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662A - 스팀 조리기 - Google Patents

스팀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662A
KR20150064662A KR1020140161588A KR20140161588A KR20150064662A KR 20150064662 A KR20150064662 A KR 20150064662A KR 1020140161588 A KR1020140161588 A KR 1020140161588A KR 20140161588 A KR20140161588 A KR 20140161588A KR 20150064662 A KR20150064662 A KR 20150064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accommodating portion
food
accommodating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4872B1 (ko
Inventor
정규태
Original Assignee
정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14909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138005A/ko
Application filed by 정규태 filed Critical 정규태
Priority to KR1020140161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872B1/ko
Priority to US15/026,404 priority patent/US20160262562A1/en
Priority to PCT/KR2014/011156 priority patent/WO2015083961A1/ko
Priority to JP2016546727A priority patent/JP6149166B2/ja
Priority to EP14867176.1A priority patent/EP3078304A4/en
Priority to CN201480065760.9A priority patent/CN105992537B/zh
Publication of KR20150064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 양방향으로 스팀을 공급받게 되어, 음식물 전체를 고르게 조리할 수 있게 되며, 스팀의 내부에 수용된 수분이 응결되어 발생되는 응결수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여 음식물과 응결수가 접하여 음식물의 맛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팀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와,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리용기는,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팀 조리기{cooking utensils using steams}
본 발명은 스팀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 양방향으로 스팀을 공급받게 되어, 음식물 전체를 고르게 조리할 수 있게 되며, 스팀의 내부에 수용된 수분이 응결되어 발생되는 응결수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여 음식물과 응결수가 접하여 음식물의 맛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가열조리장치로는 고주파를 이용하는 전자레인지와 히터를 이용하여 음식물에 직접 열을 가하는 가스오븐, 전기오븐 등이 있다.
이러한 가열조리장치 중에서 전자레인지는 조리할 수 있는 음식물의 종류에 있어 많은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 후 음식물이 건조되어 음식물의 맛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고, 가스오븐과 전기오븐은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공기가 히터와 음식물 사이에서 열전달 매체로 작용함에 따라 조리 시간이 길어지고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가열조리장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스팀을 통해 음식물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조리장치(이하 '스팀조리기기' 라 함)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스팀조리기기를 이용하면 음식물에 적절한 수분이 유지되어 음식물의 맛을 유지할 수 있고 조리실 내에 가득 찬 스팀이 효과적인 열전달매체로 작용하여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팀을 이용하는 조리기구의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311863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본체(10) 내에 지지되고, 식용수(W)가 수용되는 스팀발생실(21)이 있고 상기 스팀발생실(21) 하측에서 식용수(W)를 가열하는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를 구비하고, 상기 스팀발생실(21)의 개구부(21a) 외측의 열전달테두리부(23)에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를 갖는 스팀발생수단(20)과; 상기 스팀발생실(21)의 개구부(21a)를 덮도록 열전달테두리부(23)상에 탑재되고, 다수의 돌륜부(31) 내부에 원적외선방사체(32)가 내장되며, 상기 다수의 돌륜부(31) 사이에 스팀방출공(33)을 갖는 구이건조수단(30)과; 상기 구이건조수단(30) 상부에 스팀체류실(41)을 갖도록 하는 스팀체류부재(40)와; 상기 스팀발생용 전기히터(22) 및 구이건조용 전기히터(24)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311863호에 기재된 기술은 조리시에 스팀을 이용하여 조리함으로써, 다양한 요리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스팀을 음식물의 하부에서만 공급하게 되므로 음식물을 고르게 익히기 어려우며, 스팀에 의해 발생하는 응결수의 배수가 용이하지 않아 음식물에 응결수가 접하게 되어 음식의 맛이 저하되게 되어 안정적인 요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1186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팀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스팀 조리기의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데, 상기 스팀 조리기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제1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스팀을 공급받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스팀을 공급받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조리용기가 구비되어, 음식물의 하부와 상부에서 동시에 스팀을 공급받게 되어 음식물의 전체를 고르게 조리할 수 있는 스팀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의 하부에는 스팀을 공급받는 제2수용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수용부의 하부에는 스팀에 포함된 물방울이 응결되어 발생하는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트랩이 구비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하부에는 응결수를 수집하는 응결수 수집장치가 구비되어 조리용기에서 생성되는 