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536Y1 - 배기 가열식 주방용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배기 가열식 주방용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536Y1
KR200444536Y1 KR2020080015568U KR20080015568U KR200444536Y1 KR 200444536 Y1 KR200444536 Y1 KR 200444536Y1 KR 2020080015568 U KR2020080015568 U KR 2020080015568U KR 20080015568 U KR20080015568 U KR 20080015568U KR 200444536 Y1 KR200444536 Y1 KR 2004445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heat
cooker
burner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천
Original Assignee
화신주방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신주방산업(주) filed Critical 화신주방산업(주)
Priority to KR2020080015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5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5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5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6Shields or jackets for cooking utensils minimising the radiation of heat, fastened or movab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기 가열식 주방용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주방용 조리기구에 의한 조리과정에 있어서 버너에 의한 하부 가열과 함께 배기열에 의하여 조리솥의 측부를 가열을 통하여 가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주방용 조리기구에 있어서, 버너의 배기열을 조리솥의 측부로 유도하여 조리솥의 측부를 가열하는 배기 측부가열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주방용 조리기구에 배기 측부가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조리솥의 하부에 구비된 버너의 화염에 의한 가열과 더불어 배기열에 의한 조리솥의 측부 가열을 통하여 그 가열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주방용 조리기구

Description

배기 가열식 주방용 조리기구{An exhaustion heat type caldron}
본 고안은 배기 가열식 주방용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용 조리기구에 있어서, 버너의 배기열을 조리솥의 측부로 유도하여 조리솥의 측부를 가열하는 배기 측부가열수단을 구비하여서 조리과정에 있어서 버너에 의한 하부 가열과 함께 배기열에 의하여 조리솥의 측부를 가열을 통하여 가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용 조리기구는 조리솥에 음식물을 담고 조리를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조리기구는 용기상으로 조리솥와, 상기 조리솥의 하부에 구비된 버너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조리기구는 조리솥의 하부 중앙부분에 구비된 버너의 화염에 의하여 집중 가열되어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리기구는 조리솥의 하부에 구비된 버너의 화염에 의하여 가열이 이루어지고 버너에서 가스 등과 같은 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 발생한 배기열은 조리솥의 외면을 따라 대기 중으로 방출되게 구성되어 있어 버너에 의한 가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방용 조리기구에 있어서 음식물의 가열이 하부에 구비된 버너의 화염에 의하여만 이루어져 그 가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주방용 조리기구에 있어서, 버너의 배기열을 조리솥의 측부로 유도하여 조리솥의 측부를 가열하는 배기 측부가열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주방용 조리기구에 배기 측부가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조리솥의 하부에 구비된 버너의 화염에 의한 가열과 더불어 배기열에 의한 조리솥의 측부 가열을 통하여 그 가열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조리기구의 사용과정에 버너의 화염과 더불어 배기열에 의한 가열을 통하여 버너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도 1 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솥(110)과 상기 조리솥(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버너(120)로 구성되는 주방용 조리기구에 있어서, 조리솥(110)의 하부에 구비된 버너(120)의 배기열을 조리솥(110)의 측부로 유도하여서 배기열에 의하여 조리솥(110)의 측부 음식물이 가열되게 하는 배기 측부가열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배기 측부가열수단은 버너(120)의 배기열이 조리솥(110)의 측부 내측에서 음식물을 관통 유동하여 가열할 수 있게 등 간격으로 구비되는 측부가열배기관(210)과, 상기 측부가열배기관(210)들의 상부에는 측부가열배기관(210)을 통과하여 모아진 배기가스를 측 방향으로 유도 배출시키는 배기부(220)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리솥(110)의 측부 하부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120)에서 측방향으로 배출되는 배기열을 상기 배기 측부가열수단인 측부가열배기관(210)으로 유도할 수 있게 측부가열배기관(210)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조리솥(110)의 하부에 덮여 씌워지는 배기열유도커버(23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리솥(110)의 측부가열배기관(210)의 내측에는 도 4 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물류 음식물(310)의 조리과정에 있어 부유된 부유물(320)이 측부가열배기관(210)에 누러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부유물차단판(24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부유물차단판(240)는 조리솥(110)의 상부 측에서 결합되어 음식물(310)에 잠기게 형성하며, 음식물(310)의 유동이 원활하게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판으로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조리솥(110)의 전방측에는 작업자에 측부가열배기관(210)에 의한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단열재로 이루어진 열기차단부(25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리솥(110)과 상기 조리솥(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버너(120)로 구성되는 주방용 조리기구에 있어서, 조리솥(110)의 하부에 구비된 버너(120)의 배기열을 조리솥(110)의 측부로 유도하여서 배기열에 의하여 조리솥(110)의 측부 음식물이 가열되게 하는 배기 측부가열수단을 구비한 본 고안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버너(120)에서 발생한 화염에 의하여 조리솥(110)의 하부가 가열되어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버너(120)에서 발생한 배기열은 조리솥(110)의 하부를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조리솥(110)의 하부를 따라 외측으로 이동된 배기열은 배기 측부가열수단인 측부가열배기관(210)으로 유입되어 상승유동되면서 조리솥(110)의 측부에 채워진 음식물을 가열한 후 배기부(220)를 통하여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버너(120)에 의한 조리솥(110)의 하부 가열과 측부가열배기관(210)을 통한 측부 가열을 통하여 조리솥(110)의 중앙부분을 통한 대류와 측부를 통한 대류 유동에 의하여 음식물이 고르게 가열되어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부유물차단판(240)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국과 같은 음식물의 조리에 있어 건더기 등과 같은 부유물이 측부가열배기관(210)에 누러 붙는 것이 방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주방용 조리기구의 버너을 측부가열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조리솥의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이 대류유동에 의하어 기름 또는 물과 같은 음식물과 섞임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음식물이 깨끗한 상태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
배기열유도커버를 구비한 것을 보인 측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에 있어
부유물차단판을 구비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도 4 에 따른 측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부유물차단판을
다공판으로 구성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조리솥 120 : 버너
210 : 측부가열배기관 220 : 배기부
230 : 배기열유도커버 240 : 부유물차단판
250 : 열기차단부
310 : 음식물 320 : 부유물

