌출 설치되어 조리시에 음식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음식물 넘침 방지용 단턱(4000)과; 상기 음식물 넘침 방지용 단턱의 외측에 설치되며 타원형 구이판의 열기를 완전히 차단한 상태이고 반찬이가 밥을 탑재할 수 있고, 취식자가 구워진 고기를 꺼내어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취식용 패널(5000)과; 상기 타원형 구이판의 정 중앙에 설치하되 장작 연소실의 정 중앙에 위치하며 장작 연소실에서 발생된 연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연통(6000)과; 상기 취식용 패널과 타원형 구이판의 일부를 절단하여 이루어지며, 조리사가 들어가서 타원형 구이판에 각종 재료를 투입후 요리 작업을 진행하기 용이한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용 공간부(7000)와; 상기 연소실의 하우징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에어 공급수단으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취식자에게 제공하는 에어공급장치(8100)와; 상기 에어공급장치 형성하되, 연소실 주변에 앉는 취식자에게 고르게 에어를 공급하도록 다수개 형성되는 에어공급용 홀(8200)과; 상기 에어공급장치를 연소실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83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연소실의 일단에는 오염공기를 태우기 위한 오염공기 버너부(20)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오염공기 버너부는,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과;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에 장착되어 아크방전을 자동으로 재점화 시키기 위한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과; 상기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에 연결되어 아크방전 재점화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치 수단(22)은, 상기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의 테두리면에 설치되어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이 회전하면 동시에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22a)와; 상기 피니언 기어(22a)의 회전에 의해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이며 피니언 기어(22a)와 접촉면에 랙기어(22e)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b)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b)의 내측에 결합되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b)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c)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b)의 끝단과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b)의 시작단에 각각 접속되며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의 스위칭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인장 스프링(22d)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는, 12볼트 리듐전지, 차량용 축전지 또는 일반용 전지를 다수개 직렬 연결하여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직류 전원부(101)와; 상기 직류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회전될때 스위칭되어 온이 되는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치(102)와; 상기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승압 회로부(103)와; 상기 발진 승압 회로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108)와; 상기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고압을 발생시키는 고압 승압 회로부(107)와; 상기 고압 승압 회로부에 의해서 공급되는 고압의 전원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고압 방전 간격제(113a, 113b)와; 상기 고압 방전 간격제에 의해서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점화시켜 불꽃이 타오르도록 유도하는 방전 전극(114)과; 상기 방전 전극과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 및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공간부에 불꽃이 발생되면 열전자에 의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되어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차단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바람이나 습기에 의해서 아크 방전 불꽃이 꺼지면 열전자의 소멸로 인하여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이에 따라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온 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하는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통 또는 다각형통 형태의 장작 연소실을 구비하고, 상기 장작 연소실의 상부에 고기 구이판을 설치하되, 상기 고기 구이판의 중앙에 홀을 형성하고 그 홀을 통해 연통을 설치하여 구성토록하고, 이로 인하여 고기 구이판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도록함과 동시에 상기 고기 구이판에 전달되는 열기를 통해 각종 구이와 찌게류 등을 뎁혀서 취식할 수 있도록하며, 아울러 장작 연소실을 통해 곧바로 연통이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연기가 실내에 퍼지지 않고 실외로 곧바로 출력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착석자의 전방으로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여 시원한 상태로 취식이 가능토록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기 구이판의 일단에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오염물질 제거수단을 더 설치하여 고기 구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을 적절히 제거토록하여 양질의 식사 환경을 제공코자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기 구이 장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조리용 공간부를 갖는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타원형 구이판을 갖는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에어공급장치를 갖는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오염공기 제거를 위한 아크방전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아크방전 회로의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1 동작도.
도 8은 본 발명의 아크방전 회로의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2 동작도.
도 9는 본 발명의 아크방전 회로의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3 동작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기 구이 장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조리용 공간부를 갖는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타원형 구이판을 갖는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에어공급장치를 갖는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오염공기 제거를 위한 아크방전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아크방전 회로의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1 동작도.