응결수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어,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과 응결수가 접하여 음식의 맛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장치와 조리 용기를 연결하기 위한 노즐은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밀폐력이 우수하며, 상기 노즐과 연결되는 연결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가 구비되고, 슬라이딩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노즐의 외측을 커버하는 보호관이 구비됨으로써, 조리 용기에 노즐이 결합될 경우 보호관이 노즐의 외측을 커버하게 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조리 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팀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와,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리용기는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수용부를 밀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수용부 또는 뚜껑에는 스팀을 공급받는 공급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는,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는 공급공이 형성되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수용부를 밀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수용부 또는 뚜껑에는 스팀을 공급받는 공급공이 형성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수용부는 절첩가능하게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공에는 상기 스팀공급장치와 연결되는 노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노즐이 연결되는 연결관에는 슬라이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노즐의 외측을 커버하는 보호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분리판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1수용부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내판이 안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거치대가 더 구비되되, 상기 거치대는 상부에 조리용기가 위치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설치되어 조리용기가 삽입 고정되는 압박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거치대가 더 구비되되, 상기 거치대는 상부에 조리용기가 위치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위치하되 탄성부재에 의해 지주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압박기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리용기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고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개방된 상부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수용부에는 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지게 되면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조절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수용부의 하부에는 스팀에 포함된 응결수를 배출하기 위한 스팀트랩이 구비되거나 또는 마개가 구비된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거치대가 더 구비되되, 상기 거치대는 상부에 조리용기가 위치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구비되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조리용기의 상단이 걸림 결합되는 걸이부와, 상기 지주에 설치되되,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의 경계부가 삽입되어 경계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판과 분리판의 상하 관통하는 이동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스팀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스팀 조리기의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데, 상기 스팀 조리기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제1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스팀을 공급받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스팀을 공급받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조리용기가 구비되어, 음식물의 하부와 상부에서 동시에 스팀을 공급받게 되어 음식물의 전체를 고르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의 하부에는 스팀을 공급받는 제2수용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수용부의 하부에는 스팀에 포함된 물방울이 응결되어 발생하는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트랩이 구비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하부에는 응결수를 수집하는 응결수 수집장치가 구비되어 조리용기에서 생성되는 응결수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어,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과 응결수가 접하여 음식의 맛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장치와 조리 용기를 연결하기 위한 노즐은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밀폐력이 우수하며, 상기 노즐과 연결되는 연결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가 구비되고, 슬라이딩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노즐의 외측을 커버하는 보호관이 구비됨으로써, 조리 용기에 노즐이 결합될 경우 보호관이 노즐의 외측을 커버하게 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조리 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팀 조리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스팀 조리기의 구이건조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조리기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조리기에 거치대가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가 구비된 스팀 조리기의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조리기에 사용되는 노즐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팀 