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340B1 - 냄새 저감형 양면 팬 - Google Patents

냄새 저감형 양면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340B1
KR101430340B1 KR1020130005196A KR20130005196A KR101430340B1 KR 101430340 B1 KR101430340 B1 KR 101430340B1 KR 1020130005196 A KR1020130005196 A KR 1020130005196A KR 20130005196 A KR20130005196 A KR 20130005196A KR 101430340 B1 KR101430340 B1 KR 101430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fan body
odor
steam
mou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2994A (ko
Inventor
류은영
Original Assignee
류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은영 filed Critical 류은영
Priority to KR102013000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340B1/ko
Publication of KR20140092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47J37/103Broiling- or heating-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냄새 저감형 양면 팬에 관한 것으로서,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한 쌍의 팬 본체(10)와; 팬 본체(10)의 중앙에 천공된 장착공(15)에 설치되며 다수의 구멍(25)이 형성된 가스 유도기(20)와; 중앙 부분의 관통공(31)이 장착공(15)에 연통되도록 팬 본체(10)의 외측에 설치되어 가스 유도기(20)의 내부로 유입된 냄새 유발 물질 및 증기가 팬 본체(10)의 외부로 확산시키는 확산판(30)과; 팬 본체(10)의 외측 바닥면에 설치되어 확산판(30)을 보호하며 내부로 화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공(45)이 형성된 받침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냄새 저감형 양면 팬{Smell Reducing type Double-faced Pan}
본 발명은 음식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냄새 저감형 양면 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냄새 유발 물질을 외부로 유도하여 연소시킴으로써 팬을 개방했을 때 발생하는 냄새와 증기를 줄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냄새 저감형 양면 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조리기구 중 하나인 프라이팬은, 기름을 두르고 여러 가지 필요한 음식을 지지거나 부쳐 만들 수 있도록 그 높이가 그리 높지 않은 넓적한 조리기구를 말한다.
이러한 프라이팬은 가스레인지와 같은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바닥면을 가열하여 음식을 조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한 쌍의 프라이팬을 힌지 결합시켜 양쪽 바닥면을 번갈아가면서 가열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양면 팬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상기한 양면 팬은 상부팬과 하부팬이 힌지에 의해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음식물을 조리할 때 팬 자체를 뒤집어서 가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을 뒤집지 않고도 고른 조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양면 팬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어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제1,2팬(1)(2)과, 상기 제1,2팬(1)(2)의 힌지 결합부 반대쪽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3)(4)와, 상기 손잡이(3)(4)에 설치되어 상기 제1,2팬(1)(2)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상기 손잡이(3)(4) 중 어느 일측 끝단에 설치되어 타측 끝단에 결합되는 잠금고리(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양면 팬은 제1팬과 제2팬 사이에 조리대상물을 위치시키고, 상기 제1팬과 제2팬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손잡이에 설치된 잠금고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1팬과 제2팬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한다. 이후, 상기 제1팬과 제2팬이 가스렌지와 같은 조리기구의 상면에 번갈아가면서 위치하도록 뒤집어 줌으로써 조리 대상물의 상면과 하면을 모두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통상의 양면 팬은 제1,2팬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기 때문에 조리시 냄새 유발 물질이 쉽게 배출될 수 없고 그로 인해 음식물의 조리가 끝난 후 팬을 열었을 때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냄새 유발 물질과 증기가 한꺼번에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즉, 양면 팬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때 조리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생선 비린내 등의 냄새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냄새는 조리 대상물 자체에서 발생하는 냄새일 수도 있고 조리 대상물에 포함된 특정 단백질이 익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는 조리원들에게 불쾌감을 주고 경우에 따라서 조리원들의 옷에 배어 타인의 불쾌감을 유발하기도 하는 것이다.
한편,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 유발 물질을 외부로 유도하여 연소시키거나 화염을 조리용기의 내부로 유도하여 냄새 유발 물질을 연소시킴으로써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후술하는 특허문헌들에 개시되어 있다.
