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727B1 - 냄새와 연기 제거 양면팬 - Google Patents

냄새와 연기 제거 양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727B1
KR100888727B1 KR1020080097448A KR20080097448A KR100888727B1 KR 100888727 B1 KR100888727 B1 KR 100888727B1 KR 1020080097448 A KR1020080097448 A KR 1020080097448A KR 20080097448 A KR20080097448 A KR 20080097448A KR 100888727 B1 KR100888727 B1 KR 100888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hinge
smoke
protrusio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선자
Original Assignee
서선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선자 filed Critical 서선자
Priority to KR1020080097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선 등을 조리할 때 양면팬 내부에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가 연기배출구를 통해 양면팬의 하부로 배출되어 가열기구의 불에 의해 연소되며 연기와 냄새가 양면팬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연기 및 냄새를 제거할 수 있고, 하부팬과 상부팬 테두리 사이에 기름유출 방지구와 기름유출방지턱에 의해 양면팬을 뒤집을 때 기름이 양면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연기 및 냄새 제거 양면팬에 관한 것이다.
양면팬, 냄새제거, 연기제거, 힌지부, 기름유출방지, 연기배출, 손잡이고정구.

Description

냄새와 연기 제거 양면팬{DOUBLE-FACED ROAST PAN FOR SMALL AND SMOKE REMOVAL}
본 발명은 냄새 및 연기 제거 양면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선 등을 조리할 때 양면팬 내부에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가 연기배출구를 통해 양면팬의 하부로 배출되어 가열기구의 불에 의해 연소되며 연기와 냄새가 양면팬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연기 및 냄새를 제거할 수 있고, 하부팬과 상부팬 테두리 사이에 기름유출 방지구와 기름유출방지턱에 의해 양면팬을 뒤집을 때 기름이 양면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연기 및 냄새 제거 양면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 특히 생선을 조리할 때는 하부팬과 상부팬으로 구성된 양면팬 내부에 생선을 넣고, 하부팬을 가열하면서 생선 하부의 조리가 완료되면 하부팬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양면팬을 뒤집어 생선의 다른 한쪽도 조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양면팬의 내부에 생선을 넣고 조리할 때 양면팬의 내부에는 생선기름과 연기, 생선 특유의 냄새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양면팬은 조리시 내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와 같은 생선 연기나 냄새가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어 미각을 떨어뜨리고, 주변을 오염시키며, 비위가 약한 사람은 조리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양면팬을 뒤집을 때 하부팬과 상부팬의 틈사이로 생선 기름 등이 유출되어 가열기구를 오염시키고, 유출된 기름이 가열기구의 불에 떨어져 화재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양면팬의 상부팬과 하부팬 중 일측 팬 테두리에 실리콘과 같은 고무패킹을 결합하여 양면팬을 뒤집을 때 내부의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으 고무패킹은 외부의 힘에 의해 파손되거나, 장시간 고열에 노출될 경우 패킹의 재질 변화로 패킹으로서의 기능이 떨어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심하면 양면팬 내부의 기름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무 패킹은 파손되면 폐기하고, 새로운 패킹으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양면팬은 조리시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후면에 증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증기배출구로 조리시 생선냄새로 함께 양면팬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양면팬은 상부손잡이의 하부와 하부손잡이의 상부에 서로탈부착되어 상·하부 손잡이가 서로 고정되도록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자석 등과 같은 자성체를 접착제 등으로 접착한 제품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양면팬은 장시간 사용할 경우 자성체가 홈에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와 같이 자성체가 분리되면 상부손잡이와 하부손잡이가 고정이되지 않아 양면팬으로 생선을 조리할 때 내부의 압력이 떨어지고 생선이 조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양면팬은 상부팬과 하부팬의 후면 양측에 힌지링과 상기 힌지링에 힌지돌기를 삽입하여 힌지돌기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핀을 고정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고, 힌지링과 힌지돌기를 분리할 때는 힌지돌기에 고정된 고정핀을 제거하고 상기 힌지링에서 힌지돌기를 분리하여 상부팬과 하부팬을 분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양면팬은 힌지링에 힌지돌기를 삽입하여 조립하기가 매우 어렵고, 분리할 때가 힌지돌기에 고정된 고정핀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냄새를 연소시키는 프라이팬(대한민국 특허등록 제530695호)이 제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냄새를 연소시키는 프라이팬은 손잡이의 체결부 내측면에 가스유입구를 형성하고, 바닥판의 외측면 중심부에 배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배출구와 가스유입구가 유도로로 연통된 구조로써, 프리이팬 내부에 발생하는 냄새 등 가스가 손잡이의 체결부 내측면에 형성된 가스유입구로 유입되어 유도로를 통해 바닥판의 외측면 중심부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되어 가열기구의 불꽃에 의해 연소됨으로써 냄새를 제거하는 구성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라이팬은 손잡이의 체결부 내측면에 형성된 가스유입구와 