도 8은 본 발명의 아크방전 회로의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2 동작도.
도 9는 본 발명의 아크방전 회로의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3 동작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연소실(1000)과, 타원형 구이판(2000)과, 열 전달용 연장패널(3000)과, 음식물 넘침 방지용 단턱(4000)과, 취식용 패널(5000)과, 연통(6000)과, 조리용 공간부(7000)와, 에어공급장치(8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소실(1000)은 지면에 설치되며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를 통해 장작을 삽입하여 불을 피울수 있다.
상기 타원형 구이판(2000)은 연소실의 상부에 결합되며 원형 패널로 이루어지며, 패널의 상부에 고기를 탑재한 상태에서 연소실에서 제공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다.
상기 연장 패널(3000)은 타원형 구이판에 일체형으로 연장 설치되며, 연소실에 직접 맞닿지는 않지만 타원형 구이판의 열기를 전달받아 잔열이 존재하며 구워진 고기를 탑재하여 식지 않은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음식물 넘침 방지용 단턱(4000)은 연장 패널의 외측에 설치되며 볼록하게 돌출 설치되어 조리시에 음식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취식용 패널(5000)은 음식물 넘침 방지용 단턱의 외측에 설치되며 타원형 구이판의 열기를 완전히 차단한 상태이고 반찬이가 밥을 탑재할 수 있고, 취식자가 구워진 고기를 꺼내어 취식할 수 있는 영역이다.
상기 연통(6000)은 타원형 구이판의 정 중앙에 설치하되 연소실의 정 중앙에 위치하며 연소실에서 발생된 연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리용 공간부(7000)는 취식용 패널과 타원형 구이판의 일부를 절단하여 이루어지며, 조리사가 들어가서 타원형 구이판에 각종 재료를 투입후 요리 작업을 진행하기 용이한 조리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공급장치(8100)는 연소실의 하우징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에어 공급수단으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취식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에어공급장치에는 에어공급용 홀(8200)이 다수개 장착되어 있는바, 연소실 주변에 앉는 취식자에게 고르게 에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공급장치는 고정장치(8300)에 의해서 연소실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에어를 송풍하도록 유도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연소실(1000)과, 타원형 구이판(2000)과, 열 전달용 연장패널(3000)과, 음식물 넘침 방지용 단턱(4000)과, 취식용 패널(5000)과, 연통(6000)과, 조리용 공간부(7000)와, 에어공급장치(8100)와, 에어 공급용 홀(8200)과, 고정장치(8300)로 이루어지는바, 먼저 지면에 연소실(100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연소실(1000)은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으로 설치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원통형 연소실(1000)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연소실(1000)은 공간부를 갖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공간부에 장작을 삽입하고 연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연소실(1000)의 상부에는 타원형 구이판(2000)을 설치하는바, 상기 타원형 구이판(2000)은 철재로 이루어져 연소실(100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보다 용이하게 타원형 구이판 몸체로 흡수하여 타원형 구이판의 상부에 올려지는 고기를 보다 용이하게 구울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타원형 구이판(2000)은 연소실(1000)의 모양에 상응하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연소실(1000)의 형태가 원통형이면 원형패널로 제작한다.
상기 타원형 구이판(2000)의 외측에는 열 전달용 연장패널(3000)이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열 전달용 연장패널(3000)은 타원형 구이판(2000)에 발생된 열기를 전달받아 일정한 열을 유지하도록 하여, 특히 타원형 구이판(2000)에서 구워진 고기가 식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열 전달용 패널(3000)의 외측에 취식용 패널(5000)을 설치하고, 상기 취식용 패널(5000)은 열차단막 외측에 설치되므로 열기가 없는 상태이며, 취식용 패널(5000)에는 각종 반찬류와 밥이나 국 등을 탑재한 상태에서 취식자가 식사를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열 전달용 연장패널에 존재하는 고기를 가져다가 취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타원형 구이판의 정중앙에 연통(6000)을 설치하여 연소실(1000)의 정 중앙에 연통이 위치되도록하며, 상기 연통(6000)을 통해 연소실(1000)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출력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연통(6000)과 연소실(1000)이 접면되기 때문에 연소실(1000)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연통(6000)을 통해 실외로 빠져나가게 되어 실내에는 연기가 존재하지 않는 쾌적한 상태가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연통(6000)의 끝단부에 송풍시설을 더 설치할 수 있으며, 연통(6000)을 통해 연기를 강제로 배기하게 되면 보다 더 연기의 출력이 원할하게 이루어져 고기를 굽는 실내가 보다 쾌적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소실(1000)에 장작을 넣고 불을 붙여서 가열시키며, 이때 연소실(1000)에서 발생된 연기는 연통(6000)을 통해 실외로 출력되도록한다.
