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926Y1 - 조리용 그릴 - Google Patents

조리용 그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926Y1
KR200470926Y1 KR2020130007017U KR20130007017U KR200470926Y1 KR 200470926 Y1 KR200470926 Y1 KR 200470926Y1 KR 2020130007017 U KR2020130007017 U KR 2020130007017U KR 20130007017 U KR20130007017 U KR 20130007017U KR 200470926 Y1 KR200470926 Y1 KR 200470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
cooking
grill
flat portion
hea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균
김도은
김대겸
Original Assignee
김태균
김대겸
김도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균, 김대겸, 김도은 filed Critical 김태균
Priority to KR2020130007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9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9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4/00Multi-purpose machines for preparing food with several driv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종류의 조리용 그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그릴은 그릴판(20)이 평면부(21)와 오목부(22)로 구성되어, 상기 평면부(21)에 국물이 없는 요리를 조리하고, 상기 오목부(22)를 이용하여 국물이 있는 요리를 조리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조리용 그릴을 이용하여 동시에 다양한 요리를 조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오목부(22)에는 막는 덮개(23)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으로, 상기 오목부(22)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복부에 덮개(23)를 덮어, 오목부(22)의 상부를 상기 평면부(21)부와 동일하게 국물이 없는 요리를 조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리용 그릴{cooking grill}
본 고안은 다양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종류의 조리용 그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종류의 조리용 그릴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리용 그릴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0)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10)에 결합된 그릴판(20)과, 상기 그릴판(20)의 하측에 구비된 가열수단(30)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열수단(30)을 이용하여 그릴판(20)을 가열함으로써, 그릴판(20)에 올려진 고기나 생선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열수단(30)은 전원을 인가하면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히터 또는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가스버너 등이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조리용 그릴의 구조는 등록특허 10-0958843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으므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조리용 그릴에 구비된 그릴판(20)은 넓은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고기나 생선 또는 야채 등과 같이 국물이 없는 음식물은 매우 효과적으로 조리할 수 있으나, 전골과 같이 국물이 있는 요리를 하기에는 적합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국물이 있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조리용 그릴 이외에, 별도의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국물이 있는 요리를 조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지지프레임이 구비되어 식탁 등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일반적인 조리용 그릴 뿐 아니라, 공개실용신안 10-1993-0007555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탁에 매입된 상태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조리용 그릴에도 동일하게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손쉽게 조리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조리용 그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지대(10)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10)에 결합된 그릴판(20)과, 상기 그릴판(20)의 하측에 구비된 가열수단(30)을 포함하는 조리용 그릴에 있어서, 상기 그릴판(20)은 평면부(21)와, 상기 평면부(21)의 일측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22)에는 오목부(22)를 개폐하는 덮개(23)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그릴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그릴판(20)은 나노탄소융합기술을 이용한 탄소주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그릴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목부(22)와 평면부(21)의 사이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유입방지턱(25)이 형성되어, 상기 평면부(21)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면서 발생된 기름 등의 이물질이 오목부(2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그릴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목부(22)는 상기 평면부(21)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23)는 상기 평면부(21)의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오목부(22)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그릴판(2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덮개(23)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오목부(22)를 개방하면, 덮개(23)가 상기 평면부(21)와 오목부(22)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평면부(21)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된 기름 등의 이물질이 오목부(22)의 내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격판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그릴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열수단(30)은 상기 평면부(21)를 가열하는 제1 가열수단(31)과, 상기 오목부(22)를 가열하는 제2 가열수단(32)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열수단(31,32)을 각각 별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그릴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덮개(23)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23) 또는 상기 오목부(22)에 삽입된 음식물의 상면을 가열하는 보조가열수단(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그릴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그릴은 그릴판(20)이 평면부(21)와 오목부(22)로 구성되어, 상기 평면부(21)에 국물이 없는 요리를 조리하고, 상기 오목부(22)를 이용하여 국물이 있는 요리를 조리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조리용 그릴을 이용하여 동시에 다양한 요리를 조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오목부(22)에는 막는 덮개(23)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으로, 상기 오목부(22)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오목부(22)에 덮개(23)를 덮어, 오목부(22)의 상부를 상기 평면부(21)와 동일하게 국물이 없는 요리를 조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리용 그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그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그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그릴을 도시한 분해 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그릴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그릴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그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그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측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그릴의 제2 실시예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그릴을 도시한 것으로, 지지대(10)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10)에 결합된 그릴판(20)과, 상기 그릴판(20)의 하측에 구비된 가열수단(30)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지지대(10)는 측방향으로 넓고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그릴판(20)과 가열수단(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박스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그릴판(20)은 평면부(21)와, 상기 