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863B1 -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 Google Patents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863B1
KR101311863B1 KR1020120014110A KR20120014110A KR101311863B1 KR 101311863 B1 KR101311863 B1 KR 101311863B1 KR 1020120014110 A KR1020120014110 A KR 1020120014110A KR 20120014110 A KR20120014110 A KR 20120014110A KR 101311863 B1 KR101311863 B1 KR 101311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drying
roasting
chamber
electric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690A (ko
Inventor
홍석표
Original Assignee
홍석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표 filed Critical 홍석표
Priority to KR1020120014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86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2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에 적절한 수분을 공급하면서 조리되도록 하는 동시에 신속한 조리가 도모되게 하고 구이, 찜, 건조, 반건조과정 등이 식품 종류별로 복합적이고 조화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10) 일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무선전기공급장치(210) 및 식용수(W)가 수용되는 스팀발생실(221)이 있고, 상기 스팀발생실(221) 하부에 무선전기공급장치(210)가 끼워지는 전기공급홈부(223) 및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2)가 있고, 상기 스팀발생실(221)을 개폐하는 뚜껑(224) 및 일측에 손잡이(225)가 있으며, 상부 일측에 스팀출구(226)를 갖는 스팀발생수단(220)으로 이루어져서 본체(10) 일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스팀발생부(200)와, 원적외선방사체(32)가 내장되는 다수의 돌륜부(31) 사이에 다수의 스팀방출공(33)을 갖는 구이건조수단(30)이 본체(10)의 걸림턱부(13)에 설치되고, 상기 구이건조수단(30) 하부에 스팀확산실(310)이 있고, 상기 스팀확산실(310) 하부쪽으로 구이건조용 전기히터(324)가 구비되고, 상기 구이건조수단(30) 상부쪽으로 스팀체류실(41)을 갖도록 하는 스팀체류부재(40)로 이루어져서 스팀발생부(200) 일측의 본체(10)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구이건조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발생실(221)의 스팀(S)이 스팀확산실(310)이나 스팀체류실(41)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도록 스팀발생부(200)와 구이건조부(300)를 연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팀공급연결수단(400,400',410,420))과, 상기 무선전기공급장치(210) 및 구이건조용 전기히터(324)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이루어지게 하거나 또는, 상기 스팀발생부(200)와 구이건조부(300)가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찜, 구이, 건조, 반건조 등 각종 조리를 개별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각종 조리들이 복합적이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합적 조리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Composite cooking possible Food cookware}
본 발명은 식품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에 적절한 수분을 공급하면서 조리되도록 하는 동시에 신속한 조리가 도모되게 하고 구이, 찜, 건조, 반건조과정 등이 식품 종류별로 조화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식품의 경우 구워지는 과정에 열에너지만 받게 되기 때문에 타버리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찜 조리를 하는 식품의 경우에는 대개 장시간 찜을 해야 하고 너무 많은 수분이 식품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물러져 버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리를 하는 구이기, 찜기, 건조기 등과 같은 수많은 조리기 들이 출시되고 있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나 타버리거나 물러져 버리게 되는 문제점 등을 전혀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도 이미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선행기술에 있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1998-087610호의 경우 구이와 물 없이 감자와 같은 식품을 익혀 먹을 수 있는 조리구이기 때문에 구이 시에 타버리게 되는 단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물 없이 식품이 익혀지게 되면 식품 자체의 수분이 증발하기 때문에 섭취시 뻑뻑하거나 식품 맛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등록번호 제20-0322532호 및 동 등록번호 제20-0342087호와 같은 조리기의 경우에는 청국장 등 각종 발효식품 제조 및 찜조리, 계란 삶기 기능들이 있으나 여기에 국한될 뿐이며 구이와 같은 기능이 없기 때문에 국한된 조리기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발효식품 제조에 더욱 치중한 조리기 이므로 신속한 조리가 도모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등록번호 제20-0441531호와 같은 조리기의 경우에는 과열증기로 감자와 같은 식품을 단시간 익히게 하거나 간접열에 의해 구이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나 이 또한 여기에 국한되는 단순한 조리기에 불과하다.
또한, 상기한 선행기술의 조리기 들은 예전의 단순한 조리기 들에 비해 다소 기능들이 추가된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식품 조리시에 타버리거나 물러져 버리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 등을 전혀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출원인은 상기한 단순한 조리 기능을 탈피하여 식품종류별로 구이, 찜, 건조, 반건조과정 등이 조화롭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새로운 조리문화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를 연구하기에 이르게 되었다.
KR 10-1998-087610 A 1998.12.05 KR 20-0322532 Y1 2003.08.09 KR 20-0342087 Y1 2004.02.14 KR 20-0441531 Y1 2008.08.25
본 발명은 조리가 신속하고 양호한 조리가 도모되게 하고 구이, 찜, 건조, 반건조과정 등과 같은 각종 조리가 식품 종류별로 개별적 조리뿐만 아니라 복합적 조리가 조화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본체 내에 지지 되고, 식용수가 수용되는 스팀발생실이 있고 상기 스팀발생실 하측에서 식용수를 가열하는 스팀발생용 전기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팀발생실의 개구부 외측의 열전달테두리부에 구이건조용 전기히터를 갖는 스팀발생수단과, 상기 스팀발생실의 개구부를 덮도록 열전달테두리부상에 탑재되고, 다수의 돌륜부 내부에 원적외선방사체가 내장되며, 상기 다수의 돌륜부 사이에 스팀방출공을 갖는 구이건조수단과, 상기 구이건조수단 상부에 스팀체류실을 갖도록 하는 스팀체류부재와, 상기 스팀발생용 전기히터 및 구이건조용 전기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를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전달테두리부 내부에 구이건조용 전기히터가 내장되도록 하여 열전달테두리부를 통해 히터열에너지가 구이건조수단으로 열전도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이건조용 전기히터가 열전달테두리부 하측에 면접촉되게 고정되어 히터열에너지가 구이건조수단으로 열전도되게 하고, 상기 구이건조용 전기히터 외측에 차열부재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팀발생수단의 스팀발생실에 삽입되는 내솥용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내솥용기 하부에는 내솥용기 하중에 의해 가압되고 탄력부재에 의해 상승되게 이동되는 눌림부재와, 상기 눌림부재가 눌림 되게 동작 되어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인가하게 되는 용기감지센서를 가진 용기수납감지수단이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팀발생수단의 상부 내주연부에는 내솥용기 외주면과 밀착되는 스팀차단패킹을 더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팀발생수단 중앙부에 구이건조수단 방향으로 바람이 송풍 되게 하는 프로펠라와 모터를 가진 송풍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일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무선전기공급장치 및 식용수가 수용되는 스팀발생실이 있고, 상기 스팀발생실 하부에 무선전기공급장치가 끼워지는 전기공급홈부 및 스팀발생용 전기히터가 있고, 상기 스팀발생실을 개폐하는 뚜껑 및 일측에 손잡이가 있으며, 상부 일측에 스팀출구를 갖는 스팀발생수단으로 이루어져서 본체 일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스팀발생부 및 원적외선방사체가 내장되는 다수의 돌륜부 사이에 다수의 스팀방출공을 갖는 구이건조수단이 본체의 걸림턱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이건조수단 하부에 스팀확산실이 있고, 상기 스팀확산실 하부쪽으로 구이건조용 전기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구이건조수단 상부쪽으로 스팀체류실을 갖도록 하는 스팀체류부재로 이루어져서 스팀발생부 일측의 본체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구이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발생실의 스팀이 스팀확산실로 공급되도록 스팀발생부와 구이건조부를 연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팀공급연결수단과, 상기 무선전기공급장치 및 구이건조용 전기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를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팀체류부재가 스팀방출수단에 의해 일측단부가 상부방향으로 들려지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스팀방출수단이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의 피스톤이 전진이동되어 스팀체류부재의 일단부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 일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무선전기공급장치 및 식용수가 수용되는 스팀발생실이 