바닥판의 배출구를 유도로로 연통되도록 제작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프라이팬의 바닥판은 열전도를 고려하여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와 같은 가스유입구와 유도로를 제작하기가 어려워 대량생산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유도로에 이물질이 삽입될 경우 냄새를 연소시키는 기능이 불가능하고,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유도로를 청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바닥판의 배출구가 한 개로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되는 냄새 및 가스가 가열기구의 물에 확산되도록 배출되지 않아 완전히 연소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생선 등을 조리할 때 양면팬 내부에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가 연기배출구를 통해 양면팬의 하부로 배출되어 가열기구의 불에 의해 연소되며 연기와 냄새가 양면팬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연기 및 냄새를 제거할 수 있고, 하부팬과 상부팬 테두리 사이에 기름유출 방지구와 기름유출방지턱에 의해 양면팬을 뒤집을 때 기름이 양면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연기 및 냄새 제거 양면팬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부팬과 상부팬의 후면에 설치되는 힌지돌기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돌출되고, 힌지돌기와 결합되는 힌지링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여 용이하게 힌지부를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는 양면팬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하부손잡이와 상부손잡이에 형성된 삽입홈에 자성체를 삽입하고, 자성체가 삽입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개폐마개를 삽입홈에 결합하여 접착제로 접착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자성체가 손잡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양면팬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연기배출구의 배출돌기가 하부팬의 상부와 상부팬의 하부로 돌출되어 생선을 양면팬에 삽입할 때 생선이 서로 분리되고, 양면팬을 뒤집을 때 생선이 서로 겹쳐지거나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양면팬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연기 배출구의 배출밸브에서 배출공이 방사상의 위치에 다수 구비되어 냄새 및 연기가가열기구의 화구 중심에서 사방으로 고루 배출되어 연소율을 높일 수 있는 냄새 및 연기 제거 양면팬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면에 하부손잡이와 상부손잡이가 각각 구비된 하부팬과 상부팬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의 후면에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이 회동되며 분리되는 힌지부(300)와, 상기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의 테두리에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름유출방지구(400)와, 상기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에 하부팬(100)과 상부팬(200) 내부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기배출구(500)와, 상기 하부손잡이(110)와 상부손잡이(210)를 고정하는 손잡이 고정구(600)를 포함한 양면팬에 있어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힌지부(300)는 하부팬(100)의 일측 후면에 하부팬(100)과 일체로 후방으로 돌출되어 중앙에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 1힌지돌기(310)와;
상기 제 1힌지돌기(310)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 1걸림돌기(320)와;
상기 하부팬(100)의 타측 후면에 하부팬(100)과 일체로 후방으로 돌출되어 중앙에 제 1힌지공(331)이 구비된 제 1힌지링(330)과;
상기 제 1힌지링(330)의 상부에 제 1힌지공(331)과 연통되도록 구비된 제 1 삽입홈(340)과;
상부팬(200)의 일측 후면에 상부팬(200)과 일체로 후방으로 돌출되고, 중앙에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팬(100)의 제 1힌지링(330)에 결합되는 제 2힌지돌기(350)와;
상기 제 2힌지돌기(350)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 2걸림돌기(360)와;
상기 상부팬(200)의 타측 후면에 상부팬(200)과 일체로 후방으로 돌출되어 중앙에 상기 하부팬(100)의 제 1힌지돌기(310)가 결합되도록 제 2힌지공(371)이 구비된 제 2힌지링(370)과;
상기 제 2힌지링(370)의 상부에 제 2힌지공(371)과 연통되도록 구비된 제 2삽입홈(3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기름유출방지구(400)는 하부팬(100)의 테두리 상단부 중앙에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 방지홈(410)과;
상부팬(200)의 테두리 하단부 중앙에 테두리를 따라 상기 방지홈(410)에 삽입되는 방지돌기(420)를 포함하고, 상기 연기배출구(500)는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의 중앙에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된 배출돌기(510)와;
상기 배출돌기(510)의 내부에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이 관통되도록 구비된 이송공(520)과;
상기 이송공(520)에 상하로 이송되도록 결합되어 하부팬(100)과 상부팬(200) 내부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 배출밸브(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고정구(600)는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의 하부손잡 이(110) 하부와 상부손잡이(210) 상부에 각각 구비된 자성체 삽입홈(610)과;
상기 자성체 삽입홈(610)에 삽입되는 자성체(620)와;
상기 자성체 삽입홈(610)에 삽입된 자성체(620)가 자성체 삽입홈(6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자성체 삽입홈(610)을 각각 개폐하는 개폐마개(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은 하부팬(100)의 하부와 상부팬(200)의 상부에 가열기구의 받침대와 연기배출구(50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각각 구비된 간격유지홈(700)과;
