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739B1 - 직화구이 팬 - Google Patents

직화구이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739B1
KR101292739B1 KR1020100006886A KR20100006886A KR101292739B1 KR 101292739 B1 KR101292739 B1 KR 101292739B1 KR 1020100006886 A KR1020100006886 A KR 1020100006886A KR 20100006886 A KR20100006886 A KR 20100006886A KR 101292739 B1 KR101292739 B1 KR 101292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ot
plate
passage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460A (ko
Inventor
이흥규
Original Assignee
이흥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규 filed Critical 이흥규
Priority to KR1020100006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739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직화구이 팬은, 배면이 화염과 대면되고, 상면에 조리물이 놓여지는 불판; 상기 조리물이 국부적으로 가열되어 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조리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 또는 냄새를 가열하여 제거하도록, 상기 불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화염 측과 상기 조리물 측을 연결하는 열기의 통로가 되는 단차를 갖는 복수의 열기 통로;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직화구이 팬{ROAST PAN}
본 발명은 화염을 이용하여 요리하는 직화구이 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화구이 팬은 고기나 생선 등을 구울 때 숯이나 가스를 연료로 하여 발생하는 화염을 직접 이용하여 요리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화염이 일부분에 집중되어 음식물이 타는 문제점과 요리시 연기나 냄새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일으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기가 최대한 잘 순환되도록 하여 조리물이 타지 않게 요리될 수 있도록 하고, 직화 요리시 음식물이 타지 않고 골고루 가열될 수 있게 함으로써 음식물이 탈 때 발생하는 연기를 억제할 수 있으며, 요리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공기 순환로를 가열하여 연기나 냄새를 제거할 수 있고, 음식물을 뒤집어 요리할 때에도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직화구이 팬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직화구이 팬은, 배면이 화염과 대면되고, 상면에 조리물이 놓여지는 불판; 상기 조리물이 국부적으로 가열되어 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조리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 또는 냄새를 가열하여 제거하도록, 상기 불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화염 측과 상기 조리물 측을 연결하는 열기의 통로가 되며 서로 단차를 갖는 열기 통로;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직화구이 팬은, 화염과 대면되며 조리물이 놓여지는 제1 불판과, 상기 제1 불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화염 측과 상기 조리물 측을 연결하는 열기의 통로가 되는 제1 열기 통로와, 자중에 의하여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 열기 통로를 개폐하는 제1 개폐 수단을 포함하는 제1 팬; 제2 불판과, 상기 제2 불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2 열기 통로와, 자중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제2 열기 통로를 개폐하는 제2 개폐 수단을 포함하는 제2 팬;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팬이 상기 제1 팬의 상측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개폐 수단은 상기 제1 열기 통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열기가 상기 제2 팬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2 개폐 수단은 상기 제2 열기 통로를 폐쇄하여 연기 또는 냄새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염이 조리물에 직접 접촉되지 않으면서 열기가 최대한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이 