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883B1 - 프라이팬 - Google Patents

프라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883B1
KR101519883B1 KR1020140183216A KR20140183216A KR101519883B1 KR 101519883 B1 KR101519883 B1 KR 101519883B1 KR 1020140183216 A KR1020140183216 A KR 1020140183216A KR 20140183216 A KR20140183216 A KR 20140183216A KR 101519883 B1 KR101519883 B1 KR 101519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pace
vapor
inle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수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튼
Priority to KR1020140183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883B1/ko
Priority to PCT/KR2015/011939 priority patent/WO201609903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47J37/103Broiling- or heating-l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in the form of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프라이팬이 개시된다. 상기 프라이팬은 음식재료가 가열되어 조리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닫는 덮개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연통되어 있는 증기배출통로 및 상기 증기배출통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배출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증기배출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라이팬{FRYPAN}
본 발명은 프라이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요리의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라이팬은 열로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로서, 그 구조 및 형상이 여러 가지로 제안되고 있다.
종래의 프라이팬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를 행하는 프라이팬(10)의 일측에는 손잡이(11)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프라이팬(10)의 상측에는 뚜껑(12)이 분리 가능케 결합되며, 상기 뚜껑(12)에는 파지부(13)를 돌출하여 결합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가스 렌지 등의 가열 조리기에서 열을 가함에 따라 음식물이 조리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의 프라이팬은 음식물을 익히는 수준의 단순한 기능만을 행하게 됨으로써 그 사용 용도에 제한이 많게 된다.
한편, 프라이팬은 도 1과 같은 일반적인 프라이팬 형태와 달리 프라이팬 본체와 상부 프라이팬이 개폐 또는 분리 가능케 힌지 결합되어 본체 내에서는 물론 상부 프라이팬에서도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양면 프라이팬이 알려져 있다.
양면 프라이팬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6-0045695호 냄새 제거용 프라이팬이 있다. 이 특허는 프라이팬 내부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음식냄새 및 가스 등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냄새 및 가스 등이 배출되는 유도로 및 유도로를 개폐하는 배출개폐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배출개폐장치는 한 쌍의 몸체를 반복적으로 뒤집어 사용하게 되며, 이때 하나의 몸체의 위로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몸체는 유도로가 밀폐되고, 아래에 위치하는 하나의 몸체는 유도로가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특허는 한 쌍의 몸체 중 어느 것을 사용하더라도 서로 닫혀진 한 쌍의 몸체 내부에서 발생되는 냄새 및 가스 등이 배출되므로 밀폐된 내부에는 증기가 유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특허 역시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프라이팬과 같이 음식물을 익히는 수준의 단순한 기능만을 행하게 되며, 이에 따라 그 사용 용도도 여전히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덮개를 갖는 프라이팬의 내부에서 음식이 조리될 때 발생되는 증기의 배출 여부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고, 증기의 배출 여부를 조절함에 따라 다양한 요리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한 프라이팬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은 음식재료가 가열되어 조리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닫는 덮개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연통되어 있는 증기배출통로 및 상기 증기배출통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배출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증기배출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증기배출통로는,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에 배치되고, 증기유입공간을 포함하는 증기유입챔버; 및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증기유입공간에 관통된 증기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증기유입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대향하여 상기 증기유입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증기유입챔버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증기유입공간 내에 배치되고, 증기배출구멍을 포함하는 격판; 및 상기 격판의 위로 위치하고 상기 격판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증기배출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격판 상에 놓인 볼(ball)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격판은 상기 볼이 상기 증기배출구멍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볼이 안착되는 볼안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팬에 의하면, 증기배출통로를 밀폐하는 제1 방향 및 증기배출통로를 개방하는 제2 방향으로 프라이팬을 기울이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프라이팬 내부의 공간에서 증기를 배출시키거나 밀폐된 내부공간에 증기가 유지되도록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이점에 의해 프라이팬을 이용한 주요 요리인 부침요리뿐만 아니라 증기를 이용한 찜 요리도 가능하게 되므로 다양한 요리를 조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프라이팬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의 외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의 증기배출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팬은 내부공간에서 음식이 조리될 때 발생되는 증기를 프라이팬의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내부공간에 증기를 유지시킬 수 있는 증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에 발명의 사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팬은 내부공간이 밀폐시키는 구성 및 증기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포함된다.
