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205B1 -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205B1
KR102168205B1 KR1020180116191A KR20180116191A KR102168205B1 KR 102168205 B1 KR102168205 B1 KR 102168205B1 KR 1020180116191 A KR1020180116191 A KR 1020180116191A KR 20180116191 A KR20180116191 A KR 20180116191A KR 102168205 B1 KR102168205 B1 KR 102168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ntainer
fire
cooking
wall
communic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7007A (ko
Inventor
이흥규
Original Assignee
이흥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규 filed Critical 이흥규
Priority to KR1020180116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2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37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음식물이 수용되는 조리 용기; 열원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 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조리 용기의 하부를 덮는 불받이판;을 포함하고, 상기 열원에 대면되는 상기 불받이판의 일면에는 상기 열원의 온도 센서가 관통하는 센싱 홀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 장치{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열을 이용해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선 등 각종 음식물을 굽거나 볶을 때는 후라이팬 또는 구이팬 등과 같은 조리 기구를 사용하게 된다.
후라이팬 등의 조리 기구는 주방 용품의 하나로 각 가정이나 요식 업소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후라이팬 등의 조리 기구는 열원의 열에 의해 국부적으로 가열되므로, 음식물이 쉽게 탄다. 따라서, 굽거나 볶는 요리의 경우, 음식물을 적절한 타이밍에 뒤집어야 하는 등의 숙련도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34076호에는 유도 가열 방식의 구이판이 개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34076호
본 발명은 음식물을 고르게 가열하고 청소가 용이한 조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조리 용기;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 하면 및 상기 조리 용기의 측면을 덮는 불받이판;을 포함하고, 상기 불받이판에는 상기 조리 용기의 측벽부를 덮는 제2 덮개가 마련되며, 상기 조리 용기의 측벽부와 상기 제2 덮개의 사이에는 빈 공간에 해당하는 가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에는 수용 공간과 상기 가열 공간을 소통시키는 소통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불받이판은 조리 용기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 용기의 측벽부에는 음식물의 수용 공간과 가열된 공기의 수용 공간(가열 공간)을 소통시키는 소통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소통 구멍을 통해 뜨거운 공기 또는 화기가 수용 공간으로 유입되면, 수용 공간에 존재하는 식품을 빠르게 가열하는 동시에 냄새 또는 수증기가 제거될 수 있다.
불받이판의 바닥 가장자리에는 열원의 열기를 소통 구멍을 향해 유도하는 화기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화기 구멍에 따르면, 열원의 열기 또는 화기가 소통 구멍으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통 구멍은 음식물 수용 공간의 액체가 가열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 공간의 액체가 소통 공간을 통해 유입되어 조리 용기의 외면 및 불받이판을 오염시키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조리 용기 및 불받이판은 청소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리 장치를 절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리 장치를 절개한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조리 장치는 조리 용기(100) 및 불받이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용기(100)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109)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09)에 수용된 음식물은 조리 용기(100)와 함께 가열되고 조리될 수 있다.
가스 레인지 등의 열원(10)을 이용해서 조리 용기(100)를 직접 가열하면, 열원(10)의 화염에 대면된 부분이 집중적으로 가열되므로, 음식물이 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음식물이 고르게 익혀지도록, 조리 용기(100)를 고르게 가열할 필요가 있다.
조리 용기(100)를 고르게 가열하기 위해, 불받이판(200)이 이용될 수 있다.
불받이판(200)은 열원(10)과 조리 용기(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불받이판(200)은 열원(10)에 의해 가열되고, 조리 용기(100)의 바닥 하면(101)으로부터 이격되게 조리 용기(100)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일 예로, 불받이판(200)은 조리 용기(100)의 바닥 하면(101) 전체 및 조리 용기(100)의 측벽부(102)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조리 용기(100)의 바닥 하면(101)으로부터 이격되게 조리 용기(100)의 하부를 덮는 불받이판(200)에 따르면, 조리 용기(100)와 불받이판(200)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격리되고 불받이판(200)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 공간(90)이 형성될 수 있다. 열원(10)에 의해 불받이판(200)이 가열되면, 가열 공간(90)에 존재하는 공기가 가열될 수 있다. 가열된 공기는 대면되는 조리 용기(100)의 바닥 하면(101) 전체와 조리 용기(100)의 측벽부(102)를 모두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화재 및 안전 사고의 예방을 위해 조리 용기(100)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만족하면, 열원(10)을 오프(off)시키는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열원(10)에는 조리 용기(1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30)가 마련될 수 있다.