타지 않게 요리될 수 있고, 직화 요리시 음식물이 타지 않고 골고루 가열될 수 있으며, 열기 통로들은 서로 높이 단차를 갖고 상기 높이 단차를 갖는 열기 통로들의 단부의 온도 차이에 따라 열기가 순환되면서 연기 또는 냄새가 고온 처리되어 제거되며, 개폐 수단이 마련되어 열기 통로를 개폐하므로 음식물이 탈 때 발생하는 연기를 억제할 수 있고, 열기 순환로 역할을 하는 열기 통로가 전도열에 의하여 고온으로 가열되므로 요리시 발생하는 연기나 냄새가 제거되며, 뚜껑 또는 동일한 형상의 2 개의 직화구이 팬을 커버로 사용하면 음식물을 뒤집어 요리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고른 가열과 연기 및 냄새 제거에 관한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실시예는 개폐 수단 없이 열기 통로만 마련되는 직화구이 팬이다. 도 1은 직화구이 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직화구이 팬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절단선 A1-A1'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직화구이 팬(100)은 불판(50)과 열기 통로(30)를 포함한다. 이는 후술하는 도 4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불판(50)은 배면이 화염과 대면되고 상면에 조리물이 놓여지는 것으로서, 화염의 열기가 전도에 의하여 불판(50)에 전달되거나 후술하는 열기 통로(30)에서 전달되는 화염의 일부 또는 고온으로 가열된 공기를 포함하는 열기의 대류에 의하여 조리물을 가열한다. 이러한 열기의 대류는 조리물을 가열하는 한편, 조리시에 발생하는 연기나 냄새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이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열기 통로(30)는 불판(5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화염 측과 조리물 측을 연결하는 열기의 통로가 되는 것이다. 열기 통로(30)는 복수 개가 마련되며 서로 단차를 가짐으로써, 열기의 자연 순환이 매우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 가열 초기에는 모든 열기 통로(30)를 통하여 열기가 들어오지만 내부가 가열되고 이에 따라 압력 차이가 생기게 되면 높이 단차를 갖는 열기 통로(30)가 마련됨으로써 열기가 들어오는 열기 통로와 열기가 나가는 열기 통로가 서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높은 단차(h2)를 갖는 위치로서 더 높은 곳에 개구가 위치한 열기 통로(도 5의 400)는 온도가 높고 압력이 낮은 상태로서 열기의 유입 통로가 되고, 상대적으로 낮은 단차(h1)를 갖는 위치로서 더 낮은 곳에 개구가 위치한 열기 통로(도 5의 300)는 온도가 더 낮고 압력이 높은 상태로서 열기의 배출 통로가 되며, 이 열기 통로(300)를 통하여 배출된 열기는 받침대(20)를 따라 순환하면서 다른 열기 통로(400)을 통하여 직화구이 팬(100)의 내부로 재유입되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압력 차이가 반대로 형성되어 열기 통로(400)을 통하여 열기가 배출되고 열기 통로(300)을 통하여 열기가 유입되는 실시예도 가능할 수 있다.
열기 통로(30)가 마련되면 화염을 골고루 분산시키고 불판(50)의 가장자리의 온도도 중앙부의 온도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조리물이 국부적으로 가열되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나 냄새가 열기 통로(30)를 빠져나가면서 고온 처리되어 제거되거나, 돌출벽(31) 주변의 연기나 냄새가 돌출벽(31)에 의하여 고온 처리되어 제거되거나, 열기 통로(30)를 미처 빠져나가지 못하고 돌출벽(31)에 잔류하는 냄새나 연기는 열기 통로(30)를 통하여 유입되는 화염과 접촉되어 연소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열기 통로(30)는 불판(50)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벽(31)에 의하여 형성된다. 외벽(42)은 불판(50)의 주위를 감싸며 직화구이 팬(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불판(50)을 감싸는 외벽(42)과 돌출벽(31) 사이의 빈 공간이 열기 통로(3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불판(5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외벽(42)과, 외벽(42)으로부터 연장되는 제연벽(43)이 마련되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제연벽(43)은 외벽(42) 및 불판(50)의 가장자리가 교차되는 위치로부터 불판(50)의 배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열기 통로(30)를 통하여 유입 또는 유출되는 연기 또는 냄새를 가열 제거한다.
열기 통로(30)는 제1 구멍(310)과 제2 구멍(320)을 구비한다. 제1 구멍(310)은 돌출벽(31)의 상측에 개구된 부분으로서 조리물 측을 향하여 개구된다. 제2 구멍(320)은 제1 구멍(310)과 연통되는 것으로서, 돌출벽(31)의 하측에 개구된 부분이며, 화염측을 향하여 개구된 부분이다.
