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681B1 - 양면 후라이팬 - Google Patents

양면 후라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681B1
KR101023681B1 KR1020100137457A KR20100137457A KR101023681B1 KR 101023681 B1 KR101023681 B1 KR 101023681B1 KR 1020100137457 A KR1020100137457 A KR 1020100137457A KR 20100137457 A KR20100137457 A KR 20100137457A KR 101023681 B1 KR101023681 B1 KR 101023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upper fan
coupling parts
pan
fema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랜
Priority to KR1020100137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47J37/103Broiling- or heating-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 후라이팬에 관한 것으로, 양면 후라이팬의 닫힘시 완전 밀폐가 되도록 하여 후라이팬 내부의 열기나 물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후방측에 손잡이가 연결 형성되며 손잡이의 전방측으로 테두리부 일측 절반에는 돌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타측 절반에는 홈부가 형성되는 상부팬과, 후방측에 손잡이가 연결 형성되고 상기 상부팬과 함께 양측으로 가열 가능하도록 상호간에 각각의 내측이 마주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부팬에 상반되도록 테두리부 일측 절반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타측 절반에는 돌부가 형성되어 마주하는 상기 상부팬의 내측 테두리부에 밀착되는 하부팬과, 상기 상부팬과 하부팬이 상호간에 축회전되도록 각각의 전방측 양측에 수결합부와 암결합부가 상반되게 형성되는 한쌍의 힌지부재와, 상기 상부팬 및 하부팬의 마주하는 전방판 중심측 상에 전방판의 길이방향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지되 상부팬 및 하부팬의 내측과 외측이 통하도록 각각 홈 형태로 되어 밀착시 통공 형태로 형성되는 배출로와, 상기 하부팬의 전방판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팬의 수결합부에서부터 암결합부에까지 연결 형성되어지되 하부측 내면이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기름을 받는 기름받이부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양면 후라이팬{Duplex frying pan}
본 발명은 양면 후라이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면 후라이팬의 닫힘시 완전 밀폐가 되도록 하여 후라이팬 내부의 열기나 물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양면 후라이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라이팬은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후라이팬 본체는 그릇 형태로 상부가 개방되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후라이팬의 내부를 밀폐시켜 음식물을 보다 빠르게 조리하고, 내부 음식물의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하여 음식물을 보다 맛있게 조리할 수 있도록 힌지 구조를 이용한 양면 후라이팬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양면 후라이팬은 힌지구조에 의해 결합된 상부팬과 하부팬에 의해 내부의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기름이나 수분 등이 후라이팬의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금속재의 상부팬과 하부팬이 접하는 구조상 그 밀폐성이 확실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양면 후라이팬의 닫힘시 완전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후라이팬 내부의 기름이나 수분 등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양면 후라이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방측에 손잡이가 연결 형성되며 손잡이의 전방측으로 테두리부 일측 절반에는 돌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타측 절반에는 홈부가 형성되는 상부팬과, 후방측에 손잡이가 연결 형성되고 상기 상부팬과 함께 양측으로 가열 가능하도록 상호간에 각각의 내측이 마주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부팬에 상반되도록 테두리부 일측 절반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타측 절반에는 돌부가 형성되어 마주하는 상기 상부팬의 내측 테두리부에 밀착되는 하부팬과, 상기 상부팬과 하부팬이 상호간에 축회전되도록 각각의 전방측 양측에 수결합부와 암결합부가 상반되게 형성되는 한쌍의 힌지부재와, 상기 상부팬 및 하부팬의 마주하는 전방판 중심측상에 전방판의 길이방향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지되 상부팬 및 하부팬의 내측과 외측이 통하도록 각각 홈 형태로 되어 밀착시 통공 형태로 형성되는 배출로와, 상기 하부팬의 전방판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팬의 수결합부에서부터 암결합부에까지 연결 형성되어지되 하부측 내면이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기름을 받는 기름받이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후라이팬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양면 후라이팬은 마주하는 상부팬과 하부팬이 각각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상방된 돌부 및 홈부의 구조와, 힌지부와 연결되는 연장부의 구조에 의해 완전 밀착되어지므로 외부로 기름이나 수분 등이 빠져나가지 않게 함으로써 음식물을 보다 빠르게 조리하면서 음식물을 보다 맛있게 조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로의 기름 튐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하고 주변의 더럽혀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방에 형성되는 배출로를 통해 불필요한 기름이 배출되게 하여 그 기름을 별도로 받음으로써 더욱 청결한 조리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양면 후라이팬의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양면 후라이팬의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리 상태도,
도 4는 도 1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팬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하부팬에 상부팬을 결합한 상태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부 결합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양면 후라이팬은 내측이 상호간에 마주하게 구비되는 상부팬(10) 및 하부팬(20)과, 상부팬(10)과 하부팬(20)이 상호간에 축회전되도록 구비되는 힌지부재(30)와,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의 전방판(13,23)에 형성되는 배출로(40)와, 하부팬(20)의 전방판(23)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기름받이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은 후라이팬을 구성하는 기본 구성요소로서, 상부팬(10)과 하부팬(20)을 힌지 결합함으로써 상부팬(10)과 함께 하부팬(20)을 양측으로 가열 가능하도록 상호간에 각각의 내측이 마주하게 구성된다.
