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849B1 - 교체형 프라이팬 - Google Patents

교체형 프라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849B1
KR101306849B1 KR1020110041575A KR20110041575A KR101306849B1 KR 101306849 B1 KR101306849 B1 KR 101306849B1 KR 1020110041575 A KR1020110041575 A KR 1020110041575A KR 20110041575 A KR20110041575 A KR 20110041575A KR 101306849 B1 KR101306849 B1 KR 101306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main body
bottom portion
frying pan
cooking vess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3935A (ko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주)제이제이컨설팅엔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제이컨설팅엔비즈 filed Critical (주)제이제이컨설팅엔비즈
Priority to KR1020110041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849B1/ko
Publication of KR20120123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프라이팬은 개구와, 복수 개의 조리용기가 안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를 둘러싸는 사각 형상의 지지면을 구비하는 바닥부, 및 상기 지지면의 외주연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 개의 조리용기가 슬라이딩 되어 상기 바닥부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일측이 외측으로 경사진 둘레부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의 폭은 상기 복수 개의 조리용기의 폭보다 작고, 상기 바닥부의 길이는 상기 복수 개의 조리용기의 길이의 합보다 길며, 상기 바닥부의 저면에 연결되어 조리 시 상기 복수 개의 조리용기를 열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재 중 일부는 상기 복수 개의 조리용기를 상기 바닥부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를 기울일 때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렛대 역할을 수행한다.