여기서, 프라이팬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는 구성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유리덮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프라이팬 본체가 양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프라이팬 본체가 양면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의 외관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은 몸체부(100), 덮개부(200), 손잡이부(310, 320), 증기배출조절부(410, 4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라이팬은 양면 프라이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이러한 경우,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는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갖는다. 각각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는 바닥면(111, 211), 상기 바닥면(111, 211)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측면부(112, 212)를 포함할 수 있고, 바닥면(111, 211)에 대향하는 상면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 의해 각각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는 음식재료가 가열되어 조리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몸체부(100)에 형성된 내부공간을 제1 내부공간(113)으로, 덮개부(200)에 형성된 내부공간을 제2 내부공간(213)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는 각각의 상단부 테두리가 맞닿도록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를 상호 밀착시켜 닫으면, 제1 내부공간(113) 및 제2 내부공간(213)은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일측에는 힌지부(114, 214)가 형성되고, 각각의 힌지부(114, 214)는 서로 연결되어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한다.
손잡이부(310, 320)는 각각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일측에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몸체부(100)에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제1 손잡이부(310)로, 덮개부(200)에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제2 손잡이부(320)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1 손잡이부(310) 및 제2 손잡이부(320)는 각각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측면부(112, 2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손잡이부(310) 및 제2 손잡이부(320)는 힌지부(114, 214)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손잡이부(310) 및 제2 손잡이부(320)의 연결을 위해, 몸체부(100)는 측면부(112)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제1 연결부(115)가 형성될 수 있고, 덮개부(200)는 측면부(212)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제2 연결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15)에 제1 손잡이부(310)가 결합될 수 있고, 제2 연결부(215)에 제2 손잡이부(320)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가 서로 닫혀서 제1 내부공간(113) 및 제2 내부공간(213)이 밀폐된 상태로 가열되어 제1 내부공간(113) 및 제2 내부공간(213)에서 음식이 조리되면 각각의 밀폐된 내부공간에 증기가 발생된다. 이때 발생된 증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음식의 조리방법에 따라 증기배출조절부(410, 420)를 조작하여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밀폐된 제1 내부공간(113) 및 제2 내부공간(213)에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증기배출조절부(410, 420)는 도 3과 같이 양면형 프라이팬인 경우, 각각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몸체부(100)에 설치되는 증기배출조절부를 제1 증기배출조절부(410)로, 덮개부(200)에 설치되는 증기배출조절부를 제2 증기배출조절부(420)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의 증기배출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증기배출조절부를 설명하는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4 및 도 5가 참조된다.