조리기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팀 조리기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 예에 거치대가 구비된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팀 조리기의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팀 조리기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조리기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조리기에 거치대가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가 구비된 스팀 조리기의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조리기에 사용되는 노즐의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팀 조리기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팀 조리기의 개념도이고, 도 9는 도 8의 실시 예에 거치대가 구비된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팀 조리기의 개념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팀 조리기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스팀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100)와 상기 스팀공급장치(10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기(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조리용기(200)는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210)와 상기 제1수용부(2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수용부(220)와 상기 제1수용부(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23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수용부(210)와 제2수용부(220)는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뚜껑(230)과 제2수용부(220)는 상기 스팀공급장치(10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제1수용부(210)로 공급하여, 제1수용부(21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수용부(210)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에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스팀이 가해지기 때문에 음식물이 전체적으로 일정한 온도의 스팀을 공급받게되어 전체가 일정하게 조리되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뚜껑(230)이 아닌 제1수용부(210)로 직접 스팀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종래의 시루는 시루 자체만으로는 식물을 조리할 수 없어 하부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를 연결하여야 하며, 연결과 분리의 과정이 복잡하여 조리가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시루 전체를 이동시키기 어려우므로 내부의 수용된 음식물만 별도로 인출하여야 하므로, 운반 역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조리용기(200)는 부피가 크지 않으며, 스팀공급장치(100)와 착탈이 용이하기 때문에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하여 음식물을 별도의 용기에 옮겨 담지 않고 조리용기(200)에 음식물을 수용한 상태로 운반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조리용기(200)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210)와 스팀을 공급받기 위한 제2수용부(2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수용부(210)와 제2수용부(220)사이에는 분리판(240)이 구비되어 각각의 공간을 분리하게 되며, 상기 분리판(240)에는 다수의 관통공(242)이 형성되어 제2수용부(220)로 공급된 스팀이 상기 관통공(242)를 통하여 제1수용부(210)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용부(210)의 내주면에는 걸림턱(212)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턱(212)에는 내판(214)이 지지되게 되어, 제1수용부(210)를 이층으로 분할하게 되어, 다수의 음식물을 수용하여 동시에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212)은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고,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제1수용부(210)를 다층으로 분할하여 보다 많은 음식물을 수용하여 동시에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분리판(240)과 내판(214)의 상부에 안착되는 음식물이 조리과정에서 겔화되어 분리판(242)과 내판(214)에 형성된 관통공(242)을 막게 되어 스팀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판(214) 및 분리판(242)을 상하 관통하는 별도의 이동관(250)을 구비하여 스팀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하여, 안정적으로 조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제1수용부(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커버하는 뚜껑(230)이 구비되는데, 상기 뚜껑(230)에는 압력조절부재(236)가 형성되어, 조리용기(2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조리용기(200)는 뚜껑(230)과 제2수용부(220)를 통하여 스팀을 공급받게 되는데, 조리용기(200)의 상부와 하부에서 공급받은 스팀이 내부에 일정이상 수용되게 되면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위험하게 되므로 일정 이상의 압력이 되면 상기 압력조절부재(236)을 통하여 내부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부재(236)은 한국등록특허 제10-1439993호에 기재된 구성 같이 절개부가 형성된 배출부를 통하여, 내부에 형성되는 스팀의 압력이 배출부의 탄성력을 넘어서게 되면 절개부가 휘어저 절개부에 틈이 발생하게 되어, 내부의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미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공급장치(10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는 제2수용부(220)의 하부에는 스팀트랩(222)이 형성되는데, 상기 스팀트랩(222)은 스팀에 포함된 물방울이 조리용기(200)의 표면 등과 접하여 응결된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그래서, 스팀을 이용하여 조리시에 음식물에 응결수가 접하여 음식물이 물러져 음식물의 맛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트랩(222)은 디스크식 스팀트랩, 바이메탈식 스팀트랩, 버킷 식 스팀트랩 등 공지된 다양한 스팀트랩의 