직화구이 팬(100)이 뚜껑(100b)으로 사용되는 경우 제1 구멍(도 8의 310')은 하측을 향하며 연기 또는 냄새의 배출구가 되고 제2 구멍(도 8의 320')은 제1 구멍(310')의 상측에 배치되며, 개폐 수단에 의하여 폐쇄된다.
받침대(20)는 불판(50)의 배면에 이격 배치되는 것이다. 받침대(20)는 화염 구멍(10)과 주름부(22)를 구비한다. 화염 구멍(10)은 화염이 인입되는 곳으로 화염을 향하여 개구된 중앙 부분이다. 화염 구멍(10)의 주변으로부터 불판(50)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은 열기 통로(30)를 덮어 서로 다른 열기 통로(300,400)들 사이의 열기 순환 경로가 될 수 있다.
받침대(20)의 강성을 보강하고 연소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화염 구멍(10)의 가장자리는 받침대(20)의 일부를 반복하여 절곡시킨 주름부(22)가 마련된다.
받침대(20)는 외부로 확산되는 열을 차단하여 연소 효율을 높이는 효과와 열기 통로(30)에서 배출되는 잔류 냄새를 고온으로 연소시켜 제거하는 기능도 겸한다.
본 발명의 직화구이 팬(100)에서 열기의 이동 경로는 도 3에 참조 부호 C1으로 도시되었다. 열기는 화염, 받침대(20), 열기 통로(30)를 거쳐 직화구이 팬(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뚜껑(90)을 닫고 조리하는 경우 불판(50)에 의한 직접 가열 이외에 열기 통로(30)로 유입된 열기의 대류에 의하여 조리물이 고르게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직화구이 팬(100)의 내부에서 발생한 연기나 냄새는 열기 통로(30)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게 되는데 열기 통로(30), 돌출벽(31), 받침대(20)에 의하여 고온으로 가열됨으로써 연기 또는 냄새가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 실시예는 개폐 수단으로서 밸브 부재가 마련되는 직화구이 팬이다. 도 4 및 도 5는 사시도이고, 도 6은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절단선 A2-A2'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동일한 형상의 2 개의 직화구이 팬을 준비하여 그 중 하나인 제1 팬(100a)을 조리용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하나인 제2 팬(100b)을 뚜껑으로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개폐 수단은 열기 통로(30)를 개폐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개폐 수단은 불판(50)의 상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놓여진 제1 위치에서는 열기 통로(30)를 개방함으로써 불판(50)의 배면에서 유입되는 열기가 불판(50)의 상면(직화구이 팬(100)의 내부)을 향하여 유입되도록 하고, 불판(50)의 배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놓여진 제2 위치에서는 열기 통로(30)를 폐쇄함으로써 연기나 냄새가 열기 통로(30)를 통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개폐 수단은 자중에 의하여 이동되며, 불판(50)의 자세에 따라 자동으로 열기 통로(30)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제2 실시예에서 도시된 개폐 수단은 밸브 부재(60)이다. 밸브 부재(60)는 제1 구멍(310)에 위치한 밸브 스토퍼(64) 및 제2 구멍(320)에 위치한 밸브 패킹(62)을 구비한다. 제2 구멍(320)이 화염 측으로 대향되면 밸브 패킹(62)이 제2 구멍(320)을 개방하는 위치로 자중에 의하여 이동되며 밸브 스토퍼(64)가 제1 구멍(310)에 걸려 밸브 패킹(62)의 이동 거리가 규제된다. 이때는 열기가 직화구이 팬(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제2 구멍(320)이 불판(50)의 상측으로 노출되면 밸브 패킹(62)이 제2 구멍(320)을 폐쇄하는 위치로 자중에 의하여 이동된다. 이때는 직화구이 팬(100) 내부의 연기 또는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차단되는 유동은 참조 부호 C2로 표시하였다.
밸브 부재(6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제1 구멍(310)은 밸브 스토퍼(64) 주변에 빈 공간을 포함하는 장공 형상이고, 제2 구멍(320)은 밸브 패킹(62)과 형합되는 진원 형상이다.
