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044B1 - 스팀 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 - Google Patents

스팀 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044B1
KR101906044B1 KR1020170040829A KR20170040829A KR101906044B1 KR 101906044 B1 KR101906044 B1 KR 101906044B1 KR 1020170040829 A KR1020170040829 A KR 1020170040829A KR 20170040829 A KR20170040829 A KR 20170040829A KR 101906044 B1 KR101906044 B1 KR 101906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ntainer
steam inlet
inlet adap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태
Original Assignee
정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태 filed Critical 정규태
Priority to KR1020170040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주입노즐이 결합하도록 일측에 스팀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과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용기와, 용기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과, 일단이 용기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관통홀에 결합되며 타단에 스팀주입노즐이 결합되는 스팀인입어댑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팀 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STEAM COOKING VESSEL HAVING STEAM SUPPLY ADAPTER}
본 발명은 스팀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주입노즐이 결합하도록 일측에 스팀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1기압 환경에서 100℃ 내외의 스팀을 열원으로 하는 조리 방식의 경우, 피조리물의 염분, 기름, 트랜스 지방의 밀도를 낮추는 경향이 있다. 또한, 스팀 조리 방식에 의하면, 120~180℃의 고온 조리에서 발생하기 시작하는 아크릴 아마이드, 벤조피렌, 트랜스 지방의 생성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으며, 굽기나 튀기기, 또는 끓는 물로 삶는 조리방식보다 조리 효율이 더 높으면서 물 절약 효과도 탁월하여, 물 부족 시대에 권장할만한 조리방식이다.
다만, '번거롭고 손이 많이 간다'는 깊고 해묵은 불편의식이 존재하여, 일반적인 가정에서 스팀 조리의 활용성은 낮은 편이다.
그러나, 통상의 굽기와 튀기기 등의 조리 방식에 의하면 120℃ 이상의 고온의 조리 온도에서 건강 유해 물질인 아크릴 아마이드, 벤조피렌, 트랜스 지방 등의 생성 위험이 높고, 전자레인지 조리 방식의 경우 전자파 위해 논란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어, 최근 각광받고 있는 안심조리, 안전조리, 웰빙조리의 개념과는 거리가 멀다 할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용기에 조리물을 담아 스팀 조리하려고 하는 경우, 용기 내부로 직접 고온의 스팀을 주입할 수가 없어서 큰 밥솥이나 대형 시루에 용기째 넣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별도로 판매되는 고가의 스팀조리기를 구입해야 했다.
또한, 통상의 스팀조리기의 경우, 토출구가 조리물을 향하도록 스팀노즐이 용기의 바닥면이나 측벽을 관통하여 결합됨에 따라, 스플래쉬 현상에 의해 스팀 토출시 함께 토출되는 응축수가 조리물에 닿아 조리효율을 저하시키고 조리물의 맛을 변질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팀 토출시 조리물쪽으로 응축수가 튀지 않는 스팀 조리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팀주입노즐의 결합을 위한 스팀인입어댑터가 일측에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팀의 토출 방향 안내를 위해 일측에 스팀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의 제공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 및 일단이 상기 용기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며, 타단에 스팀주입노즐이 결합되는 스팀인입어댑터를 포함하는 스팀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용기의 바닥면 또는 측벽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팀인입어댑터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스팀인입어댑터의 폭 방향으로 스팀이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팀인입어댑터는,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중공 둘레를 따라 상기 용기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와,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폭이 확장 형성되며 스팀의 토출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용기의 측벽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팀인입어댑터의 일측 단부에서 토출된 스팀이 상기 용기의 바닥면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팀인입어댑터는,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결합부와, 중공의 상단에서 상기 용기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스팀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에 의하면, 스팀주입노즐의 결합을 위한 스팀인입어댑터가 용기의 일측에 구비되므로, 스팀생성기의 스팀주입노즐을 결합하여 간편하게 스팀 조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에 의하면, 스팀이 조리물쪽으로 직접 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스플래쉬 현상에 의한 조리 효율의 저하와 맛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팀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팀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팀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팀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팀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스팀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팀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팀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팀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100, 이하 '스팀 조리기')는 스팀조리 대상인 조리물(F)이 내부에 수용되는 용기(200)와, 스팀을 용기(200) 내부로 주입하기 위해 용기(200)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230)과, 관통홀(230)에 결합되어 스팀의 토출 방향을 안내하는 스팀인입어댑터(300)를 포함한다. 조리시에는 용기(200)의 상부에 뚜껑(400)이 덮여질 수 있다.
용기(20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함체 형태로서, 바닥면(210)과, 바닥면(210)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측벽(220)을 포함한다. 용기(200)는 원형이나 사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폭이나 높이 등의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용기(200)의 내부에는 바닥면(210)의 상부에 이격하여 복수 개의 통공(11)을 갖는 분리판(10)이 설치되며, 조리물(F)이 분리판(10) 위에 놓여진다.