온도 센서(30)는 가스 레인지의 버너 등 열원(10)의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온도 센서(30)는 탄성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적으로 승강되는 온도 센서(30)는 가스 레인지에 올려진 조리 용기(100)의 바닥 하면(101)에 접촉되고, 조리 용기(10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센서(30)는 측정값이 설정 온도를 만족하면 열원(10)을 오프시킬 수 있다.
그런데, 조리 용기(100)와 열원(10) 사이에 불받이판(200)이 배치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온도 센서(30)는 조리 용기(100)에 접촉되지 못하고 불받이판(200)에 접촉하게 된다. 결국, 온도 센서(30)는 불받이판(200)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만족하면 열원(10)을 오프시키게 된다.
조리 용기(100)의 온도는 불받이판(200)보다 낮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음식물을 조리할 정도로 조리 용기(100)가 가열되지 못한 상태에서, 불받이판(200)의 온도 측정으로 인해 열원(10)이 오프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기존의 이중 바닥 냄비, 후라이팬 등은 온도 센서(30)가 구비된 열원(10)을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온도 센서(30)가 조리 용기(100)의 온도를 정상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열원(10)에 대면되는 불받이판(200)의 일면에는 열원(10)의 온도 센서(30)가 관통하는 센싱 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열원(10)의 온도 센서(30)에 센싱 홀(210)을 정렬시킨 상태로, 열원(10)에 불받이판(200)을 올리면 온도 센서(30)는 센싱 홀(210)을 관통해서 조리 용기(10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불받이판(200)에 조리 용기(100)를 올리면 센싱 홀(210)을 관통한 온도 센서(30)는 조리 용기(100)의 바닥 하면(101)에 접촉될 수 있다. 조리 용기(100)의 바닥 하면(101)에 접촉된 온도 센서(30)는 조리 용기(100)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의 조리가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센싱 홀(210)로 인해 가열 공간(90)의 밀폐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 결과, 가열 공간(90)을 이용해 조리 용기(100)를 균일하게 가열하는 원래 목적이 퇴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공간(90)의 가열된 공기가 센싱 홀(210)을 통해 외부로 누설 또는 역류될 수 있다. 또는, 열원(10)의 화염이 센싱 홀(210)을 통해 직접 조리 용기(100)와 온도 센서(30)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 공간(90)을 이용해 조리 용기(100)를 균일하게 가열하는 원래 목적을 유지하기 위해, 가열 공간(90)에 존재하는 공기가 센싱 홀(210)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역류 방지부(220)는 센싱 홀(210)을 둘러싸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은 조리 용기(100)로부터 불받이판(20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또는 격벽은 불받이판(200)으로부터 조리 용기(10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조리 용기(100)를 평평한 각종 바닥에 놓을 수 있도록, 격벽은 불받이판(200)으로부터 조리 용기(100)를 향해 돌출되는 것이 유리하다.
가열 공간(90) 상에 형성된 역류 방지부(220)에 따르면, 가열 공간(90)의 공기가 센싱 홀(210)로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센싱 홀(210)로 유입된 화염이 가열 공간(90)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역류 방지부(220)에 따르면, 일단 센싱 홀(210)로 유입된 화염이 나머지 가열 공간(90)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가능한 화염이 센싱 홀(21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왜냐하면, 센싱 홀(210)로 유입된 화염은 센싱 홀(210)에 대면되는 조리 용기(100)의 바닥 하면(101) 또는 온도 센서(30)를 집중적으로 가열하므로, 정상적인 조리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열원(10)에 대면되는 불받이판(200)의 일면에는 열원(10)의 화염이 센싱 홀(210)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염 방지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화염 방지부(230)는 센싱 홀(210)을 둘러싸는 트렌치(trech)를 포함할 수 있다.