한편, 연기 또는 냄새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한 특수한 구조도 마련된다. 즉, 열기 통로는 불판(5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배치되며, 각각의 열기 통로들은 서로 높이 단차를 갖는다. 예를 들어 참조부호 300으로 표시된 열기 통로를 형성하는 돌출벽(31)의 높이는 h1이고, 참조부호 400으로 표시된 열기 통로를 형성하는 돌출벽(31)의 높이는 h2로서 h1~h2에 해당하는 높이 단차가 각각의 열기 통로들(300,400) 사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높이 단차를 갖는 열기 통로들(300,400)의 단부(돌출벽(31)의 단부)의 온도 차이에 따라 공기가 순환되면서 연기 또는 냄새가 고온 처리되어 제거된다. 연기 또는 냄새의 순환 경로를 예시하면, 열기 통로(300), 불판(50)의 상부 공간, 열기 통로(400, 받침대(20), 열기 통로(300)을 반복하면서, 연기 또는 냄새가 고온 가열되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이다. 도 9 및 도 10은 사시도이고, 도 11은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절단선 A3-A3'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동일한 형상의 2 개의 직화구이 팬을 준비하여 그 중 하나인 제1 팬(100a)을 조리용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하나인 제2 팬(100b)을 뚜껑으로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에서 개폐 수단은 볼(70)과 돌기(330)를 포함한다. 볼(70)은 제1 구멍(310) 및 제2 구멍(320) 사이를 자중에 의하여 이동하며 열기 통로(30)를 개폐하고, 돌기(330)는 열기 통로(30)를 형성하는 돌출벽(31)의 내부에 돌출되어 볼(70)의 이동 거리를 규제하며 볼(70)의 이탈을 방지한다.
제2 구멍(320)이 화염 측으로 대향되면 볼(70)이 자중에 의하여 이동되며 제1 구멍(310) 및 제2 구멍(320)을 개방하여 열기가 직화구이 팬(10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여기서 돌기(330)가 볼(70)의 하부에 접촉 간섭됨으로써 볼(70)이 제2 구멍(3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반면에 제2 구멍(320)이 불판(50)의 상측으로 노출되면 볼(70)이 자중에 의하여 이동되며 제1 구멍(310)을 폐쇄한다. 이때, 직화구이 팬(100) 내부의 연기 또는 냄새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차단되는 유동은 참조부호 C2로 표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제1 구멍(310)은 볼(70)의 외주와 형합되는 진원 형상이고, 제2 구멍(320)은 볼(70) 주변의 빈 공간을 포함하는 장공 형상이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90)을 사용하는 실시예도 가능하지만 도 8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팬(100a) 및 제2 팬(100b)을 함께 사용하는 실시예는 조리물을 수시로 뒤집어 조리하기 매우 편리하다. 뚜껑(90) 또는 2 개의 팬(100a,100b)이 형합되는 부분에는 실링부(40)가 마련되어 열기 또는 냄새의 외부 유출을 방지한다.
제1 팬(100a)은 화염과 대면되며 조리물이 놓여지는 제1 불판(50)과, 제1 불판(5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화염 측과 조리물 측을 연결하는 열기의 통로가 되는 제1 열기 통로(30)와, 자중에 의하여 이동됨으로써 제1 열기 통로(30)를 개폐하는 제1 개폐 수단을 포함한다.
