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541A - 다용도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541A
KR20110021541A KR1020090079397A KR20090079397A KR20110021541A KR 20110021541 A KR20110021541 A KR 20110021541A KR 1020090079397 A KR1020090079397 A KR 1020090079397A KR 20090079397 A KR20090079397 A KR 20090079397A KR 20110021541 A KR20110021541 A KR 20110021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
cooking
cooking vessel
body portion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 현 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전테크
Priority to KR1020090079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1541A/ko
Publication of KR20110021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47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gas burners
    • A47J37/0652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gas burners with refl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82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gas-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몸체부 및 몸체부의 상부에 얹혀지는 팬의 중앙부에 제1 및 제2화기유입구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화기유입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마개가 구비되어 마개의 결합위치에 따라 용기의 몸체부 또는 팬의 상부에서 다양한 요리를 조리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부, 팬 및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용도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저면 중앙에는 제1화기유입구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팬의 중앙에는 제2화기유입구가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화기유입구에는 제1 및 제2화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마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리용기, 다용도, 마개, 화기유입구, 수증기 배출홈

Description

다용도 조리용기 {Cooking vessel for multipurpose}
본 발명은 다용도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몸체부 및 몸체부의 상부에 얹혀지는 팬의 중앙부에 제1 및 제2화기유입구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화기유입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마개가 구비되어 마개의 결합위치에 따라 용기의 몸체부 또는 팬의 상부에서 다양한 요리를 조리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식품조리기들은 식품을 쪄서 먹을 수 있는 기능만을 가지도록 제조되거나, 식품을 구워먹을 수 있는 기능만을 가지도록 제조된 제품들이 대부분이어서 식품을 찌거나 굽고자 하는 조리방법의 선택에 따라 여러 개의 조리기를 준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최근 들어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다양한 조리기구들이 안출되고 있는데, 그 중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439호에는 다기능 식품조리기가 게재되어 있다.
상기 다기능 식품조리기는 저면에 외부화염유도공이 형성되도록 내측으로 상향 돌출된 숯통결합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안착돌기가 형성되며 외주면 상측에는 한쌍의 이동손잡이를 형성하여서된 조리통몸체와, 상기 조리통몸체 내부의 숯통결합부 상단에 결합설치되며 저면에 구멍이 형성된 숯통몸체 외연으로 찜판을 일체로 형성하여서된 숯통과, 상기 조리통몸체 내부에 삽입시 내주면 상측에 형성된 안착돌기에 안착설치되어지며 외측에는 기름 낙하공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전골요리부가 형성된 구이판과, 상기 조리통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하며 온도표시기능과 수증기배출기능이 구비된 개폐손잡이를 형성한 투명강화유리로된 뚜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와 같은 구성은 하나의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전체적인 용기의 부피가 커 사용 및 보관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리시 숯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숯이 없을 경우에는 조리통몸체의 부피가 커 열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조리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9185호에는 간편 조리기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기술적 구성은 열통구의 주위로 낮은 홈을 구비한 기름받이와, 상기 기름받이 위에 세팅되어 상기 열통구를 경유한 화염을 유입시키는 열유입구와, 상기 열유입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돌출 테두리와, 돌출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게 씌워지는 캡을 포함하는 간편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돌출 테두리의 외 주면에 맞닿으면서 상기 열통구로부터 유입된 화염을 샤워형태로 낙하 통과시키도록 상면의 외주연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늘어진 주름 테두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열통구를 통해 유입된 화기가 직접 구이판에 닿게 되어 간접열 보다는 직접열로 가열되어 구이판이 달궈짐으로 인해 구이판이 타거나 매캐한 연기가 발행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부 및 몸체부의 상부에 얹혀지는 팬의 중앙부에 제1 및 제2화기유입구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화기유입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마개가 구비되어 조리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화열을 이용하여 팬의 상부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몸체부의 내부에 물을 채워넣은 상태에서 조리하게 되므로 몸체부에 채워진 물이 끓으면서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조리시 직화열로 인한 불판이 타는 현상 및 연기가 발생하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증기의 대류에 의해 불판의 온도가 높게 올라가지 않으면서도 음식물은 빨리 조리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부, 팬 및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용도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저면 중앙에는 제1화기유입구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팬의 중앙에는 제2화기유입구가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화기유입구에는 제1 및 제2화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마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팬은 몸체부의 상부 테두리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팬의 하면에는 몸체부에서 생성되는 수증기 및 잔열이 배출되는 수증기 배출홈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증기 배출홈은 