열원(10)으로부터 분출된 열 또는 화염은 열원(10)에 대면되는 불받이판(200)의 일면(밑면)을 타고 전파될 수 있다. 이때, 불받이판(200)의 일면을 따라 전파되는 화염 또는 열은 위로 상승하려는 특성으로 인해 불받이판(200)의 밑면에 형성된 홈 형상의 트렌치로 입력되고 센싱 홀(210)을 향해 이동하지 못한다. 즉, 트렌치는 화염 또는 열을 가두는 트랩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트렌치로 인해 열원(10)에 대면되는 불받이판(200)의 면적이 증가되므로, 가열 공간(90)의 공기가 보다 쉽게 가열될 수 있다.
불받이판(200)으로부터 열원(10)을 향해 연장되는 격벽을 통해서도 화염 또는 열이 센싱 홀(2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불받이판(200)을 바닥에 놓기 어렵다. 따라서, 불받이판(200)으로부터 조리 용기(100)를 향해 함몰된 홈 형상의 트렌치를 통해 화염 방지부(230)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트렌치는 화염 방지부(230)의 역할뿐만 아니라, 역류 방지부(220)의 역할을 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불받이판(200)으로부터 조리 용기(100)를 향해 함몰된 트렌치는 센싱 홀(210)을 연속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리 용기(100) 측에서 바라봤을 때, 트렌치는 불받이판(200)으로부터 조리 용기(100)의 바닥 하면(101)까지 돌출될 수 있다. 조리 용기(100)에 대해 조리 용기(100)의 바닥 하면(101)까지 돌출된 트렌치는 센싱 홀(210)을 연속적으로 둘러싼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불받이판(200)으로부터 조리 용기(100)까지 돌출된 격벽은 가열 공간(90)을 외부로부터 폐쇄하고, 가열 공간(90)의 공기가 센싱 홀(210)을 통해 역류 또는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온도 센서(30)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센싱 홀(210)은 온도 센서(30)에 대해 깔대기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센싱 홀(210)의 테두리로부터 라운딩지게 구부러지면서 조리 용기(100)를 향해 함몰된 함몰부(250)가 마련될 수 있다. 함몰부(250)에 따르면, 센싱 홀(210)의 테두리가 곡면으로 형성되므로, 온도 센서(30)가 용이하게 입력될 수 있다.
온도 센서(30)의 단부는 몸체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단부가 뭉툭하게 형성된 온도 센서(30)의 경우, 열원(10)으로부터 불받이판(200)을 들어낼 때 센싱 홀(210)에 걸리기 쉽다.
센싱 홀(210)을 통과한 온도 센서(30)가 센싱 홀(21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밑에서 바라봤을 때, 조리 용기(100)를 향해 함몰된 함몰부(250)의 단부는 조리 용기(100)의 측면을 향해 라운딩지게 구부러질 수 있다. 위에서 바라본 경우, 함몰부(250)의 단부는 조리 용기(100)를 향해 돌출된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함몰부(250)는 센싱 홀(210)에 대한 온도 센서(30)의 입력과 출력이 자연스럽게 수행되도록 하는 동시에, 온도 센서(30)에 대한 센싱 홀(210)의 정렬 정밀도를 완화시킬 수 있다.
센싱 홀(210)의 테두리로부터 조리 용기(100)를 향해 연장되는 함몰부(250)는 센싱 홀(210)의 외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함몰부(250)는 양단부가 나팔처럼 벌어진 중공 파이프 형상을 취할 수 있다. 함몰부(250)가 조리 용기(100)의 바닥 하면(101)까지 연장되는 경우, 함몰부(250)는 가열 공간(90)의 공기가 센싱 홀(210)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220)를 형성할 수 있다.
트렌치와 함몰부(250)가 함께 존재하고, 각각 조리 용기(100)의 바닥 하면(101)까지 연장된다면, 적어도 2개의 역류 방지부(220)가 형성되는 셈이다. 이때, 트렌치는 함몰부(25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트렌치의 외측면과 함몰부(250)의 사이에는 조리 용기(100)와 불받이판(200)의 사이에서 가열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 홈(24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열원(10)의 온도 센서(30)가 관통할 수 있는 센싱 홀(210)이 불받이판(200)의 가운데에 형성될 수 있다.