일정하게 타원형 구이판(2000)이 가열되면 타원형 구이판(2000) 위에 삼겹살이나 오리 고기 등 숯불에 구울 다양한 고기를 올려놓는다.
필요에 따라 상기 고기를 다양한 야채류와 섞으면서 굽도록하며, 바람직하게는 콩나물이나 부추 등을 동시켜 비벼서 조리한다.
고기가 타원형 구이판(2000) 위에서 다 익으면 주걱이나 기타 도구를 이용하여 열 전달용 연장패널(3000)에 고기를 위치시킨다.
상기 열 전달용 연장패널(3000)은 타원형 구이판(2000)에 일체형으로 생성되어 있어서 타원형 구이판(2000)으로부터 열기를 전달받되 고기가 타지 않을 정도로 열기를 전달하므로 고기가 식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취식자는 취식용 패널(5000)로 필요한 만큼의 고기를 옮겨와서 식사를 한다.
한편, 고기를 철판으로 굽게 되면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다양한 오염이 발생하고, 특히 냄새를 유발하는 오염물질이 다수 발생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오염공기 버너부를 연소실의 일단에 부가 설치하여 오염 공기를 아크방전에 의해서 불꽃 점화시킴으로서 오염물질을 태워 없애도록 장치를 구성한다.
오염 공기 버너부(20)의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에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을 더 장착하여 구성하고, 상기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에는 아크방전 재점화를 위한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가 접점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의 끝단은 연료 출력단에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을 작동시킬때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이 동시에 작동되며, 이에 따라 초기 아크방전을 점화시키고, 이후 아크방전이 외부의 바람이나 습기의 요인에 의해서 꺼지게 되면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에 연동된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가 작동하여 아크방전을 재점화시켜 아크방전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을 회전시키게 되면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를 온 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의 출력단에 연결된 방전 전극이 점화되면서 연료를 점화시키게 된다. 방전 전극에 의해서 점화되면 방전 전극에 제공되는 전원이 오프되어 더이상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이때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이 스위칭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는 계속 작동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바람이나 습기의 요인에 의해서 아크방전의 불꽃이 꺼지게 되면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다시 방전 전극을 점화시켜 아크방전을 점화시키게 되어 아크방전에 의한 불꽃이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200은 아크전원 공급부이고, 210은 전원 공급 조절부이며, 220은 아크 전원공급 라인이다. 이때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을 회전시키게 되면 아크 방전을 위한 전기가 공급되어 아크 방전 불꽃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에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이 결합되어 있어서 아크 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을 가동시키면 동시에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이 작동되면서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를 스위칭 시키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다.
즉, 본 발명은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을 작동시키게 되면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작동되면서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를 기계적으로 터치하여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은, 피니언 기어(22a)와,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b)와,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c)와, 인장 스프링(22d)으로 구성한다.
상기 피니언 기어(22a)는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의 테두리면에 설치되어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이 회전하면 동시에 회전한다.
상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b)는 피니언 기어(22a)의 회전에 의해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이며 피니언 기어(22a)와 접촉면에 랙기어(22e)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c)는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b)의 내측에 결합되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b)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인장 스프링(22d)은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b)의 끝단과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b)의 시작단에 각각 접속되며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의 스위칭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아크방전을 점화시키기 위해서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을 회전시키게 되면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의 테두리면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22a)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22a)가 회전하게 되면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b)의 랙기어(22e)가 움직이면서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b)가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그러면,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b)의 내측에 결합되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c)가 움직여서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를 스위칭 시킨다.