용기(200)의 외부에는 스팀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스팀 제너레이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스팀 제너레이터로부터 생성된 고온의 스팀은 스팀 공급관(미도시)을 통해 용기(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스팀 공급관의 단부에는 스팀주입노즐(20)이 구비되며, 용기(200)의 일측에는 스팀주입노즐(20)의 삽입을 위한 관통홀(23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기(100)의 경우, 스팀주입노즐(20)의 삽입을 위한 관통홀(230)이 용기(200)의 바닥면(210)에 형성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용기(200)의 측벽(220)에 관통홀이 형성되거나, 바닥면(210)과 측벽(220)에 모두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별도의 마개(미도시)를 용기(200)의 관통홀(230)에 결합하여 밀폐하는 경우에는 음식물을 담는 일반 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이 용기(200)의 바닥면(210)에 관통홀(230)이 형성되는 경우, 스팀 조리시 스팀 제너레이터 또는 스팀주입노즐(20)의 상측에 용기(200)가 지지되며, 용기(200)와 스팀주입노즐(20)의 결합이 용이하고, 조리중 용기(200)로부터 스팀주입노즐(20)의 예기치 못한 분리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스팀인입어댑터(300)는 용기(200)의 관통홀(230)에 결합되며, 스팀주입노즐(20)로부터 토출되는 스팀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경우, 용기(200) 내부로 삽입된 스팀주입노즐(20)로부터 조리물(F) 방향으로 스팀이 토출되면서, 스팀과 함께 스팀 공급관 내부의 응축수가 조리물(F) 쪽으로 튀는 스플래쉬(splash)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스플래쉬 현상은 스팀조리 효율의 저하와 조리물(F)의 변질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조리기에 의하면, 관통홀(230)에 스팀인입어댑터가 결합됨으로써 스팀주입노즐(20)의 결합이 용이하며, 스팀주입노즐(20)로부터 조리물(F) 방향으로 응축수가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인입어댑터는 방청 재질의 금속재 또는 고무나 실리콘, 합성수지 등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단이 용기(200)의 내부로 돌출되고 타단은 관통홀(23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팀인입어댑터(300)는, 관통홀(230)에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결합부(310)와, 결합부(310)의 중공 둘레를 따라 용기(200)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의 연장부(320)와, 연장부(320)의 외주면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330)와, 연장부(320)의 끝단에 폭이 확장 형성되며 스팀의 토출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340)를 포함한다.
결합부(310)는 예컨대 중공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합부(310)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결합홈(31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관통홀(230)의 둘레를 따라 결합부(310) 외주면의 결합홈(311)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310)의 중공 둘레를 따라 소정의 높이로 연장부(320)가 상향 연장 형성되며, 연장부(320)의 상단에는 연장부(320)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 가이드부(340)가 확장 형성되어 연장부(320)의 상단을 막게 된다.
가이드부(340)는 연장부(320)를 따라 유입된 스팀이 조리물(F) 쪽으로 상향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스팀인입어댑터(300)의 토출구(330)는 연장부(320) 상단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스팀 조리시 스팀인입어댑터(300)의 중공에 스팀주입노즐(20)이 결합되며, 스팀주입노즐(20)로부터 토출된 스팀은 스팀인입어댑터(300)의 결합부(310)와 연장부(320)를 지나서 토출구(330)를 통해 용기(20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토출구(330)의 외측 상부가 가이드부(340)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스팀과 응축수의 상부 방향 유동이 제한되며, 스팀인입어댑터(300)의 폭 방향 즉, 연장부(32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토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기(100a)의 단면도로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스팀인입어댑터가 용기의 측벽에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용기(200)의 측벽(220)에 설치된 스팀인입어댑터(300)에 의하면, 토출구(330)로부터 토출된 스팀과 응축수가 전단의 가이드부(340)에 막혀 조리물(F)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며, 스팀인입어댑터(300)의 상하 방향으로 토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팀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기(100b)는, 용기(200)의 측벽(220)에 스팀인입어댑터(300')가 결합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2 실시예와 유사하며, 다만, 스팀인입어댑터(300')가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의 절곡편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제2 실시예와는 구성상 차이점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기(100b)의 스팀인입어댑터(300')는, 용기(200) 측벽의 관통홀(230)에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결합부(310)와, 중공의 상단에서 용기(200)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320')와, 연장부(320')의 끝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340')를 포함하며, 토출구(330)는 하부 방향을 향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팀인입어댑터(300')의 결합부(310)는 전술한 제1,제2 실시예의 결합부(31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32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관통홀(230)이 사각형인 경우 연장부(320')는 소정의 폭을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230)이 원형인 경우에는 중공의 상단 둘레를 따라 원호 단면 형태를 갖도록 폭 방향으로 굽은 플레이트 형태의 연장부(320')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40')는 연장부(320')의 끝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스팀주입노즐(20)의 전방을 가리도록 형성되며, 스팀주입노즐(20)의 전방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다. 