열원(10) 측에서 바라봤을 때, 센싱 홀(210)의 테두리에는 조리 용기(100)를 향해 함몰된 함몰부(250)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싱 홀(2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트렌치가 형성될 수 있다. 센싱 홀(210)의 중심부터 트렌치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열원(10)의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트렌치는 센싱 홀(210)을 연속적으로 둘러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열원(10)의 화염 또는 열은 불받이판(200)의 하면에 직접 인가되며, 불받이판(200)의 하면을 따라 전파될 수 있다. 가열된 불받이판(200)에 의해 불받이판(200)의 상면에 접한 공기가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는 가열 공간(90) 내에 머물면서 조리 용기(100)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센싱 홀(210)을 향하는 일부의 화염 또는 열은 트렌치에 걸려서 센싱 홀(210)로 유입되지 못한다.
가열 공간(90) 내의 가열된 공기는 조리 용기(100)를 향해 함몰된 트렌치에 의해 1차적으로 가로막히고, 조리 용기(100)를 향해 함몰된 함몰부(250)에 의해 2차적으로 가로막힐 수 있다. 따라서, 가열 공간(90)의 공기가 센싱 홀(210)을 통해 누설되는 현상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다.
조리 용기(100)와 불받이판(20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불받이판(200)은 조리 용기(100)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열 공간(90)은 조리 용기(100)의 바닥 하면(101)에 대면되게 형성될 수 있다. 조리 용기(100) 전체를 신속하고 고르게 가열하기 위해 가열 공간(90)은 조리 용기(100)의 측벽부(102)에 대면되는 위치에도 형성되는 것이 좋다.
착탈식의 경우, 불받이판(200)에는 조리 용기(100)의 바닥 하면(101)을 덮는 제1 덮개(201)와 조리 용기(100)의 측벽부(102)를 덮는 제2 덮개(20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조리 용기(100)의 측벽부(102)에 대면되는 위치에 가열 공간(90)이 추가 형성되도록, 제1 덮개(201)를 기준으로 제2 덮개(202)의 기울기는 측벽부(102)의 기울기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덮개(201)는 지면에 평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덮개(202)는 제1 덮개(201)를 기준으로 측벽부(102)의 기울기보다 급격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리 용기(100)의 측벽부(102)와 제2 덮개(202)의 사이에 공기가 존재하는 가열 공간(9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102)와 제2 덮개(202) 사이에 형성된 가열 공간(90)에 의해 조리 용기(100)는 바닥 하면(101)뿐만 아니라 측벽부(102)까지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다. 기울기의 차이로 인해 조리 용기는 불받이판에 꽉 끼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열을 집중적으로 받는 불받이판(200)의 제2 덮개(202)가 열 팽창에 의해 벌어지더라도, 조리 용기(100)의 측벽부(102)가 제2 덮개(202) 내주면에 꽉 끼여서 빠지지 않는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 개선은 불받이판에 대한 조리 용기의 접촉면과, 조리 용기에 대한 불받이판의 접촉면 간의 기울기 차이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조리 용기(100)의 바닥 하면(101)과 제1 덮개(201)가 이격된 위치에서 조리 용기(100)가 불받이판(200)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2 덮개(202)에는 조리 용기(100)에 걸리는 불받이 턱부(203)가 마련될 수 있다. 불받이 턱부(203)는 제2 덮개(202)의 단부로부터 바깥(외주측)으로 구부러진 부분, 구체적으로 모서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불받이 턱부(203)에 대응하여, 조리 용기(100)에는 불받이 턱부(203)가 걸리는 조리 턱부(103)가 마련될 수 있다. 