Description

교체형 프라이팬{Interchangeable frying pan}
본 발명은 프라이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라이팬은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취사도구로서, 크게 음식물을 조리하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한 프라이팬은 조리부와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프라이팬을 장기간 사용함으로써 표면의 코팅이 벗겨지거나, 연결된 손잡이가 파손되는 등 프라이팬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 한가지에만 문제가 생겨도 프라이팬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조리공간이 하나로 구성되어 한가지의 음식물만 조리할 수 있고, 다른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서 기존 음식물의 조리를 끝낸 후 잔여물을 제거하고 다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리되는 음식의 양과 무관하게 조리 공간의 크기가 정해져 있어서 조리공간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조리를 할 수 있는 본체와 손잡이가 분리되는 착탈식 프라이팬과 프라이팬 본체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분할해 놓은 분리형 프라이팬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의 착탈식 프라이팬은 본체를 교체할 때마다 손잡이를 결속 및 해제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조리공간이 하나로 구비되어 있어서 한가지의 음식물만 조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착탈식 프라이팬 및 분리형 프라이팬은 조리된 음식물을 별도의 용기로 옮긴 후 식탁으로 가져가거나, 음식물이 조리된 프라이팬 자체를 그대로 식탁으로 가져다 놓고 식사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리를 할 수 있는 조리용기와 손잡이가 결합된 본체를 별도로 구비하여 조리용기를 본체로부터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고, 음식에 따라 조리용기를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서로 다른 음식물의 조리가 동시에 가능하며, 조리된 음식물을 프라이팬에서 식탁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옮길 수 있는 교체형 프라이팬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프라이팬은 개구와, 복수 개의 조리용기가 안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를 둘러싸는 사각 형상의 지지면을 구비하는 바닥부, 및 상기 지지면의 외주연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 개의 조리용기가 슬라이딩 되어 상기 바닥부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일측이 외측으로 경사진 둘레부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의 폭은 상기 복수 개의 조리용기의 폭보다 작고, 상기 바닥부의 길이는 상기 복수 개의 조리용기의 길이의 합보다 길며, 상기 바닥부의 저면에 연결되어 조리 시 상기 복수 개의 조리용기를 열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재 중 일부는 상기 복수 개의 조리용기를 상기 바닥부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를 기울일 때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렛대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조리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는 상기 조리용기의 저면이 외부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본체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용기와 본체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오랜 사용에 의한 코팅부의 벗겨짐 또는 부주의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조리용기만 교체하고 본체는 재사용 되므로 자원의 낭비 및 비용을 절감하는 경제적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조리용기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고, 음식물의 종류 또는 용도에 맞는 조리용기를 선택적으로 교체시켜 사용하므로 시간을 절약 하고 조리공간의 활용에 있어서 효율성을 제공한다.
또한, 복수개로 구비된 각각의 조리용기를 선택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에너지 활용의 효율성을 제공한다. 더 자세하게는, 하나의 조리용기에 외부로부터 열이 가해지면 이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또 다른 조리용기도 외부로부터 약한 열을 전달받는다. 따라서 빠른 조리를 필요로 하는 음식물과 느린 조리를 필요로 하는 음식물을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약한 열을 전달받는 조리용기는 수용된 음식물을 보온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조리된 음식물을 다른 저장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식탁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옮길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프라이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프라이팬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프라이팬의 슬라이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프라이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프라이팬(100)은 본체(30)를 포함한다.
본체(30)는 조리용기(60)가 안착되는 바닥부(10)와 바닥부(10)의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돌출된 둘레부(20)를 포함한다. 즉, 본체(30)는 바닥부(10) 및 둘레부(20)로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우선, 바닥부(10)의 구성을 살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닥부(10)는 복수 개의 조리용기(60)가 안착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미리 정해진 크기의 개구(11)를 구비한다.
더 자세하게는, 바닥부(10)는 개구(11)와 조리용기(60)가 안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개구(11)를 둘러싸는 사각 형상의 지지면(13)을 구비한다.
이때, 개구(11)의 미리 정해진 크기는 바닥부(10)에 안착된 조리용기(60)의 저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조리용기(60)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도록 충분한 열을 전달받을 수 있는 크기를 이야기한다. 한편, 조리용기(60)의 안착을 위하여, 개구(11)의 폭은 조리용기(6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조리용기(60)가 개구(11)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바닥부(10)의 길이는 조리용기(6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거나, 복수 개의 조리용기(60)의 길이의 합보다 길게 형성되어, 바닥부(10)의 지지면(13)에 조리용기(60)가 안착되어 있을 때, 본체(30)를 수평면 기준하여 기울일 경우, 조리용기(60)가 바닥부(10)의 지지면(13)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또한, 바닥부(10)에 구비된 개구(11)를 통하여 조리용기(60)의 저면이 노출되어 외부 열원(7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그러나 바닥부(10)의 형상, 크기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둘레부(20)의 구성을 살핀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둘레부(20)는 바닥부(10)의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돌출되며, 일측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더 자세하게는, 둘레부(20)는 지지면(13)의 외주연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며, 조리용기(60)가 슬리이딩 되어 바닥부(10)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일측이 외측으로 경사진다.
예시적으로, 둘레부(20)는 바닥부(10)에 안착된 조리용기(60)가 이탈되지 않도록 조리용기(60)를 지지하고, 본체(30)가 기울어질 때 조리용기(60)가 바닥부(10)에서 외부로 슬라이딩되는 경사부(21)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체(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체(30)는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체(30)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 개의 지지부재(50)는 본체(30)를 구성하는 바닥부(10)의 저면에 복수개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본체(30)는 바닥부(10)의 저면에 연결되어 조리 시 조리용기(60)를 열원(7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체(30)는 내부에 수용된 조리용기(60)가 외부로부터 열을 공급 받을 때 복수 개의 지지부재(50)로부터 지지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50) 중 일부는 조리용기(60)를 바닥부(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해 본체(30)를 기울일 때, 본체(30)를 지지하는 지렛대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복수 개의 지지부재(50)의 위치, 크기, 형상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체(30)는 손잡이(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손잡이(40)는 본체(30)에 결합되어 본체(30)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손잡이(40)의 형상, 크기, 위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프라이팬(100)은 조리용기(60)를 포함한다.
조리용기(60)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조리공간을 구비하고, 상면이 개방된 용기형상으로 본체(30)에 탈부착 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조리용기(60)는 본체(3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크기가 다른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로 크기가 다른 제1 조리용기(60a)와 제2 조리용기(60b)가 도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교체형 프라이팬(100)의 각 구성간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조리용기(60)는 바닥부(10)와 둘레부(20)를 포함한 본체(30)에 결합된다. 이때, 바닥부(10)에 구비된 개구(11)를 통하여 조리용기(60)의 저면이 노출되고, 노출된 저면은 외부 열원(70)으로부터 열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본체(30)의 바닥부(10)가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본체(30)에 결합된 손잡이(40)를 위로 들어 올린다. 이때, 바닥부(10)에 놓인 조리용기(60)가 조리용기(60)를 지지하는 둘레부(20)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둘레부(20)의 일측에 구비된 경사부(21)를 통하여 외부로 슬라이딩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조리용기(60)는 크기가 다른 복수 개로 구비되어 본체(30)에 결합된다.
이렇게 구성된 교체형 프라이팬(100)은 조리용기(60)와 본체(30)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오랜 사용에 의한 코팅부의 벗겨짐 또는 부주의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조리용기(60)만 교체하고 본체(30)는 재사용 되므로 자원의 낭비 및 비용을 절감하는 경제적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고, 음식물의 종류 또는 용도에 맞는 복수 개의 조리용기(60)를 선택적으로 교체시켜 사용하므로 시간을 절약 하고 조리공간의 활용에 있어서 효율성을 제공한다.
또한, 음식물이 수용된 각각의 조리용기(60)를 선택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에너지 활용의 효율성을 제공한다. 더 자세하게는, 하나의 조리용기(60)에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면 이에 인접하게 구비된 또 다른 조리용기(60)도 외부로부터 약한 열을 전달받는다. 예시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서로 크기가 다른 각각의 조리용기(60)가 본체(30)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결합된 제1 조리용기(60a)에 외부로부터 직접적으로 열이 가해지면, 제1 조리용기(60a)에 인접하게 구비된 제2 조리용기(60b)도 외부로부터 약한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빠른 조리를 필요로 하는 음식물과 느린 조리를 필요로 하는 음식물을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약한 열을 전달받는 조리용기(60)는 수용된 음식물을 보온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조리된 음식물을 다른 저장 수단에 따로 옮기지 않고, 본체(30)의 슬라이딩 구조를 이용하여 교체형 프라이팬(100)에서 식탁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옮길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 바닥부
11. 개구 13. 지지면
20. 둘레부 21. 경사부
30. 본체 40. 손잡이
50. 지지부재 60. 조리용기
60a. 제1 조리용기 60b. 제2 조리용기
70. 열원 100. 교체형 프라이팬