팬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2 ~ 3cm의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팬의 상면에는 팬과 덮개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시키기 위한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팬에는 다수의 기름배출공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팬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아래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상단부 중앙 내측에는 제1 및 제2화기유입구로부터 올라오는 직화열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안쪽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안치되는 다용도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화기유입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마개를 구비한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음식을 조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이 타지 않으면서도 전체적인 음식물 조리시간은 단축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에 의하면 전골 등의 국물이 있는 음식을 조리할 경우 또는 튀김과 같은 음식을 조리할 경우에는 팬을 제거하고, 마개를 제1화기유입구의 상부에 결합시킨 후 덮개부를 덮어 몸체부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에서 음식이 조리되도록 할 수 있고, 고기 등을 구울 경우에는 몸체부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물을 적당히 채워넣고, 몸체부의 상부에 팬을 얹어 놓은 다음, 팬에 형성된 제2화기유입구에 마개를 결합시킨 후 음식물을 익히게 되면 물이 끓으면서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팬이 과열되지 않으므로 팬 및 고기 등의 음식물이 타지 않게 되고 연기가 발생하지 않으며, 수증기의 대류열에 의해 팬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됨과 동시에 음식물이 빨리 조리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의 (a),(b)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정단면도이고, 도 4의 (a),(b)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팬의 저면도 및 정단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의 다양한 사용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용기 몸체부(10) 및 몸체부(10)의 상부에 얹혀지는 팬(20)의 중앙부에 제1 및 제2화기유입구(11)(21)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화기유입구(11)(2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마개(40)가 구비되어 마개(40)의 결합위치에 따라 용기의 몸체부(100) 또는 팬(20)의 상부에서 다양한 요리를 조리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리용기(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몸체부(10)와 팬(20) 및 덮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0)는 내부에 조리하기 위한 음식물이 수용되는 수용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12)의 중앙에는 가스렌지와 같은 열원(熱源)으로부터 화기가 유입되는 제1화기유입구(11)가 상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화기유입구(11)는 몸체부(10)의 상부 테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화기유입구(11)는 그 폭이 약 5 ~ 10cm가 되도록 좁게 형성되어 조리용기(100) 사용시 열원이 제1화기유입구(11)의 측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조리시 몸체부(10)의 상부에 안치되는 팬(20)이 화기에 의한 직접열 보다는 간접열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겠지만, 상기 몸체부(10)에서는 탕, 전골, 튀김 등의 조리를 할 수 있게 되고, 몸체부(10)의 상부에 팬(20)을 안치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용부(12) 내에 물을 어느 정도 투입시킨 후 조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몸체부(10)의 내측면에는 수용부(12)에 투입되는 물의 양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눈금선(15)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상단 테두리에는 팬(20)이 안착되는 단턱부(1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단턱부(13)는 팬(20)이 몸체부(10)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도 덮개부(30)를 상부에 덮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몸체부(10)의 상단 테두리 외측면이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팬(20)은 돌출된 면의 내측으로 안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팬(20)은 단턱부(13)의 측벽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안치되도록 함으로써 후술할 수증기 배출홈(22) 및 돌출부(25)와 덮개부(30)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조리용기(100) 내부의 수증기가 일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조리용기(100) 내부에서의 수증기의 대류 현상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외측 양측면에는 조리용기(100)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1손잡이(1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내측면에는 걸림턱(16)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6)에는 다용도망(50)이 거치될 수도 있는데, 상기 다용도망(50)은 팬(20)의 상부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몸체부(10)의 수용부(12) 상에서 별도의 음식물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팬(20)은 몸체부(10)의 상부에 안치되어 그 상부에서 고기구이나 생선구이 같은 구이요리나 찜요리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팬(20)의 중앙부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부(10)에 형성되는 제1화기유입구(11)와 동일한 개구부의 형상을 갖는 제2화기유입구(21)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팬(20)은 몸체부(10)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단턱부(13)에 밀 착됨으로써 몸체부(10)와 팬(20) 사이의 공간이 거의 밀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음식물의 조리시 몸체부(10)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외부로 거의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증기에 의해 팬(20)의 온도가 너무 높게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팬(20)이 타거나 팬(20)에서 연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팬(20)의 하면에는 몸체부(10)에서 생성되는 수증기 및 잔열이 배출되는 수증기 배출홈(22)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수증기 배출홈(22)은 몸체부(10) 내부에서의 수증기의 대류 현상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폭과 높이가 좁게 형성되어 실제로 수증기 배출홈(22)을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의 양은 미세하다.