제1 증기배출조절부(410)는 증기배출통로를 구비한 제1 증기배출통로부(430) 및 제1 개폐밸브(45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증기배출조절부(420)는 증기배출통로를 구비한 제2 증기배출통로부(440) 및 제2 개폐밸브(4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증기배출통로부(430) 및 제2 증기배출통로부(440)는 각각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제1 내부공간(113) 및 제2 내부공간(213)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 내부공간(113) 및 제2 내부공간(213)으로부터 각각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외부로 연통될 수 있다. 제1 증기배출통로부(430)는 제1 증기유입챔버(431) 및 제1 증기유입구(43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증기배출통로부(440)는 제2 증기유입챔버(441) 및 제2 증기유입구(4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증기유입챔버(431) 및 제2 증기유입챔버(441)는 각각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제1 내부공간(113) 및 제2 내부공간(213)에 발생되는 증기가 유입되는 제1 증기유입공간(431a) 및 제2 증기유입공간(441a)을 각각 포함하며, 각각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제1 내부공간(113) 및 제2 내부공간(213)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1 증기유입공간(431a) 및 제2 증기유입공간(441a)은 각각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제1 내부공간(113) 및 제2 내부공간(213)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유입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제1 증기유입챔버(431) 및 제2 증기유입챔버(441)의 저면부는 개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증기유입공간(431a) 및 제2 증기유입공간(441a)은 완전히 밀폐되지 않고 각각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외부와 연통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제1 증기유입구(432) 및 제2 증기유입구(442)는 각각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제1 내부공간(113) 및 제2 내부공간(213)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제1 증기유입공간(431a) 및 제2 증기유입공간(441a)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각각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제1 내부공간(113) 및 제2 내부공간(213)으로부터 제1 증기유입공간(431a) 및 제2 증기유입공간(441a)에 관통된다. 제1 증기유입구(432)는 제1 증기유입챔버(431)의 상면부에 관통되고, 제2 증기유입구(442)는 제2 증기유입챔버(441)의 상면부에 관통된다. 이러한 제1 증기유입구(432) 및 제2 증기유입구(442)에 의해 각각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제1 내부공간(113) 및 제2 내부공간(213)과 제1 증기유입공간(431a) 및 제2 증기유입공간(441a)은 서로 소통될 수 있다.
개폐밸브(450, 460)는 각각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제1 증기배출통로부(430) 및 제2 증기배출통로부(440) 상에 설치되어 제1 증기배출통로부(430) 및 제2 증기배출통로부(440)를 개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몸체부(100)에 형성된 제1 증기배출통로부(430) 상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제1 개폐밸브(450)로, 덮개부(200)에 형성된 제2 증기배출통로부(440) 상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제2 개폐밸브(460)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개폐밸브(450)는 제1 격판(451) 및 제1 개폐부재(4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격판(451)은 제1 증기유입챔버(431)의 내면에 고정되어 제1 증기유입공간(431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격판(451)은 제1 증기유입구(432)의 아래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1 격판(451)은 제1 증기배출구멍(451a) 및 제1 볼안착홈(45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증기배출구멍(451a)은 제1 격판(451)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1 볼안착홈(451b)은 제1 증기배출구멍(451a)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1 개폐부재(452)는 제1 격판(451)의 위로 위치하고, 제1 격판(451)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제1 증기배출구멍(451a)을 개폐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개폐부재(452)는 제1 증기유입구(432) 및 제1 증기배출구멍(451a)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 볼(ball)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볼은 제1 격판(451) 상에 놓여서 제1 격판(4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제1 볼이 이동하여 제1 증기배출구멍(451a)을 막으면 제1 격판(451)은 제1 증기유입공간(431a)을 외부로부터 밀폐하게 되고, 제1 볼이 이동하여 제1 볼안착홈(451b) 상에 놓이면 제1 증기배출구멍(451a)은 개방되어 제1 증기유입공간(431a)이 몸체부(100)의 외부와 소통될 수 있다. 