조리 턱부(103)는 측벽부(102)로부터 구부러지거나 평면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덮개(202)의 열 팽창으로 인한 조리 용기(100)의 끼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불받이 턱부(203)는 제1 덮개(201)를 기준으로 조리 턱부(103)의 기울기보다 급격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불받이 턱부와 조리 턱부로 인해, 불받이판에 대한 조리 용기의 틸팅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덮개(202)가 열 팽창에 의해 벌어지더라도, 급격한 경사를 갖던 불받이 턱부(203)는 조리 턱부(103)에 추종하는 기울기로 변화되므로, 열 팽창에 상관없이 조리 턱부(103)를 지지하고 불받이판에 대한 조리 용기의 틸팅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불받이 턱부 및 조리 턱부에 의해, 불받이판에 대해 조리 용기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쏠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불받이판(200)이 계속 가열되는 상태에서 음식물이 담긴 조리 용기(100)가 놓여지면, 조리 용기(100)의 하중에 의해 제2 덮개(202)가 벌어지면서 조리 용기(100)의 바닥 하면(101)이 제1 덮개(201)에 밀착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조리 용기(100)의 바닥 하면(101)과 불받이판(200) 간의 간격을 설정값 이상으로 유지하는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조리 용기(100)에 대면되는 불받이판(200)의 타면(상면)에는 조리 용기(100)를 지지하는 스토퍼(270)가 마련될 수 있다. 열원(10) 측에서 바라봤을 때, 스토퍼(270)는 불받이판(200)으로부터 조리 용기(100)를 향해 함몰된 홈 또는 돔(dome) 형상의 리브(28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70)는 열원(10)의 열을 직접 인가받는 제1 덮개(201)에 형성되는데, 스토퍼(270)가 홈 형상의 리브(280)를 포함할 경우 열 또는 화기를 외측면으로 가이드하는 화기 구멍(289)이 형성되는 동시에 제1 덮개(201)의 전체 면적이 증가된다. 따라서, 제1 덮개(201)는 열원(10)의 열을 보다 많은 면적에 걸쳐 받을 수 있으며, 보다 많은 면적으로 가열 공간(90)을 가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불받이판(200)은 조리 용기(100)의 바닥 하면(101) 및 조리 용기(10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불받이판(200)에는 조리 용기(100)의 측벽부(102)를 덮는 제2 덮개(202)가 마련될 수 있다. 조리 용기(100)의 측벽부(102)와 제2 덮개(202)의 사이에는 빈 공간에 해당하는 가열 공간(90)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 용기(100)의 윗면에 형성되고 음식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109)이 정의될 때, 측벽부(102)에는 수용 공간(109)과 가열 공간(90)을 소통시키는 소통 구멍(1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소통 구멍(11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소통 구멍(110)은 측벽부(102)의 외면으로부터 내면까지 연속되게 연장될 수 있다.
소통 구멍(110)은 수용 공간(109) 내벽면으로부터 유입된 액체(50)를 수용 공간(109)으로 유도하는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측벽부(102)의 외면 측에 소통 구멍(110)의 외측 입구(115)가 형성되고, 측벽부(102)의 내면 측에 소통 구멍(110)의 내측 입구(116)가 형성될 수 있다. 소통 구멍(110)은 내측 입구(116)가 외측 입구(115)보다 낮도록, 지면 또는 조리 용기(100)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통 구멍(110)으로 액체(50) 일부가 유입되더라도 해당 액체(50)는 소통 구멍(110)의 기울기로 인해 가열 공간(90)으로 누설되지 못하고, 수용 공간(109)을 향해 흐를 수 있다.
