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371B1 - 스팀조리용 이중용기 - Google Patents

스팀조리용 이중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371B1
KR101941371B1 KR1020170090424A KR20170090424A KR101941371B1 KR 101941371 B1 KR101941371 B1 KR 101941371B1 KR 1020170090424 A KR1020170090424 A KR 1020170090424A KR 20170090424 A KR20170090424 A KR 20170090424A KR 101941371 B1 KR101941371 B1 KR 101941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ntainer
steam inlet
lower container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태
Original Assignee
정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태 filed Critical 정규태
Priority to KR1020170090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손실 방지를 위해 이중 단열 구조를 갖는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에 관한 것으로, 제1 바닥면과, 제1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상향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벽을 포함하는 하부용기와, 하부용기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부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제2 바닥면과, 제2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상향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상부용기, 및 공간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하부용기의 제1 측벽의 상단부에 관통 형성된 스팀인입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부용기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스팀배출홀에 결합되는 스팀인입어댑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팀조리용 이중용기{Double container for steam cooking}
본 발명은 열손실 방지를 위해 이중 단열 구조를 갖는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가열조리장치로는 고주파를 이용하는 전자레인지와, 히터를 이용하여 음식물에 직접 열을 가하는 가스오븐, 전기오븐 등이 있다.
이러한 가열조리장치 중에서 전자레인지는 조리할 수 있는 음식물의 종류에 있어 많은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 후 음식물이 건조되어 음식물의 맛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고, 가스오븐과 전기오븐은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공기가 히터와 음식물 사이에서 열전달 매체로 작용함에 따라 조리 시간이 길어지고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가열조리장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스팀을 통해 음식물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조리장치(이하, '스팀 조리기')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스팀조리기를 이용하면 음식물에 적절한 수분이 유지되어 음식물의 맛을 유지할 수 있고, 조리실 내에 가득 찬 스팀이 효과적인 열전달매체로 작용하여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용기에 조리물을 담아 스팀 조리하려고 하는 경우, 용기 내부로 직접 고온의 스팀을 주입할 수가 없어서 큰 밥솥이나 대형 시루에 용기째 넣는 방식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에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기기의 일측에 스팀을 생성,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가 설치되고, 스팀공급장치에서 생성된 스팀이 조리실로 공급되는 형태의 스팀 조리기가 공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스팀 조리기의 경우, 하나의 외벽으로만 구성되어 열손실이 높은 문제가 있고, 스팀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이 조리물을 향해 직접 토출됨에 따라, 스팀 토출시 스플래쉬 현상에 의해 함께 토출되는 응축수가 조리물의 표면에 닿아 조리효율을 저하시키고 조리물의 맛을 변질시키며, 조리원물의 형상을 훼손하고 스팀요리의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테이블웨어 형태의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중 단열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조리실 내의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팀인입어댑터가 용기의 단열벽 사이에 매립됨으로써 외관이 향상된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용기와 상부용기 및 스팀인입어댑터의 분리 및 재조립이 가능하여, 위생과 청결 유지가 용이한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팀인입어댑터의 밀폐 조립이 용이한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의 제공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바닥면과, 상기 제1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상향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벽을 포함하는 하부용기; 상기 하부용기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제2 바닥면과 상기 제2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상향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상부용기; 및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하부용기의 상기 제1 측벽의 상단부에 관통 형성된 스팀인입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용기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스팀배출홀에 결합되는 스팀인입어댑터를 포함하는 스팀조리용 이중용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팀배출홀이 상기 제2 측벽의 하단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스팀인입홀과 상기 스팀배출홀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팀배출홀이 상기 제2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스팀인입홀과 상기 스팀배출홀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팀인입어댑터의 타단이 상기 스팀배출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바닥면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팀인입어댑터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경사면을 갖는 링 형상의 압착고정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바닥면과, 