상부팬(10)과 하부팬(20)은 상호간에 맞접하는 각각의 내측 테두리부(15,25)를 통해 밀착되어진다. 이때 상부팬(10)의 내측 테두리부(15) 일측 절반에는 돌부(16)를 형성하고, 나머지 절반에는 홈부(17)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부팬(10)에 대응되는 하부팬(20)은 상부팬(10)에 상반되도록 내측 테두리부(25) 일측 절반에는 홈부(27)를 형성하고, 나머지 절반에는 돌부(26)를 형성하여 상호간에 완전밀착되어 밀폐성을 지니도록 구성한다.
상기 돌부(16,26) 및 홈부(17,27)는 다양한 각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접촉면적이 넓어 밀폐력이 우수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팬(10)과 하부팬(20)의 각각의 후방측에는 손잡이(71,72)가 연결 형성되며, 손잡이(71,72) 끼리는 미도시되었으나 결합부재에 의해 개폐 단속된다.
상기 상부팬(10)과 하부팬(20)은 상기 손잡이(71,72)의 전방측에 구비되며, 전방측 외측에서 힌지부재(30)에 의해 상호간에 축결합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힌지부재(30)는 도 2에서와 같이 상부팬(10)과 하부팬(20) 각각의 전방측 양측에 수결합부(11,21)와 암결합부(12,22)가 서로 상반되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부팬(10)의 전방측 일측에 수결합부(11)가 형성되고 타측에 암결합부(12)가 이격 형성되며, 상부팬(10)에 대응되는 하부팬(20)의 전방측 일측에 암결합부(21)가 형성되고 타측에 암결합부(22)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수결합부(11,21)와 암결합부(12,22)는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의 전방판(13,23)에서 외측으로 이격 형성되어 연장부(60)에 의해 연결 구성되어진다. 상기 연장부(60)를 형성함으로써 수결합부(11,21)와 암결합부(12,22)로 이루어지는 힌지부재(30)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연장부(60)는 각각 수평되게 형성되어져 상호간에 밀착되어지고, 연장부(60)의 길이에 따라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연장부(60)의 길이(L2)가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의 전방판(13,23)에서 후방판(14,24)까지 길이(L1) 보다 길면 후라이팬 전체의 길이가 길어질 뿐만 아니라 힌지부재(30)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고, 연장부(60)의 길이(L2)가 짧게 되면 위와 마찬가지로 힌지부재(30)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연장부(60)의 가장 바람직한 길이(L2)는 일정길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의 전방판(13,23)에서 후방판(14,24)까지 길이(L1)에 따라 달라져야 하므로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의 전방판(13,23)에서 후방판(14,24)까지 길이(L1)의 1/15∼1/10 정도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반복적인 측정결과상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수결합부(11,21)는 원주가 일정한 봉 형태로 형성되며, 전방 삽입측에는 암결합부(12,22)에 삽입이 유리하도록 경사안내부(11a,21a)를 형성한다.