이후,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을 계속 회전시켜 아크방전 불꽃을 크게 하기 위해 전기 공급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b)가 계속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c)는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에 터치된 상태이므로 인장 스프링이 늘어나서 더이상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c)가 움직이지 않토록 한다.
즉,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을 계속적으로 회전시켜 피니언 기어가 계속 회전되더라도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c)는 움직이지 않고 단지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의 스위칭 상태만을 계속 유지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을 반대로 회전시켜 아크방전 불꽃을 줄이도록 동작시키면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b)가 좌측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인장 스프링(22d)이 작동하게 되므로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c)는 움직이지 않고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의 스위칭 상태를 계속 유지시키게 된다.
이후,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을 완전히 돌리게 되면 그때서야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b)를 따라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c)가 움직여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의 스위칭을 오프시키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는 직류 전원부(101)와,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치(102)와, 발진 승압회로부(103)와,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108)와, 고압 승압회로부(107)와, 고압 방전 간격제(113a, 113b)와, 방전 전극(114)과, 방전 전극 오프용 스위칭부(1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류 전원부(101)는 12볼트 리듐전지, 차량용 축전지 또는 일반용 전지를 다수개 직렬 연결하여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치(102)는 직류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회전될때 스위칭되어 온이 된다.
상기 발진 승압 회로부(103)는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한다.
상기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108)는 발진 승압 회로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된다.
상기 고압 승압 회로부(107)는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고압을 발생시킨다.
상기 고압 방전 간격제(113a, 113b)는 고압 승압 회로부에 의해서 공급되는 고압의 전원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방전 전극(114)은 고압 방전 간격제에 의해서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점화시켜 불꽃이 발생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118)는 방전 전극과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 및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아크방전에 따른 불꽃이 발생되면 열전자에 의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되어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차단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바람이나 습기에 의해서 아크방전 불꽃이 꺼지면 열전자의 소멸로 인하여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이에 따라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온 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치(102)가 온 되면 직류 전원(101)이 연결되어 발진 승압 회로부(103)에 전원이 인가되고, 발진 승압 회로부(103)의 2차측에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2차측에 유기된 전원은 정류다이오드(106)를 통해 반파의 직류 전원이 되고, 이 반파 직류전원은 콘덴서(121)의 충방전 작용으로 인하여 보다 안정된 직류 전원이 된다.
이 직류 전원은 고압 승압 회로부(107)의 1차 코일을 거쳐 사이리스터(방전 전극 스위칭부, 108)의 애노드단에 인가되고, 한편 이 직류 전원은 저항을 통해 콘덴서(110)에 충전작용을 하게 된다. 상승된 전압은 다이악(111)을 통과하면서 방전 전극 스위칭부(108)를 트리거하여 에노드단과 케소드단이 스위칭되어 고압 ㅅ트랜승압 회로부(107)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이에 따라 고압 승압 회로부(107)의 2차 코일에 고압 전압이 유기되며, 이 유기된 고압 전압은 방전 간격제(113a, 113b) 사이에 2차 방전을 일으키고 방전 전극(114) 사이에 불꽃 방전을 일으킨다.
이 불꽃 방전은 방전 전극(114)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공간부에 점화작용을 하게 된다. 이렇게 공간부에 점화가 되면 불꽃에 의해 방전 전극 양단에 열전자에 의해서 유기 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유기 전압은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118)의 베이스단을 활성화시키면서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118)의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에 폐회로를 유도하여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즉, 저항(119)과 콘덴서(110) 사이의 전압이 다이오드(120)를 통해 방전 전극 오프용 스위칭부(118)의 에미터 단자 및 콜렉터 단자 사이로 흘러 바이패스되며 이 바이패스에 의한 저항(109)과 콘덴서(110)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이렇게 저항(109)과 콘덴서(110)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108)로 향하는 트리거 신호를 멈추게 되어 에노드단과 케스단이 오프되면서 고압 승압 회로부(107)의 1차 코일 및 2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방전 전극 사이의 불꽃 방전을 멈추게 된다.