상기 제1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상향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벽을 포함하는 하부용기; 상기 하부용기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제2 바닥면과 상기 제2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상향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상부용기; 및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하부용기의 상기 제1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스팀인입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용기의 상기 제2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스팀배출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바닥면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스팀인입어댑터를 포함하는 스팀조리용 이중용기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조리용 이중용기는 스팀인입어댑터를 통해 용기 내부로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테이블 위에 설치되는 테이블웨어 형태의 조리기로 활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에 의하면, 이중 단열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조리실 내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에 의하면, 스팀인입어댑터가 용기의 단열벽 사이에 매립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고 제품 경쟁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에 의하면, 하부용기와 상부용기 및 스팀인입어댑터의 분리 및 재조립이 가능하여, 위생과 청결 유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에 의하면, 스팀인입어댑터의 밀폐 조립이 용이하고,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이하, '이중용기')(100)는, 상호 결합하여 그 사이에 단열을 위한 공간부(200)를 형성하는 하부용기(300)와 상부용기(400), 그리고 하부용기(300)와 상부용기(400) 사이의 공간부(200)에 설치되어 용기 내부의 조리실(410)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인입어댑터(500)를 포함한다. 상부용기(400)의 상측에는 뚜껑(600)이 덮여서 상부용기(400) 내부의 조리실(410)을 밀폐하며, 뚜껑(600)의 테두리를 따라 고무 또는 실리콘 등 탄성재질의 패킹(6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조리실(410)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에 도달하면 스팀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뚜껑(600)의 일측에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용기(300)는 금속, 세라믹, 실리콘 등 일반적으로 주방용기에 사용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서 구체적으로는 제1 바닥면(310)과, 제1 바닥면(310)의 둘레를 따라 상향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벽(320)을 포함한다. 제1 측벽(320)은 제1 바닥면(310)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거나, 외측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벽(320)의 일측 상단부에는 외부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스팀인입홀(321)이 관통 형성된다.
상부용기(400) 역시 일반적으로 주방용기에 사용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서 제2 바닥면(420)과, 제2 바닥면(420)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상향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벽(430)을 포함한다. 다른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벽(430)이 제2 바닥면(420)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수직하게 형성된 후, 외측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용기(400)의 제2 측벽(430)은 제1 측벽(320)의 경사각도보다 더 작은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하부용기(300)의 상측에 상부용기(400)를 형성하였을 때 하부용기(300)의 제1 측벽(320)과 상부용기(400)의 제2 측벽(430)이 서로 이격하여, 그 사이에 단열을 위한 공간부(200)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측벽(430)의 일측 하단부에는 스팀배출홀(431)이 관통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스팀인입어댑터(500)로 유입된 스팀은 이 스팀배출홀(431)을 통해 조리실(410)로 토출된다.
상부용기(400)의 내부는 스팀의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F)을 조리하는 조리실(410)로 기능하며, 음식물(F)을 올려놓기 위한 다공판(440)이 설치된다. 이 다공판(440)은 스팀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통공(441)을 가지며, 테두리 부분이 상부용기(4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450)에 지지되어, 제2 바닥면(420)으로부터 소정 간격 상측에 이격하게 된다. 이때, 다공판(440)은 스팀배출홀(431)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스팀배출홀(431)을 통해 조리실(410)로 토출된 스팀은 다공판(440)의 통공(441)을 통해 상부로 유동하여 다공판(440)에 놓인 음식물(F)을 데우게 된다.
한편, 공간부(200)의 세척과 공간부(200)에 설치된 스팀인입어댑터(500)의 분리 및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부용기(300)의 상측에 상부용기(4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용기(300)와 상부용기(400)의 결합시에는 상부용기(400)의 제2 바닥면(420)이 하부용기(30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결합된다.
일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용기(30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결합홈(330)이 형성되고, 상부용기(400)의 플랜지부(460) 저면에는 하부용기(300)의 결합홈(330)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461)가 하향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하부용기(300)의 결합홈(330)에 상부용기(400)의 결합돌기(461)를 삽입시킴으로써 하부용기(300)의 상측에 상부용기(400)를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중 상부용기(400)의 유동이나 하부용기(300)로부터의 예기치 못한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결합홈(330)에는 고무나 실리콘 등 탄성재질의 패킹(340)이 설치될 수 있다.
