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082Y1 -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 - Google Patents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082Y1
KR200426082Y1 KR2020060015853U KR20060015853U KR200426082Y1 KR 200426082 Y1 KR200426082 Y1 KR 200426082Y1 KR 2020060015853 U KR2020060015853 U KR 2020060015853U KR 20060015853 U KR20060015853 U KR 20060015853U KR 200426082 Y1 KR200426082 Y1 KR 200426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lid
pot body
cooking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철
Original Assignee
강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철 filed Critical 강원철
Priority to KR2020060015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0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0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4/00Multi-purpose machines for preparing food with several driv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조리공간이 형성된 냄비 본체와; 상기 냄비본체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외주가 하향 절곡되어 냄비 본체의 외벽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외벽을 감싸면서 연장되어 화기 유도판이 형성되고, 상기 냄비 본체의 상단과 접촉되는 뚜껑의 저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원주를 따라 다수의 돌출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에 관한 것이다.
냄비, 이중 냄비, 직화열, 조리, 간접가열, 직접가열

Description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A double pot}
도 1은 종래의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의 일예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의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의 뚜껑 저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냄비 본체의 상단에 화기를 냄비 안으로 유도하는 홈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냄비 본체 120 : 뚜껑
130 : 화기유도판 132 : 손잡이 안착부
140 : 화기유도로 150 : 돌출판
본 고안은 냄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기를 냄비의 바닥 뿐만 아니라 냄부 내부로 직접 유입시켜 조리물을 균일하게 조리함과 동시에 냄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는 내부에 오목하게 조리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조리시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하부에서 가열하여 재료의 열전달에 의해 조리물이 조리되는데, 간접 가열방식이기 때문에 조리시간이 길어진다.
또한 조리물에 따라 직접가열해야만 조리물이 제대로 조리되는 경우도 있는데 일반적인 냄비로는 조리물에 화기를 직접 가열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기가 조리물에 직접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냄비가 개발되었는데, 그 일예로서 도 1에 도시된(등록실용신안 20-397260호) 바와 같이 냄비본체(10)의 상단을 외부로 절곡 연장시켜 냄비 본체의 외벽을 감싸도록 화기유도판(14)를 형성한 후 냄비본체 상부의 원주를 따라 다수의 화기홀(15)을 천공하여 이루어진 이중 냄비이다.
상기한 구조의 이중냄비는 냄비본체의 하부에서 가열하여 화기가 냄비본체의 하부를 가열함과 동시에 화기유도판과 냄비본체의 외벽에 형성된 화기유도로를 따라 화기홀(15)을 통해 냄비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물을 직접 가열한다. 따라서 이중냄비는 조리물을 간접 가열함과 동시에 직접 가열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조리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간접 가열방식과 직접가열방식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조리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냄비 본체에 화기 유도판이 형성되어 있으면, 간접가열만 하고자 하는 조리물일 경우에도 직접 가열이 되어 조리를 제대로 할 수 없으며, 화기홀이 냄비 본체에 형성되어 있으면 국물이 이 곳으로 흘러들어 냄비를 세척할 때에도 불편하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냄비의 뚜껑에 화기 유도로와 화기홀을 형성하여 조리중에 냄비본체를 교체하지 않고도 간접가열과 직접가열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며, 화기홀 때문에 불편한 세척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조리공간이 형성된 냄비 본체와; 상기 냄비본체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중 냄비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외주가 하향 절곡되어 냄비 본체의 외벽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외벽을 감싸면서 연장되어 화기 유도판이 형성되고, 상기 냄비 본체의 상단과 접촉되는 뚜껑의 저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원주를 따라 다수의 돌출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되어 소정의 요리 공간이 형성된 냄비본체(110)가 구비된다.
냄비 본체(10)에는 냄비 본체를 덮는 뚜껑(120)이 구비되는데, 뚜껑의 중앙은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유리(122)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는 뚜껑손잡이(124)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120)의 외주에는 외주를 따라 절곡되어 하향 연장되는 화기 유도판(130)이 형성되며, 화기 유도판(130)이 냄비 본체(110)의 외벽과 일정 간격을 유지시켜 냄비 본체(110)의 외벽과 화기 유도판(130) 사이에 화기 유도로(140)가 형성되도록 한다.
냄비 본체(110)의 상단과 접촉되는 뚜껑의 저부에는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돌출판(150)이 형성된다. 상기한 뚜껑(120)을 냄비 본체(110)에 올려 놓으면 냄비 본체(110)와 뚜껑(120) 사이에는 돌출판(150)의 두께 만큼 들뜨게 되어 그 사이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냄비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냄비 본체(110)의 내부에 조리물을 넣고 가스렌지 등과 같은 화원에 올려 놓으면 화기가 냄비 본체(110)의 저면과 측면을 가열하여 내부의 조리물이 간접적으로 가열되고, 일부 화기는 냄비 본체(110)의 외벽과 화기 유도판(130) 사이의 화기 유도로(140)를 따라 돌출판(150)에 의해 냄비 본체(110)와 뚜껑(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틈)으로 화기가 직접 유입되어 조리물을 직접 가열한다. 즉 조리물을 간접가열 하면서 직접가열 할 수 있는 것이다.
조리물에 간접가열과 직접가열을 동시에 진행하면서 조리물의 특성에 따라 간접 가열만 하고자 할 때에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을 제거하고 화기유도판(130)이 없는 일반적인 뚜껑으로 교체하면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조리물을 조리할 때 화기를 간접가열과 직접가열을 병행하다가 필요에 따라 조리물을 냄비본체(110)에 그대로 둔채 뚜껑만 교체함으로써 간단하게 간접가열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되는 화기 유도판에 일반적인 냄비 본체에 형성된 손잡이가 간섭없이 위치될 수 있도록 손잡이 안착홈(132)이 형성된다. 따라서 냄비 본체에 손잡이가 없을 때 뿐만 아니라 손잡이가 있어도 화기 유도판(130)이 형성된 뚜껑(120)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 본체(110)의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홈(135)을 형성하여 뚜껑(120)을 올려놓으면 뚜껑(120)과 본체(110) 사이에 외부와 연통되는 화기 유도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조리물을 간접가열하면서 직접가열할 수 있는 이중 냄비에 있어서, 화기유도로가 뚜껑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냄비본체에 조리물을 넣고 조리를 하다가 간접가열만 시키고자할 때에는 냄비 본체의 조리물을 그대로 둔 채 냄비의 뚜껑만 일반적인 냄비로 교체하면 되고, 화기홀도 냄비 본체에 형성하지 않고 뚜껑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판에 의해 형성되므로 화기홀로 국물등이 흘러들지 않아 세척이 용이하다. 또한 화기유도판의 양측에 냄비본체의 손잡이가 위치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냄비 본체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어도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2)

