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162U -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 Google Patents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162U
KR20090007162U KR2020080000450U KR20080000450U KR20090007162U KR 20090007162 U KR20090007162 U KR 20090007162U KR 2020080000450 U KR2020080000450 U KR 2020080000450U KR 20080000450 U KR20080000450 U KR 20080000450U KR 20090007162 U KR20090007162 U KR 200900071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grill
food
present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8883Y1 (ko
Inventor
편영복
Original Assignee
편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편영복 filed Critical 편영복
Priority to KR2020080000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88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1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1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8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6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conduits through the vessel for circulating hea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국요리는 물론 생선굽기와 찜요리가 가능한 그릴 겸용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가 개방된 외측냄비의 내부에 내측냄비가 안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스렌지의 열이 상기 외측냄비와 내측냄비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내측냄비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함으로써, 열효율이 매우 높고, 음식물을 사방에서 가열하기 때문에 음식물이 골고루 익혀지도록 구성된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이중 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는 외측뚜껑이 구비되고,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측냄비와, 상기 외측냄비의 내부 받침편에 안착되고 내측뚜껑이 구비된 내측냄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본 고안에 의한 이중 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는 가스렌지 등의 가열수단의 열이 외측냄비와 내측냄비의 사이 즉, 공간부를 통해 내측냄비 내부의 음식물을 사방에서 가열하기 때문에 음식물이 타지 않으면서도 골고루 익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렌지 등의 가열수단의 열이 상기 내측냄비와 외측냄비 사이의 공간부에 대류되면서 내부 음식물을 가열하기 때문에, 열효율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국요리는 물론 생선을 굽거나 스테이크를 굽는 등의 그릴요리와, 만두를 찌는 등의 찜요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릴, 냄비, 팬

Description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Pan and grill with double wall structure}
본 고안은 국요리는 물론 생선굽기와 찜요리가 가능한 그릴 겸용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가 개방된 외측냄비의 내부에 내측냄비가 안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스렌지의 열이 상기 외측냄비와 내측냄비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내측냄비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함으로써, 열효율이 매우 높고, 음식물을 사방에서 가열하기 때문에 음식물이 골고루 익혀지도록 구성된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구는 냄비나 프라이팬과 같이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되는데, 사용 용도와 음식물의 양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와 모양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냄비는 음식물이 담겨진 상태에서 가스렌지 등의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는 냄비와, 상기 냄부의 상면을 덮어줄 수 있도록 하는 뚜껑으로 이루어 지는바, 상기 냄비를 통해 열이 전도되어 냄비 내부를 가열해주고 뚜껑은 열이 배출되는 것을 막아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냄비는 가열수단이 냄비의 하부를 가열하고 그 열이 냄비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여 음식물이 조리되는 것인데, 냄비의 하부에서만 가열되기 때문에 음식물이 골고루 익지 못하는 문제와,
음식물의 하부만 가열하고 외부로 빠져나가는 열로 인해 열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와, 상기 냄비로는 생선을 굽거나 스테이크를 굽는 요리와, 만두를 찌는 등의 찜요리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냄비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가스렌지 등의 가열수단을 통한 열이 냄비 내부의 음식물을 사방에서 가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냄비 내부의 음식물이 골고루 익혀지면서도 음식물이 타지 않고, 열효율이 우수하며,
국요리는 물론 생선을 굽거나 스테이크를 굽는 등의 그릴요리와, 만두를 찌는 등의 찜요리가 가능한 이중 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측뚜껑이 구비되고,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측냄비와, 상기 외측냄비의 내부 받침편에 안착되고 내측뚜껑이 구비된 내측냄비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에는 응집돌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뚜껑의 저면에는 돌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뚜껑은 결합수단에 의해 외측뚜겅의 내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내측뚜겅과 외측뚜겅은 내측냄비와 외측냄비의 상부에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내측냄비의 저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 안착되는 석쇠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이중 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는 가스렌지 등의 가열수단의 열이 외측냄비와 내측냄비의 사이 즉, 공간부를 통해 내측냄비 내부의 음식물을 사방에서 가열하기 때문에 음식물이 타지 않으면서도 골고루 익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렌지 등의 가열수단의 열이 상기 내측냄비와 외측냄비 사이의 공간부에 대류되면서 내부 음식물을 가열하기 때문에, 열효율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국요리는 물론 생선을 굽거나 스테이크를 굽는 등의 그릴요리와, 만두를 찌는 등의 찜요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이중 구조의 그릴 겸용 팬은 크게 구분하면 외측냄비(205)와, 상기 외측냄비(205)의 내부에 안착되는 내측냄비(103)로 구성된다.