KR 20-2009-0001831 U KR 10-0530695 B1 KR 10-0771494 B1 KR 10-2012-0102910 A KR 10-2012-0114854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팬 내부의 냄새 유발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킨 후 화염에 의해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팬을 열었을 때 외부로 배출되는 냄새와 증기의 양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냄새 저감형 양면 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힌지 결함됨과 아울러 가장자리 부분이 서로 맞대어지도록 배치되고, 힌지 결합부 반대측에 각각 손잡이가 형성된 한 쌍의 팬 본체와; 상기 팬 본체의 중앙에 천공된 장착공에 설치되며 상기 팬 본체 내부의 냄새 유발 물질 및 증기가 유입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가스 유도기와; 중앙 부분의 관통공이 상기 장착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팬 본체의 외측에 위치되어 기류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조리 기구의 화염을 상기 팬 본체의 저면에 고루 확산시키는 확산판과; 상기 팬 본체의 외측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확산판을 보호하며 내부로 화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냄새 저감형 양면 팬에 따르면, 상기 가스 유도기는 상단면이 밀폐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스 유도기의 하단 부분이 상기 장착공에 끼움 결함되거나 상기 장착공의 외측에 용접되어 상기 가스 유도기 외측의 물질이 상기 장착공을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냄새 저감형 양면 팬에 따르면, 상기 가스 유도기에 형성되는 구멍은 원형이나 장공형, 사각형, 마름모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2열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냄새 저감형 양면 팬에 따르면, 상기 장착공은 원형, 타원형, 장공형,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바닥 면적 전체의 15~25%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냄새 저감형 양면 팬에 따르면, 상기 가스 유도기는 상기 팬 본체의 높이에 비해 75~85% 범위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냄새 저감형 양면 팬에 따르면, 상기 팬 본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일측에 형성되어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증기 배출구 및 상기 팬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커버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증기 배출구 및 커버부재는 상기 팬 본체의 힌지 결합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냄새 저감형 양면 팬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팬 본체에 형성된 길이 방향의 설치홈에 위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팬 본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증기 배출구를 덮어주거나 개방하는 덮개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덮개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저널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냄새 저감형 양면 팬에 따르면, 상기 증기 배출구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증기 배출구를 막거나 열어주는 복수의 개폐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냄새 저감형 양면 팬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팬 본체 중 하나에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실리콘 커버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실리콘 커버가 설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냄새 저감형 양면 팬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커버는 상기 팬 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T 형상의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T형상의 걸림홈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돌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냄새 저감형 양면 팬에 따르면, 상기 확산판은 중앙 부분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에 상기 가스 유도기의 내부로 삽입되는 화염유도관이 더 설치되고, 상기 화염유도관은 상단면이 밀폐됨과 아울러 측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냄새 저감형 양면 팬에 따르면, 상기 확산판은 상기 화염유도관이 연결되는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에 비해 다른 부분들의 높이가 높아지는 볼록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냄새 저감형 양면 팬에 따르면, 상기 확산판의 저면에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 물결 모양의 확산돌기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확산돌기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냄새 저감형 양면 팬은, 음식물 조리시 팬 내부의 냄새 유발 물질과 증기가 가스 유도기의 구멍을 통해 가스 유도기의 내부로 유입된 후 팬 본체의 외부로 확산되어 연소되므로 음식물 조리가 끝난 후 팬을 개방했을 때 발생하는 냄새와 증기가 감소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냄새 저감형 양면 팬에 따르면, 확산판에 설치된 화염유도관이 가스 유도기의 내부로 삽입되어 측면의 구멍을 통해 화염을 가스 유도기의 내측으로 분출하게 되므로 가스 유도기 내의 냄새 유발 물질이 빠르게 연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냄새 저감형 양면 팬에 따르면, 화염유도관 및 가스 유도기의 상면이 모두 막혀 있으므로 화염유도관을 통해 유입된 화염이 가스 유도기를 통해 팬 내부로 직접 분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냄새 저감형 양면 팬에 따르면, 조리기구의 화염이 확산판에 의해 확산되어 팬 본체를 고르게 가열하게 되므로 팬 본체 내부의 음식물이 균일하게 익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양면 팬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냄새 저감형 양면 팬의 내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냄새 저감형 양면 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냄새 