하부용기(300)와 상부용기(40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00)는, 상부용기(400) 내부의 스팀 열이 하부용기(300)의 바깥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 공간으로서 기능하며, 하부용기(300)와 상부용기(400)가 단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러한 단열 효과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 공간부(200)에는 외부의 스팀 제너레이터(미도시)로부터 생성된 스팀을 상부용기(400)의 조리실(410)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인입어댑터(500)가 설치된다. 스팀인입어댑터(50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덕트 또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팀인입어댑터(500)는 일단이 하부용기(300)의 제1 측벽(320) 상단부에 관통 형성된 스팀인입홀(321)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부용기(400)의 제2 측벽(430) 하단부에 관통 형성된 스팀배출홀(431)에 결합된다. 즉, 하부용기(300)의 스팀인입홀(321)을 통해 유입된 스팀은 스팀인입어댑터(500)를 따라 유동하여, 상부용기(400)의 스팀배출홀(431)을 통해 상부용기(400) 내부의 조리실(410)로 토출되는 것이다.
스팀인입어댑터(500)는 용접 또는 접착 등의 방식에 의해 양단이 스팀인입홀(321)과 스팀배출홀(431)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질 재질의 스팀인입어댑터(500)를 끼움 결합하여, 자체 텐션에 의해 양단이 스팀인입홀(321)과 스팀배출홀(431)에 각각 밀폐 결합되게끔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서, 스팀인입어댑터(500)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부용기(300)와 상부용기(400)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팀인입어댑터(500)의 일측 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의 압착고정부(510,5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압착고정부(510,520)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 탄성재질로서 외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빨판 형태이며, 스팀인입홀(321) 또는 스팀배출홀(431)의 둘레에 흡착될 수 있다. 압착고정부(510,520)는 스팀인입어댑터(5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부재가 스팀인입어댑터(5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스팀인입어댑터(5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압착고정부(510,520)가 돌출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스팀인입어댑터(500)의 결합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팀인입어댑터(500)의 일단에는 내측(도면상 좌측)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지는 빨판 형태의 제1 압착고정부(510)가 형성된다. 또한, 스팀인입어댑터(500)의 타단에는 외측(도면상 우측)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지는 빨판 형태의 제2 압착고정부(520)가 형성된다.
스팀인입어댑터(500)의 일단은 하부용기(300)의 스팀인입홀(321)에 결합된다. 이때, 스팀인입어댑터(500)의 제1 압착고정부(510)가 하부용기(300)의 외측에서 스팀인입홀(321)의 테두리를 덮게 되는데, 사용자는 제1 압착고정부(510)를 스팀인입홀(321) 방향으로 가압하여 흡착시킴으로써 스팀인입어댑터(500)의 일단이 제1 압착고정부(510)에 의해 스팀인입홀(321)에 고정되게끔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팀인입홀(321)과 스팀인입어댑터(5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공간부(200)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거나, 외부의 이물질이 공간부(20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팀인입어댑터(500)의 타단은 상부용기(400)의 스팀배출홀(431)에 결합된다. 이때, 스팀인입어댑터(500)의 제2 압착고정부(520)가 상부용기(400)의 내측에서 스팀배출홀(431)의 테두리를 덮게 되는데, 사용자는 제2 압착고정부(520)를 스팀배출홀(431) 방향으로 가압하여 흡착시킴으로써 스팀인입어댑터(500)의 타단이 제2 압착고정부(520)에 의해 스팀배출홀(431)에 고정되게끔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팀배출홀(431)과 스팀인입어댑터(5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조리실(410)의 스팀 열 또는 응축수가 공간부(200)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팀인입어댑터(500)의 양단에는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거름망(501)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팀인입홀(321)은 스팀배출홀(431)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즉, 스팀인입홀(321)과 스팀배출홀(431)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인데, 이는 스팀배출홀(431)의 형성 위치를 음식물(F)의 위치보다 더 낮게 함으로써, 스팀에 혼합된 물방울이 음식물(F) 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스팀인입홀(321)로 유입된 스팀이 스팀인입어댑터(500)를 통해 아래쪽으로 유동하게 됨으로써, 스팀에 혼입된 물방울은 자유낙하에 의해 스팀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스팀배출홀(431)이 상부용기(400)의 제2 측벽(430)에 형성됨에 따라, 스팀이 스팀배출홀(431)을 통해 조리실(410)을 향해 횡방향으로 토출되는데, 이때 물방울은 아래쪽으로 자유낙하하여 상부용기(400)의 제2 바닥면(420)에 고이게 된다. 