한편 암결합부(12,22)는 수결합부(11,21)에 대응되도록 내주 단면이 원형으로 일정하게 형성되어도 되나,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수결합부(11,21)가 결합되는 입구측(E1)이 상기 수결합부(11,21)의 원주면에 밀착되고, 입구측(E1)에서 출구측(E2)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하여, 입구측(E1)에서는 늘 밀착 고정된 상태이고 출구측(E2)에서는 늘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게 함으로서 사용시에는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이 고정된 상태이고, 분리시 및 결합시에 큰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서와 같이 상부팬(10) 및 하부팬(20) 각각의 암결합부(12,22)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수결합부(11,21)는 상기 암결합부(12,22)의 타원형과 동일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암결합부(12,22) 내에서 유격이 발생할 수 있도록 조금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그 크기는 암결합부(12,22)의 9/10 크기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측정결과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도 7의 (a)에서와 같이 외측 하부팬(20)의 암결합부(22)는 고정된 상태이고, 내측 상부팬(10)의 수결합부(11)에 의한 열림시 유격이 발생되어 여유있는 작동이 가능하게 되고, 도 7의 (b)에서와 같이 내측 상부팬(10)의 수결합부(11)에 의한 회전 닫힘시 수결합부(11)의 외측면과 암결합부(22)의 내측면이 수평방향 지점에서 상호 마찰되어 닫힘 정지되므로 닫힘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의 마주하는 전방판(13,23) 중심측상에 전방판(13,23)의 길이방향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지되,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의 내측과 외측이 통하도록 각각 홈 형태로 되어 밀착시 통공 형태로 형성되는 배출로(40)가 형성된다.
배출로(40)는 후라이팬의 내부 음식물의 가열,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물질 또는 이물질 등이 배출되는 통로로, 상기와 같이 상부팬(10) 및 하부팬(20)에 각각 형성되어 전체가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되나, 하부팬(20)에만 형성되게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한편 상기 하부팬(20)의 전방판(23)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팬(20)의 수결합부(21)에서부터 암결합부(22)에까지 연결 형성되는 기름받이부재(50)가 형성된다.
상기 기름받이부재(50)는 배출로(40)를 통해 배출되는 기름물질 또는 이물질 등이 수거되는 부재로서, 기름물질 또는 이물질 등이 후라이팬 외측으로 흘러나가지 못하도록 하부측 내면이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게 하는 바람직하다.
또한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서와 같이 일측 손잡이(72)에 자석(82)을 구비하고, 마주하는 타측 손잡이(72)에는 금속판(81)을 구비하여 자석에 의해 접촉력을 증대 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별다른 결합부재 없이 상부팬(10)과 하부팬(20)의 개폐 단속이 가능하게 된다.
10 : 상부팬 11,21 : 수결합부
11a,21a : 경사안내부 12,22 : 암결합부
13,23 : 전방판 14,24 : 후방판
15,25 : 테두리부 16,26 : 돌부
17,27 : 홈부 20 : 하부팬
30 : 힌지부재 40 : 배출로
50 : 기름받이부재 60 : 연장부
71,72 : 손잡이 81 : 금속판
82 : 자석

Claims (7)

  1. 후방측에 손잡이(71)가 연결 형성되며, 손잡이(71)의 전방측으로 테두리부(15) 일측 절반에는 돌부(16)가 형성되고 나머지 타측 절반에는 홈부(17)가 형성되는 상부팬(10)과,
    후방측에 손잡이(72)가 연결 형성되고, 상기 상부팬(10)과 함께 양측으로 가열 가능하도록 상호간에 각각의 내측이 마주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부팬(10)에 상반되도록 테두리부(25) 일측 절반에는 홈부(27)가 형성되고 나머지 타측 절반에는 돌부(26)가 형성되어 마주하는 상기 상부팬(10)의 내측 테두리부(15)에 밀착되는 하부팬(20)과,
    상기 상부팬(10)과 하부팬(20)이 상호간에 축회전되도록 각각의 전방측 양측에 수결합부(11,21)와 암결합부(12,22)가 상반되게 형성되는 한쌍의 힌지부재(30)와,
    상기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의 마주하는 전방판(13,23) 중심측상에 전방판(13,23)의 길이방향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지되,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의 내측과 외측이 통하도록 각각 홈 형태로 되어 밀착시 통공 형태로 형성되는 배출로(40)와,
    상기 하부팬(20)의 전방판(23)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팬(20)의 수결합부(21)에서부터 암결합부(22)에까지 연결 형성되어지되, 하부측 내면이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로(40)를 통해 배출되는 기름을 받는 기름받이부재(5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후라이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16,26) 및 홈부(17,27)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호 밀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후라이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결합부(11,21)와 암결합부(12,22)는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의 전방판(13,23)에서 외측으로 이격 형성되어 연장부(60)에 의해 연결 구성되어지되,
    상기 연장부(60)는 각각 수평되게 형성되어 밀착되어지며,
    상기 연장부(60)의 길이(L2)는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의 전방판(13,23)에서 후방판(14,24)까지 길이(L1)의 1/15∼1/10 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후라이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결합부(11,21)는 원주가 일정한 봉 형태로 형성되어 전방 삽입측에 경사안내부(11a,21a)가 형성되며,
    상기 암결합부(12,22)는 입구측(E1)이 상기 수결합부(11,21)의 원주면에 밀착되고, 출구측(E2)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후라이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팬(10) 및 하부팬(20) 각각의 암결합부(12,22)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팬(10) 및 하부팬(20) 각각의 수결합부(11,21)는 상기 암결합부(12,22)의 타원형과 동일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암결합부(12,22)의 9/10 크기로 형성되어 열림시 유격이 발생되고, 닫힘시 양측면이 마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후라이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71,72)는 일측 손잡이(72)에 자석(82)이 구비되고, 마주하는 타측 손잡이(72)에는 금속판(81)이 구비되어 자석에 의해 접촉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후라이팬.