다른 예로, 소통 구멍(110)의 안쪽에는 서로 대면되는 상측의 상단 내벽(111)과 하측의 하단 내벽(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단 내벽(111) 또는 하단 내벽(112)은 소통 구멍(110)의 형성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단 내벽(111)과 하단 내벽(112)은 소통 구멍(110)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 공간(109)에 대면되는 상단 내벽(111)의 내측 말단은 평면상으로 하단 내벽(112)의 가운데 ⓒ에 대면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단 내벽(111)의 내측 말단은 평면상으로 하단 내벽(112)의 외측 말단으로부터 하단 내벽(112)의 내측 말단까지의 구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용 공간(109)에 대면되는 하단 내벽(112)의 내측 말단이 하단 내벽(112)의 가운데 ⓒ보다 낮도록, 하단 내벽(112)이 기울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단 내벽(112)의 가운데 ⓒ로부터 하단 내벽(112)의 내측 말단까지의 제1 구간 L1은 제1 구간 L1 상의 액체(50)를 수용 공간(109)으로 안내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해당 기울기는 소통 구멍(110)의 제조 편의를 위해 하단 내벽(112)의 가운데 ⓒ로부터 하단 내벽(112)의 외측 말단까지의 제2 구간 L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결국, 하단 내벽(112)은 가열 공간(90)에 대면되는 측벽부(102)의 외면으로부터 수용 공간(109)에 대면되는 측벽부(102)의 내면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조리 용기(100)의 측벽부(102)는 지면에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102)는 지면 h에 기울어진 t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소통 구멍(110)의 하단 내벽(112)은 상단 내벽(111)보다 안쪽, 다시 말해 수용 공간(109)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평면상으로 상단 내벽(111)의 내측 말단은 하단 내벽(112)의 가운데 ⓒ에 대면될 수 있다. 그 결과, 측벽부(102)의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용 공간(109) 내의 액체(50)는 상단 내벽(111)의 내측 말단으로부터 하단 내벽(112)의 가운데 ⓒ를 향하는 중력 방향 g를 따라 자유 낙하할 수 있다.
하단 내벽(112)의 가운데 ⓒ로 낙하된 액체(50)는 하단 내벽(112)을 따라 흐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단 내벽(112)의 내측 말단이 하단 내벽(112)의 가운데 ⓒ보다 낮도록, 하단 내벽(112)이 기울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하단 내벽(112)의 가운데 ⓒ로 낙하된 액체(50)는 하단 내벽(112)의 내측 말단을 향해 흐르고, 결국, 가열 공간(90)으로 누설되지 못하고 수용 공간(109)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한편, 상단 내벽(111)으로부터 흘러내리거나 자유 낙하하는 액체(50)를 하단 내벽(112)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용 공간(109)에 대면되는 상단 내벽(111)의 내측 말단은 평면상으로 하단 내벽(112)의 내측 말단으로부터 수용 공간(109)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 내벽(111)의 내측 말단은 하단 내벽(112)이 아니라, 조리 용기(100)의 바닥면 또는 조리 용기(100)의 측벽부(102) 내면에 직접 대면될 수 있다. 그 결과, 상단 내벽(111)의 내측 말단으로부터 흘러내리거나 자유 낙하한 액체(50)는 수용 공간(109)으로 직접 입력되는 셈이 된다.
불받이판(200)에는 조리 용기(100)의 바닥 하면(101)을 덮는 제1 덮개(20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덮개(201)의 가장자리에는 열원(10)의 열기를 소통 구멍(110)을 향해 유도하는 화기 구멍(289)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불받이판(200)에는 조리 용기(100)를 향해 돌출되거나 조리 용기(100)를 지지하는 스토퍼(270)가 마련될 수 있다.
열원(10) 측에서 바라봤을 때, 스토퍼(270)는 불받이판(200)으로부터 조리 용기(100)를 향해 함몰된 홈 형상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리브의 외주측 벽에 화기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리브의 단면 형상은 사인파 등의 곡선일 수 있으며, 이때의 곡선은 폭 방향 상 리브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주측 곡선 부위 및 내주측 곡선 부위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외주측 벽은 외주측 곡선 부위에 해당할 수 있다.