있고, 상기 스팀발생실 하부에 무선전기공급장치가 끼워지는 전기공급홈부) 및 스팀발생용 전기히터가 있고, 상기 스팀발생실을 개폐하는 뚜껑 및 일측에 손잡이가 있으며, 상부 일측에 스팀출구를 갖는 스팀발생수단으로 이루어져서 본체 일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스팀발생부와 및 원적외선방사체가 내장되는 다수의 돌륜부 사이에 다수의 스팀방출공을 갖는 구이건조수단이 본체의 걸림턱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이건조수단 하부에 스팀확산실이 있고, 상기 스팀확산실 하부쪽으로 구이건조용 전기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구이건조수단 상부쪽으로 스팀체류실을 갖도록 하는 스팀체류부재로 이루어져서 스팀발생부 일측의 본체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구이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발생실의 스팀이 스팀체류실로 공급되도록 스팀발생부와 구이건조부를 연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팀공급연결수단과, 상기 무선전기공급장치 및 구이건조용 전기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를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팀공급연결수단은, 본체에 고정되어 스팀확산실과 스팀체류실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스팀통과공을 갖는 스팀공급연결부재와, 상기 스팀공급연결부재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입구패킹 및 출구패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구패킹 내주연부에는 휘어질 수 있는 개폐단부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팀공급연결수단은, 본체에 고정되어 스팀확산실과 스팀체류실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스팀통과공을 갖는 스팀공급연결부재와, 상기 스팀공급연결부재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입구패킹 및 출구패킹과, 상기 입구패킹 앞쪽에 스팀출구 외주연부에 밀착되는 밀착유연부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팀공급연결수단은, 스팀공급연결부재에 일단부가 고정된 반원형의 로우체결부재 및 상기 로우체결부재와 일측에서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회동가능한 반원형의 어퍼체결부재의 내면 양측에 각각의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로우체결부재에 있는 걸림턱에 어퍼체결부재에서 회동되게 구비되는 회동걸림부재의 선단부가 걸림되어 체결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팀공급연결부재의 선단부에는 스팀출구가 접촉되는 밀착패킹을 더 구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팀공급연결수단은, 내면에 패킹을 각각 구비하는 반원형의 로우체결부재와 어퍼체결부재를 구비하되 각각 상호 대향되어 접촉되는 단부에 각각 다른 극성이 마주하하는 한쌍의 자석부재나 고무부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채용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우체결부재의 일단부가 스팀공급연결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어퍼체결부재는 스팀공급연결부재에 고정된 지지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L자형 링크에 의해 어퍼체결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이, 찜, 건조, 반건조과정 등과 같은 각종 조리가 식품 종류별로 개별적 조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한 개별적인 조리들을 연속적이면서 자동적으로 조리할 수 있게 되는 복합적 조리가 조화롭게 이루어지게 하는 식품조리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품에 적절한 수분을 공급하면서 조리되도록 하므로 구이 조리시에는 타지 않게 조리되게 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한 조리가 도모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팀발생부와 구이건조부를 분리되게 하는 경우에는 스팀발생수단을 필요에 의해서 커피포트로도 이용 가능하게 하므로 실생활에서 매우 필요로 되는 식품조리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조리를 복합적으로 할 수 있게 하므로 가령 찜 조리가 진행되게 하면서 동시적으로 구이 조리가 함께 진행되게 함으로써 예전에는 전혀 하지 못하였던 새로운 복합적 조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전혀 새로운 조리문화가 구현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식품조리기의 전체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식품조리기의 전체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건조수단의 종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M-M'선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건조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는 일부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식품조리기의 전체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N"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용기수납감지수단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방출수단이 채용된 상태를 나타낸 전체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스팀방출수단과 스팀체류부재를 보인 평면도,
도 11의 (a),(b)는 본 발명의 스팀방출수단의 동작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스팀방출수단에 의한 스팀 방출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식품조리기의 전체 종단면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식품조리기의 전체 종단면 구성도,
도 15는 도 14의 "P"부분 확대 단면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스팀발생수단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스팀발생수단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일부 종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스팀공급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식품조리기의 전체 종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스팀공급연결수단의 종단면 구성도,
도 21은 도 20의 X-X'선 확대 단면도,
도 22는 도 20의 Y-Y'선 확대 단면도,
도 23은 도 22에 보인 스팀공급연결수단의 정면 구성도,
도 24의 (a),(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스팀공급연결수단의 작용을 보인 종단면 구성도,
도 25는 도 24 (a)의 Z-Z'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본체(10)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10) 내에는 상부 쪽으로 개구부(21a)를 갖는 스팀발생실(21)이 있는 스팀발생수단(20)이 고정되게 구비된다.
상기 스팀발생실(21)에는 스팀(S)을 얻기 위한 식용수(W)가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팀발생실(21)에 식용수(W)를 넣는 것은 그 식용수(W)에 의해 만들어지는 스팀(S)이 식품(G)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팀발생수단(20)의 하부에는 식용수(W)를 가열하기 위한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는 봉 형태의 히터(봉히터라고도 함)가 바람직하며, 이러한 봉 형태의 히터는 이미 알려져 있는 부품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팀발생수단(20)의 바닥부 내에 내장되게 하거나 또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스팀발생수단(20)의 바닥부 하측에 히터지지대(22a)에 의해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가 지지 되도록 하여 복사열에 의해 스팀발생수단(20)을 가열시켜 식용수(W)가 가열되도록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를 반드시 상기와 같이만 구비되는 것은 아니고 식용수(W)를 가열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판 형태의 히터나 또는 그외의 다른 종류 및 형태의 히터들도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는 제어부(50)에 의해서 전기 공급 및 차단되도록 제어되고,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가 가열되는 온도 역시 제어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가 고온의 열에너지가 발생 되게 제어되면 식용수(W)가 고온으로 가열되어 고온 상태의 스팀(S)이 발생 되는 것이고, 반대로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에서 저온의 열에너지가 발생 되게 제어되면 식용수(W)가 저온으로 가열되어 저온 상태의 스팀(S)이 발생 되게 된다.
그리고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의 열에너지를 받게 되는 스팀발생수단(20)의 밑바닥이나 또는 이와 근접된 장소에 스팀발생수단(20)의 바닥부가 전달받는 열에너지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감지센서(미도시됨) 및 과열상태가 되었을 때 전기 공급을 차단되게 하는 휴즈(미도시됨) 등을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온도감지센서와 휴즈와 같은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것은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도면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스팀발생수단(20)은 스팀발생실(21)의 개구부(21a) 외측으로 열전달테두리부(23)를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열전달테두리부(23)가 가열되게 하는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를 구비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열전달테두리부(23)는 스팀발생수단(20) 자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도의 열전달테두리부(23)를 구비하여 고정나사(12)에 의해서 스팀발생수단(20)과 연결되게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전달테두리부(23) 내부에 내장되도록 구비하거나 또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가 열전달테두리부(23) 하측에 면접촉되도록 고정시켜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부호 22a는 히터지지대를 나타낸다.