제1 볼의 이동은 몸체부(100)를 기울이는 것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제2 개폐밸브(460)는 제2 격판(461) 및 제2 개폐부재(46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격판(461)은 제2 증기유입챔버(441)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 격판(461)은 제2 증기배출구멍(461a) 및 제2 볼안착홈(46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폐부재(462)는 제2 증기유입구(442) 및 상기 제2 증기배출구멍(461a)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볼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격판(461), 제2 개폐부재(462), 제2 증기배출구멍(461a) 및 제2 볼안착홈(461b)은 제1 격판(451), 제1 개폐부재(452), 제1 증기배출구멍(451a) 및 제1 볼안착홈(451b)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1 증기배출통로부(430) 및 제2 증기배출통로부(440)는 통로덮개(510, 520)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통로덮개(510, 520)는 각각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저면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면, 각각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저면부의 일측에서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나사결합부에 나사를 통해 결합되어 제1 증기배출통로부(430) 및 제2 증기배출통로부(44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통로덮개(510, 520)는 제1 증기배출통로부(430) 및 제2 증기배출통로부(44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1 증기배출통로부(430) 및 제2 증기배출통로부(440)로부터 증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때 증기의 배출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프라이팬을 이용한 일반적인 부침 요리의 경우 프라이팬의 몸체부(100)의 제1 내부공간(113)을 개방, 즉 덮개부(200)를 몸체부(100)로부터 이격시킨 후 몸체부(100)의 제1 내부공간(113)이 개방된 상태로 야채, 계란 등의 부침 요리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음식의 조리시 발생되는 증기는 몸체부(100)의 제1 내부공간(113)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외부로 자유롭게 배출되므로 몸체부(100)에 설치된 제1 증기배출조절부(410)의 상태는 제1 개폐밸브(450)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양면 프라이팬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를 닫은 상태로 음식을 조리하게 되는데, 이때 증기의 배출을 위해서는 제1 손잡이부(310) 및 제2 손잡이부(320)를 잡고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를 일측, 즉 제1 볼안착홈(451b) 또는 제2 볼안착홈(461b)을 향해 제1 개폐부재(452) 또는 제2 개폐부재(462)가 이동할 수 있는 방향으로 프라이팬 전체를 기울인 후 증기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프라이팬을 이용한 찜 요리의 경우 제1 증기배출조절부(410) 및 제2 증기배출조절부(420)를 통해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밀폐된 제1 내부공간(113) 및 제2 내부공간(213)으로부터 증기의 배출을 막아서 찜 요리를 할 수 있다.
즉, 찜 요리를 위해 몸체부(100)가 아래에 위치하고 덮개부(200)가 위로 위치한 상태에서, 덮개부(200)에 설치된 제2 개폐밸브(460)의 제2 개폐부재(462)는 제2 증기유입챔버(441)의 상면부를 향해 이동된 상태가 되어 제2 증기유입구(442)를 막는다. 이에 의해 덮개부(200)를 통해 증기가 배출되지 않는다.
한편 몸체부(100)에 설치된 제1 개폐밸브(450)의 제1 개폐부재(452)는 제1 격판(451)의 제1 증기배출구멍(451a) 상에 놓여서 제1 증기배출구멍(451a)을 막도록 위치한다. 이에 의해 제1 증기유입구(432)를 통해 제1 증기유입공간(431a) 내로 유입된 증기는 제1 격판(451)의 아래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몸체부(100)를 통해 증기가 배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프라이팬 내부가 밀폐된 상태가 되도록 각각의 제1 증기배출조절부(410) 및 제2 증기배출조절부(420)를 조절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제1 손잡이부(310) 및 제2 손잡이부(320)를 잡고 몸체부(100)에 설치된 제1 개폐밸브(450)의 제1 개폐부재(452)가 제1 증기배출구멍(451a)이 위치한 방향으로 몸체부(100)를 기울이면 제1 개폐부재(452)는 제1 증기배출구멍(451a)을 향해 이동하여 제1 증기배출구멍(451a)을 막게 되며, 이때 덮개부(200)에 설치된 제2 개폐부재(462)는 제2 증기유입챔버(441)의 상면부가 몸체부(100)에 대향하게 됨에 따라 제2 증기유입챔버(441)의 상면부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2 개폐부재(462)는 제2 증기유입구(442)를 막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몸체부(100)가 가스렌지의 받침대 위로 놓여서 가열됨에 따라 음식이 조리될 때 발생되는 증기는 각각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밀폐된 제1 내부공간(113) 및 제2 내부공간(213)에 유지되며, 밀폐된 제1 내부공간(113) 및 제2 내부공간(213)에 수용된 찜 요리를 위한 재료는 몸체부(100)를 가열하는 열 및 각각의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밀폐된 제1 내부공간(113) 및 제2 내부공간(213)에 유지되는 증기에 의해 조리된다. 