즉, 상기 수증기 배출홈(22)은 팬(20)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약 2~3cm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는데, 이는 조리시 사용되는 부분의 팬(20)의 두께를 최대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증기 배출홈(22)을 통해 빠져나가는 수증기 및 잔열의 양을 제한함으로써 몸체부(10)의 제1화기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화기에 의한 팬(20)의 온도상승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하고, 몸체부(10) 내부에서의 수증기의 대류 현상을 원활하게 하여 팬(20)의 상부에서 음식물이 고르게 익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팬(20)의 상면에는 다수의 돌출부(25)가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부(25)는 그 상부에 덮개부(30)가 안치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25)에 의해 팬(20)과 덮개부(30)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돌출부(25)는 전술한 팬(20)의 수증기 배출홈(22)과 마찬가지로 팬(20)의 상부에 얹혀지는 덮 개부(30)와 돌출부(25)가 형성되지 않은 팬(20)의 상면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조리시 조리용기(1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증기 및 뜨거운 공기(잔열)가 일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조리용기(100) 내부에서의 수증기의 대류 현상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팬(20)에는 다수의 기름배출공(23)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기름배출공(23)은 음식물 조리시 팬(20)의 상면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몸체부(10) 쪽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몸체부(10)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대류 현상에 의해 기름배출공(23)을 통해 팬(20)의 상부로 유입되어 음식물이 간접열에 의해 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팬(2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아래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팬(20)의 상면에서 형성되는 기름이 팬(20)과 몸체부(10) 사이의 접촉부 즉, 단턱부(13)를 통해 몸체부(10)의 내측으로 흘러내리도록 함과 동시에 팬(20)과 몸체부(10) 사이의 접촉부에 유막을 형성하여 몸체부(10)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100)는 몸체부(10)에 형성된 제1화기유입구(11)와 팬(20)에 형성된 제2화기유입구(2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개(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마개(40)는 개구부(11a,21a)의 형상이 동일한 제1화기유입구(11) 또는 제2화기유입구(2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제1화기유입구(11) 또는 제2화기유입구(21)를 통한 화기의 직접적인 유입을 막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와 팬(20)의 상면에는 덮개부(30)가 구비되는데, 상기 덮개부(30)는 조리용기(100)의 뚜껑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팬(2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몸체부(10)에 형성된 단턱부(13)에 안치되고, 팬(2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팬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25) 상에 안치된다.
이때, 상기 덮개부(30)의 상부에는 덮개부(30)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손잡이(34)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손잡이(34)는 덮개부(30)를 개폐한 후 용이하게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덮개부(30)의 상부 일측면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30)의 상부에는 유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투시부(32)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투시부(32)는 사용자가 조리도중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덮개부(30)의 상단부 중앙 내측에는 접시 형상의 반사판(35)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반사판(35)은 제1 및 제2화기유입구(11)(21)를 통해 올라오는 화기의 직화열을 아래쪽 즉, 팬(20)의 상부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반사판(35)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삿갓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화기유입구(11)(21)를 통해 팬(20)의 상부로 유입되는 직화열을 반사시키게 되는데, 상기 반사판(35)은 삿갓 형상으로 제조되므로 그 제조가 용이하고, 반사판(35)에 의해 반사되는 직화열은 팬(20)의 구석구석까지 고르게 반사되어 음식물의 조리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음식물이 고르게 익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100)의 사용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100)를 이용하여 튀김이나 탕 또는 전골류의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몸체부(10)에 형성된 수용부(12)에 음식물을 넣고 조리하면 된다. 이때, 몸체부(10)에 형성된 제1화기유입구(11)의 개구부(11a)를 마개(40)로 막아 열원으로부터의 직화열이 제1화기유입구(11)를 통해 공기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탕이나 전골류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는 몸체부(10)의 상부에 덮개부(30)를 결합시킨 후 조리하게 되는데, 이때, 덮개부(30)의 상부에 형성된 투시부(32)를 통해 음식물의 조리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고, 덮개부(3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반사판(35)에 의해 몸체부(10)가 가열되면서 상승하는 열기가 다시 아래쪽으로 고르게 반사되므로 전체적인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100)를 이용하여 찜 종류의 음식물을 조리할 때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몸체부(10)에 형성된 제1화기유입구(11)의 개구부(11a)를 마개(40)로 막은 상태에서 몸체부(10)에 형성된 수용부(12)에 물을 적당히 채워 넣고, 팬(20)을 몸체부(10)의 상부에 안치시킨 다음, 팬(20)의 상부에 음식물을 놓고 덮개부(30)를 덮은 후 조리하게 된다.