상기 간격유지홈(700)의 외측으로 가열기구의 받침대 상부에 지지되어 간격유지홈(700)이 받침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을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대 지지돌기(71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팬(100)은 상부 테두리 내측에 테두리를 따라 하부팬(100)의 테두리보다 높게 상부로 돌출되는 기름유출 방지돌기(800)와;
상기 상부팬(200)은 하부 테두리 내측에 테두리를 따라 상기 기름유출 방지돌기(800)이 결합되도록 구비된 돌기 걸림턱(8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연기배출구(500)의 배출밸브(530)는 이송공(520)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송되는 배출관(531)과;
중앙에 관통되어 상기 배출관(531)의 상부에 결합되어 배출돌기(510)의 상단부에 하부가 지지되도록 하부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배출캡(532)과;
상기 배출관(531)의 하부에 배출관(531)과 일체로 상부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돌기(533)와;
상기 배출관(531)의 하부 외주면 방사상의 위치에 배출관(53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다수 구비된 배출공(5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기름유출 방지돌기(800)는 하부팬(100) 전면 내측에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높이보다 하부팬(100)의 후면 내측에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높게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하부팬(100) 양측면 내측에 상부로 돌출된 상부 테두리가 후면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며,
돌기 걸림턱(810)은 기름유출 방지돌기(800)와 대응되도록 상부팬(200)의 전면 내측에 상부로 형성된 걸림턱의 높이보다 후면 내측에 상부로 형성된 걸림턱이 높게 구비되고, 양측면 내측에 상부로 형성된 걸림턱은 후면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은 생선 등을 조리할 때 양면팬 내부에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가 연기배출구를 통해 양면팬의 하부로 배출되어 가열기구의 불에 의해 연소되며 연기와 냄새가 양면팬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연기 및 냄새를 제거할 수 있고, 하부팬과 상부팬 테두리 사이에 기름유출 방지구와 기름유출방지턱에 의해 양면팬을 뒤집을 때 기름이 양면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부팬과 상부팬의 후면에 설치되는 힌지돌기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돌출되고, 힌지돌기와 결합되는 힌지링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삽입 홈을 구비하여 용이하게 힌지부를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손잡이와 상부손잡이에 형성된 삽입홈에 자성체를 삽입하고, 자성체가 삽입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개폐마개를 삽입홈에 결합하여 접착제로 접착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자성체가 손잡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 연기배출구의 배출돌기가 하부팬의 상부와 상부팬의 하부로 돌출되어 생선을 양면팬에 삽입할 때 생선이 서로 분리되고, 양면팬을 뒤집을 때 생선이 서로 겹쳐지거나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기 배출구의 배출밸브에서 배출공이 방사상의 위치에 다수 구비되어 냄새 및 연기가 가열기구의 화구 중심에서 사방으로 고루 배출되어 연소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팬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팬의 하부팬과 상부팬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팬의 정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팬의 측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팬의 손잡이 고정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팬의 하부팬에서 연기배출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팬의 연기배출구에서 배출밸브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양면팬은 전면에 하부손잡이(110)와 상부손잡이(210)가 각각 구비된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의 후면에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이 회동되면서 각각 분리되는 힌지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힌지돌기(310)가 하부팬(100)의 일측 후면에 하부팬(100)과 일체로 후방으로 돌출되어 중앙에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힌지돌기(310)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제 1걸림돌기(320)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팬(100)의 타측 후면에 하부팬(100)과 일체로 후방으로 돌출되어 중앙에 제 1힌지공(331)이 구비된 제 1힌지링(330)이 구비되고, 상기 제 1힌지링(330)의 상부에는 제 1힌지공(331)과 연통되도록 제 1삽입홈(34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1삽입홈(340)의 하부는 제 1힌지링(330)의 중심에서 일정한 각도로 하부팬(100) 방향으로 이송된 위치에서 상부가 하부팬(100)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 1힌지공(331)과 연통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팬(200)의 일측 후면에는 상기 하부팬(100)의 제 1힌지링(330)에 결합되도록 상부팬(200)과 일체로 후방으로 돌출되고, 중앙에 일측 방향으로 제 2힌지돌기(350)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힌지돌기(35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제 2걸림돌기(36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팬(200)의 타측 후면에는 중앙에 상기 하부팬(100)의 제 1 힌지돌기(310)가 결합되도록 제 2힌지공(371)이 구비되어 상부팬(200)과 일체로 후방으로 돌출된 제 2힌지링(370)이 구비된다.