이와 같이 증기를 유지시키는 것에 의해 조리 가능한 요리는, 예를 들면, 계란찜, 찐 옥수수 등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몸체부(100)가 덮개부(200)의 아래에 위치하여 밀폐된 제1 내부공간(113) 및 제2 내부공간(213)에서 찜 요리가 조리되는 경우 제1 개폐부재(452)가 제1 증기배출구멍(451a)을 막고, 제2 개폐부재(462)는 제2 증기유입구(442)를 막은 상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덮개부(200)가 몸체부(100)의 아래에 위치하여 밀폐된 제1 내부공간(113) 및 제2 내부공간(213)에서 찜 요리가 조리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1 개폐부재(452)는 제1 증기유입구(432)를 막고, 제2 개폐부재(462)는 제2 증기배출구멍(461a)을 막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덮개부(200)가 아래에 위치하고 몸체부(100)는 덮개부(200)의 위로 위치하도록 뒤집은 상태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을 이용하면, 증기배출통로를 밀폐하는 제1 방향 및 증기배출통로를 개방하는 제2 방향으로 프라이팬을 기울이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프라이팬 내부의 공간에서 증기를 배출시키거나 밀폐된 내부공간에 증기가 유지되도록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이점에 의해 프라이팬을 이용한 주요 요리인 부침요리뿐만 아니라 증기를 이용한 찜 요리도 가능하게 되므로 프라이팬만으로 다양한 요리를 조리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몸체부 200 : 덮개부
310, 320 : 손잡이부 410, 420 : 증기배출조절부
430, 440 : 증기배출통로 450, 460 : 개폐밸브
431, 441 : 증기유입챔버 432, 442 : 증기유입구
431a, 441a : 증기유입공간 451, 461 : 격판
452, 462 : 개폐부재 451a, 461a : 증기배출구멍
451b, 461b : 볼안착홈 510, 520 : 통로덮개

Claims (7)

  1. 음식재료가 가열되어 조리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닫는 덮개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연통되어 있는 증기배출통로를 구비하는 증기배출통로부 및 상기 증기배출통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배출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증기배출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배출통로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 외부공간에 개방된 증기유입공간 및 상기 증기유입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증기유입구를 포함하는 증기유입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증기유입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 외부공간에 대해 상기 증기유입공간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증기유입챔버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증기유입공간 내에 배치되고, 증기배출구멍을 포함하는 격판; 및
    상기 증기유입공간 내에서 상기 격판과 상기 증기유입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격판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증기배출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증기배출구멍 및 상기 증기유입구보다 큰 직경을 갖는 볼(ball)이고,
    상기 격판은 상기 볼이 상기 증기배출구멍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볼이 안착되는 볼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5. 제1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내부공간과 함께 음식재료가 가열되어 조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내부공간을 갖는 덮개부;
    상기 제1 내부공간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몸체부의 외부공간에 대해 개방된 제1 증기유입공간 및 상기 제1 증기유입공간과 상기 제1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제1 증기유입구를 구비하는 제1 증기유입챔버; 및 상기 제1 증기유입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 외부공간에 대해 상기 제1 증기유입공간을 개폐하는 제1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제1 증기배출조절부; 및
    상기 제2 내부공간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덮개부의 외부공간에 대해 개방된 제2 증기유입공간 및 상기 제2 증기유입공간과 상기 제2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제2 증기유입구를 구비하는 제2 증기유입챔버; 및 상기 제2 증기유입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부 외부공간에 대해 상기 제2 증기유입공간을 개폐하는 제2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제2 증기배출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밸브는 상기 제1 증기유입공간 내에서 상기 제1 증기유입구와 이격되게 상기 제1 증기유입챔버에 결합되고 제1 증기배출구멍을 구비하는 제1 격판; 및 상기 제1 증기유입공간 내에서 상기 제1 증기유입구와 상기 제1 격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증기유입구와 