이처럼 물방울이 걸러진 스팀은 가용온도와 건도가 향상되어 조리효율과 음식물(F)의 맛이 향상되며, 이때 스팀의 온도는 101.5℃ 정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용기 내부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나 음식물 고유의 수분, 누출액, 부스러기, 음식물에서 녹아 용출되는 지방성분의 기름 등이 상부용기(400)의 제2 바닥면(420) 상측에 고이게 되는데, 스팀인입홀(321)이 스팀배출홀(431)보다 더 높게 형성됨에 따라, 이러한 이물질들이 스팀배출홀(431)을 통해 공간부(200)로 소량 유출되더라도, 스팀인입홀(321)을 통해 용기의 외부로 새는 것은 방지할 수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다만 스팀배출홀(421a)이 상부용기(400)의 제2 바닥면(420)에 형성되고, 이에 따라 스팀인입어댑터(500a)의 타단이 상부용기(400)의 제2 바닥면(420)을 향해 연장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팀조리용 이중용기(100a)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팀인입어댑터(500a)는 일단이 제1 압착고정부(510)에 의해 스팀인입홀(32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용기(400)의 제2 측벽(430)을 따라 아래쪽으로 연장된 후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부용기(400)의 제2 바닥면(420) 하부를 지나며, 스팀배출홀(421a)의 하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제2 압착고정부(520)에 의해 스팀배출홀(421a)에 결합된다. 이때, 스팀인입어댑터(500a)의 타단은 스팀배출홀(421a)을 관통하여 상부용기(400)의 제2 바닥면(420)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간격 돌출되며, 이에 따라 제2 바닥면(420)에 고이는 응축수나 기름 등 음식물 찌꺼기가 스팀인입어댑터(500a)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인입어댑터(500a)와 상부용기(400)의 결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예컨대, 스팀배출홀(421a)이 제2 바닥면(420)의 중앙에 형성된 경우, 하부용기(300)의 스팀인입홀(321)에 스팀인입어댑터(500a)의 일단을 결합한 후, 스팀인입어댑터(500a)의 타단이 하부용기(30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조절하고 상부용기(400)의 중앙을 하부용기(300)의 중앙에 맞춰 결합함으로써, 스팀인입어댑터(500a)의 타단이 스팀배출홀(421a)에 쉽게 결합되게끔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팀조리용 이중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팀조리용 이중용기(100b)는, 하부용기(300)와 상부용기(400)의 구성이 전술한 제1,제2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다만, 스팀인입홀(310b)이 하부용기(300)의 제1 바닥면(310)에 형성되고 스팀배출홀(421b)이 상부용기(400)의 제2 바닥면(420)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전술한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팀조리용 이중용기(100b)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용기(300)의 제1 바닥면(310)에 스팀인입홀(310b)이 관통 형성되고 상부용기(400)의 제2 바닥면(420)에 스팀배출홀(421b)이 관통 형성된다.
스팀인입홀(310b)과 스팀배출홀(421b)을 연결하는 스팀인입어댑터(500b)가 공간부(200)에 배치되며, 스팀인입어댑터(500b)의 일단이 제1 압착고정부(510)에 의해 스팀인입홀(310b)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 압착고정부(520)에 의해 스팀배출홀(421b)에 결합된다. 이때, 스팀인입어댑터(500b)의 단부는 스팀배출홀(421b)을 관통하여 상부용기(400)의 제2 바닥면(420)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스팀 제너레이터(미도시) 등 스팀을 생성하는 기기가 이중용기(100b)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테이블 위에 스팀 제너레이터가 안착되고, 스팀 제너레이터의 상측에 이중용기(100b)를 안착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중용기(100b)의 스팀인입홀(310b)에 스팀 제너레이터의 스팀분사노즐(미도시)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100,100a,100b : 이중용기
200 : 공간부
300 : 하부용기
321,310b : 스팀인입홀
400 : 상부용기
431,421a,421b : 스팀배출홀
440 : 다공판
500,500a,500b : 스팀인입어댑터
510 : 제1 압착고정부
520 : 제2 압착고정부
600 : 뚜껑

Claims (6)

  1. 제1 바닥면과, 상기 제1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상향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벽을 포함하는 하부용기;
    상기 하부용기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제2 바닥면과 상기 제2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상향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상부용기; 및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하부용기의 상기 제1 측벽의 상단부에 관통 형성된 스팀인입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용기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스팀배출홀에 결합되는 덕트 또는 파이프 형태의 스팀인입어댑터를 포함하되,
    상기 스팀배출홀이 상기 제2 측벽의 하단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스팀인입홀과 상기 스팀배출홀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조리용 이중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의 상측에 덮이며 테두리를 따라 탄성재질의 패킹이 형성되는 뚜껑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부용기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탄성재질의 패킹이 설치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용기의 플랜지부 저면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조리용 이중용기.