상기 제 2힌지링(370)의 상부에는 제 2힌지공(371)과 연통되도록 제 2삽입홈(380)을 구비하되, 상기 제 2삽입홈(380)의 하부는 제 2힌지링(370)의 중심에서 일정한 각도로 상부팬(200) 외측 방향으로 이송된 위치에서 상부가 상부팬(100)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 2힌지공(371)과 연통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의 테두리에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름유출방지구(4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팬(100)의 테두리 상단부 중앙에 테두리를 따라 방지홈(410)이 구비되고, 상부팬(200)의 테두리 하단부 중앙에는 테두리를 따라 상기 방지홈(410)에 삽입되는 방지돌기(4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기름유출방지구(400)의 방지홈(410)과 방지돌기(420)는 본 발명에서 단면이 삼각 형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방지돌기(420)가 하부로 돌출된 길이는 방지홈(410)의 깊이보다 짧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에 하부팬(100)과 상부팬(200) 내부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기배출구(500)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의 중앙에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된 배출돌기(510)의 내부에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이 각각 관통되도록 이송공(5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송공(520)에 상하로 이송되도록 결합되어 하부팬(100)과 상부 팬(200) 내부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 배출밸브(530)는 이송공(520)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송되는 배출관(531)의 상부에 중앙이 관통되어 배출돌기(510)의 상단부에 하부가 지지되도록 하부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배출캡(532)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배출캡(532)의 중앙 내주면에는 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관(531)의 상부 외주면에도 배출캡(532)의 나사와 결합되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배출관(531)에서 배출캡(532)의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나사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531)의 하부에는 배출관(531)과 일체로 상부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돌기(533)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531)의 하부 외주면에는 방사상의 위치에 배출관(53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배출공(534)이 다수 구비된다.
한편 상기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의 하부손잡이(110)와 상부손잡이(210)를 고정하는 손잡이 고정구(60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의 하부손잡이(110) 하부와 상부손잡이(210) 상부에 각각 자성체 삽입홈(610)이 구비되고, 상기 자성체 삽입홈(610)에는 자성체(620)가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 삽입홈(610)에 삽입된 자성체(620)가 자성체 삽입홈(6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부팬(100)의 자성체 삽입홈(610) 하부와 상부팬(200)의 자성체 삽입홈(610) 상부에는 각각 개폐마개(63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 고정구(600)의 자성체 삽입홈(610)과 자성체(620), 개폐마개(630)는 그 형상이 원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성체(620)를 하부손잡 이(110)와 상부손잡이(210)에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이면 원형이 아닌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손잡이(110)와 상부손잡이(210)의 자성체 삽입홈(610)에 자성체(620)이 삽입된 후 자성체 삽입홈(610)에서 자성체(620)가 이탈되지 않도록 자성체 삽입홈(610)을 각가 개폐하는 개폐마개(630)는 상기 자성체 삽입홈(61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고 외부의 힘에 의해 분리되도록 억지끼움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은 하부팬(100)의 하부와 상부팬(200)의 상부에는 도 1과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기구의 받침대(900)와 연기배출구(500)의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간격유지홈(700)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간격유지홈(700)의 외측으로 가열기구의 받침대(900) 상부에 지지되어 간격유지홈(700)이 받침대(9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을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대 지지돌기(7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홈(700)과 받침대 지지돌기(710)는 가열기구에서 불꽃이 분사되는 화구에 따라 원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사각형 등 다각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팬(100)은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테두리 내측에 테두리를 따라 하부팬(100)의 테두리보다 높게 기름유출 방지돌기(800)가 구비되고, 상부팬(200)은 하부 테두리 내측에 테두리를 따라 상기 기름유출 방지돌기(800)이 결합되도록 돌기 걸림턱(810)이 구비하되, 상기 기름유출 방지돌기(800) 는 하부팬(100) 전면 내측에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높이보다 하부팬(100)의 후면 내측에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높게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하부팬(100) 양측면 내측에 상부로 돌출된 상부 테두리가 후면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 걸림턱(810)은 기름유출 방지돌기(800)와 대응되도록 상부팬(200)의 전면 내측에 상부로 형성된 걸림턱의 높이보다 후면 내측에 상부로 형성된 걸림턱이 높게 구비되고, 양측면 내측에 상부로 형성된 걸림턱은 후면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냄새와 연기 제거 양면팬은 먼저 상부팬(200)의 상부손잡이(210)를 손으로 잡고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의 후면에 구비된 힌지부(300)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부팬(200)을 회동시킨후 하부팬(100)의 내부에 조리하고자 하는 생선을 삽입하고, 상부팬(200)의 상부손잡이(210)를 힌지부(300)를 중심으로 하부로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하부팬(100)과 상부팬(200) 내부에 연기배출구(500)의 배출돌기(510)가 하부팬(100)의 중앙 상부와 상부팬(200)의 중앙 하부로 각각 돌출되어 생선을 양면팬에 삽입할 때 생선이 서로 분리되면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생선을 하부팬(100) 내부에 삽입한 후 상부팬(200)의 상부손잡이(210)를 하부로 회동시키면 상부손잡이(210)에 구비된 손잡이 고정구(600)의 자성체 삽입홈(610)에 삽입된 자성체(620)와 하부손잡이(110)에 구비된 자성체 삽입홈(610)에 삽입된 자성체(620)의 자력에 의해 하부손잡이(110)의 상부면과 상부손잡이(210)의 하부면이 밀착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분리되기 전까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팬의 사용 중 하부팬과 상부팬이 뒤집어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팬의 상부팬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생선이 삽입된 양면팬은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기구의 받침대(900) 상부에 하부팬(100)의 하부면이 밀착되도록 올려놓는다.