열원(10)의 열 또는 화기 구멍을 통해 가열 공간(90)으로 진입할 수 있다. 진입된 열 또는 화기는 소통 구멍(110)을 통해 수용 공간(109)으로 입력될 수 있다. 수용 공간(109)으로 입력된 열 또는 화기는 수용 공간(109)을 신속하게 가열하는 동시에 수용 공간(109)에 존재하는 냄새 또는 수증기를 연소 및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 용기를 뚜껑(300)으로 덮어서 수용 공간이 폐쇄되더라도, 수용 공간 내부의 냄새, 연기 등이 화기 또는 열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열원 30...온도 센서
90...가열 공간 100...조리 용기
101...바닥 하면 102...측벽부
103...조리 턱부 109...수용 공간
110...소통 구멍 111...상단 내벽
112...하단 내벽 115...외측 입구
116...내측 입구 200...불받이판
201...제1 덮개 202...제2 덮개
203...불받이 턱부 210...센싱 홀
220...역류 방지부 230...화염 방지부
240...역류 방지 홈 250...함몰부
270...스토퍼 280...리브
289...화기 구멍 300...뚜껑

Claims (9)

  1. 음식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조리 용기;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 하면 및 상기 조리 용기의 측면을 덮는 불받이판;을 포함하고,
    상기 불받이판에는 상기 조리 용기의 측벽부를 덮는 제2 덮개가 마련되며,
    상기 조리 용기의 측벽부와 상기 제2 덮개의 사이에는 빈 공간에 해당하는 가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에는 수용 공간과 상기 가열 공간을 소통시키는 소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소통 구멍은 상기 측벽부의 외면으로부터 내면까지 연속되게 연장되며,
    상기 소통 구멍은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유입된 액체를 상기 수용 공간으로 유도하는 기울기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외면 측에 상기 소통 구멍의 외측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내면 측에 상기 소통 구멍의 내측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소통 구멍은 상기 내측 입구가 상기 외측 입구보다 낮도록,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소통 구멍의 안쪽에는 서로 대면되는 상측의 상단 내벽과 하측의 하단 내벽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대면되는 상기 상단 내벽의 내측 말단은 평면상으로 상기 하단 내벽의 가운데에 대면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대면되는 상기 하단 내벽의 내측 말단이 상기 하단 내벽의 가운데보다 낮도록, 상기 하단 내벽이 기울어진 조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받이판에는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 하면을 덮는 제1 덮개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덮개의 가장자리에는 열원의 열기를 상기 소통 구멍을 향해 유도하는 화기 구멍이 형성된 조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받이판에는 스토퍼가 마련되고,
    열원 측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불받이판으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를 향해 함몰된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의 외주측 벽에는 화기 구멍이 형성된 조리 장치.
KR1020180116191A 2018-09-28 2018-09-28 조리 장치 KR102168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191A KR102168205B1 (ko) 2018-09-28 2018-09-28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191A KR102168205B1 (ko) 2018-09-28 2018-09-28 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007A KR20200037007A (ko) 2020-04-08
KR102168205B1 true KR102168205B1 (ko) 2020-10-21

Family

ID=7027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191A KR102168205B1 (ko) 2018-09-28 2018-09-28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20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310Y1 (ko) * 2010-07-21 2012-12-24 정영보 조리 용기
KR101202876B1 (ko) * 2011-04-01 2012-11-19 주식회사 로이첸 피 조리물을 동시에 입체적으로 가열하여 조리가 가능토록 된 조리용기.
KR101334076B1 (ko) 2013-07-25 2013-11-28 (주)디포인덕션 유도가열 방식의 구이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007A (ko)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6211B2 (ja) 加熱調理容器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KR101430340B1 (ko) 냄새 저감형 양면 팬
KR102168205B1 (ko) 조리 장치
KR101785871B1 (ko) 직화 조리방식을 적용한 프라이팬
KR20040071025A (ko) 그릴 및 이를 갖춘 조리장치
KR20170011040A (ko) 간접열 오리 구이기
KR102130661B1 (ko) 조리 장치
JP5906212B2 (ja) 加熱調理容器
KR102130682B1 (ko) 조리 장치
KR101602572B1 (ko) 과열방지용 온도센서를 구비한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KR200476624Y1 (ko) 조리용기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101605612B1 (ko) 직화 조리용 뚜껑
KR101045571B1 (ko) 직화 조리기
KR101140260B1 (ko) 열기 유도형 주방용기
KR20110005564U (ko) 직화를 이용한 찜 조리기구
KR101131541B1 (ko) 직화 조리기
KR20190113168A (ko) 구이팬
KR200492753Y1 (ko) 보조 용기가 구비된 직화 구이기
KR101131780B1 (ko) 다기능 조리기구
KR20090051589A (ko) 다층 조리기
KR101177025B1 (ko) 간편 조리기용 기름받이 세트
KR100717079B1 (ko) 가스버너가 내장된 테이블 및 이에 사용되는 구이판
JP2011240063A (ja) 調理容器およびその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