또한, 도 2와 같이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가 열전달테두리부(23) 하측에 면접촉 되게 하는 경우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 외측에 차열부재(25)가 구비되도록 하여 외부로 열에너지가 방출되어 손실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달테두리부(23)를 갖는 스팀발생수단(20)은 도 1과 같이 고정나사(12)에 의해서 본체프레임(11)과 고정되게 하고 상기 본체프레임(11)은 본체(10)와 결합 되는 것이기 때문에 스팀발생수단(20)은 식용수(W)가 수용되더라도 움직이지 않게 되어 사용상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는 봉 형태의 히터(봉히터라고도 함)가 바람직하나, 열전달테두리부(23)를 가열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종류나 형태의 히터가 채용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는 제어부(50)에 의해서 전기 공급 및 차단되도록 제어되고,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가 가열되는 온도 역시 제어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에 제어부(50)에 의해서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면 열전달테두리부(23)가 히터열에너지에 의해서 가열되는 상태가 되어 구이건조수단(30)으로 열전도 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구이건조수단(30)이 가열되게 된다.
상기 구이건조수단(30)은 스팀발생실(21)의 개구부(21a)를 덮도록 열전달테두리부(23) 상에 얹혀지도록 탑재된다.
그러므로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구이건조수단(30)은 상부방향으로 인출하여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구이건조수단(30)이 열전달테두리부(23)상에 탑재되기 때문에 열전달테두리부(23)가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의 히터열에너지에 의해서 가열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열전달테두리부(23)의 열에너지가 구이건조수단(30)으로 열전도 되어 구이건조수단(30)이 가열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서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가 고온의 열에너지가 발생 되게 되면 구이건조수단(30)이 고온으로 가열되는 것이고, 반대로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에서 저온의 열에너지가 발생 되게 제어되면 구이건조수단(30)이 저온으로 가열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구이건조수단(30)이 열전달테두리부(23)로부터 열에너지를 전도 받아 가열되는 것이기 때문에 구이건조수단(30)은 열전도성이 매우 높은 재질(금속)로 구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이건조수단(3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간격적으로 다수의 돌륜부(31)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돌륜부(31) 내부에는 원적외선방사체(32)가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원적외선방사체(32)는 원기둥형태로 구성시켜 돌륜부(31)에 길이방향으로 구멍을 형성시켜 끼워지도록 하여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원적외선방사체(32)를 돌가루 상태로 만들어서 그 돌가루를 돌륜부(31)에 길이방향으로 형성시킨 구멍에 투입하고 구멍 양측을 밀봉시켜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원적외선방사체(30)는 열에너지를 받으면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운모석이나 맥반석과 같은 광물질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이건조수단(30)은 다수의 돌륜부(31) 사이에 다수의 스팀방출공(33)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이건조수단(3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직사각형태 및 장방형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스팀발생수단(20)의 형태 역시 구이건조수단(30)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식품(G)을 구이건조수단(30)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가열되게 하면 원적외선방사체(32)로부터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식품(G)으로 방사되게 된다.
이때, 돌륜부(31) 사방으로 원적외선이 화살표 도시와 같이 방사되기 때문에 식품(G) 전체적으로 원적외선을 방사 받게 되는 상태가 되는 것으로서, 원적외선은 통상적으로 4-5㎝의 깊이까지도 침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기 때문에 원적외선이 식품(G)의 내부 깊은 곳까지도 침투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식품(G)은 구이건조수단(30) 자체의 열에너지가 식품(G) 외부에 전달되어 구이나 건조작용이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열이 식품(G)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기 때문에 식품(G) 내부에서도 구이나 건조작용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므로 매우 신속한 구이나 건조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식품(G) 구이를 할 때에는 구이건조수단(30)이 고온상태가 되도록 하여 구이작용이 되도록 한다.
이 경우 구이건조수단(30) 자체의 열에너지에 의해서 식품(G) 외부가 가열되어 구이작용이 되는 동시에 원적외선열에 의해서 식품(G) 내부에서도 구이작용이 되므로 매우 신속한 구이작용이 도모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식품(G)의 종류에 따라 스팀발생수단(20)을 가동시켜 스팀(S)이 발생되게 하면 수증기가 식품(G) 표면에 달라붙게 되고, 그로 인해 식품(G)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수분이 식품(G) 조직내로 침투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식품(G)은 수분을 공급받는 상태에서 구이작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타지 않게 되면서 구이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종래에 식품이 타는 것은 고온의 열기가 식품 표면으로만 가해지기 때문에 식품 내부가 구이작용이 되기 전에 식품 표면이 급속하게 건조되어 수분이 없어지는 상태에서 고온의 열기를 받게 되므로 식품 내부가 익기 전에 식품 표면이 타버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육안으로 식별되지는 않지만 스팀(S) 수분이 계속적으로 공급되어 식품(G) 표면에 존재하고 표피 조직내에 미량이나마 침투하는 상태에서 구이건조수단(30)에서 나오는 자체 열기가 식품(G)에 가해지게 되면 수분이 가열되어 식품(G) 표면이 익혀지게 되는 동시에 원적외선열에 의해서 식품 내부가 익혀지게 되므로 식품(G) 표면부가 타기 전에 먼저 신속하게 익혀지는 상태로 구이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구이가 완료된 식품(G)은 적절한 수분을 가진 상태로 구이작용이 되므로 식품(G)이 뻑뻑하지 않고 부드러운 상태의 구이 상태가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구이건조수단(30)이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열되는 것이 아니고 열전달테두리부(23)로부터 열에너지를 전달받아 간접 가열되는 것이기 때문에 구이작용이 이루어질 때 구이건조수단(30)의 자체 열에너지에 의해 구이작용이 되는 것보다는 원적외선열에 의해서 구이작용이 더 많이 진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더욱 식품(G)이 타지 않고 신속한 구이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이건조수단(30)에 의해서 식품(G) 건조작용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는 건조시키려는 식품(G)의 종류에 따라 구이건조수단(30)이 가열되는 건조온도가 결정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건조온도는 사전에 실험에 의해서 결정된 후 제어부(50)에 프로그램화시켜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구이건조수단(30)이 건조할 식품(G) 종류에 따라 미온 또는 중온 상태로 가열되게 되면 원적외선방사체(32)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열에 의해서 식품(G)의 내부에서 건조작용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구이건조수단(30)의 자체 열에 의해서 식품(G) 외표면부에서 건조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작용시에는 스팀발생수단(20)이 가동되지 않게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스팀(S)이 발생 되지 않는 상태에서 건조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건조작용시에도 구이건조수단(30)이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열되는 것이 아니고 열전달테두리부(23)로부터 열에너지를 전달받아 간접 가열되는 것이기 때문에 건조작용이 이루어질 때 구이건조수단(30)의 자체 열에너지에 의해 건조작용이 되는 것보다는 원적외선열에 의해서 건조작용이 더 많이 진행되는 것이므로 신속한 건조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이건조수단(30)에 의해서 식품(G)을 먼저 구이를 한후 건조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건조 시킨 후에 구이를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약간 건조시킨 후에 구이를 할 수도 있으며, 약간 구워지게 한 후에 건조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식품(G) 종류에 따라 구이작용, 건조작용, 구이건조작용, 건조구이작용이 도모되므로 구이 및 건조와 같이 단독적인 조리가 가능하면서도 구이 후 건조 및 건조 후 구이와 같은 복합적인 조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이건조수단(30) 상부에 스팀체류실(41)을 갖도록 하는 스팀체류부재(40)를 구비한다. 부호 42는 손잡이를 나타낸다.