상기 제1 증기배출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개폐밸브는 상기 제2 증기유입공간 내에서 상기 제2 증기유입구와 이격되게 상기 제2 증기유입챔버에 결합되고 제2 증기배출구멍을 구비하는 제2 격판; 및 상기 제2 증기유입공간 내에서 상기 제2 증기유입구와 상기 제2 격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증기유입구와 상기 제2 증기배출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재는 상기 제1 증기유입구 및 상기 제1 증기배출구멍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 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격판은 상기 제1 증기배출구멍과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볼이 안착되는 제1 볼안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개폐부재는 상기 제2 증기유입구 및 상기 제2 증기배출구멍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격판은 상기 제2 증기배출구멍과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볼이 안착되는 제2 볼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KR1020140183216A 2014-12-18 2014-12-18 프라이팬 KR101519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216A KR101519883B1 (ko) 2014-12-18 2014-12-18 프라이팬
PCT/KR2015/011939 WO2016099030A1 (ko) 2014-12-18 2015-11-06 프라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216A KR101519883B1 (ko) 2014-12-18 2014-12-18 프라이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883B1 true KR101519883B1 (ko) 2015-05-14

Family

ID=53394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216A KR101519883B1 (ko) 2014-12-18 2014-12-18 프라이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9883B1 (ko)
WO (1) WO20160990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4815A (zh) * 2021-09-15 2021-12-31 周毅 一种加热效率高的蒸羹器及其使用方法和清洗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035A (ko) * 2000-02-23 2001-09-06 구자홍 전기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90004955U (ko) * 2007-11-20 2009-05-25 이상돈 냄새를 연소하는 프라이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809Y1 (ko) * 2004-05-06 2004-07-31 권경안 압력 볼을 이용한 압력 조절 조리기구
KR100771494B1 (ko) * 2006-05-22 2007-10-31 권석재 냄새 제거용 프라이팬
KR101430340B1 (ko) * 2013-01-17 2014-09-23 류은영 냄새 저감형 양면 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035A (ko) * 2000-02-23 2001-09-06 구자홍 전기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90004955U (ko) * 2007-11-20 2009-05-25 이상돈 냄새를 연소하는 프라이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4815A (zh) * 2021-09-15 2021-12-31 周毅 一种加热效率高的蒸羹器及其使用方法和清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99030A1 (ko)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1702B2 (en) Cooking apparatus
US9900936B2 (en) Over-the-range microwave ove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119708B2 (en) Oven with automatic open/closed system mode control
KR101697898B1 (ko) 무선 전기 압력밥솥
WO2008085004A1 (en) The oven
PT1942778E (pt) Panela para cozinhar ou aquecer dotada de um mecanismo ajustável de ventilação dos vapores internos
KR101519883B1 (ko) 프라이팬
CN209090960U (zh) 用于小烤箱的烹饪腔的开口的覆盖元件
US20050258170A1 (en) Combined microwave/frying apparatus
KR101430340B1 (ko) 냄새 저감형 양면 팬
KR101489691B1 (ko)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
KR101458458B1 (ko) 휴대용 압력조리용기세트
KR101023681B1 (ko) 양면 후라이팬
KR200387420Y1 (ko) 압력 가마솥
KR102166514B1 (ko) 압력솥
KR20060095421A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KR200390741Y1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KR20170010971A (ko) 압력밥솥 덮개
KR101844456B1 (ko) 조리 용기용 거치대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100491795B1 (ko)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KR200314637Y1 (ko) 양면 프라이팬
KR101728660B1 (ko) 전자렌지용 취사 용기
KR102436196B1 (ko) 전기압력밥솥
KR102162525B1 (ko) 냄비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