저감부를 나타낸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가스 유도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확산판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냄새 저감형 양면 팬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냄새 저감형 양면 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냄새 저감형 양면 팬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힌지 결함됨과 아울러 가장자리 부분이 서로 맞대어지도록 배치되고, 힌지 결합부 반대측에 각각 손잡이(11)가 형성된 한 쌍의 팬 본체(10)와; 상기 팬 본체(10)의 중앙에 천공된 장착공(15)에 설치되며 상기 팬 본체(10) 내부의 냄새 유발 물질 및 증기가 유입되도록 다수의 구멍(25)이 형성된 가스 유도기(20)와; 중앙 부분의 관통공(31)이 상기 장착공(15)에 연통하도록 상기 팬 본체(10)의 외측에 위치되어 기류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조리 기구의 화염을 상기 팬 본체(10)의 저면에 고루 확산시키는 확산판(30)과; 상기 팬(1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확산판(30)을 보호하며 내부로 화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공(45)이 형성된 받침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팬 본체(10) 중 어느 하나에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 배출구(13)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커버판(1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증기 배출구(13)를 개폐시키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증기 배출구(13)가 형성된 팬 본체(10)가 위쪽에 있는 경우에만 증기 배출구(13)가 열려 증기가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팬 본체(10)의 힌지 결합부측에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증기 배출구(13)가 형성되고, 상기 증기 배출구(13)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팬 본체(10)에 커버부재(14)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증기 배출구(13) 및 커버부재(14)는 한 쌍의 팬 본체(10)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둘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4)는 상기 팬 본체(10)에 형성된 길이 방향의 설치홈에 위치되는 지지축(14a)과, 상기 팬 본체(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증기 배출구(10)를 덮어주거나 개방하는 덮개 플레이트(14c)와, 상기 지지축(14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덮개 플레이트(14c)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저널 베어링(14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덮개 플레이트(14c)에는 상기 증기 배출구(13)에 삽입되어 상기 증기 배출구(13)를 막거나 열어주는 복수의 개폐 돌기(14')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팬 본체(10) 중 하나에는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실리콘 커버(16)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하나의 팬 본체에는 실리콘 커버가 설치되지 않아야 함은 당연하며, 상기 실리콘 커버(16)는 상기 팬 본체(10)의 상단에 형성된 T 형상의 걸림돌기(10')에 대응하는 T형상의 걸림홈(16')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돌기(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 본체(10)는 사각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 유도기(20)는 최상단의 높이가 상기 팬 본체(1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가스 유도기(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면이 밀폐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스 유도기(20)의 하단 부분이 상기 장착공(15)에 끼움 결함되거나 상기 장착공(15)의 외측에 용접되어 상기 가스 유도기(20) 외측의 물질이 상기 장착공(15)을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 유도기(20)의 측면에 형성되는 구멍(25)은 원형이나 장공형, 사각형, 마름모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하 방향을 따라 2열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최하단에 형성되는 구멍(25)들은 상기 팬 본체(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가스 유도기(20)가 설치되는 상기 장착공(15)은 원형, 타원형, 장공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면적은 바닥 면적 전체의 15~25% 범위, 바람직하게는 1/5 정도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가스 유도기(20)는 상기 팬 본체(10)의 높이에 비해 75~85% 범위, 바람직하게는 4/5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확산판(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31)에 상기 가스 유도기(20)의 내부로 삽입되는 화염유도관(35)이 설치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염유도관(35) 역시 상단면이 밀폐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측면에는 상기 가스 유도기(20)와 마찬가지로 구멍(36)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구멍(36)의 형상은 원형, 장공형, 사각형, 마름모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확산판(30)은 상기 화염유도관(35)이 연결되는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에 비해 다른 부분들의 높이가 높아지는 볼록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확산판(30)의 저면에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 물결 모양의 확산돌기(33)가 다수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확산돌기(33)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등간격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냄새 저감형 양면 팬은 수용공간 내의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 유발 물질과 증기를 가스 유도기의 구멍을 통해 가스 유도기로 유입시킨 후 화염을 이용하여 연소시키게 된다.