상기 스팀체류부재(40)는 스팀발생수단(20) 위쪽으로 완전히 들어올려 분리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일측에 힌지수단(경첩)을 구비하여 한쪽 방향으로 열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스팀발생수단(20)의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가 가동되면 식용수(W)가 가열되어 스팀(S)이 발생 되고, 그 스팀(S)은 구이건조수단(30)의 스팀방출공(33)을 통해서 상승 되어 스팀체류실(41)에 머물러 있게 된다.
그러므로 구이건조수단(30) 위에 식품(G)을 올려놓고 스팀발생수단(20)의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를 가동 시키게 되면 스팀체류실(41)에 있는 스팀(S)에 의해서 찜 조리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 본 발명은 스팀(S)에 의해서 구이건조수단(30)도 가열되기 때문에 원적외선방사체(32)에서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찜 조리가 되고 있는 식품(G)에 방사되게 된다.
그러므로 원적외선열에 의해서 식품(G) 내부가 익혀지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찜 조리시간이 단순히 스팀(S)에 의해서만 찜 되는 조리시간보다 매우 단축되므로 찜 조리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팀(S)에 의한 찜 조리를 하면서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를 가동시키게 되면 더욱 신속한 찜 조리가 도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찜 조리 후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를 오프(off) 시키고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를 고온 상태가 되게 가동시키게 되면 구이건조수단(30)에 의해서 식품(G) 구이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식품(S)을 이동시키지 않고 한 장소에서 찜 조리 후 구이를 하게 되는 복합적인 조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복합적인 조리는 식품(G) 종류에 따라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 및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를 가동시키는 순서 및 온도, 시간 등과 같은 제어 데이터를 제어부(50)에 입력하여 놓은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자동으로 복합적인 조리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스팀(S)에 의한 찜 조리 후 구이건조수단(30)에 의한 구이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한편, 찜 조리 후 구이건조수단(30)을 중,저온이 되게 하여 반건조 또는 완전 건조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합적인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찜 조리 후 구이 조리 또는 건조 조리를 하는 경우에는 찜 조리 후에 스팀체류부재(40)를 약 몇초 동안 들어올려서 스팀체류실(41)의 스팀(S)을 외부로 모두 방출시킨 다음 구이 조리 또는 건조 조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찜 조리 후 약간의 구이 조리가 이루어지게 한 다음 반건조 또는 완전 건조 조리가 되게 하는 복합적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식품(G)에 따라 약간 구이 조리가 되게 한 후 찜 조리가 되도록 할 수도 있고, 찜 조리 후 건조 조리가 되게 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실시 되게 하는 등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조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서, 식품(G) 종류에 따라 복합적 조리를 실시하여 보았다.
(실시예 1)
양념갈비를 구이건조수단(30)에 올려놓고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를 가동시켜 발생 되는 스팀(S)으로 양념갈비를 충분히 찜 조리되게 하여 양념갈비의 기름을 빼고 익혀지도록 한 다음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를 가동시켜 양념갈비의 수분을 증발되게 하면서 약간(살짝) 구이 조리가 되게 하는 복합적 조리를 실시 하였다.
예전에 양념갈비를 단지 끓여서 조리함에 따라 기름과 양념물이 양념갈비에 흥건하게 묻어 있는 상태로 조리되어 섭취하였으나, 본 발명은 양념갈비의 기름이 적절히 제거되고 양념갈비의 수분이 적절히 증발되는 상태로 구워진 상태로 조리되기 때문에 섭취시에 매우 담백하고 표면에 물기가 없는 상태로 섭취하므로 가령 훈제된 것을 섭취하는 것처럼 섭취가 용이하면서도 구이 요리를 섭취하는 것과 같은 식감을 느낄 수 있었으며 찜 요리와 구이 요리의 맛을 복합적으로 느낄 수 있는 새로운 맛을 내는 양념갈비가 조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삼결살을 구이건조수단(30)에 올려놓고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를 가동시켜 발생 되는 스팀(S)으로 삼결살을 충분히 찜 조리되게 하여 삼겹살의 기름을 빼고 익혀지도록 한 다음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를 가동시켜 삼겹살의 수분을 증발되게 하면서 구이 조리가 되게 하는 복합적 조리를 실시 하였다.
이 경우에도 삼겹살의 기름이 제거되고 삼겹살의 수분이 적절히 증발되는 상태로 구워지게 조리되기 때문에 섭취시에 매우 담백하고 표면에 기름기가 거의 없는 상태로 섭취하므로 가령 훈제된 것을 섭취하는 것처럼 섭취가 용이하면서도 찜 요리에서 나타나는 부드로운 식감과 구이 요리의 맛을 복합적으로 느낄 수 있는 새로운 식감을 느낄 수 있는 삼결살이 조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감자나 고구마와 같은 구근류 식품을 구이건조수단(30)에 올려놓고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를 가동시켜 발생 되는 스팀(S)으로 충분히 쪄서 찜 조리되게 한 후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를 중,저온으로 가동시켜 수분을 증발시키며 식감에 맞춰 건조 조리가 되는 제1복합적 조리를 실시하고, 더나아가서 상기 제1복합적 조리를 실시한 후에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를 고온으로 가동시켜 구이 조리가 되게 하는 제2복합적 조리를 실시 하였다.
따라서, 제1복합적 조리의 경우 물기가 표면에 없기 때문에 섭취가 매우 용이한 동시에 수분이 식감에 맞춰 적절한 수분을 가지기 때문에 매우 부드로운 식감을 느낄 수 있었으며, 제2복합적 조리의 경우에는 제1복합적 조리의 경우와 같은 식감을 느낄 수 있으면서도 동시적으로 구운 감자나 고구마와 같은 식감을 느끼게 되어 찜과 구이 맛을 동시적으로 느낄 수 있는 새롭고 복합적인 맛을 느낄 수 있었다.
(실시예 4)
양념 된 생선을 구이건조수단(30)에 올려놓고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를 가동시켜 발생 되는 스팀(S)으로 충분히 쪄서 익힌 조리가 되게 하고, 기호에 따라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를 더 가동시켜 수분이 약간(살짝) 증발되게 하는 복합적 조리를 실시하였다.
이 경우, 스팀과 원적외선열에 의해 매우 신속하게 생선찜이 조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생선에 칼집을 낸 경우에는 원적외선열에 의해서 생선 내부가 익혀지게 됨에 따라 양념물기가 생선 속으로 잘 스며들어서 생선 내부까지 양념 성분이 양호하게 스며들어 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더욱 신속하게 조리되고 양념이 잘 스며든 생선찜 조리가 되어 식감이 월등하게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기호에 따라 수분이 약간 증발되게 하는 경우 표면에 물기가 적으므로 섭취가 용이하고 찜과 구이 맛을 동시적으로 느낄 수 있는 새롭고 복합적인 맛을 느낄 수 있었다.
(실시예 4)
건오징어를 구이건조수단(30)에 올려놓고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를 가동시켜 발생 되는 스팀(S)으로 쪄서 익혀지게 조리한 다음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를 중, 고온으로 가동시켜 수분을 증발시키며 구이작용이 되게 하는 복합적 조리를 실시 하였다.