이때 상기와 같이 가열기구의 받침대(900) 상부에 양면팬의 하부팬(100)을 올려놓으면 하부팬(100)의 중앙에 구비된 연기배출구(500)의 배출밸브(530) 배출관(531)이 자중에 의해 배출돌기(510) 내부에 구비된 이송공(520)을 따라 하부로 이송되고, 하부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출관(531)의 상부에 나사결합된 배출캡(532)의 하부가 하부팬(100) 내부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배출돌기(510)의 상부에 지지되면서 배출관(531)이 하부로 이송되는 것을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송된 연기배출구(500)의 배출밸브(530) 배출관(531) 하부에 구비된 지지돌기(533)는 하부팬(100)의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배출관(531)의 하부 외주면 방사상의 위치에 다수 구비된 배출공(534) 또한 하부팬(100)의 하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하부팬(100)의 하부에 구비된 간격유지홈(700) 외측에 하부로 돌출형성된 받침대 지지돌기(710)가 받침대(900)의 상부에 밀착되며 하부팬(100)을 지지하고, 상기 받침대 지지돌기(710)와 간격유지홈(700)에 의해 하부팬(100) 연기 배출구(500)의 배출밸브(530) 배출관(531) 하부에 구비된 지지돌기(533)가 가열기구의 화구에 밀착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으로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기구의 받침대(900) 상부에 양면팬의 하부팬(100)을 올려놓고 가열을 시작하면 생선이 조리되면서 양면팬의 하부팬(100)과 상부팬(200) 내부의 압력이 올가가게 되고, 내부의 압력 상승에 따라 조리할 때 발생하는 생선의 냄새 가스와 기름 연기가 자연적으로 연기배출구(500)의 배출밸브(530) 배출관(531) 상부에 중앙이 관통되어 결합된 배출캡(532) 중앙 내부로 배출되고, 배출캡(632)으로 배출된 냄새 가스와 기름 연기는 배출캡(532)의 중앙을 관통하여 배출관(532) 내부를 따라 배출관(532) 하부에 구비된 다수 구비된 배출공(534)을 통해 하부팬(100) 하부에서 방사상으로 배출된다.
한편 가열기구를 작동시키면 화구(도면에 미도시)의 테두리에서 불꽃이 나오면서 화구를 중심으로 원형의 불길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연기배출구(500)의 배출밸브(530) 배출공(534)을 통해 배출된 냄새가스와 기름 연기는 배출관(531)의 하부에 하부가 밀폐되도록 구비된 지지돌기(533)에 의해 하부팬(100)의 하부로는 배출되지 않고 다수의 배출공(534)을 통해 가열기구의 화구 중심에서 방사상의 방향으로 배출되면서 가열기구의 화구 테두리에 형성된 불길 내부로 배출되면서 불꽃에 의해 연소된다.
이때 상부팬(200)의 중앙에 구비된 연기배출구(500)는 배출돌기(510)의 이송관(520)에 결합된 배출밸브(530)의 배출관(531)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송되며 배출관(531) 상부에 구비된 지지돌기(533)가 상부팬(200)의 상부에 밀착되며 배출관(531)의 상부 외주면에 다수 구비된 배출공(534) 이송공(520) 내부에서 밀폐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팬(100)의 연기배출구(500) 배출밸브(530)의 배출공(534)이 밀폐되며 하부팬(100)을 가열할 때 냄새 가스와 기름연기는 상부팬(200)의 연기배출구(500)로 배출되지 않고 하부팬(100)의 연기배출구(500) 배출밸브(530)를 통해 하부팬(100)의 하부로 배출되며 연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밸브(530)의 배출관(531)과 배출캡(532), 지지돌기(533)는 양면팬을 가열할 때 하부팬(100)과 상부팬(200) 내부에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이송관(520)을 따라 상부로 이송되지 않도록 적당한 중량을 가지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하부팬(100)을 가열하여 생선의 하부 한 쪽 조리가 완료되면 하부팬(100)의 하부손잡이(110)와 상부팬(200)의 상부손잡이(210)를 잡고 하부팬(100)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양면팬을 뒤집는다.