방식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리용기(200)의 하부에는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응결수 수집장치(300)가 구비되어, 상기 스팀트랩(222)을 통하여 배출되는 응결수를 수집하도록 하여, 응결수가 주방 등의 바닥에 임의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응결수 수집장치(30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서랍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응결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팀트랩(222) 대신에 상하 관통되는 통공(미도시)을 형성하고, 통공에 마개를 구비하여, 응결수가 많이 차게 되면 마개를 분리하여 응결수를 배출하고, 평소에는 마개를 막은 상태로 요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30)과 제2수용부(220)에는 상기 스팀공급장치(100)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공급받기 위하여 공급공(234,22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공급공(234,224)에는 상기 스팀공급장치(100)와 호스나 연결관(120)으로 연결되는 노즐(110)이 연결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110)은 일측방향을 경사지게 형성되며, 재질은 실리콘과 같은 연질로 이루어져, 상기 공급공(234,224)에 삽입 결합될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공(234,224)에 의해 가압되어 노즐(110)의 외주연에 일시적으로 홈(112)이 형성되어 완전히 밀폐되게 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200)의 내부에 스팀이 공급되어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조리용기(200)의 외부측 방향으로 스팀이 배출되도록 힘이 작용하게 되며, 실리콘과 같은 연질로 이루어지는 노즐(110)에 형성된 홈(112)의 전부 역시 외측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어, 홈(112)의 전부가 공급공(234,224)의 외측과 완전히 밀착하게 되어, 내부의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뚜껑(230)에 공급공(234)를 형성하지 않고, 제1수용부(210)에 직접 공급공(미도시)을 형성하여, 스팀공급장치(100)로부터 직접 스팀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한편,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10)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관(120)에는 슬라이딩부재(130)가 구비되는데, 상기 슬라이딩부재(130)는 상기 연결관(120)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130)의 일측에는 상기 노즐(110)의 외측을 커버하는 보호관(140)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노즐(110)이 공급공(234,224)에 결합될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재(130)를 이동시켜 보호관(140)의 단부가 공급공(234,224)의 외측과 접하도록 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노즐(110)로 유입되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용기(200)는 별도로 구비되는 거치대(400)에 안착되어 사용할 수도 있는데, 상기 거치대(400)는 조리용기(200)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평판형상의 받침대(410)와 상기 받침대(4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지주(420)와 상기 지주(420)에 설치되는 압박밴드(4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압박밴드(430)는 고무와 같은 탄력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져, 압박밴드(430)의 내측에 조리용기(200)를 위치시켜 상기 지주(420)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거치대(400)에 조리용기(200)를 안착하여 조리를 하도록 함으로써, 스팀을 주입시에 발생하는 흔들림에도 조리용기(200)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게 되어 조리용기(200)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흔들리지 않게 하여 안정적인 조리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410)에는 배수공(416)이 형성되는데, 상기 조리용기(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스팀트랩(222)은 상기 배수공(416)에 대응되도록 위치하게 되어 상기 스팀트랩(222)를 통하여 배출되는 응축수가 상기 배수공(416)을 통하여 수집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410)의 하부에는 응결수 수집장치(300)가 구비되어, 상기 배수공(416)을 통하여 유입되는 응결수를 수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주(420)에는 노즐(110) 또는 연결관(12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부호 미도시)가 형성되어 노즐(110)이 조리용기(2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용기(200)가 안착되는 거치대(400)는 조리용기(200)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평판형상의 받침대(410)와 상기 받침대(4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지주(420)와 상기 지주(420)가 설치된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압박기둥(44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압박기둥(440)은 상기 받침대(4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412)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홈(412)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압박기둥(440)의 단부에는 탄성부재(414)에 의해 지주(420)가 위치한 방향으로 탄성지지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지주(420)와 압박기둥(440) 사이에 조리용기(200)를 위치시키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414)의 탄성력에 의해 압박기둥(440)이 조리용기(200)를 가압하게 되어, 조리용기(200)는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됨으로써, 스팀이 주입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흔들림을 안정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압박기둥(44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414)를 사용할 수도 있고, 스크류를 이용하여 압박기둥(440)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압박기둥(440)의 