만약 외부 바람등의 영향으로 아크 방전 작용이 멈추게 되면 방전 전극(114)의 양단에는 열전자에 의해서 흐르전 전류의 흐름이 없어지게 되고, 이렇게 됨으로서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118)의 에미터단과 베이스단 사이에 흐르는 바이어스 전압이 사라져서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118)가 오프된다.
상기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118)가 오프되면서 다이오드(120)를 통한 저항(109)과 콘덴서(110) 사이의 바이패스 전압이 없어지고 이 전압은 콘덴서(110)에 충전된다.
이 충전된 전압이 다이악(111)의 브레이크 오버 현상을 이르키게 되고 다이악에서 트리거 신호를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108)에 보냄으로서 다시 아크방전을 시작하게 된다.
1000: 연소실
2000: 타원형 구이판
3000: 열 전달용 연장패널
4000: 음식물 넘침 방지용 단턱
5000: 취식용 패널
6000: 연통
7000: 조리용 공간부

Claims (4)

  1. 지면에 설치되며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를 통해 장작을 삽입하여 불을 피우는 연소실(1000)과;
    상기 연소실의 상부에 결합되며 원형패널로 이루어지며, 패널의 상부에 고기를 탑재한 상태에서 장작 연소실에서 제공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기위한 타원형 구이판(2000)과;
    상기 타원형 구이판에 일체형으로 연장 설치되며, 장작 연소실에 직접 맞닿지는 않지만 타원형 구이판의 열기를 전달받아 잔열이 존재하며 구워진 고기를 탑재하여 식지 않은 상태를 유지시키는 연장 패널(3000)과;
    상기 연장 패널의 외측에 설치되며 볼록하게 돌출 설치되어 조리시에 음식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음식물 넘침 방지용 단턱(4000)과;
    상기 음식물 넘침 방지용 단턱의 외측에 설치되며 타원형 구이판의 열기를 완전히 차단한 상태이고 반찬이가 밥을 탑재할 수 있고, 취식자가 구워진 고기를 꺼내어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취식용 패널(5000)과;
    상기 타원형 구이판의 정 중앙에 설치하되 장작 연소실의 정 중앙에 위치하며 장작 연소실에서 발생된 연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연통(6000)과;
    상기 취식용 패널과 타원형 구이판의 일부를 절단하여 이루어지며, 조리사가 들어가서 타원형 구이판에 각종 재료를 투입후 요리 작업을 진행하기 용이한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용 공간부(7000)와;
    상기 연소실의 하우징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에어 공급수단으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취식자에게 제공하는 에어공급장치(8100)와;
    상기 에어공급장치 형성하되, 연소실 주변에 앉는 취식자에게 고르게 에어를 공급하도록 다수개 형성되는 에어공급용 홀(8200)과;
    상기 에어공급장치를 연소실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830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연소실의 일단에는 오염공기를 태우기 위한 오염공기 버너부(20)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오염공기 버너부는,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과;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에 장착되어 아크방전을 자동으로 재점화 시키기 위한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과; 상기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에 연결되어 아크방전 재점화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치 수단(22)은,
    상기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의 테두리면에 설치되어 아크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이 회전하면 동시에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22a)와;
    상기 피니언 기어(22a)의 회전에 의해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이며 피니언 기어(22a)와 접촉면에 랙기어(22e)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b)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b)의 내측에 결합되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b)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c)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b)의 끝단과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b)의 시작단에 각각 접속되며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의 스위칭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인장 스프링(22d)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방전 재점화 회로부(23)는,
    12볼트 리듐전지, 차량용 축전지 또는 일반용 전지를 다수개 직렬 연결하여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직류 전원부(101)와;
    상기 직류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회전될때 스위칭되어 온이 되는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치(102)와;
    상기 아크방전 재점화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승압 회로부(103)와;
    상기 발진 승압 회로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108)와;
    상기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고압을 발생시키는 고압 승압 회로부(107)와;
    상기 고압 승압 회로부에 의해서 공급되는 고압의 전원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고압 방전 간격제(113a, 113b)와;