이때 상기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의 중앙에 연기배출구(500)의 배출돌기(510)가 하부팬(100)의 상부와 상부팬(200)의 하부로 각각 돌출되어 양면팬을 뒤집을 때 생선이 서로 겹쳐지거나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양면을 뒤집을 때 하부팬(100) 내부에 발생된 기름은 하 부팬(100) 전면 내측에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높이보다 하부팬(100)의 후면 내측에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높게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하부팬(100) 양측면 내측에 상부로 돌출된 상부 테두리가 후면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된 기름유출 방지돌기(800)의 양측 내면을 따라 상부팬(200) 내부로 흐르게 되고, 상기 기름유출 방지돌기(800)와 대응되도록 상부팬(200)의 전면 내측에 상부로 형성된 검림턱의 높이보다 후면 내측에 상부로 형성된 걸림턱이 높게 구비되고, 양측면 내측에 상부로 형성된 걸림턱은 후면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된 돌기 걸림턱(810)에 의해 하부팬(100)과 상부팬(200) 내부의 기름이 하부팬(100)과 상부팬(200) 테두리 틈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양면팬을 뒤집을 때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의 테두리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결합된 기름유출방지구(400)의 방지홈(410)과 방지돌기(420)에 의해 하부팬(100)과 상부팬(200) 내부의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이차적으로 방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양면팬을 하부팬(100)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뒤집으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팬(100)의 연기배출구(500) 배출밸브(530)의 배출관(531)이 자중에 의해 배출돌기(510)의 이송관(520)을 따라 하부로 이송되고, 배출밸브(530)의 지지돌기(533)가 하부팬(100)의 이송공(520)에 지지되며 이송을 멈추면서 하부팬(100)의 하부에 노출되었던 배출공(534)이 이송관(520) 내부에서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부팬(100)의 배출밸브(530) 배출공(534)이 밀폐되면서 상부팬(200)의 연기배출구(500) 배출밸브(530) 배출관(531)은 자중에 의해 이송관(520)을 따라 하부로 이송되면서 상부팬(200)의 하부로 돌출되어 하부팬(100)을 가열할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출공(534)을 통해 냄새 가스와 기름 연기는 화구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출되면서 불꽃에 의해 연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생선의 조리가 끝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팬을 다시 뒤집어 하부팬(100)의 하부손잡이(110)가 고정하고, 상부팬(200)의 상부손잡이(210)를 하부손잡이(110)의 손잡이 고정구(600) 자성체(620)와 상부손잡이(210)의 손잡이 고정구(600) 자성체(620)가 서로 분리되도록 상부손잡이(210)를 힌지부(300)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시켜 조리가 완료된 생선을 꺼내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조리가 완료된 후 양면팬을 하부팬(100)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다시 뒤집지 않고 상부팬(200)이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부팬(100)의 하부손잡이(110)를 잡고 힌지부(300)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시켜 생선을 꺼낼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양면팬은 생선을 조리할 때 하부팬(100)과 상부팬(200) 내부에 발생되는 냄새 및 기름 연기가 가열기구에 의해 자연적으로 연소됨으로써 종래의 양면팬 배면에 형성된 증기 배출구가 없어도 되는 것이다.
한편 조리된 완료된 후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을 세척하고자 분리할 때는 힌지부(300)의 제 1힌지링(330)에 구비된 제 1삽입홈(340)이 상부팬(200)의 제 2힌지돌기(350)에 구비된 제 2걸림돌기(360)와 동일한 수직방향에 위치되도록 상 부팬(200)의 상부손잡이(210)를 일정한 각도로 상부로 회동시키면 상부팬(200)의 제 2힌지링(370)에 구비된 제 2삽입홈(380) 또한 하부팬(100)의 제 1힌지돌기(310)에 구비된 제 1걸림돌기(320)와 동일한 수직방향이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제 1삽입홈(340)이 상부팬(200)의 제 2힌지돌기(350) 제 2걸림돌기(360)와 동일한 수직방향에 위치되고, 제 2삽입홈(380) 또한 하부팬(100)의 제 1힌지돌기(310)에 구비된 제 1걸림돌기(320)와 동일한 수직방향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부팬(200)을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면 하부팬(100)의 제 1걸림돌기(320)가 상부팬(200)의 제 2삽입홈(380)을 따라 이송하고, 상부팬(200)의 제 2걸림돌기(360)는 하부팬(100)의 제 1삽입홈(340)을 따라 이송하면서 하부팬(100)의 제 1힌지링(330) 제 1힌지공(331)에서 상부팬(200)의 제 2힌지돌기(350)가 분리되고, 상부팬(200)의 제 2힌지링(370) 제 2힌지공(371)에서 하부팬(100)의 제 1힌지돌기(310)가 분리되면서 용이하게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이 분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을 조립할 경우에는 분리할 때와 역순으로 조립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팬을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팬의 하부팬과 상부팬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팬의 정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팬의 측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팬의 손잡이 고정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팬의 하부팬에서 연기배출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팬의 연기배출구에서 배출밸브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팬의 사용 중 하부팬과 상부팬이 뒤집어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팬의 상부팬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부팬 110 : 하부손잡이