하부에는 돌기를 형성하고, 받침대(410)에는 그에 대응되는 다수의 홈을 형성하여 길이를 조절하는 등의 다양한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410)에는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배수공(416)이 형성되고, 받침대(410)의 하부에는 응결수 수집장치(300)가 구비되어, 조리용기(200)로부터 배출되는 응결수를 수집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공급장치(10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기(200)는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210)와 상기 제1수용부(2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수용부(220)와 상기 제1수용부(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23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수용부(210)와 제2수용부(220)는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뚜껑(230)과 제2수용부(220)는 상기 스팀공급장치(10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제1수용부(210)로 공급하여, 제1수용부(21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수용부(2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주름부(216)가 형성되어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1수용부(210)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그 부피가 줄어들게 되어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수용부(210)는 제2수용부(220)와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제1수용부(210)의 하단 내주면에는 별도의 패킹(미도시)이 구비되어 제2수용부(220)와의 밀폐력을 높여줌으로써, 내부로 주입되는 스팀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공급장치(10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기(500)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튜브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5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부(510)의 하부에는 제1수용부(510)와 연통되도록 제2수용부(5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수용부(510)와 제2수용부(520) 사이에는 경계부(530)가 형성되는데, 상기 경계부(530)는 제1수용부(510)와 제2수용부(520)의 직경보다 작은 통공으로 형성되어 제1수용부(510)와 제2수용부(520)가 서로 연통되게 되며, 상기 제1수용부(510)와 제2수용부에는 상기 스팀공급장치(10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기 위한 공급공(514,524)이 각각 형성되어 전술한 노즐(110)이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용부(510)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부(510)의 상부에는 집게 또는 밴드와 같이 연질의 상부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재(540)가 구비되어 내부에 주입되는 스팀이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제1수용부(510)에는 압력조절부재(512)가 구비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의 압력이 일정이상이 되면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여 과도한 압력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수용부(520)의 하부에는 스팀트랩(522)이 형성되어, 스팀에 포함된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연질로 이루어지는 조리용기(5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거치대(400')에 거치되어 조리하게 되는데, 상기 거치대(400')는 상부에 조리용기가 위치하는 받침대(410')와 상기 받침대(4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주(420')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구비되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조리용기(500)의 상단이 걸림 결합되는 걸이부(4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주(420')에는 조절수단(424)이 구비되는데, 상기 조절수단(424)의 중심부에는 통공(425)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425)을 기준으로 외측에는 통공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부재(426)가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조절수단(424)의 통공(425)에 경계부(530)가 위치하게 되어, 상기 조절부재(426)의 위치를 조절하여 경계부(53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제2수용부(520)를 통하여 주입되는 스팀의 양을 조절하여 음식물의 조리 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공급장치(10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기(600)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610)와 상기 제1수용부(610)의 상부를 커버하는 뚜껑(6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뚜껑(620)에는 스팀공급장치(10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기 위한 공급공(622)이 형성되어 스팀을 사용하여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620)에는 압력조절부재(624)가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된 스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면 압력조절부재(62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뚜껑(620)에 공급공(622)을 형성하지 않고, 제1수용부(610)에 직접 공급공(미도시)을 형성하여, 스팀공급장치(10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팀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 양방향으로 스팀을 공급받게 되어, 음식물 전체를 고르게 조리할 수 있게 되며, 스팀의 내부에 수용된 수분이 응결되어 발생되는 응결수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여 음식물과 응결수가 접하여 음식물의 맛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100 : 스팀공급장치 110 : 노즐
120 : 연결관 130 : 슬라이딩부재
140 : 보호관 200,500,600 : 조리용기