이때,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화기유입구(11)로 인해 화기로부터 발생되는 불길이 몸체부(10)의 저면에 폭넓게 접촉되므로 수용부(12)에 채워진 물이 빨리 끓게 되고, 팬(20)이 몸체부(10)에 밀착되므로 물이 끓으면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거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게 되어 열손실이 적게 되므로 전체적인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팬(20)의 가장자리 하면에 형성된 수증기 배출홈(22)과 팬(20)의 가장자리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25)에 의해 형성되는 팬(20)과 덮개부(30)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조리용기(100)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조리용기(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및 잔열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조리용기(100)의 내부에서 수증기의 대류가 원활히 일어나게 되고, 팬(20)에 형성된 장공 형상의 기름배출공(23)을 통해 수증기가 팬(20)의 상면까지 상승 유입된 후, 덮개부(30)에 형성된 반사판(35)에 의해 반사되어 음식물의 상부를 익혀주므로 음식물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익힐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100)를 이용하여 삼겹살과 같은 육류의 구이요리를 할 때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몸체부(10)의 내측면에 표시된 눈금선(15)까지 물을 채워 넣고, 몸체부(10)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단턱부(13)에 팬(20)을 안치시킨 다음, 팬(20)의 중앙에 형성된 제2화기유입구(21)의 개구부(21a)를 마개(40)로 막은 후, 음식물을 팬(20)의 상부에 놓고 덮개부(30)를 제거한 상태에서 조리하게 된다.
이때, 몸체부(10)의 제1화기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직화열과, 몸체부(11)에 채워진 물이 끓으면서 발생하는 간접열을 동시에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 할 수 있게 되는데, 제1화기유입구(11)의 폭이 가스렌지와 같은 일반적인 열원에서 발생하는 화염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화기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직화열보다는 간접열을 통해 음식물이 구워지게 된다.
즉, 종래의 다용도 조리용기의 경우 화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직화열을 통해 음식물을 굽게 되므로 열원에서 발생되는 불의 세기를 세게 할 경우 팬의 온도가 과열되어 음식물이 타게 되고, 팬에서 매캐한 연기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임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100)에 의하면 열원에서 발생되는 직화열 보다는 간접열에 의해 음식물이 구워지게 되므로 불의 세기를 세게 하여도 팬(20)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게 되어 음식물이 타거나 팬(20)에서 연기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센 불로 조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팬(20)에 형성된 기름배출공(23)을 통해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하부, 즉 몸체부(10)로 배출된다.
한편, 생선구이 등의 구이요리와 같이 덮개부(30)를 팬(20)의 상면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조리하는 경우에는 마개(40)를 사용하지 않고 제1화기유입구(11)와 제2화기유입구(21)가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제1화기유입구(11) 및 제2화기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직화열과, 몸체부(10)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한 간접열이 모두 조리에 이용된다.