    상기 고압 방전 간격제에 의해서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점화시켜 불꽃이 타오르도록 유도하는 방전 전극(114)과;
    상기 방전 전극과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 및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공간부에 불꽃이 발생되면 열전자에 의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되어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차단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바람이나 습기에 의해서 아크 방전 불꽃이 꺼지면 열전자의 소멸로 인하여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이에 따라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온 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하는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1020190170296A 2019-12-18 2019-12-18 타원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102241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296A KR102241542B1 (ko) 2019-12-18 2019-12-18 타원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296A KR102241542B1 (ko) 2019-12-18 2019-12-18 타원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542B1 true KR102241542B1 (ko) 2021-04-19

Family

ID=75718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296A KR102241542B1 (ko) 2019-12-18 2019-12-18 타원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5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162Y1 (ko) * 1995-12-19 1999-06-15 정몽규 아크방전을 이용한 배기가스의 연소장치
KR200325100Y1 (ko) * 2003-06-11 2003-09-03 주식회사 유일산업 테이블용 상판구조
WO2011006868A1 (en) * 2009-07-17 2011-01-20 Mom's A/S An oven for heat-treating food pieces
KR101628621B1 (ko) * 2015-05-09 2016-06-08 조태중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
JP2018146182A (ja) * 2017-03-07 2018-09-20 エンアイティ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気集塵フィルター式焼き装置
KR20190125589A (ko) * 2018-04-30 2019-11-07 김랑욱 다기능 테이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162Y1 (ko) * 1995-12-19 1999-06-15 정몽규 아크방전을 이용한 배기가스의 연소장치
KR200325100Y1 (ko) * 2003-06-11 2003-09-03 주식회사 유일산업 테이블용 상판구조
WO2011006868A1 (en) * 2009-07-17 2011-01-20 Mom's A/S An oven for heat-treating food pieces
KR101628621B1 (ko) * 2015-05-09 2016-06-08 조태중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
JP2018146182A (ja) * 2017-03-07 2018-09-20 エンアイティ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気集塵フィルター式焼き装置
KR20190125589A (ko) * 2018-04-30 2019-11-07 김랑욱 다기능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0276B2 (en) Double-sealed high-temperature resistant DC ignitor for use with wood pellet burner assemblies
US20090148801A1 (en) Method for the controlled generation of heat and corresponding device
US10201247B1 (en) Pellet grill with electric searing station
KR101626718B1 (ko) 장작을 이용한 고기 구이 장치
US11317761B2 (en) Double-sealed high-temperature resistant DC ignitor for use with wood pellet burner assemblies
KR20120015150A (ko) 다목적 전기 구이기
JP4967577B2 (ja) 加熱調理器とそれを備えた電磁誘導調理器
KR100462938B1 (ko) 할로겐 램프에 의해 참숯을 가열하는 로스터 및 가열방법
KR102241544B1 (ko) 직사각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102241542B1 (ko) 타원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102241548B1 (ko) 가스를 적용한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102241541B1 (ko) 원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102241546B1 (ko) 숯불을 적용한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102241543B1 (ko) 양측면 구이 작업 공간을 갖는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102241547B1 (ko) 전기를 적용한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102241545B1 (ko) 다각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20110060131A (ko) 세라콜이 설치된 가스 및 숯불겸용 로스터
KR200461967Y1 (ko) 직화 구이기
KR20210078374A (ko) 대형삽을 적용한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200441569Y1 (ko) 전기식 로스터
KR200236789Y1 (ko) 브로일러
KR20140013856A (ko) 가스 겸용 숯불구이기
KR102390179B1 (ko) 캠핑용 다기능 구이기
KR200250356Y1 (ko) 고기구이기
KR200362233Y1 (ko) 숯 화덕을 구비한 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