제2 팬(100b)은 제2 불판(50)과, 제2 불판(5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2 열기 통로(30)와, 자중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제2 열기 통로(30)를 개폐하는 제2 개폐 수단을 포함한다. 제2 팬(100b)이 제1 팬(100a)의 상측을 덮은 상태에서 제1 개폐 수단은 제1 열기 통로(30)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열기가 제2 팬(100b)의 내부로 유입되고 제2 개폐 수단은 제2 열기 통로(30)를 폐쇄하여 연기 또는 냄새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화염 구멍 20...받침대
22...주름부 30...열기 통로
31...돌출벽 310,3100...제1 구멍
320,3200...제2 구멍 330...돌기
40...실링부 42...외벽
50...불판 52...기름 구멍
60...밸브 부재 62...밸브 패킹
64...밸브 스토퍼 70...볼
90...뚜껑 100...직화구이 팬
100a...제1팬 100b...제2팬

Claims (13)

  1. 삭제
  2. 배면이 화염과 대면되고, 상면에 조리물이 놓여지는 불판; 및
    상기 불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배치되며, 서로 다른 높이 단차를 갖고,
    상기 화염 측과 상기 조리물 측을 연결하는 열기의 통로가 되는 열기 통로;를 포함하는 직화구이 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외벽;
    상기 외벽 및 상기 불판의 가장자리가 교차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불판의 배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열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 또는 유출되는 연기 또는 냄새를 가열 제거하는 제연벽; 을 포함하는 직화구이 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의 배면에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화염을 향하여 노출되는 화염 구멍을 중앙에 구비하며, 상기 화염 구멍의 주변으로부터 상기 불판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연장되는 받침대; 를 포함하는 직화구이 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 구멍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받침대의 일부를 반복하여 절곡시킨 주름부가 마련되는 직화구이 팬.
  6. 배면이 화염과 대면되고, 상면에 조리물이 놓여지는 불판; 상기 불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사이 화염 측과 상기 조리물 측을 연결하는 열기의 통로가 되는 열기통로를 포함하는 직화구이 팬에 있어서,
    상기 불판의 상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놓여진 제1 위치에서는 상기 열기 통로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불판의 배면의 열기가 상기 불판의 상면을 향하여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불판의 배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놓여진 제2 위치에서는 상기 열기 통로를 폐쇄함으로써 연기나 냄새가 상기 열기 통로를 통하여 상기 불판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개폐 수단; 을 포함하는 직화구이 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수단은 자중에 의하여 상기 열기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직화구이 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 통로는 상기 조리물 측을 향하여 개구된 제1 구멍과, 상기 불판의 배면 측으로 개구되며 상기 제1 구멍과 연통되는 제2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 수단은 상기 제1 구멍에 위치한 밸브 스토퍼 및 상기 제2 구멍에 위치한 밸브 패킹을 구비하는 밸브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구멍이 상기 화염 측으로 대향되면 상기 밸브 패킹이 상기 제2 구멍을 개방하는 위치로 자중에 의하여 이동되며 상기 밸브 스토퍼가 상기 제1 구멍에 걸려 상기 밸브 패킹의 이동 거리가 규제되고,
    상기 제2 구멍이 상기 불판의 상측으로 노출되면 상기 밸브 패킹이 상기 제2 구멍을 폐쇄하는 위치로 자중에 의하여 이동되는 직화구이 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멍은 상기 밸브 스토퍼 주변에 빈 공간을 포함하는 장공 형상이고,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밸브 패킹과 형합되는 진원 형상인 직화구이 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 통로는 상기 조리물 측을 향하여 개구된 제1 구멍과, 상기 불판의 배면 측으로 개구되며 상기 제1 구멍과 연통되는 제2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 수단은 상기 제1 구멍 및 상기 제2 구멍 사이를 자중에 의하여 이동하는 볼 및 상기 열기 통로를 형성하는 돌출벽의 내부에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구멍이 상기 화염 측으로 대향되면 상기 볼이 자중에 의하여 이동되며 상기 제1 구멍 및 상기 제2 구멍을 개방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볼의 하부에 접촉 간섭됨으로써 상기 볼이 상기 제2 구멍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2 구멍이 상기 불판의 상측으로 노출되면 상기 볼이 자중에 의하여 이동되며 상기 제1 구멍을 폐쇄하는 직화구이 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멍은 상기 볼의 외주와 형합되는 진원 형상이고,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볼 주변의 빈 공간을 포함하는 장공 형상인 직화구이 팬.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 통로는,
    상기 불판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벽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돌출벽의 상측에 개구된 부분으로서 상기 조리물 측을 향하여 개구된 제1 구멍과, 상기 돌출벽의 하측에 개구된 부분으로서 상기 화염 측을 향하여 개구되며 상기 제1 구멍과 연통되는 제2 구멍을 포함하는 직화구이 팬.