  1.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조리공간이 형성된 냄비 본체(110)와; 상기 냄비본체를 덮는 뚜껑(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중 냄비에 있어서,
    상기 뚜껑(120)의 외주가 하향 절곡되어 냄비 본체(110)의 외벽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외벽을 감싸면서 연장되어 화기 유도판(130)이 형성되고, 상기 냄비 본체(110)의 상단과 접촉되는 뚜껑(120)의 저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원주를 따라 다수의 돌출판(1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기 유도판(130)는 상호 대향되는 양측에 손잡이 안착부(1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
KR2020060015853U 2006-06-13 2006-06-13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 KR200426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853U KR200426082Y1 (ko) 2006-06-13 2006-06-13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853U KR200426082Y1 (ko) 2006-06-13 2006-06-13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082Y1 true KR200426082Y1 (ko) 2006-09-14

Family

ID=41774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853U KR200426082Y1 (ko) 2006-06-13 2006-06-13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08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757B1 (ko) 2010-06-22 2012-10-05 황윤성 냄비뚜껑
KR101377207B1 (ko) 2012-07-16 2014-03-21 차영철 직화조리 냄비의 제조방법
KR101605612B1 (ko) * 2014-04-24 2016-03-22 홍순월 직화 조리용 뚜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757B1 (ko) 2010-06-22 2012-10-05 황윤성 냄비뚜껑
KR101377207B1 (ko) 2012-07-16 2014-03-21 차영철 직화조리 냄비의 제조방법
KR101605612B1 (ko) * 2014-04-24 2016-03-22 홍순월 직화 조리용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9240B2 (en) Double heating-type pots
JP2014171857A (ja) 電気焼き器
KR200397260Y1 (ko) 직화 조리가 가능한 이중냄비
KR101546526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조리기구
KR200426082Y1 (ko)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
KR101170007B1 (ko) 이중 가열식 냄비구조
JP2017522947A (ja) 調理器具
KR200467826Y1 (ko) 프라이팬 커버
CN211155175U (zh) 一种防滴水蒸锅
KR101006911B1 (ko) 이중 조리 용기
KR20039364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20039116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200409516Y1 (ko) 직화푸라이팬
KR200394229Y1 (ko) 조리용기의 뚜껑
KR20110005564U (ko) 직화를 이용한 찜 조리기구
KR200416297Y1 (ko) 직화식 조리용기
KR20210097970A (ko) 열효율이 강화된 냄비
KR100650986B1 (ko) 이중 항아리 가마솥
KR200179454Y1 (ko) 프라이팬
KR200371930Y1 (ko) 직열 투입 조리용기
KR20190064952A (ko) 조리용 용기
KR200354713Y1 (ko) 직화조리가 가능한 찜통을 갖춘 냄비
KR200361903Y1 (ko) 직화 조리기
KR20190001201U (ko) 슬로우 쿠킹이 가능한 이중구조 냄비
KR200470926Y1 (ko) 조리용 그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