  3. 제1 바닥면과, 상기 제1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상향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벽을 포함하는 하부용기;
    상기 하부용기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제2 바닥면과 상기 제2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상향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상부용기; 및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하부용기의 상기 제1 측벽의 상단부에 관통 형성된 스팀인입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용기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스팀배출홀에 결합되는 덕트 또는 파이프 형태의 스팀인입어댑터를 포함하되,
    상기 스팀배출홀이 상기 제2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스팀인입홀과 상기 스팀배출홀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조리용 이중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팀인입어댑터의 타단이 상기 스팀배출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바닥면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조리용 이중용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팀인입어댑터의 양측 단부에 외주면을 따라 각각 돌출 형성되는 링 형상의 압착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압착고정부는 탄성재질로서 외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빨판 형태이며, 상기 하부용기의 외측에서 상기 스팀인입홀의 테두리를 덮도록 흡착되는 제1 압착고정부와, 상기 상부용기의 내측에서 상기 스팀배출홀의 테두리를 덮도록 흡착되는 제2 압착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조리용 이중용기.
  6. 제1 바닥면과, 상기 제1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상향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벽을 포함하는 하부용기;
    상기 하부용기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제2 바닥면과 상기 제2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상향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상부용기; 및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하부용기의 상기 제1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스팀인입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용기의 상기 제2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스팀배출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바닥면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덕트 또는 파이프 형태의 스팀인입어댑터를 포함하는 스팀조리용 이중용기.

KR1020170090424A 2017-07-17 2017-07-17 스팀조리용 이중용기 KR101941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424A KR101941371B1 (ko) 2017-07-17 2017-07-17 스팀조리용 이중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424A KR101941371B1 (ko) 2017-07-17 2017-07-17 스팀조리용 이중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371B1 true KR101941371B1 (ko) 2019-01-22

Family

ID=6528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424A KR101941371B1 (ko) 2017-07-17 2017-07-17 스팀조리용 이중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3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4008A (ko) * 2012-11-19 2014-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40138005A (ko) * 2013-05-24 2014-12-03 정규태 서빙 가능한 용기시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4008A (ko) * 2012-11-19 2014-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40138005A (ko) * 2013-05-24 2014-12-03 정규태 서빙 가능한 용기시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0612B1 (en) Steamer with lateral water fill
KR101634872B1 (ko) 스팀 조리기
KR20190092571A (ko) 용기 내에 수용된 음식을 스팀-가열 및/또는 스팀-조리하기 위한 모듈형 스티머 액세서리
KR20190051747A (ko) 전기밥솥
KR101935162B1 (ko) 주전자 겸용 스팀 제너레이터
WO2020233111A1 (zh) 蒸烤组合机
CN210383617U (zh) 一种蒸箱
KR101941371B1 (ko) 스팀조리용 이중용기
EP3945954A1 (en) Kettle
KR100764816B1 (ko) 전기밥솥의 다용도 밥통
CN110811295A (zh) 电炊具
JP7399115B2 (ja) 調理器具
KR20050094730A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CN109770705B (zh) 烹饪器具
KR101941364B1 (ko) 스팀 조리용기
CN209090843U (zh) 烹饪器具
CN206324635U (zh) 一种侧面出蒸汽的蒸汽锅
CN113907599A (zh) 烹饪装置
KR101857886B1 (ko) 스팀 조리용기
KR102177249B1 (ko)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CN204813330U (zh) 煮饭器
KR102187894B1 (ko)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CN215016282U (zh) 烹饪器具
KR102165582B1 (ko)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CN219020883U (zh) 水箱及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