  13. 화염과 대면되며 조리물이 놓여지는 제1 불판과, 상기 제1 불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화염 측과 상기 조리물 측을 연결하는 열기의 통로가 되는 제1 열기 통로와, 자중에 의하여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 열기 통로를 개폐하는 제1 개폐 수단을 포함하는 제1 팬;
    제2 불판과, 상기 제2 불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2 열기 통로와, 자중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제2 열기 통로를 개폐하는 제2 개폐 수단을 포함하는 제2 팬;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팬이 상기 제1 팬의 상측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개폐 수단은 상기 제1 열기 통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열기가 상기 제2 팬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2 개폐 수단은 상기 제2 열기 통로를 폐쇄하여 연기 또는 냄새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직화구이 팬.
KR1020100006886A 2010-01-26 2010-01-26 직화구이 팬 KR101292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886A KR101292739B1 (ko) 2010-01-26 2010-01-26 직화구이 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886A KR101292739B1 (ko) 2010-01-26 2010-01-26 직화구이 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460A KR20110087460A (ko) 2011-08-03
KR101292739B1 true KR101292739B1 (ko) 2013-08-05

Family

ID=44926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886A KR101292739B1 (ko) 2010-01-26 2010-01-26 직화구이 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7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430A (ko) * 1999-09-06 2001-04-06 옥재섭 직화 구이팬
KR200255004Y1 (ko) * 2001-07-27 2001-12-01 옥재섭 직화가열팬
KR200397565Y1 (ko) * 2005-07-12 2005-10-05 옥재섭 직화가열팬
KR200409516Y1 (ko) * 2005-11-21 2006-02-24 옥재섭 직화푸라이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430A (ko) * 1999-09-06 2001-04-06 옥재섭 직화 구이팬
KR200255004Y1 (ko) * 2001-07-27 2001-12-01 옥재섭 직화가열팬
KR200397565Y1 (ko) * 2005-07-12 2005-10-05 옥재섭 직화가열팬
KR200409516Y1 (ko) * 2005-11-21 2006-02-24 옥재섭 직화푸라이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460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JP5906211B2 (ja) 加熱調理容器
KR101965359B1 (ko) 화기조절판을 구비한 조리용기
KR101546526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조리기구
KR200471229Y1 (ko) 찜겸용 구이팬 직화용기
CA3101542A1 (en) Air circulation system and method
KR20130126884A (ko) 직화구이용 불판의 수냉식 기름받이
KR101430340B1 (ko) 냄새 저감형 양면 팬
KR101993792B1 (ko) 열순환 및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101292739B1 (ko) 직화구이 팬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KR101489691B1 (ko)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
KR20100001028U (ko) 직화구이기
KR20170011040A (ko) 간접열 오리 구이기
KR101557810B1 (ko) 육류 구이기
KR200409516Y1 (ko) 직화푸라이팬
KR102008011B1 (ko) 숯불 로스터
KR101643988B1 (ko)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200413907Y1 (ko) 직화 조리가 가능한 다목적 조리기기
KR200179567Y1 (ko) 숯을 사용하는 구이장치
KR200471850Y1 (ko) 냄새 저감형 조리용기
KR101935866B1 (ko) 열순환 및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20130001752A (ko) 외통과 솥에 뚜껑이 결합된 다기능 만능솥
KR20190113168A (ko) 구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