Claims (6)

  1. 개구와, 복수 개의 조리용기가 안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를 둘러싸는 사각 형상의 지지면을 구비하는 바닥부, 및
    상기 지지면의 외주연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 개의 조리용기가 슬라이딩 되어 상기 바닥부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일측이 외측으로 경사진 둘레부
    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의 폭은 상기 복수 개의 조리용기의 폭보다 작고, 상기 바닥부의 길이는 상기 복수 개의 조리용기의 길이의 합보다 길며,
    상기 바닥부의 저면에 연결되어 조리 시 상기 복수 개의 조리용기를 열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재 중 일부는 상기 복수 개의 조리용기를 상기 바닥부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를 기울일 때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렛대 역할을 수행하는
    교체형 프라이팬.
  2. 제1항에서,
    상기 조리용기를 더 포함하는 교체형 프라이팬.
  3. 제1항에서,
    상기 개구는 상기 조리용기의 저면이 외부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크기로 형성되는 교체형 프라이팬.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본체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교체형 프라이팬.
  6. 삭제
KR1020110041575A 2011-05-02 2011-05-02 교체형 프라이팬 KR101306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575A KR101306849B1 (ko) 2011-05-02 2011-05-02 교체형 프라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575A KR101306849B1 (ko) 2011-05-02 2011-05-02 교체형 프라이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935A KR20120123935A (ko) 2012-11-12
KR101306849B1 true KR101306849B1 (ko) 2013-09-10

Family

ID=4750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575A KR101306849B1 (ko) 2011-05-02 2011-05-02 교체형 프라이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8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2918A (ko) 2022-04-04 2023-10-11 이주식 직화 가열식 조리기구
KR20240003873A (ko) 2022-07-04 2024-01-11 이주식 육류의 유수분 분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441Y1 (ko) * 2003-04-07 2003-07-23 정찬홍 착탈식 프라이팬
JP2008520261A (ja) * 2004-11-16 2008-06-19 ジネルバ フライング パ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アー 改良型フライパン
KR100896318B1 (ko) 2007-07-02 2009-05-07 경영수 다용도 조리기구
KR20090007162U (ko) * 2008-01-11 2009-07-15 편영복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441Y1 (ko) * 2003-04-07 2003-07-23 정찬홍 착탈식 프라이팬
JP2008520261A (ja) * 2004-11-16 2008-06-19 ジネルバ フライング パ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アー 改良型フライパン
KR100896318B1 (ko) 2007-07-02 2009-05-07 경영수 다용도 조리기구
KR20090007162U (ko) * 2008-01-11 2009-07-15 편영복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2918A (ko) 2022-04-04 2023-10-11 이주식 직화 가열식 조리기구
KR20240003873A (ko) 2022-07-04 2024-01-11 이주식 육류의 유수분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935A (ko)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33082A1 (en) Cookware assembly
KR200399822Y1 (ko) 구이용 불판
US20220322865A1 (en) Cookware Assembly
US20220265086A1 (en) Apparatus for cooking bacon and the like inside microwave ovens
KR101306849B1 (ko) 교체형 프라이팬
JP3194420U (ja) 多機能調理器
KR101413463B1 (ko) 교체형 조리기구
KR20120031863A (ko) 두 가지-기능의 취사 도구 뚜껑
KR200450880Y1 (ko) 조립식 조리 기구
JP2007271210A (ja) 五徳
KR20120108693A (ko) 손잡이 탈?착이 자유로운 다기능 후라이팬
WO2015042993A1 (zh) 一种饭盒
KR200455898Y1 (ko)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KR200462124Y1 (ko) 조리기구 착탈형 소반
KR101406492B1 (ko) 조리용기
JP3183737U (ja) 調理器具
US20200237152A1 (en) Transporting and presentation device for grate inserts
JP5133901B2 (ja) スチーム調理デバイス用の調理アクセサリ
KR20220168695A (ko) 다용도 조리용기
KR200365103Y1 (ko) 복수개의 조리 용기 내입구를 가지는 화덕
KR20130125444A (ko) 방열판에 꼬치구이 기능을 갖는 직화 가열식 조리용기
CN202341812U (zh) 锅内分区隔网
US20090236348A1 (en) One meal deal
CN203506372U (zh) 一种陶瓷蒸锅
KR100723641B1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