210,510,610 : 제1수용부 220,520 : 제2수용부
230 : 뚜겅 300 : 응결수 수집장치
400 : 거치대 410 : 받침대
420 : 지주 430 : 압박밴드
440 : 압박기둥

Claims (13)

  1. 스팀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와,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는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수용부를 밀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수용부 또는 뚜껑에는 스팀을 공급받는 공급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는,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는 공급공이 형성되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수용부를 밀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수용부 또는 뚜껑에는 스팀을 공급받는 공급공이 형성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는 절첩가능하게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공에는 상기 스팀공급장치와 연결되는 노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연결되는 연결관에는 슬라이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노즐의 외측을 커버하는 보호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분리판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1수용부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내판이 안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거치대가 더 구비되되,
    상기 거치대는 상부에 조리용기가 위치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설치되어 조리용기가 삽입 고정되는 압박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거치대가 더 구비되되,
    상기 거치대는 상부에 조리용기가 위치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위치하되 탄성부재에 의해 지주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압박기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고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개방된 상부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에는 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지게 되면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조절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수용부의 하부에는 스팀에 포함된 응결수를 배출하기 위한 스팀트랩이 구비되거나 또는 마개가 구비된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거치대가 더 구비되되,
    상기 거치대는 상부에 조리용기가 위치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구비되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조리용기의 상단이 걸림 결합되는 걸이부와,
    상기 지주에 설치되되,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의 경계부가 삽입되어 경계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판과 분리판의 상하 관통하는 이동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
KR1020140161588A 2013-12-03 2014-11-19 스팀 조리기 KR101634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588A KR101634872B1 (ko) 2013-12-03 2014-11-19 스팀 조리기
US15/026,404 US20160262562A1 (en) 2013-12-03 2014-11-20 Steam cooker
PCT/KR2014/011156 WO2015083961A1 (ko) 2013-12-03 2014-11-20 스팀 조리기
JP2016546727A JP6149166B2 (ja) 2013-12-03 2014-11-20 スチーム調理器
EP14867176.1A EP3078304A4 (en) 2013-12-03 2014-11-20 Steam cooker
CN201480065760.9A CN105992537B (zh) 2013-12-03 2014-11-20 蒸汽烹饪器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096A KR20140138005A (ko) 2013-05-24 2013-12-03 서빙 가능한 용기시루
KR1020130149096 2013-12-03
KR1020140161588A KR101634872B1 (ko) 2013-12-03 2014-11-19 스팀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662A true KR20150064662A (ko) 2015-06-11
KR101634872B1 KR101634872B1 (ko) 2016-06-29

Family

ID=5327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588A KR101634872B1 (ko) 2013-12-03 2014-11-19 스팀 조리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262562A1 (ko)
EP (1) EP3078304A4 (ko)
JP (1) JP6149166B2 (ko)
KR (1) KR101634872B1 (ko)
CN (1) CN105992537B (ko)
WO (1) WO2015083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3360B2 (en) 2015-03-25 2021-04-13 Illinois Tool Works Inc. Steam generator
US10357126B2 (en) * 2015-03-25 2019-07-23 Illinois Tool Works Inc. Steam generator
FR3060288B1 (fr) 2016-12-20 2019-05-31 Seb S.A. Cuiseur vapeur comportant un recipient et un accessoire pour chauffer et/ou cuire a la vapeur des aliments contenus dans le recipient
KR101906044B1 (ko) * 2017-03-30 2018-10-08 정규태 스팀 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
CN108244985A (zh) * 2017-12-26 2018-07-06 成都鼎信致远科技有限公司 一种蒸饭煲及蒸饭方法
CN108433527B (zh) * 2018-04-26 2021-06-22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电蒸箱控制方法及电蒸箱
WO2020181757A1 (zh) * 2019-03-14 2020-09-1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蒸汽加热烹饪器具
CN113017415B (zh) * 2019-12-09 2022-05-1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以及烹饪器具的烹饪控制装置和方法