이 경우 건오징어에 수분이 침투하면서 쪄지게 되기 때문에 처음보다는 건오징어가 불어서 두께가 두툼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수분이 함유된 상태에서 신속하게 구이가 되기 때문에 타지 않고 구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조직이 불은 상태이므로 딱딱하지 않고 부드롭게 섭취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찜 맛과 구이 맛을 동시에 느끼게 하는 식감이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다수의 실시예의 조리 이외에 가령 떡재료나 영양밥재료를 구이건조수단(30)에 올려놓고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 만을 가동시켜 조리하면 찜 조리가 되어 떡이나 영양밥이 조리되는 것이고, 가령 수삼을 구이건조수단(30)에 올려놓고 스팀(S)에 의한 찜 조리와 구이건조수단(30)에 의한 건조 조리를 수차례 반복적으로 실시되게 하면 홍삼제조 및 원액추출이 되는 것으로서, 그 외에 정과나 각종 식용 차 및 죽식품, 발효식품을 조리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스팀발생수단(20)의 스팀발생실(21)에 삽입되는 내솥용기(26)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부호 26a는 손잡이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내솥용기(26)에 식용수(W)가 수용되어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의 열에너지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S)이 발생 되도록 된 것이다.
이 경우 스팀발생수단(20)과 내솥용기(26) 사이에 필연적으로 형성되게 되는 틈새로 스팀(S)이 침투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스팀발생수단(20)의 상부 내주연부에 내솥용기(26) 외주면과 밀착되는 스팀차단패킹(28)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내솥용기(26)가 더 채용되는 경우 그 내솥용기(26)를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되므로 세척이 용이하게 되고 식용수(W)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내솥용기(26)가 채용되는 경우 상기 내솥용기(26) 하부에 용기수납감지수단(27)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수납감지수단(27)은 내솥용기(26)의 하중에 의해 가압되고 탄력부재(272)에 의해 상승되게 이동되는 눌림부재(271)와, 상기 눌림부재(271)의 하강 이동에 의해 동작 되어 제어부(50)에 감지신호를 인가하게 되는 용기감지센서(273)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호 274는 눌림부재(271)가 상부방향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톱퍼를 나타낸다.
따라서, 내솥용기(26)가 스팀발생수단(20)에 끼워지게 되면 그 내솥용기(26)의 자중에 의해서 눌림부재(271)가 가압되어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용기감지센서(273)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50)에 감지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상기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상태에서는 제어부(50)가 정상적으로 가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내솥용기(26)가 스팀발생수단(20)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제어부(50) 조작이 가능 하게 되어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 및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의 가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내솥용기(26)가 스팀발생수단(20)으로 인출되게 되면 탄력부재(272)의 탄력에 의해서 눌림부재(271)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용기감지센서(273)는 이러한 작동신호를 제어부(50)에 인가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제어부(50)는 조작을 하여도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 및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가 가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용기감지센서(273)의 작동에 따라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 및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가 가동되거나 또는 가동 중지되게 하는 제어회로는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솥용기(26)가 인출되었을 때에는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 및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가 가동되지 못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경우는 스팀방출수단(60)에 의해 스팀체류실(41)의 스팀(S)을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가령, 스팀(S)에 의한 찜 조리를 한 후에 건조 조리를 할 경우에는 스팀체류실(41)의 스팀(s)이 없는 상태에서 건조 조리가 진행되게 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이 경우 스팀방출수단(60)에 의해서 자동으로 스팀(S)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팀방출수단(60)은 스팀체류부재(40)가 스팀방출수단(60)에 의해 일단부(40a)가 상부방향으로 들려지도록 구성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스팀방출수단(60)은 제어부(50)의 명령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61)의 피스톤(62)이 전진이동되어 스팀체류부재(40)의 일단부(40a)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솔레노이드(61)는 이미 알려진 부품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를 참조하면, 스팀(S)에 의한 찜조리시에는 도 11의 (a)와 같이 솔레노이드(61)의 피스톤(62)이 열전달테두리부(23) 표면과 일치하는 상태에 있게 되고 이러한 상태는 솔레노이드(61)의 피스톤(62)이 후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로서, 이때에는 스팀체류부재(40)가 닫힌 상태에 있는 상태이므로 그 스팀체류부재(40) 내에는 스팀(S)이 체류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스팀(S)에 의한 찜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제어부(50)가 솔레노이드(61)에 명령을 내려서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62)이 전진 이동 되도록 작동시키게 된다.
그로므로 피스톤(62)이 상부방향으로 전진 이동됨에 따라 그 위에 얹혀져 있는 스팀체류부재(40)의 일단부(40a)가 상부방향으로 들리게 됨으로써 스팀체류부재(40)는 도 12에서 실선 도시와 같이 전체가 상부방향으로 비스듬히 들려지는 상태가 됨으로써 열전달테두리부(23)와 스팀체류부재(40) 간에는 틈새(T)가 생기게 되고, 이러한 틈새(T)를 통해서 스팀체류부재(40)의 스팀체류실(41)에 있던 스팀(S)이 외부로 방출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 스팀(S)이 외부로 전부 방출되면 제어부(50)가 솔레노이드(61)에 다시 명령을 내려서 피스톤(62)이 후진 이동 되도록 작동시키게 됨으로써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팀체류부재(40)가 다시 닫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팀체류부재(40)가 닫힌 다음에 제어부(50)의 명령에 의해서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를 가동시켜 건조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건조 조리가 도모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스팀발생수단(20) 중앙부에 구이건조수단(30) 방향으로 바람이 송풍 되게 하는 프로펠라(71)와 모터(72)를 가진 송풍수단(70)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되게 한 것이다. 부호 73은 방수가 되게 하는 실링부재를 나타낸다.
이 경우는, 예를 들면 홍삼식품 제조와 같이 스팀(S)에 의한 찜 조리를 한 다음 건조 조리를 하기 위해 스팀방출수단(60)을 작동시켜서 스팀(S)을 외부으로 방출시킬 때에 송풍수단(70)을 가동시키게 되면 프로펠라(71)에서 발생 되는 바람에 의해서 더욱 신속하게 스팀(S)이 외부로 방출되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열기를 가진 찜 조리된 식품(G)이 더욱 빨리 식게 되므로 보다 신속한 복합적 조리가 도모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에 스팀발생수단(220)을 갖는 스팀발생부(200) 및 구이건조수단(30)을 갖는 구이건조부(300) 부분을 각각 별개로 이루어지게 한 다음 상기 스팀발생수단(220)에서 발생 된 스팀(S)을 구이건조수단(30) 쪽으로 공급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별개로 이루어진 스팀발생수단(220)을 식용수(W)를 끓이는 전기커피포트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체(10)의 일측에 스팀발생부(200)를 구비한다.
상기 스팀발생부(200)는, 본체(10)에 구비되는 무선전기공급장치(210) 및 상기 무선전기공급장치(21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식용수(W)를 가열시키는 스팀발생수단(22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수단(220)은 식용수(W)가 수용되는 스팀발생실(221)이 있고, 상기 스팀발생실(221) 하부에 무선전기공급장치(210)가 끼워지는 전기공급홈부(223) 및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2)를 구비하고, 상기 스팀발생실(221)을 개폐하는 뚜껑(224) 및 일측에 손잡이(225)가 있으며, 상부 일측에 스팀발생실(221)과 연통 되는 스팀출구(226)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호 224a는 뚜껑(224)이 개폐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무선전기공급장치(210)에 의해서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2)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는 것은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225)를 잡고 스팀발생수단(220)을 들어올리면 스팀발생수단(220)이 본체(10)로부터 이탈되게 분리됨으로써 뚜껑(224)을 열고 스팀발생실(221)에 식용수(W)를 보충하거나 채워 넣는 것이 매우 용이하고 편리하다.