평면부(21)의 일측에 형성된 오목부(22)로 구성되고, 상기 오목부(22)에는 오목부(22)를 개폐하는 덮개(23)가 결합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그릴판(20)은 열전도율이 높은 강철 또는 알루미늄합금을 나노탄소융합기술(CNT)을 이용한 탄소주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상기 지지대(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열수단(30)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평면부(21)는 넓은 평판형태로 구성되어 상면에 고기나 생선 또는 야채와 같이 국물이 없는 음식물을 올려놓아 구울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목부(22)는 상기 평면부(21)의 일측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내부에 전골과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담아 끓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그릴판(20)의 테두리부에는 측벽(24)이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벽(24)의 상단 외측에는 상기 지지대(10)의 상단둘레부에 걸리는 걸림턱(24a)이 형성되어, 상기 그릴판(20)을 상기 지지대(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목부(22)는 상기 평면부(21)의 일측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으로, 내부에 충분한 양의 국물요리를 담을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깊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오목부(22)의 내측면 상단에는 상기 덮개(23)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단턱부(22a)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22)와 평면부(21)의 사이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유입방지턱(25)이 형성되어 상기 평면부(21)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면서 발생된 기름 등의 이물질이 오목부(2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덮개(23)는 상기 그릴판(20)과 동일한 방법으로 주조된 것으로, 상기 오목부(22)의 상단에 대응되는 형태의 평판형상으로 구성되어, 둘레면이 상기 오목부(22)의 단턱부(22a)에 걸리도록 상기 오목부(22)에 결합되어 오목부(22)의 상부를 막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가열수단(30)은 상기 평면부(21)를 가열하는 제1 가열수단(31)과, 상기 오목부(22)를 가열하는 제2 가열수단(32)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열수단(31,32)을 각각 별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가열수단(31,32) 은 상기 지지대(10)의 일측에 구비된 온도조절스위치(33,34)에 의해 온오프 및 온도조절되는 전기히터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가열수단(31)은 상기 평면부(21)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대(10)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가열수단(32)은 상기 오목부(22)의 하측둘레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대(1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리용 그릴은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이, 그릴판(20)이 평면부(21)와 오목부(22)로 구성되어, 상기 평면부(21)에 국물이 없는 요리를 조리하고, 상기 오목부(22)를 이용하여 국물이 있는 요리를 조리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조리용 그릴을 이용하여 동시에 다양한 요리를 조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오목부(22)에는 막는 덮개(23)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으로, 상기 오목부(22)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22)에 덮개(23)를 덮어, 오목부(22)의 상부를 상기 평면부(21)부와 동일하게 국물이 없는 요리를 조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그릴판(20)은 나노탄소융합기술을 이용한 탄소주조방법으로 제조됨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때 그릴판(20)에서 누린내 등과 같은 불쾌한 냄새가 나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22)와 평면부(21)의 사이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유입방지턱(25)이 형성됨으로, 상기 평면부(21)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면서 발생된 기름 등의 이물질이 오목부(22)의 내부로 유입되어 오목부(22)에서 조리하는 전골 등의 음식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수단(30)은 상기 평면부(21)를 가열하는 제1 가열수단(31)과, 상기 오목부(22)를 가열하는 제2 가열수단(32)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열수단(31,32)을 각각 별도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더욱 편리하며, 상기 제2 가열수단(32)의 온도를 상기 제1 가열수단(31)에 비해 낮게 조절하고, 상기 평면부(21)에서 조리된 음식을 상기 오목부(22)로 옮겨 놓음으로써, 조리된 음식물이 오랜 시간 동안 식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오목부(22)는 상기 평면부(21)의 일측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오목부(22)는 상기 평면부(21)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22)는 상기 그릴판(2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평면부(21)와 오목부(22)를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22)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오목부(22)의 깊이와 넓이는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가열수단(31,32)은 전기히터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제1 및 제2 가열수단(31,32)은 가스를 연소시켜 그릴판(20)을 가열하는 가스버너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그릴은 상기 지지대(10)에 의해 지지되어 테이블 등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그릴은 테이블의 상면에 매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덮개(23)는 상기 평면부(21)의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오목부(22)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그릴판(20)에 힌지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오목부(22)에서 상기 평면부(21)의 중앙부를 향하는 쪽 면의 양측에는 결합홈(22b)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덮개(23)에는 상기 결합홈(22b)에 결합되는 힌지돌기(23a)가 구비되어, 상기 덮개(23)가 상기 힌지돌기(23a)을 중심으로 외측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22b)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단이 상측으로 개방되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3)를 열면 상기 힌지돌기(23a)가 상기 결합홈(22b)을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드되면서, 덮개(23)가 상기 오목부(22)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기 평면부(21)와 오목부(22)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23)를 열면 덮개(23)가 상기 평면부(21)와 오목부(22)를 분리하는 격판의 기능을 하여, 상기 평면부(21)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된 기름 등의 이물질이 오목부(22)의 내부로 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23)의 하측면에는 보조가열수단(40)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가열수단(40)은 상기 덮개(23)의 하측면에 밀착고정되는 전기히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3)가 오목부(22)의 상부를 덮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가열수단(40)을 온시키면, 보조가열수단(40)에 의해 덮개(23)가 가열되어, 덮개(23) 부분 역시 상기 평면부(21)와 같이 뜨겁게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22)에 음식물을 넣은 상태에서, 상기 덮개(23)를 덮고 상기 보조가열수단(40)을 온시키면, 상기 오목부(22)에 놓여진 음식물의 상면을 가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리용 그릴은 상기 덮개(23)가 평면부(21)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덮개(23)를 회동시키면 덮개(23)가 상기 평면부(21)와 오목부(22)를 분리하는 격판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평면부(21)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기름 등의 이물질이 튀어서 오목부(22)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23)의 하측면에는 보조가열수단(40)이 구비되어 덮개(23)나 상기 오목부(22)에 투입된 음식물을 가열하게 됨으로, 상기 덮개(23)의 상면까지 상기 평면부(21)와 같이 음식물을 조리하는 곳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오목부(22)에 고기나 생선을 넣고, 상기 덮개(23)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열수단(32)과 상기 보조가열수단(40)을 동시에 온시키면, 상기 오목부(22)에 투입된 음식물의 상하면을 동시에 가열하여, 오븐으로 음식물을 조리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지지대 20. 그릴판
30. 가열수단 40. 보조가열수단