200 : 상부팬 210 : 상부손잡이
300 : 힌지부 310 : 제 1힌지돌기
320 : 제 1걸림돌기 330 : 제 1힌지링
331 : 제 1힌지공 340 : 제 1삽입홈
350 : 재 1힌지돌기 360 : 제 2걸림돌기
370 : 제 2힌지링 371 : 제 2힌지공
380 : 제 2삽입홈
400 : 기름유출방지구 410 : 방지홈
420 : 방지돌기
500 : 연기배출구 510 : 배출돌기
520 : 이송공 530 : 배출밸브
531 : 배출관 532 : 배출캡
533 : 지지돌기 534 : 배출공
600 : 손잡이 고정구 610 : 자성체 삽입홈
620 : 자성체 630 : 개폐마개
700 : 간격유지홈 710 : 받침대 지지돌기
800 : 기름유출방지돌기 810 : 돌기 걸림턱

Claims (9)

  1. 전면에 하부손잡이와 상부손잡이가 각각 구비된 하부팬과 상부팬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의 후면에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이 회동되며 분리되는 힌지부(300)와, 상기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의 테두리에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름유출방지구(400)와, 상기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에 하부팬(100)과 상부팬(200) 내부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기배출구(500)와, 상기 하부손잡이(110)와 상부손잡이(210)를 고정하는 손잡이 고정구(600)를 포함한 양면팬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300)는 하부팬(100)의 일측 후면에 하부팬(100)과 일체로 후방으로 돌출되어 중앙에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 1힌지돌기(310)와;
    상기 제 1힌지돌기(310)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 1걸림돌기(320)와;
    상기 하부팬(100)의 타측 후면에 하부팬(100)과 일체로 후방으로 돌출되어 중앙에 제 1힌지공(331)이 구비된 제 1힌지링(330)과;
    상기 제 1힌지링(330)의 상부에 제 1힌지공(331)과 연통되도록 구비된 제 1삽입홈(340)과;
    상부팬(200)의 일측 후면에 상부팬(200)과 일체로 후방으로 돌출되고, 중앙에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팬(100)의 제 1힌지링(330)에 결합되는 제 2힌지돌기(350)와;
    상기 제 2힌지돌기(350)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 2걸림돌기(360)와;
    상기 상부팬(200)의 타측 후면에 상부팬(200)과 일체로 후방으로 돌출되어 중앙에 상기 하부팬(100)의 제 1힌지돌기(310)가 결합되도록 제 2힌지공(371)이 구비된 제 2힌지링(370)과;
    상기 제 2힌지링(370)의 상부에 제 2힌지공(371)과 연통되도록 구비된 제 2삽입홈(3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와 연기 제거 양면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배출구(500)는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의 중앙에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된 배출돌기(510)와;
    상기 배출돌기(510)의 내부에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이 관통되도록 구비 된 이송공(520)과;
    상기 이송공(520)에 상하로 이송되도록 결합되어 하부팬(100)과 상부팬(200) 내부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 배출밸브(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와 연기 제거 양면팬.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팬(100)은 상부 테두리 내측에 테두리를 따라 하부팬(100)의 테두리보다 높게 상부로 돌출되는 기름유출 방지돌기(800)와;
    상기 상부팬(200)은 하부 테두리 내측에 테두리를 따라 상기 기름유출 방지돌기(800)이 결합되도록 구비된 돌기 걸림턱(8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와 연기 제거 양면팬.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배출구(500)의 배출밸브(530)는 이송공(520)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송되는 배출관(531)과;
    중앙에 관통되어 상기 배출관(531)의 상부에 결합되어 배출돌기(510)의 상단부에 하부가 지지되도록 하부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배출캡(532)과;
    상기 배출관(531)의 하부에 배출관(531)과 일체로 상부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돌기(533)와;
    상기 배출관(531)의 하부 외주면 방사상의 위치에 배출관(53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다수 구비된 배출공(5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와 연기 제거 양면팬.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유출 방지돌기(800)는 하부팬(100) 전면 내측에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높이보다 하부팬(100)의 후면 내측에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높게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하부팬(100) 양측면 내측에 상부로 돌출된 상부 테두리가 후면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며,
    돌기 걸림턱(810)은 기름유출 방지돌기(800)와 대응되도록 상부팬(200)의 전면 내측에 상부로 형성된 걸림턱의 높이보다 후면 내측에 상부로 형성된 걸림턱이 높게 구비되고, 양측면 내측에 상부로 형성된 걸림턱은 후면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와 연기 제거 양면팬.