한편, 구이건조부(300)는, 본체(10) 내에 구비되는 걸림턱부(13)에 걸림되게 얹혀지는 구이건조수단(30)을 구비한다. 상기 구이건조수단(30)은 이미 앞서 설명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구이건조수단(30) 하부에는 스팀확산실(310)을 구비하고, 상기 스팀확산실(310)을 구성하게 하는 스팀판부재(311) 하부에 구이건조용 전기히터(324)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구이건조용 전기히터(324)에서 열에너지가 발생 되면 복사열에 의해서 구이건조수단(30)이 가열된다. 이때 복사열이 스팀확산실(310)을 통과함으로써 스팀확산실(310)의 스팀(S)은 가열시키게 되므로 더욱 뜨거운 스팀(S)이 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구이건조용 전기히터(324)는 구이건조용 전기히터(324)는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스팀확산실(310)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구이건조수단(30)이 걸림되는 걸림턱부(13)의 하부에 설치되도록 하여 열에너지가 구이건조수단(30)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이건조수단(30)의 상부에는 스팀체류실(41)을 갖도록 하기 위한 스팀체류부재(40)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구이건조용 전기히터(324) 및 무선전기공급장치(210)는 제어부(50)로부터 전기가 공급 및 차단되게 제어되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팀발생부(200)에서 발생 된 스팀(S)을 구이건조부(300) 쪽으로 공급되게 하는 스팀공급연결수단(400)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팀공급연결수단(40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스팀공급연결수단(400)은 본체(10)에 고정되어 스팀확산실(310)과 연통되는 스팀통과공(402)을 갖는 스팀공급연결부재(40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팀공급연결부재(401)의 양측에는 스팀(S)의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입구패킹(403) 및 출구패킹(404)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입구패킹(403) 내주연부에는 휘어질 수 있는 개폐단부(405)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팀발생수단(220)의 스팀출구(226)가 스팀공급연결부재(401)의 스팀통과공(402)로 끼워지도록 하며, 도 15에서 가상선 도시와 같이 기립 되어 스팀통과공(402)을 차폐하고 있던 개폐단부(405)가 스팀출구(226)에 밀려서 실선 도시와 같이 제껴 지는 상태가 됨에 따라 스팀통과공(402)이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스팀발생실(221)에 있던 스팀(S)이 개방된 스팀공급연결부재(401)의 스팀통과공(402)을 통해서 스팀확산실(310)로 공급되는 상태가 되어 구이건조수단(30) 하부 쪽에서 전체적으로 확산 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구이건조수단(30)의 스팀방출공(33)을 통해서 신속하게 스팀체류실(41)로 공급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그로 인해 스팀(S)에 의한 찜 조리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찜 조리 후 건조 조리, 또는 구이 조리가 되는 등의 복합적 조리가 되는 것은 이미 앞서 설명된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스팀발생수단(220)을 식용수(W)을 끓이는 용도로 쓰이는 전기커피포트로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때는 제어부(50)의 명령에 의해서 식용수(W)가 일정시간 가열되면 자동으로 무선전기공급장치(210)로 공급되는 전기가 차단되게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스팀발생수단(220)을 전기커피포트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 16에서 실선 도시와 같이 스팀출구(226)가 스팀공급연결부재(401)와 연결되지 않게 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고, 본 발명을 조리기로 사용할 경우에만 스팀발생수단(220)의 스팀출구(226)를 가상선 도시와 같이 스팀공급연결부재(401)와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다고 도 16의 예시와 같이 스팀출구(226)가 스팀공급연결부재(401)와 연결되지 않게 한 상태에서만 커피포트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고, 스팀출구(226)가 스팀공급연결부재(401)와 연결되게 한 상태에서도 스팀발생수단(220)을 커피포트로도 사용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스팀발생수단(220)을 커피포트로 사용할 경우에는 그 스팀발생수단(220)을 곧바로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거나 또는 하부방향으로 내려서 본체(10)로부터 인출시키거나 또는 다시 결합 되게 하는 것이며, 스팀발생수단(220)을 전기커피포트로 사용할 시에는 스팀출구(226)를 통해 끓인 식용수(W)가 나오게 하는 것이다
한편, 스팀발생수단(220)의 스팀출구(226)가 스팀공급연결부재(401)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분리시켜 스팀발생수단(220)을 본체(10)로부터 인출할 경우에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손잡이(225)를 잡고 스팀출구(226)의 반대방향인 "A"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하면 무선전기공급장치(210)와 전기공급홈부(223) 사이에는 헐거울 정도의 약간의 틈새가 있기 때문에 스팀발생수단(220)의 상단부가 약간 기울어지게 됨으로써 스팀출구(226)가 스팀통과공(402)으로부터 이탈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7에서 "B" 방향으로 스팀발생수단(220)을 들어올리게 되면 전기공급홈부(223)로부터 무선전기공급장치(210)가 빠지게 되면서 스팀발생수단(220)이 본체(10)로부터 인출되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스팀발생수단(220)을 다시 본체(10)에 결합 되게 할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된 인출 순서와 역순에 의해 결합 되도록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스팀공급연결수단(400')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에도 앞서 설명된 일실시예의 스팀공급연결수단(400)과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되 입구패킹(403')의 앞쪽에 스팀출구(226)의 외주면을 감싸는 밀착유연부(406)을 갖도록 한 것이다. 그 외의 스팀통과공(402)을 갖는 스팀공급연결부재(401) 및 입구패킹(403)은 일실시예의 스팀공급연결수단(40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스팀출구(226)을 스팀공급연결부재(401) 쪽으로 연결되게 하면 입구패킹(403)의 밀착유연부(406)가 스팀출구(226) 외주면에 밀착하게 되므로 스팀(S)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스팀통과공(402)을 통해서 스팀확산실(310)로 공급되는 상태로 연결되는 것이고, 분리시킬 때에는 입구패킹(403')으로부터 스팀출구(226)를 그대로 빼내면 되는 것으로서, 상기 입구패킹(403')에 구비하는 밀착유연부(406)는 도 18의 도면과 같이 휘어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스팀출구(226)를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킬 때 걸림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4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19에 나타낸 실시예는 스팀발생부(200)의 스팀발생수단(220)에 구비하는 스팀발생실(221)에 있는 스팀(S)이 구이건조부(300)의 스팀체류실(41)로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스팀발생실(221)과 스팀체류실(41)을 연결하는 스팀공급연결수단(410)은, 도 20 내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가 스팀공급연결부재(401)에 고정된 반원형의 로우체결부재(412) 및 상기 로우체결부재(412)와 일측에서 힌지축(412a)으로 연결되어 회동가능한 반원형의 어퍼체결부재(413)의 내면 양측에 각각의 패킹(414)을 구비하고, 상기 로우체결부재(412)에 있는 걸림턱(415)에 어퍼체결부재(413)에서 회동되게 구비되는 회동걸림부재(416)의 선단부(417)가 걸림되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부호 418은 회동걸림부재(416)를 강제적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스팀공급연결부재(401)의 선단부에는 스팀출구(226)가 접촉되는 밀착패킹(419)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걸림부재(416)의 선단부(417)를 외측방향으로 제껴서 걸림턱(415)으로부터 선단부(417)가 해지되도록 한다음 22의 가상선 도시와 같이 어퍼체결부재(413)가 완전히 제껴지도록 하여 스팀공급연결부재(401)가 상부쪽이 완전히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그리고 스팀출구(226)를 밀착패킹(419)에 밀착되게 한 다음, 어퍼체결부재(413) 스팀출구(226) 및 스팀공급연결부재(401) 위쪽으로 다시 회동시켜 덮히도록 한 후에 도 22 및 도 23의 실선도시와 같이 회동걸림부재(416)의 선단부(417)가 걸림턱(415)에 강제적으로 걸림 되게 하면 패킹(414)들이 도 21의 도시와 같이 스팀출구(226) 및 스팀공급연결부재(401) 외주면에 밀착되게 결합 된는 것이고, 스팀출구(226)의 분리시에는 상기 스팀출구(226)의 연결 순서의 역순에 의해 분리되게 하는 것이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팀공급연결수단(420)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내면에 패킹(423)을 각각 구비하는 반원형의 로우체결부재(421)와 어퍼체결부재(422)를 구비하되 각각 상호 대향되어 접촉되는 단부에 각각 다른 극성이 마주하는 자석부재나 고무부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채용되는 실링부재(424,42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로우체결부재(421)의 일단부가 스팀공급연결부재(401)에 고정되며, 상기 어퍼체결부재(422)는 스팀공급연결부재(401)에 고정된 지지대(426)의 힌지축(427)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L자형 링크(428)에 의해 어퍼체결부재(42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4의 (a)와 같이 스팀출구(226)를 스팀공급연결부재(401)와 마주 하도록 하고 링크(428)를 화살표 방향과 같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어퍼체결부재(422)가 하강되게 이동하여 스팀출구(226)와 스팀공급연결부재(401)의 윗쪽으로 어퍼체결부재(422)가 밀착하게 됨으로써 스팀출구(226)와 스팀공급연결부재(401)가 상호 연결되어 스팀(S)이 공급되게 된다.