우선, 내측냄비(10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측냄비(103)는 하부가 곡선을 성형되어 오목부(106)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냄비(103)의 상부를 덮는 내측뚜껑(101)의 저면에는 일정 간격마다 돌출형성된 돌부(10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냄비(103)의 오목부(106)의 상부에는 통공(105)이 다수개 천공된 석쇠(104)가 선택적으로 놓여져 사용될 수 있는 데, 국요리를 할 때에는 상기 석쇠(104)르 제거하여 조리하고, 생선구이 및 찜요리를 할 때에는 상기 석쇠(104)를 오목부(107) 상부에 안착시켜 조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측냄비(103)를 외측냄비(205)의 내부에 안착시키되, 상기 내측냄비(103)를 상기 외측냄비(205)의 내부에 형성된 세 개 또는 네 개의 받침편(206) 상부에 안착시킴으로써 내측냄비(103)와 외측냄비(205)의 사이에 일정 간격의 공간부(10)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외측냄비(205)는 그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외측뚜껑(201)이 구비되는 데, 이때, 상기 외측뚜껑(201)과 내측뚜껑(101)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내,외측뚜껑(101)(201)의 결합수단의 일 예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뚜껑(101)의 외주면에는 고정돌기(102)가 형성되고, 외측뚜껑(201)의 내측에는 세 개 또는 네 개의 고정편(203)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편(203)에는 내측뚜껑(101)의 고정돌기(102)가 삽입되는 고정홈(204)이 형성됨으로써 내측뚜껑(101)과 외측뚜껑(201)의 결합수단이 구성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편(203)은 탄성재질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고정 편(203)이 내측뚜껑(101)의 고정돌기(102)를 압착,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내측뚜껑(101)과 외측뚜껑(201)이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외측뚜껑(201)의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202)를 잡고 외측뚜껑(201)을 열거나 닫으면 내측뚜껑(101)이 같이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냄(205)의 하부에는 개구부(207)가 형성되는데, 상기 개구부(207)로 가스렌지의 화염 즉, 열이 유입되어 내측냄비(103)와 외측냄비(205) 사이의 공간부(10)로 대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구부(207)에는 응집돌부(208)가 돌출형성됨으로써 가스렌지에서 발생되는 대부분의 열이 상기 상기 응집돌부(208)에 의해 개구부(207)에 더욱 많이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냄비(205)의 외면에는 손잡이(209)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09)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냄비를 옮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측냄비(103)와 외측냄비(205)의 끝단 상부와, 내측뚜껑(101)과 외측뚜껑(201)의 끝단 하부에는 돌출형태의 압착구(20)가 형성되는데, 상기 압착구(20)는 음식물을 조리할 때 열에 의해 내측냄비(103)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내,외측뚜껑(101)(201)이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이중 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는 내,외측뚜껑(101)(201)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냄비(103)에 석쇠(104)를 놓고 생선을 굽는 등의 그릴요리를 할 때 상기 내,외측뚜껑(101)(201)을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내측뚜껑(101) 하부에 형성된 돌부(107)와, 석쇠(104)에 형성된 돌부(107)가 생선에 접촉하도록 하여 골고루 굽도록 하는 것이다. 즉, 내,외측뚜껑(101)(201)을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두께가 다양한 요리도 상,하부에 가열된 돌부(107)가 음식물에 직접 접촉시켜서 그릴요리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이중 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가 그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이용하여 국요리를 할 때는 내측냄비(103) 내부의 석쇠(104)를 빼낸 상태에서 가스렌지와 같은 화염이 발생하는 가열수단에 본 고안을 올려놓으면 화염의 열이 외측냄비(205)의 개구부(207)를 통해 유입되어 내측냄비(103)와 외측냄비(205) 사이의 공간부(10)로 대류되면서 내측냄비(103)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한다.