즉, 스팀주입노즐(20)로부터 스팀과 응축수가 조리물(F) 방향으로 직접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토출된 스팀이 용기(200)의 바닥면(210) 방향으로 유동하게끔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팀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100c)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스팀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100d)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는, 용기(200)의 바닥면(210)에 스팀인입어댑터(300)가 설치되거나, 용기(200)의 측벽(220)에 스팀인입어댑터(300')가 설치되는 예를 설명하고 있다. 이와 달리, 필요에 따라서는 용기(200)의 바닥면(210)과 측벽(220)에 모두 스팀인입어댑터(300,300')가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스팀인입어댑터(300)가 용기(200)의 바닥면(210)과 측벽(220)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스팀인입어댑터(300)가 용기(200)의 바닥면(210)에 설치되고, 동시에 전술한 제3 실시예의 스팀인입어댑터(300')는 용기(200)의 측벽(2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제3 실시예의 스팀인입어댑터(300')가 용기(200)의 바닥면(210)과 측벽(220)에 각각 설치되거나, 전술한 제3 실시예의 스팀인입어댑터(300')가 용기(200)의 바닥면(210)에 설치되고 이와 함께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스팀인입어댑터(300)는 용기(200)의 측벽(22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F : 조리물
10 : 분리판
20 : 스팀주입노즐
100,100a,100b,100c,100d : 스팀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
200 : 용기
230 : 관통홀
300,300' : 스팀인입어댑터
310 : 결합부
311 : 결합홈
320,320' : 연장부
330 : 토출구
340,340' : 가이드부
400 : 뚜껑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 및
    일단이 상기 용기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며, 타단에 스팀주입노즐이 결합되는 스팀인입어댑터를 포함하되,
    상기 스팀인입어댑터는,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결합부와, 중공의 상단 둘레를 따라 원호 단면 형태를 갖도록 폭 방향으로 굽은 플레이트 형태이며 상기 용기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스팀주입노즐의 전방을 가리도록 수직하게 하향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스팀주입노즐에서 토출되는 스팀이 상기 용기의 바닥면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중공을 갖는 링 형상으로서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상기 결합홈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
  5. 삭제
KR1020170040829A 2017-03-30 2017-03-30 스팀 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 KR101906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829A KR101906044B1 (ko) 2017-03-30 2017-03-30 스팀 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829A KR101906044B1 (ko) 2017-03-30 2017-03-30 스팀 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044B1 true KR101906044B1 (ko) 2018-10-08

Family

ID=6386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829A KR101906044B1 (ko) 2017-03-30 2017-03-30 스팀 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0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9946B2 (ja) 1993-09-10 2001-06-25 松下電工株式会社 スチームノズル
US20010054358A1 (en) 2000-06-14 2001-12-27 Empire Comfort Systems, Inc. Food cooking apparatus with drain spigot
US20020050211A1 (en) 2000-05-26 2002-05-02 Andrew Ng Automatic high energy saving cooker
KR101634872B1 (ko) * 2013-12-03 2016-06-29 정규태 스팀 조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9946B2 (ja) 1993-09-10 2001-06-25 松下電工株式会社 スチームノズル
US20020050211A1 (en) 2000-05-26 2002-05-02 Andrew Ng Automatic high energy saving cooker
US20010054358A1 (en) 2000-06-14 2001-12-27 Empire Comfort Systems, Inc. Food cooking apparatus with drain spigot
KR101634872B1 (ko) * 2013-12-03 2016-06-29 정규태 스팀 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19914B (zh) 蒸汽内锅双腔式蒸汽锅
KR101935162B1 (ko) 주전자 겸용 스팀 제너레이터
KR101906044B1 (ko) 스팀 인입어댑터가 구비되는 스팀 조리기
CN211609170U (zh) 用于蒸汽加热的烹饪锅具及蒸汽加热式烹饪器具
CN110051211B (zh) 一种烹饪器具及蒸汽饭煲
CN106889875A (zh) 电压力锅及其锅盖
KR101609511B1 (ko) 스팀 조리 용기
CN208371519U (zh) 锅具以及烹饪机
CN211609188U (zh) 一种蒸汽加热式厨房电器
CN203771491U (zh) 用于微波炉的排水装置及微波炉
CN211155171U (zh) 用于烹饪器具的锅具和烹饪器具
CN210748735U (zh) 一种压力真空脱糖锅
CN215016282U (zh) 烹饪器具
CN211609186U (zh) 一种蒸汽加热式厨房电器
CN110051212B (zh) 一种烹饪器具用蒸汽进出装置及蒸汽饭煲
CN213248579U (zh) 一种蒸汽式空气炸锅的进水结构
CN221012954U (zh) 一种空气炸锅
US2576313A (en) Food steam cooker
CN213248346U (zh) 烹饪器具
KR200466643Y1 (ko) 유체류 찜용기
CN219556933U (zh) 一种设有沸面限制结构的电蒸锅
CN213405789U (zh) 一种具有蒸煮功能的空气炸锅
CN205338607U (zh) 电压力锅及其锅盖和内锅
CN104713143A (zh) 用于微波炉的排水装置及微波炉
CN107550310A (zh) 一种内置空气炸锅的可拆卸式卸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