이때, 로우체결부재(421)의 실링부재(424)와 어퍼체결부재(422)의 실링부재(425)가 자석부재일 경우 상호 자성에 의해 달라붙게 되므로 강제적으로 떼어 놓기 전에는 상호 강력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어퍼체결부재(422)는 저절로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스팀(S)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하는 밀폐성을 갖게 한다.
그리고 로우체결부재(421)의 실링부재(424)와 어퍼체결부재(422)의 실링부재(425)가 고무부재일 경우에도 스팀(S)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하는 밀폐성을 갖게 한다.
그리고 도 24의 (b)와 같이 링크(428)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실링부재(424,425)들이 상호 떨어지면서 어퍼체결부재(422)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스팀출구(226)를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9를 다시 참조하면, 스팀발생실(221)의 스팀(S)이 스팀체류실(41)로 곧바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더욱 신속하게 스팀(S)이 스팀체류실(41)로 공급되기 때문에 찜 조리를 더욱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팀체류실(41)의 스팀(S)은 상대적으로 뜨거운 스팀(S)은 위쪽으로 올라가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스팀(S)은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대류현상이 발생되므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스팀(S)은 스팀확산실(310)로 내려오게 되어 구이건조용 전기히터(324)의 복사열에 의해서 뜨거운 스팀(S)이 되어 다시 스팀체류실(41)로 상승 되므로 찜 조리가 더욱 신속하고 양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해 실시되는 다수의 스팀공급연결수단(400,400',410,420))들은 스팀발생실(221)의 스팀(S)이 스팀확산실(310)로 공급되도록 하는 경우나 또는 스팀발생실(221)의 스팀(S)이 스팀체류실(41)로 공급되도록 하는 경우에 다수의 스팀공급연결수단(400,400',410,420)) 모두가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가 채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실시예의 도면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반드시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은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조리를 복합적으로 할 수 있게 하므로 가령 찜 조리가 진행되게 하면서 동시적으로 구이 조리가 함께 진행되게 함으로써 예전에는 전혀 하지 못하였던 새로운 복합적 조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전혀 새로운 조리문화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10:본체 11:본체프레임
13:걸림턱부 20,220:스팀발생수단
21.221:스팀발생실 22,222:스팀발생용 전기히터
23:열전달테두리부 24,324:구이건조용 전기히터
25:차열부재 26:내솥용기
27:용기수납감지수단 28:스팀차단패킹
30:구이건조수단 31:돌륜부
32:원적외선방사체 33:스팀방출공
40:스팀체류 부재 41:스팀체류실
42:손잡이 50:제어부
60:스팀방출수단 61:솔레노이드
62:피스톤 70:송풍수단
71:프로펠라 72:모터
200:스팀발생부 210:무선전기공급장치
223:전기공급홈부 224:뚜껑
225:손잡이 226:스팀출구
300:구이건조부 310:스팀확산실
311:스팀판부재 400,400',410,420:스팀공급연결수단
401:스팀공급연결부재 402:스팀통과공
403,403':입구패킹 404:출구패킹
405:개폐단부 406:밀착유연부
412,421:로우체결부재 413,422:어퍼체결부재
414,423:패킹 415:걸림턱
416:회동걸림부재 417:선단부
419:밀착패킹 424,425:실링부재
426:지지대 427:힌지축
428:L자형 링크 W:식용수
S:스팀 T:틈새
G:식품

Claims (16)

  1. 본체(10) 내에 지지 되고, 식용수(W)가 수용되는 스팀발생실(21)이 있고 상기 스팀발생실(21) 하측에서 식용수(W)를 가열하는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를 구비하고, 상기 스팀발생실(21)의 개구부(21a) 외측의 열전달테두리부(23)에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를 갖는 스팀발생수단(20)과;
    상기 스팀발생실(21)의 개구부(21a)를 덮도록 열전달테두리부(23)상에 탑재되고, 다수의 돌륜부(31) 내부에 원적외선방사체(32)가 내장되며, 상기 다수의 돌륜부(31) 사이에 스팀방출공(33)을 갖는 구이건조수단(30)과;
    상기 구이건조수단(30) 상부에 스팀체류실(41)을 갖도록 하는 스팀체류부재(40)와;
    상기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 및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테두리부(23) 내부에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가 내장되도록 하여 열전달테두리부(23)를 통해 히터열에너지가 구이건조수단(30)으로 열전도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가 열전달테두리부(23) 하측에 면접촉되게 고정되어 히터열에너지가 구이건조수단(30)으로 열전도되게 하고, 상기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 외측에 차열부재(25)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수단(20)의 스팀발생실(21)에 삽입되는 내솥용기(26)를 더 구비하고, 상기 내솥용기(26) 하부에는 내솥용기(26) 하중에 의해 가압되고 탄력부재(272)에 의해 상승되게 이동되는 눌림부재(271)와, 상기 눌림부재(271)가 눌림 되게 동작 되어 제어부(50)에 감지신호를 인가하게 되는 용기감지센서(273)를 가진 용기수납감지수단(27)이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수단(20)의 상부 내주연부에는 내솥용기(26) 외주면과 밀착되는 스팀차단패킹(28)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수단(20) 중앙부에 구이건조수단(30) 방향으로 바람이 송풍 되게 하는 프로펠라(71)와 모터(72)를 가진 송풍수단(70)을 더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7. 본체(10) 일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무선전기공급장치(210) 및 식용수(W)가 수용되는 스팀발생실(221)이 있고, 상기 스팀발생실(221) 하부에 무선전기공급장치(210)가 끼워지는 전기공급홈부(223) 및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2)가 있고, 상기 스팀발생실(221)을 개폐하는 뚜껑(224) 및 일측에 손잡이(225)가 있으며, 상부 일측에 스팀출구(226)를 갖는 스팀발생수단(220)으로 이루어져서 본체(10) 일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스팀발생부(200)와;
    원적외선방사체(32)가 내장되는 다수의 돌륜부(31) 사이에 다수의 스팀방출공(33)을 갖는 구이건조수단(30)이 본체(10)의 걸림턱부(13)에 설치되고, 상기 구이건조수단(30) 하부에 스팀확산실(310)이 있고, 상기 스팀확산실(310) 하부쪽으로 구이건조용 전기히터(324)가 구비되고, 상기 구이건조수단(30) 상부쪽으로 스팀체류실(41)을 갖도록 하는 스팀체류부재(40)로 이루어져서 스팀발생부(200) 일측의 본체(10)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구이건조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발생실(221)의 스팀(S)이 스팀확산실(310)로 공급되도록 스팀발생부(200)와 구이건조부(300)를 연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팀공급연결수단(400,400',410,420))과;
    상기 무선전기공급장치(210) 및 구이건조용 전기히터(324)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8. 제1항과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체류부재(40)가 스팀방출수단(60)에 의해 일측단부가 상부방향으로 들려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방출수단(60)은 제어부(50)의 명령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61)의 피스톤(62)이 전진이동되어 스팀체류부재(40)의 일단부(40a)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10. 본체(10) 일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무선전기공급장치(210) 및 식용수(W)가 수용되는 스팀발생실(221)이 있고, 상기 스팀발생실(221) 하부에 무선전기공급장치(210)가 끼워지는 전기공급홈부(223) 및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2)가 있고, 상기 스팀발생실(221)을 개폐하는 뚜껑(224) 및 일측에 손잡이(225)가 있으며, 상부 일측에 스팀출구(226)를 갖는 스팀발생수단(220)으로 이루어져서 본체(10) 일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스팀발생부(200)와;