이때, 상기 열이 공간부(10)를 계속 대류하면서 내측냄비(103)를 가열하기 때문에 열전달효율이 매우 높아지고, 내측냄비(103) 내부의 음식물을 사방에서 가열하기 때문에 음식물이 골고루 조리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이용하여 만두 또는 찐빵과 같은 찜요리를 할 때는 내측냄비(103)에 석쇠(104)를 놓고, 상기 석쇠(104) 하부의 오목부(106)에 약간의 물을 넣어 가열수단에 올려놓으면 화염의 열이 외측냄비(205)의 개구부(207)를 통해 유입되어 내측냄비(103)와 외측냄비(205) 사이의 공간부(10)로 대류되면서 내측냄비(103)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한다. 이때, 상기 오목부(106)의 물이 고온의 수증기로 변하면서 석쇠(104)의 통공(105)을 통해 만두 또는 찐빵등의 음식물을 요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이용하여 생선, 스테이크와 같은 그릴요리를 할 때는 내측냄비(103)에 석쇠(104)를 놓고, 가열수단에 올려놓으면 화염의 열이 외측냄비(205)의 개구부(207)를 통해 유입되어 내측냄비(103)와 외측냄비(205) 사이의 공간부(10)로 대류되면서 내측냄비(103)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한다.
이때, 사용자가 외측뚜껑(201)의 손잡이(202)를 눌러서 내,외측뚜껑(101)(201)을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내측뚜껑(101)의 돌부(107)가 음식물에 닿도록 하여 공간부(10)로부터 내측뚜껑(101)과 석쇠(104)에 전달된 열이 상기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그릴 요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그릴요리를 할 때 생선, 스테이크로부터 기름이 흘러나오는데, 상기 기름은 석쇠(104)의 통공(105)을 통해 오목부(106)로 흘러 내려서 음식물의 기름과 불순물을 제거하여 요리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에 의한 이중 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간부 20 : 압착구
101 : 내측뚜껑 102 : 고정돌기
103 : 내측냄비 104 : 석쇠
105 : 통공 106 : 오목부
107 : 돌부 201 : 외측뚜껑
203 : 고정편 204 : 고정홈
205 : 외측냄비 206 : 받침편
207 : 개구부 208 : 응집돌부
202,209 : 손잡이

Claims (6)

  1. 외측뚜껑(201)이 구비되고, 하부에 개구부(207)가 형성된 외측냄비(205)와,
    상기 외측냄비(205)의 내부 받침편(206)에 안착되고 내측뚜껑(101)이 구비된 내측냄비(10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07)에는 응집돌부(20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뚜껑(101)의 저면에는 돌부(10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뚜껑(101)은 결합수단에 의해 외측뚜겅(201)의 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뚜겅(101)과 외측뚜겅(201)은 내측냄비(103)와 외측냄비(205)의 상부에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6. 제 1항에 있어서,
    내측냄비(103)의 저부에는 오목부(106)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 안착되는 석쇠(104)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KR2020080000450U 2008-01-11 2008-01-11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KR200448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450U KR200448883Y1 (ko) 2008-01-11 2008-01-11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450U KR200448883Y1 (ko) 2008-01-11 2008-01-11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162U true KR20090007162U (ko) 2009-07-15
KR200448883Y1 KR200448883Y1 (ko) 2010-05-31

Family

ID=43658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450U KR200448883Y1 (ko) 2008-01-11 2008-01-11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88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849B1 (ko) * 2011-05-02 2013-09-10 (주)제이제이컨설팅엔비즈 교체형 프라이팬