한 쌍의 팬 본체(10)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12)에 조리 대상인 음식물을 위치시킨 후 손잡이(11)를 고정하여 상기 팬 본체(10)가 개방되지 않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팬 본체(10)를 조리기구(50)에 올려놓고 조리기구(50)를 이용하여 상기 팬 본체(10)를 가열하며, 음식물의 상면과 하면을 모두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팬 본체(10)를 뒤집어가면서 가열한다. 이때, 상기 팬 본체(10)에는 각각 받침부재(20)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리기구(50)에는 팬 본체(10)가 아니라 받침부재(40)가 접촉된다.
이때, 상기 팬 본체(10)중 어느 하나에 증기 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증기 배출구(13)가 형성된 팬 본체(10)가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증기 배출구(13)를 통해 수용공간(12) 내의 증기가 배출되고, 이 팬 본체(10)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커버판(14)에 의해 상기 증기 배출구(13)가 차단되어 증기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팬 본체(10)를 가열하여 수용공간(12)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면, 음식물 특유의 냄새 유발 물질과 음식물의 단백질이 익어가면서 발생하는 냄새 유발 물질 및 수분이 기화하여 가스가 발생한다. 이러한 가스는 상기 팬 본체(10)의 중앙 부분에 설치된 가스 유도기(20)의 구멍(25)을 통해 상기 가스 유도기(2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구(50)에서 발생하는 화염은 받침부재(4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45)을 통해 유입되어 일부는 확산판(30)의 중앙 부분에 설치된 화염유도관(35)을 통해 상기 가스 유도기(20)의 내부로 유도되고, 나머지 화염이 상기 확산판(30)의 확산 돌기(33)를 따라 확산되면서 상기 확산판(30)을 상승시킴과 아울러 상기 팬 본체(10)의 저면을 골고루 가열한다. 따라서, 상기 팬 본체(10)의 수용공간(12)에 위치한 음식물이 균일하게 익게 되어 더욱 맛있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화염유도관(35)으로 유입된 화염은 상기 화염유도관(35)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36)을 통해 분출되어 상기 가스 유도기(20)의 내부에 위치한 증기를 가열하고 냄새 유발 물질을 연소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음식물의 조리가 끝난 후 팬을 개방하였을 때 외부로 발산되는 냄새 및 증기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팬 본체
11...손잡이
12...수용공간
13...증기 배출구
14...커버판
15...장착공
20...가스 유도기
25...구멍
30...확산판
31...관통공
33...확산돌기
35...화염유도관
36...구멍
40...받침부재
45...관통공

Claims (13)

  1.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12)이 형성되도록 가장자리 부분이 서로 맞대어지게 배치되고, 일측이 힌지 결함됨과 아울러 힌지 결합부 반대측에 각각 손잡이(11)가 형성된 한 쌍의 팬 본체(10)와;
    상기 팬 본체(10)의 중앙에 천공된 장착공(15)에 설치되며 상기 팬 본체(10) 내부의 냄새 유발 물질 및 증기가 유입되도록 다수의 구멍(25)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단면이 밀폐된 통 형상으로 형성된 가스 유도기(20)와;
    중앙 부분의 관통공(31)이 상기 장착공(15)에 연통하도록 상기 팬 본체(10)의 외측에 위치되어 기류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조리 기구의 화염을 상기 팬 본체의 저면에 고루 확산시키는 확산판(30)과;
    상기 팬 본체(10)의 외측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확산판(30)을 보호하며 내부로 화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공(45)이 형성된 받침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유도기(20)의 하단 부분이 상기 장착공(15)에 끼움 결함되거나 상기 장착공(15)의 외측에 용접되어 상기 가스 유도기(20) 외측의 물질이 상기 장착공(15)을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저감형 양면 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도기(20)에 형성되는 구멍(25)은 원형이나 장공형, 사각형, 마름모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2열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저감형 양면 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15)은 원형, 타원형, 장공형,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바닥 면적 전체의 15~25%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냄새 저감형 양면 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도기(20)는 상기 팬 본체(10)의 높이에 비해 75~85% 범위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저감형 양면 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본체(1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일측에 형성되어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증기 배출구(13) 및 상기 팬 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 배출구(13)를 개폐시키는 커버 부재(14)를 더 구비하고,
    상기 증기 배출구(13) 및 커버부재(14)는 상기 팬 본체(10)의 힌지 결합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저감형 양면 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4)는 상기 팬 본체(10)에 형성된 길이 방향의 설치홈에 위치되는 지지축(14a)과, 상기 팬 본체(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증기 배출구(10)를 덮어주거나 개방하는 덮개 플레이트(14c)와, 상기 지지축(14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덮개 플레이트(14c)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저널 베어링(1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저감형 양면 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구(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 플레이트(14c)에 형성되어 상기 증기 배출구(13)를 막거나 열어주는 복수의 개폐 돌기(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저감형 양면 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팬 본체 중 하나에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실리콘 커버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실리콘 커버가 설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저감형 양면 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커버는 상기 팬 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T 형상의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T형상의 걸림홈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돌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저감형 양면 팬.