    원적외선방사체(32)가 내장되는 다수의 돌륜부(31) 사이에 다수의 스팀방출공(33)을 갖는 구이건조수단(30)이 본체(10)의 걸림턱부(13)에 설치되고, 상기 구이건조수단(30) 하부에 스팀확산실(310)이 있고, 상기 스팀확산실(310) 하부쪽으로 구이건조용 전기히터(324)가 구비되고, 상기 구이건조수단(30) 상부쪽으로 스팀체류실(41)을 갖도록 하는 스팀체류부재(40)로 이루어져서 스팀발생부(200) 일측의 본체(10)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구이건조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발생실(221)의 스팀(S)이 스팀체류실(41)로 공급되도록 스팀발생부(200)와 구이건조부(300)를 연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팀공급연결수단(400,400',410,420))과;
    상기 무선전기공급장치(210) 및 구이건조용 전기히터(324)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11. 제7항과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연결수단(400)은, 본체(10)에 고정되어 스팀확산실(310)과 스팀체류실(41)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스팀통과공(402)을 갖는 스팀공급연결부재(401)와, 상기 스팀공급연결부재(40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입구패킹(403) 및 출구패킹(40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패킹(403) 내주연부에는 휘어질 수 있는 개폐단부(405)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13. 제7항과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연결수단(400')은, 본체(10)에 고정되어 스팀확산실(310)과 스팀체류실(41)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스팀통과공(402)을 갖는 스팀공급연결부재(401)와, 상기 스팀공급연결부재(40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입구패킹(403') 및 출구패킹(404)과, 상기 입구패킹(403') 앞쪽에 스팀출구(226) 외주연부에 밀착되는 밀착유연부(406)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14. 제7항과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연결수단(410)은, 스팀공급연결부재(401)에 일단부가 고정된 로우체결부재(412) 및 상기 로우체결부재(412)와 일측에서 힌지축(412a)으로 연결되어 회동가능한 어퍼체결부재(413)의 내면 양측에 각각의 패킹(414)을 구비하고, 상기 로우체결부재(412)에 있는 걸림턱(415)에 어퍼체결부재(413)에서 회동되게 구비되는 회동걸림부재(416)의 선단부(417)가 걸림되어 체결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연결부재(401)의 선단부에는 스팀출구(226)가 접촉되는 밀착패킹(419)을 더 구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16. 제7항과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연결수단(420)은, 내면에 패킹(423)을 각각 구비하는 반원형의 로우체결부재(421)와 어퍼체결부재(422)를 구비하되 각각 상호 대향되어 접촉되는 단부에 각각 다른 극성이 마주하는 한쌍의 자석부재나 고무부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채용되는 실링부재(424,425)를 구비하고, 상기 로우체결부재(421)의 일단부가 스팀공급연결부재(401)에 고정되며, 상기 어퍼체결부재(422)는 스팀공급연결부재(401)에 고정된 지지대(426)의 힌지축(427)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L자형 링크(428)에 의해 어퍼체결부재(42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KR1020120014110A 2012-02-13 2012-02-13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KR101311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110A KR101311863B1 (ko) 2012-02-13 2012-02-13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110A KR101311863B1 (ko) 2012-02-13 2012-02-13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690A KR20130092690A (ko) 2013-08-21
KR101311863B1 true KR101311863B1 (ko) 2013-10-14

Family

ID=4921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110A KR101311863B1 (ko) 2012-02-13 2012-02-13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8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3961A1 (ko) 2013-12-03 2015-06-11 정규태 스팀 조리기
KR102635111B1 (ko) 2023-09-01 2024-02-08 주식회사 로보테크 복합 조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213Y1 (ko) 2003-11-29 2004-03-10 유상근 육류 구이판
KR20050099233A (ko) * 2004-04-09 2005-10-13 박도신 구이장치
KR20090002923U (ko) * 2007-09-19 2009-03-24 동양매직 주식회사 스팀을 이용한 복합 조리기기
KR200448883Y1 (ko) 2008-01-11 2010-05-31 편영복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213Y1 (ko) 2003-11-29 2004-03-10 유상근 육류 구이판
KR20050099233A (ko) * 2004-04-09 2005-10-13 박도신 구이장치
KR20090002923U (ko) * 2007-09-19 2009-03-24 동양매직 주식회사 스팀을 이용한 복합 조리기기
KR200448883Y1 (ko) 2008-01-11 2010-05-31 편영복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3961A1 (ko) 2013-12-03 2015-06-11 정규태 스팀 조리기
KR20150064662A (ko) 2013-12-03 2015-06-11 정규태 스팀 조리기
KR102635111B1 (ko) 2023-09-01 2024-02-08 주식회사 로보테크 복합 조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690A (ko)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91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food
US9854931B2 (en) Steam cooking apparatus
US20110056957A1 (en) Combination Multiple Vessel Cookware
US3212426A (en) Apparatus for cooking
CN108402891A (zh) 一种食物烹饪方法及其烹饪器具
EP1201166A1 (en) Heat cooking/sterilizing device
TW200822892A (en) Heating cooker and cooking method for increasing vitamin c
CN203802234U (zh) 用于电饭煲内的多用型内胆
CN100476299C (zh) 加热烹调器
KR101977389B1 (ko) 과열증기 조리기
KR200471229Y1 (ko) 찜겸용 구이팬 직화용기
JP3182088U (ja) 電熱式蒸煮装置
KR101312988B1 (ko) 훈제조리기
KR101311863B1 (ko)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CN107028485B (zh) 家庭用双层蒸锅的密封结构
KR20130002374A (ko) 중탕냄비
CN104274065B (zh) 多功能炊具
KR20180062869A (ko) 과열증기 조리기
KR101343854B1 (ko) 회전식 구이장치
KR101598125B1 (ko) 다용도 로스팅용기
KR20090000174U (ko) 전기쿠커
KR200185603Y1 (ko) 회전식 원적외선 방사 고기구이기
KR101320210B1 (ko) 열효율이 증가되는 오븐의 구조
CN205682944U (zh) 一种环保蒸汽煎烤盘
KR101823423B1 (ko) 가정용 중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