KR200471403Y1 (ko) * 2013-01-31 2014-02-20 남병희 전기오븐찜기
CN104188507A (zh) * 2013-01-14 2014-12-10 汉密尔顿毕克布兰德斯有限公司 三明治制备器具以及利用其制备三明治的方法
KR101667013B1 (ko) * 2015-11-04 2016-10-17 윤명식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20190117034A (ko) * 2018-04-05 2019-10-16 이흥규 조리 장치
KR20200006960A (ko) * 2019-12-31 2020-01-21 이흥규 조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309A (ko) * 2010-12-23 2012-07-03 홍종호 오븐 조리기
KR101311863B1 (ko) 2012-02-13 2013-10-14 홍석표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KR200471229Y1 (ko) 2012-05-02 2014-02-10 윤근수 찜겸용 구이팬 직화용기
KR101436278B1 (ko) * 2014-02-14 2014-08-29 홍종호 오븐 조리기 냄비
KR101533367B1 (ko) * 2014-03-04 2015-07-08 홍정우 바베큐 오븐
KR20190001201U (ko) 2017-11-10 2019-05-21 장은주 슬로우 쿠킹이 가능한 이중구조 냄비
KR102073752B1 (ko) * 2018-06-08 2020-02-05 주식회사 머다 바베큐 오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618B1 (ko) * 2002-07-10 2003-07-23 박종도 이중 구조의 냄비
KR200397260Y1 (ko) * 2005-07-06 2005-09-29 이신근 직화 조리가 가능한 이중냄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849B1 (ko) * 2011-05-02 2013-09-10 (주)제이제이컨설팅엔비즈 교체형 프라이팬
CN104188507A (zh) * 2013-01-14 2014-12-10 汉密尔顿毕克布兰德斯有限公司 三明治制备器具以及利用其制备三明治的方法
CN104188507B (zh) * 2013-01-14 2016-08-24 汉美驰品牌有限公司 三明治制备器具以及利用其制备三明治的方法
KR200471403Y1 (ko) * 2013-01-31 2014-02-20 남병희 전기오븐찜기
KR101667013B1 (ko) * 2015-11-04 2016-10-17 윤명식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20190117034A (ko) * 2018-04-05 2019-10-16 이흥규 조리 장치
KR20200006960A (ko) * 2019-12-31 2020-01-21 이흥규 조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883Y1 (ko) 201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883Y1 (ko)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US5380986A (en) Multi-purpose electric fast cooking apparatus
US20120031918A1 (en) Interchangeable pan
KR20110021541A (ko) 다용도 조리용기
KR101530070B1 (ko)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KR20070099729A (ko) 구이와 부(附)요리의 복합 요리가 가능한 구이판
JP5855044B2 (ja) 加熱調理容器
US20190069353A1 (en) Dimpled Wok
KR20130098513A (ko) 다용도 조리기구
US20200297162A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KR200239794Y1 (ko) 다목적 구이기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200424658Y1 (ko) 신선로 겸용 취사기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KR200479981Y1 (ko) 다목적 조리 기구
KR200369953Y1 (ko) 음식물의 조리용기
CN218528441U (zh) 一种具有微压效果的煮烤锅
KR200371930Y1 (ko) 직열 투입 조리용기
CN213282599U (zh) 多功能蒸烤炊具
KR102485949B1 (ko) 다용도 조리용기
KR101682909B1 (ko) 중앙부 개방이 가능한 솥뚜껑 구이판
KR200335328Y1 (ko) 양면 조리기구
KR20110082343A (ko) 덮개용기를 구비한 직화오븐
JP2016013407A (ja) 水切りつき鍋およびパスタ等棒状乾麺を投入し易く短時間に調理できる鍋
KR200394497Y1 (ko) 쿠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