위와 같은 생선구이류의 조리시에 작용하는 수증기 배출홈(22) 및 돌출부(25) 등의 효과는 전술한 찜 요리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찜 요리 및 생선구이 등의 조리와 같이 덮개부(30)를 덮은 상태에서 팬(20)의 상면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는 몸체부(10)에 형성된 걸림턱(16)에 다용도망(50)을 안치시킨 후 다용도망(50)의 상부에서 별도의 음식물을 동시에 조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100)에 의하면 전골 등의 국물이 있는 음식을 조리할 경우 또는 튀김과 같은 음식을 조리할 경우에는 팬(20)을 제거하고, 마개(40)를 제1화기유입구(11)의 개구부(11a)에 결합시킨 후 덮개부(30)를 덮어 몸체부(10)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12)에서 음식이 조리되도록 할 수 있고, 고기 등을 구울 경우에는 몸체부(10)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부(12)에 물을 적당히 채워넣고, 몸체부(10)의 상부에 팬(20)을 얹어 놓은 다음, 팬(20)에 형성된 제2화기유입구(21)의 개구부(21a)에 마개(40)를 결합시킨 후 음식물을 굽게 되면 물이 끓으면서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팬(20)이 과열되지 않으므로 팬(20) 및 고기 등의 음식물이 타지 않게 되고 연기가 발생하지 않으며, 수증기의 대류열에 의해 팬(20)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됨과 동시에 음식물이 빨리 조리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몸체부(10)에 형성된 제1화기유입구(11)를 마개(40)로 막은 상태에서 음식물을 담아두는 용기로 사용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용도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몸체부 및 몸체부의 상부에 얹혀지는 팬의 중앙부에 제1 및 제2화기유입구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화기유입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마개가 구비되어 마개의 결합위치에 따라 용기의 몸체부 또는 팬의 상부에서 다양한 요리를 조리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3의 (a),(b)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4의 (a),(b)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팬의 저면도 및 정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의 다양한 사용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부 11 : 제1화기유입구
11a,21a : 개구부 12 : 수용부
13 : 단턱부 14 : 제1손잡이
15 : 눈금선 20 : 팬
21 : 제2화기유입구 22 : 수증기 배출홈
23 : 기름배출공 24 : 절곡부
30 : 덮개부 32 : 투시부
34 : 제2손잡이 35 : 반사판
40 : 마개 100 : (다용도) 조리용기

Claims (8)

  1. 몸체부, 팬 및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용도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저면 중앙에는 제1화기유입구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팬의 중앙에는 제2화기유입구가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화기유입구에는 제1 및 제2화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마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몸체부의 상부 테두리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팬의 하면에는 몸체부에서 생성되는 수증기 및 잔열이 배출되는 수증기 배출홈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배출홈은 팬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2 ~ 3cm의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상면에는 팬과 덮개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시키기 위한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팬에는 다수의 기름배출공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6.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아래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상단부 중앙 내측에는 제1 및 제2화기유입구로부터 올라오는 직화열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안쪽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안치되는 다용도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KR1020090079397A 2009-08-26 2009-08-26 다용도 조리용기 KR20110021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397A KR20110021541A (ko) 2009-08-26 2009-08-26 다용도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397A KR20110021541A (ko) 2009-08-26 2009-08-26 다용도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541A true KR20110021541A (ko) 2011-03-04

Family

ID=4393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397A KR20110021541A (ko) 2009-08-26 2009-08-26 다용도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154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601B1 (ko) * 2017-01-17 2018-06-15 (주)제이씨일렉트릭 다기능 조리용기
KR101926265B1 (ko) 2017-06-26 2019-02-26 김광남 조리 팬의 배수구조
KR102270803B1 (ko) * 2020-01-20 2021-06-28 박성국 착탈식 가열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KR102327451B1 (ko) * 2020-07-13 2021-11-16 방두산 다용도 조리기구
WO2022231227A1 (ko) 2021-04-27 2022-11-03 (주)홍산경금속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601B1 (ko) * 2017-01-17 2018-06-15 (주)제이씨일렉트릭 다기능 조리용기
KR101926265B1 (ko) 2017-06-26 2019-02-26 김광남 조리 팬의 배수구조
KR102270803B1 (ko) * 2020-01-20 2021-06-28 박성국 착탈식 가열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KR102327451B1 (ko) * 2020-07-13 2021-11-16 방두산 다용도 조리기구
WO2022231227A1 (ko) 2021-04-27 2022-11-03 (주)홍산경금속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883Y1 (ko)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KR101546526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조리기구
KR20110021541A (ko) 다용도 조리용기
KR20110080059A (ko) 다용도 조리용기
KR20110120546A (ko) 숯불 구이 장치
KR101530070B1 (ko)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KR20110001116U (ko) 직화형 다기능 요리기기
JP5612792B1 (ja) 調理器用のグリル装置
JP6467570B2 (ja) ガスコンロのグリル庫用陶磁器製調理器
KR200439439Y1 (ko) 다기능 식품조리기
KR102142681B1 (ko) 구이팬
KR20130088279A (ko) 꼬치구이 기능을 갖는 구이판을 형성한 직화 가열식 조리용기
KR101016360B1 (ko) 다기능 조리용기
KR960002976Y1 (ko) 다목적 조리기구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WO2018214511A1 (zh) 一种明火烤炉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KR102148014B1 (ko)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CN208957828U (zh) 具有茶壶的烧烤炉结构
KR200278443Y1 (ko) 조리기구
KR200335328Y1 (ko) 양면 조리기구
KR102050908B1 (ko) 구이팬
KR20110082343A (ko) 덮개용기를 구비한 직화오븐
KR100845765B1 (ko) 다기능 직화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