KR1020080097448A 2008-10-04 2008-10-04 냄새와 연기 제거 양면팬 KR100888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448A KR100888727B1 (ko) 2008-10-04 2008-10-04 냄새와 연기 제거 양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448A KR100888727B1 (ko) 2008-10-04 2008-10-04 냄새와 연기 제거 양면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727B1 true KR100888727B1 (ko) 2009-03-17

Family

ID=40698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448A KR100888727B1 (ko) 2008-10-04 2008-10-04 냄새와 연기 제거 양면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72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1677A (en) * 2010-05-31 2012-01-04 Peter Alan Jefferson Two baking trays connected by a hinge
EP2430957A1 (en) * 2009-05-15 2012-03-21 Pellytech Co., Ltd Cooking pan provided with exhaust device
KR200471850Y1 (ko) 2013-02-28 2014-03-19 류은영 냄새 저감형 조리용기
KR101430343B1 (ko) 2013-01-28 2014-08-13 류은영 냄새 저감형 조리용기
WO2014105908A3 (en) * 2012-12-26 2014-08-14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Cookware set for frying
KR200477785Y1 (ko) * 2014-05-15 2015-07-23 주식회사 로이첸 양면 프라이팬
KR101670635B1 (ko) 2016-05-16 2016-10-28 이영희 양면팬 탈취장치
KR101681448B1 (ko) 2016-04-25 2016-12-01 이영희 팬 탈취장치와 조리후 탈취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254Y1 (ko) 2001-08-06 2001-11-23 이신근 분리식 후라이팬
KR100767797B1 (ko) * 2006-09-22 2007-10-17 서선자 기름유출방지 양면팬
KR100771494B1 (ko) * 2006-05-22 2007-10-31 권석재 냄새 제거용 프라이팬
KR100838558B1 (ko) * 2007-01-26 2008-06-17 주식회사 남선 양면 후라이팬의 밀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254Y1 (ko) 2001-08-06 2001-11-23 이신근 분리식 후라이팬
KR100771494B1 (ko) * 2006-05-22 2007-10-31 권석재 냄새 제거용 프라이팬
KR100767797B1 (ko) * 2006-09-22 2007-10-17 서선자 기름유출방지 양면팬
KR100838558B1 (ko) * 2007-01-26 2008-06-17 주식회사 남선 양면 후라이팬의 밀폐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30957A1 (en) * 2009-05-15 2012-03-21 Pellytech Co., Ltd Cooking pan provided with exhaust device
CN102427750A (zh) * 2009-05-15 2012-04-25 佩利科技有限公司 设置有排气装置的烹饪锅
JP2012526599A (ja) * 2009-05-15 2012-11-01 ペリーテク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排気装置を備えた調理用パン
EP2430957A4 (en) * 2009-05-15 2013-01-09 Pellytech Co Ltd COOKING POT WITH EXHAUST DEVICE
GB2481677A (en) * 2010-05-31 2012-01-04 Peter Alan Jefferson Two baking trays connected by a hinge
WO2014105908A3 (en) * 2012-12-26 2014-08-14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Cookware set for frying
EP3069642A1 (en) * 2012-12-26 2016-09-21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Cookware set for frying
KR101430343B1 (ko) 2013-01-28 2014-08-13 류은영 냄새 저감형 조리용기
KR200471850Y1 (ko) 2013-02-28 2014-03-19 류은영 냄새 저감형 조리용기
KR200477785Y1 (ko) * 2014-05-15 2015-07-23 주식회사 로이첸 양면 프라이팬
KR101681448B1 (ko) 2016-04-25 2016-12-01 이영희 팬 탈취장치와 조리후 탈취방법
KR101670635B1 (ko) 2016-05-16 2016-10-28 이영희 양면팬 탈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727B1 (ko) 냄새와 연기 제거 양면팬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KR100873727B1 (ko) 프라이팬
US20170035245A1 (en) Grill having multi-piece drip pan
KR100771494B1 (ko) 냄새 제거용 프라이팬
KR101546526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조리기구
KR100767797B1 (ko) 기름유출방지 양면팬
KR101430340B1 (ko) 냄새 저감형 양면 팬
KR101035696B1 (ko) 고효율 가스 버너
KR100896198B1 (ko) 양면팬의 가스 밸브판
KR101482500B1 (ko) 열기 및 스팀 가열 방식의 구이용 불판
KR101023681B1 (ko) 양면 후라이팬
KR200409516Y1 (ko) 직화푸라이팬
KR200422882Y1 (ko) 냄새 제거용 프라이팬
KR100664745B1 (ko) 직화 가열식 양면팬
KR200388451Y1 (ko) 냄새확산과 기름유출이 방지되는 생선구이 양면팬
KR20040053051A (ko) 다용도 구이용불판
KR102259170B1 (ko) 회전식 조리기구
KR200359736Y1 (ko) 다용도 구이용불판
KR101046047B1 (ko) 개선된 구조의 구이판 회전안치대를 갖는 구이탁자
KR100717079B1 (ko) 가스버너가 내장된 테이블 및 이에 사용되는 구이판
KR200349018Y1 (ko) 연소공이 형성된 회전식 국솥
KR20090007686U (ko) 구이판
KR101637899B1 (ko) 구이장치
KR101292739B1 (ko) 직화구이 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