Claims (6)

  1. 지지대(10)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그릴판(20)과,
    상기 그릴판(20)의 하측에 구비된 가열수단(30)을 포함하는 조리용 그릴에 있어서,
    상기 그릴판(20)은
    평면부(21)와,
    상기 평면부(21)의 일측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22)에는 오목부(22)를 개폐하는 덮개(23)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그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판(20)은 나노탄소융합기술을 이용한 탄소주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그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22)와 평면부(21)의 사이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유입방지턱(25)이 형성되어,
    상기 평면부(21)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면서 발생된 기름 등의 이물질이 오목부(2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그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22)는 상기 평면부(21)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23)는 상기 평면부(21)의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오목부(22)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그릴판(2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덮개(23)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오목부(22)를 개방하면, 덮개(23)가 상기 평면부(21)와 오목부(22)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평면부(21)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된 기름 등의 이물질이 오목부(22)의 내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격판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그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30)은 상기 평면부(21)를 가열하는 제1 가열수단(31)과,
    상기 오목부(22)를 가열하는 제2 가열수단(32)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열수단(31,32)을 각각 별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그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3)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23) 또는 상기 오목부(22)에 삽입된 음식물의 상면을 가열하는 보조가열수단(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그릴.
KR2020130007017U 2013-08-22 2013-08-22 조리용 그릴 KR200470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017U KR200470926Y1 (ko) 2013-08-22 2013-08-22 조리용 그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017U KR200470926Y1 (ko) 2013-08-22 2013-08-22 조리용 그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926Y1 true KR200470926Y1 (ko) 2014-01-24

Family

ID=51418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017U KR200470926Y1 (ko) 2013-08-22 2013-08-22 조리용 그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9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746Y1 (ko) * 2020-08-11 2021-12-14 해마루 주식회사 탈부착형 기름받이가 구비된 전기그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0592B2 (ja) * 1998-09-18 2008-10-22 ツァン クェン ユーエスエ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調理台用電気グリ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0592B2 (ja) * 1998-09-18 2008-10-22 ツァン クェン ユーエスエ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調理台用電気グリ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746Y1 (ko) * 2020-08-11 2021-12-14 해마루 주식회사 탈부착형 기름받이가 구비된 전기그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200627A (ja) 加熱調理容器
KR20090007162U (ko)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KR200467826Y1 (ko) 프라이팬 커버
KR200470926Y1 (ko) 조리용 그릴
KR100928141B1 (ko) 가압식 고온 가열 조리기구
KR200426082Y1 (ko)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
JP2015198781A (ja) グリル
KR200485993Y1 (ko) 가정용 숯불 직화 구이기
JP3193322U (ja) 固体燃料用携帯型コンロ
JP2011217789A (ja) 加熱調理器
KR200197460Y1 (ko) 남비
CN215686959U (zh) 烹饪器具
CN218528441U (zh) 一种具有微压效果的煮烤锅
KR102391879B1 (ko) 이중 유리벽의 안전도어를 갖춘 전기 생선구이기
KR102005172B1 (ko) 다목적 구이기
JPS583390Y2 (ja) 電気調理器
KR200448036Y1 (ko) 조리기구용 덮개
KR200305101Y1 (ko) 양면 요리판
KR20040087397A (ko) 다용도 양면조리팬
JP4522740B2 (ja) 炊飯器
JP2005337651A (ja) 加熱調理器
KR200320440Y1 (ko) 다용도 양면조리팬
JP6883725B2 (ja) 加熱調理器
JP2007205623A (ja) 電気加熱調理器
KR20100073961A (ko) 전기그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