  11. 제1항,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30)은 상기 관통공(31)에 상기 가스 유도기(20)의 내부로 삽입되는 화염유도관(35)이 더 형성되고,
    상기 화염유도관(35)은 상단면이 밀폐됨과 아울러 측면에 다수의 구멍(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저감형 양면 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30)은 상기 화염유도관(35)이 연결되는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에 비해 다른 부분들의 높이가 높아지는 볼록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저감형 양면 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30)의 저면에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 물결 모양의 확산돌기(31)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확산돌기(31)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저감형 양면 팬.
KR1020130005196A 2013-01-17 2013-01-17 냄새 저감형 양면 팬 KR101430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196A KR101430340B1 (ko) 2013-01-17 2013-01-17 냄새 저감형 양면 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196A KR101430340B1 (ko) 2013-01-17 2013-01-17 냄새 저감형 양면 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994A KR20140092994A (ko) 2014-07-25
KR101430340B1 true KR101430340B1 (ko) 2014-09-23

Family

ID=51739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196A KR101430340B1 (ko) 2013-01-17 2013-01-17 냄새 저감형 양면 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3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427A (ko) 2018-08-20 2020-02-28 이승한 양면 프라이팬
KR20220101823A (ko)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쿠킴 양면 프라이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883B1 (ko) * 2014-12-18 2015-05-14 주식회사 씨튼 프라이팬
KR101638153B1 (ko) * 2014-12-18 2016-07-08 정명주 양면프라이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512U (ko) * 2009-07-10 2011-01-18 서주현 직화형 후라이팬
KR20110001116U (ko) * 2009-07-24 2011-02-01 서주현 직화형 다기능 요리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512U (ko) * 2009-07-10 2011-01-18 서주현 직화형 후라이팬
KR20110001116U (ko) * 2009-07-24 2011-02-01 서주현 직화형 다기능 요리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427A (ko) 2018-08-20 2020-02-28 이승한 양면 프라이팬
KR20220101823A (ko)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쿠킴 양면 프라이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994A (ko) 201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KR100907608B1 (ko) 간편 조리기
US6718966B1 (en) Multifunctional cooking pot
US8067716B1 (en) Cooking apparatus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JP5906211B2 (ja) 加熱調理容器
WO2012087041A2 (ko) 오븐 조리기
KR101430340B1 (ko) 냄새 저감형 양면 팬
KR101965359B1 (ko) 화기조절판을 구비한 조리용기
KR101546526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조리기구
US9962037B2 (en) Food condition maintaining device
US9027470B1 (en) Food condition maintaining device
KR101993792B1 (ko) 열순환 및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100893326B1 (ko) 조리용기용 뚜껑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101045571B1 (ko) 직화 조리기
KR101292351B1 (ko) 간접 가열식 구이기
KR200416297Y1 (ko) 직화식 조리용기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101131541B1 (ko) 직화 조리기
KR102168205B1 (ko) 조리 장치
KR200492753Y1 (ko) 보조 용기가 구비된 직화 구이기
KR101251739B1 (ko) 구이판
KR101430346B1 (ko) 냄새 저감형 조리용기
KR100973193B1 (ko) 직화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