Claims (4)

  1. 조리솥(110)과 상기 조리솥(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버너(120)으로 구성되는 주방용 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리솥(110)의 하부에 구비된 버너(120)의 배기열을 조리솥(110)의 측부로 유도하여서 배기열에 의하여 조리솥(110)의 측부 음식물이 가열되게 하는 배기 측부가열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배기 측부가열수단은 버너의 배기열을 조리솥(110)의 측부 내측에서 음식물을 관통유동하여 가열할 수 있게 등 간격으로 구비되는 측부가열배기관(210)과, 상기 측부가열배기관(210)들의 상부에는 측부가열배기관(210)을 통과하여 모아진 배기가스를 측 방향으로 유도 배출시키는 배기부(220)로 구성하고,
    상기 조리솥(110)의 측부 하부에는 버너(120)에서 바깥 방향으로 배출되는 배기열을 상기 배기 측부가열수단인 측부가열배기관(210)으로 유도될 수 있게 측부가열배기관(210)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조리솥(110)의 하부에 덮여 씌워지는 배기열유도커버(230)를 구비하며,
    상기 조리솥(110)의 전방측에는 작업자에게 측부가열배기관(210)에 의한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열기차단부(25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열식 주방용 조리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솥(110)의 측부가열배기관(210)의 내측에는 국물류 음식물(310)의 조리과정에 있어 상부측에 부유된 부유물(320)이 측부가열배기관(210)에 누러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부유물차단판(2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열식 주방용 조리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차단판(240)는 조리솥(110)의 상부 측에서 결합되어 음식물(310)에 잠기게 형성하며, 국물류 음식물(310)의 유동이 원활하게 다공판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열식 주방용 조리기구.
  4. 삭제
KR2020080015568U 2008-11-24 2008-11-24 배기 가열식 주방용 조리기구 KR2004445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568U KR200444536Y1 (ko) 2008-11-24 2008-11-24 배기 가열식 주방용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568U KR200444536Y1 (ko) 2008-11-24 2008-11-24 배기 가열식 주방용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536Y1 true KR200444536Y1 (ko) 2009-05-18

Family

ID=41348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568U KR200444536Y1 (ko) 2008-11-24 2008-11-24 배기 가열식 주방용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5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758B1 (ko) * 2012-03-16 2012-06-12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 솥
KR101292520B1 (ko) 2013-01-08 2013-08-01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 솥
KR101292519B1 (ko) * 2012-04-26 2013-08-01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 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758B1 (ko) * 2012-03-16 2012-06-12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 솥
KR101292519B1 (ko) * 2012-04-26 2013-08-01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 솥
KR101292520B1 (ko) 2013-01-08 2013-08-01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 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5014221D1 (de) Kessel zum kochen eines getränks, elektrischer heizkessel und schnurloser elektrischer heizkessel zum kochen eines getränks
KR200444536Y1 (ko) 배기 가열식 주방용 조리기구
KR101480272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 용기
KR200406372Y1 (ko) 열기 유도커버가 구비된 조리용 솥
CN2925330Y (zh) 适用电磁炉的陶瓷厨具
KR200476624Y1 (ko) 조리용기
KR200426082Y1 (ko)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
KR20130098513A (ko) 다용도 조리기구
KR20039116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100898273B1 (ko) 주방용 끓임 조리기구
KR20110044016A (ko) 조리용 솥
KR20210097970A (ko) 열효율이 강화된 냄비
CN205560885U (zh) 一种烤涮一体灶
KR20120005445U (ko) 고효율 조리기구
KR20060030092A (ko) 직화구이 조리장치
KR200421229Y1 (ko) 다기능 직화 조리기
KR200185561Y1 (ko) 용기 안치부가 형성된 고기 구이판
KR101131780B1 (ko) 다기능 조리기구
KR200369953Y1 (ko) 음식물의 조리용기
KR200466871Y1 (ko) 전열식 조리장치
JP3215592U (ja) フライパン
KR101166531B1 (ko) 연료 절약형 조리용기
KR101968869B1 (ko) 만능냄비
CN204421099U (zh) 带围挡板阻隔的电磁炉
CN206037125U (zh) 一种便于炉台排水的炉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