CN113940542B (zh) * 2020-07-16 2022-11-04 九阳股份有限公司 电饭煲制作低糖饭的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286A (ko) * 2004-08-10 200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오븐의 증기 발생 장치
KR100767450B1 (ko) * 2007-03-08 2007-10-17 박강수 스팀조리기
KR101311863B1 (ko) 2012-02-13 2013-10-14 홍석표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40205A (en) * 1927-08-20 1929-12-17 Schmidt Arthur Rapid-stewing pot
US3292912A (en) * 1965-09-03 1966-12-20 Earl W Stubler Drink mixer adapter
US3996846A (en) * 1975-12-03 1976-12-14 Regal Ware, Inc. Coffee maker with improved hot water pump
JPS5934409Y2 (ja) * 1979-08-13 1984-09-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蒸し器
FR2564308B1 (fr) * 1984-05-17 1987-08-21 Jovanovic Dragomir Appareil de cuisson a injection de vapeur a pression atmospherique
US4739698A (en) * 1987-04-14 1988-04-26 Allaire Pascal M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with steam
US5156297A (en) * 1990-08-10 1992-10-20 Boyd Coffee Company Beverage stand with quantity indicator
JPH0748197Y2 (ja) * 1991-01-25 1995-11-08 日本酸素株式会社 冷凍食品の解凍装置
JP3069530B2 (ja) * 1997-01-14 2000-07-24 株式会社フジノス 蒸気調理鍋
FR2774274B1 (fr) * 1998-02-05 2000-03-10 Beaba Dispositif pour assurer le rechauffement et/ou la cuisson d'aliments
JP2004337465A (ja) * 2003-05-16 2004-12-02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蒸し器
KR20050026597A (ko) * 2003-09-09 2005-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기 조리장치
KR20050052083A (ko) * 2003-11-29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열증기 조리장치
JP3827013B2 (ja) * 2004-03-19 2006-09-27 シャープ株式会社 蒸気調理器
KR100685000B1 (ko) * 2005-06-16 2007-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KR100789300B1 (ko) * 2006-02-14 200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전극 조명기기용 공진기
EP2061365A4 (en) * 2006-08-29 2009-11-04 Kang-Su Park USTENSILE OF STEAM KITCHEN
CN201023077Y (zh) * 2007-04-17 2008-02-20 秦皇岛思泰意达科技发展有限公司 雾化喷头
CN101357038B (zh) * 2007-07-30 2010-12-15 徐佳义 多功能汽锅及其控制方法
CN201216471Y (zh) * 2008-05-05 2009-04-08 东莞新科立高分子有限公司 柔质折叠蒸笼
US20110179954A1 (en) * 2010-01-26 2011-07-28 Stewart Anna M Multi-purpose basket
CN202112872U (zh) * 2011-06-08 2012-01-18 东莞市天倬电器有限公司 一种高温蒸汽烹饪装置
US8808638B2 (en) * 2011-09-16 2014-08-19 Tomoda Selling & Sailing Co., Ltd. Retort sterilization device, heating device, heat sterilization method, and heat treatment method
KR101439993B1 (ko) 2013-06-25 2014-09-12 정태효 스팀배출구가 구비된 식품조리용 밀폐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286A (ko) * 2004-08-10 200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오븐의 증기 발생 장치
KR100767450B1 (ko) * 2007-03-08 2007-10-17 박강수 스팀조리기
KR101311863B1 (ko) 2012-02-13 2013-10-14 홍석표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31721A (ja) 2016-10-13
JP6149166B2 (ja) 2017-06-14
WO2015083961A1 (ko) 2015-06-11
US20160262562A1 (en) 2016-09-15
CN105992537B (zh) 2017-12-22
CN105992537A (zh) 2016-10-05
EP3078304A1 (en) 2016-10-12
EP3078304A4 (en) 2017-08-16
KR101634872B1 (ko)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872B1 (ko) 스팀 조리기
US5649476A (en) Steam generator assembly and steam cooking appliances using same
US10722071B2 (en) Autonomous apparatus for cooking food
US4655192A (en) Cooking apparatus using steam injection at atmospheric pressure
US4490597A (en) Microwave permeable pressure compensating container
KR101568014B1 (ko) 포터블 용기시루 착탈식 스팀조리기
RU2754410C2 (ru) Улучшенная пароварочная принадлежность для нагрева и/или варки на пару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содержащихся в емкости
US20110056957A1 (en) Combination Multiple Vessel Cookware
CN112351713A (zh) 基于空气的炸锅
US20170143152A1 (en) Electric Appliance for Heating and/or Cooking Food with Steam
KR101935162B1 (ko) 주전자 겸용 스팀 제너레이터
KR101044918B1 (ko) 증기를 이용한 조리시스템
US2089411A (en) Domestic steamer
KR20140138005A (ko) 서빙 가능한 용기시루
US20060263237A1 (en) Apparatus for steam sterilizing baby bottles
KR101941364B1 (ko) 스팀 조리용기
CN214905912U (zh) 一种闪蒸脱腥蒸汽加热高压蒸煮设备
KR101209067B1 (ko) 중탕기의 강제 배기장치
KR20160140096A (ko) 고압 스팀 조리 용기
KR101440981B1 (ko)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CN208876055U (zh) 一种水汽分离的蒸汽发生器及电蒸箱
KR101941371B1 (ko) 스팀조리용 이중용기
KR101388508B1 (ko) 전기조리기
RU2529743C1 (ru) Способ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и термокастрюля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857886B1 (ko) 스팀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