KR1020100137457A 2010-12-29 2010-12-29 양면 후라이팬 KR101023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457A KR101023681B1 (ko) 2010-12-29 2010-12-29 양면 후라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457A KR101023681B1 (ko) 2010-12-29 2010-12-29 양면 후라이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3681B1 true KR101023681B1 (ko) 2011-03-25

Family

ID=4393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457A KR101023681B1 (ko) 2010-12-29 2010-12-29 양면 후라이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6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411B1 (ko) 2013-04-02 2014-11-26 한아툴스 (주) 자성체 판재를 이용한 양면 프라이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양면 프라이팬
KR200475701Y1 (ko) * 2013-04-26 2014-12-23 민지홍 양면 후라이팬의 밀폐구조
KR101779388B1 (ko) * 2016-09-22 2017-09-20 주식회사 엠케이오토텍 산업용 로봇 암 확장용 t형 조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736Y1 (ko) 2002-04-20 2002-07-13 전영수 구이판
KR200314640Y1 (ko) 2003-02-21 2003-05-27 이진용 양면 프라이팬
KR200342591Y1 (ko) * 2003-11-24 2004-02-18 최상미 양면 후라이팬
KR20040019823A (ko) * 2002-10-04 2004-03-06 주식회사 해피콜 양면 사용이 가능한 후라이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736Y1 (ko) 2002-04-20 2002-07-13 전영수 구이판
KR20040019823A (ko) * 2002-10-04 2004-03-06 주식회사 해피콜 양면 사용이 가능한 후라이팬
KR200314640Y1 (ko) 2003-02-21 2003-05-27 이진용 양면 프라이팬
KR200342591Y1 (ko) * 2003-11-24 2004-02-18 최상미 양면 후라이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411B1 (ko) 2013-04-02 2014-11-26 한아툴스 (주) 자성체 판재를 이용한 양면 프라이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양면 프라이팬
KR200475701Y1 (ko) * 2013-04-26 2014-12-23 민지홍 양면 후라이팬의 밀폐구조
KR101779388B1 (ko) * 2016-09-22 2017-09-20 주식회사 엠케이오토텍 산업용 로봇 암 확장용 t형 조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681B1 (ko) 양면 후라이팬
KR100888727B1 (ko) 냄새와 연기 제거 양면팬
JP2006346438A (ja) 両面フライパン
KR100767797B1 (ko) 기름유출방지 양면팬
KR100766464B1 (ko) 기름비산 방지용 프라이팬 뚜껑
KR200467826Y1 (ko) 프라이팬 커버
KR200445439Y1 (ko) 냄새를 연소하는 프라이팬
US20160183710A1 (en) Rice Cooking Insert
KR101430340B1 (ko) 냄새 저감형 양면 팬
KR101489691B1 (ko)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
KR101460638B1 (ko) 다기능을 가지는 프라이팬 커버
US9848734B2 (en) Eco-friendly cooking lid
CN104394744A (zh) 直火烤锅
KR200314637Y1 (ko) 양면 프라이팬
KR200342591Y1 (ko) 양면 후라이팬
KR101786969B1 (ko) 프라이팬 겸용 석쇠
KR101640726B1 (ko) 양면 프라이팬
JP2006020923A (ja) 両面平鍋
KR20040087397A (ko) 다용도 양면조리팬
KR200320440Y1 (ko) 다용도 양면조리팬
KR101223201B1 (ko) 뚜껑이 구비된 튀김용 팬
KR200238677Y1 (ko) 조리용 팬
KR102370236B1 (ko) 기름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프라이팬
KR200478913Y1 (ko) 고기 구이판
KR200318137Y1 (ko) 압력 양면 구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