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984A - 직화 조리기 - Google Patents

직화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984A
KR20110003984A KR1020090061546A KR20090061546A KR20110003984A KR 20110003984 A KR20110003984 A KR 20110003984A KR 1020090061546 A KR1020090061546 A KR 1020090061546A KR 20090061546 A KR20090061546 A KR 20090061546A KR 20110003984 A KR20110003984 A KR 20110003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lid
plate
male screw
reflec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to KR1020090061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984A/ko
Publication of KR20110003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9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47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gas burners
    • A47J37/0652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gas burners with refl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통구를 통해 올라오는 화염을 반사하는 반사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조리물의 크기에 따라 반사되는 거리를 가변시킴으로써 조리물의 알맞은 요리를 가능하케 한 직화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화 조리기{direct fire cooker}
본 발명은 열통구를 통해 올라오는 화염을 반사하는 반사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조리물의 크기에 따라 반사되는 거리를 가변시킴으로써 조리물의 알맞은 요리를 가능하케 한 직화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종래 직화 조리기로서, 예컨대 한국특허등록(제10-0869185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 직화 조리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열통구(12)가 관통 형성되며 이 열통구(12)의 둘레에 받침대(11)가 직립 내설되는 낮은 홈(14)을 구비한 기름받이(10)와, 중앙에 부착구멍(32)이 뚫려지며 외측 테두리 영역을 따라 기름배출구(31)가 등간격으로 타공되어 상기 받침대(11) 위에 세팅되는 구이판(30)과, 상기 기름받이(1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부착구멍(32)에 결합되어 가열장치의 열기를 유도하면서 상승 통과시키는 열유입관(20)과, 상기 구이판(30)에 씌워지는 반구형 뚜껑(60)으로 구성하여 있다.
그런데, 열유입관(20)을 경유하여 유입된 화염이 보다 적극적으로 조리물(70)에 가해질 수 있도록 순환 대류되어야 하는데 뚜껑(60)의 구조상 미흡함이 있고, 아울러 뚜껑(60)을 사용치 않을 경우 구이판(30)의 부착구멍(32)을 통하여 화염이 불필요하게 상승되어 조리물(70)의 다양한 구이를 실현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직화 조리기로서, 한국등록특허(제10-0869185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 다른 직화 조리기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통구(12)의 주위로 낮은 홈(14)을 구비한 기름받이(10)와, 상기 기름받이(10) 위에 세팅되어 상기 열통구(12)를 경유한 화염을 유입시키는 열유입구(32)를 구비한 구이판(30)과, 상기 구이판(30)에 씌워지는 반구형 뚜껑(60)과, 상기 뚜껑(60)의 천정에 조립된 반사판(80)과, 상기 열유입구(32)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돌출 테두리(32b)에 착탈 가능하게 씌워지는 캡(90)을 포함한다.
열유입구(32)를 경유한 화염을 분수형으로 회절 복사 대류 순환시키는 반사판(80)에 의해 조리물(70)을 입체적으로 고르게 구울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리시간의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기름받이(10)의 열통구(12)로부터 유입된 화염이 캡(90)의 상면(91)에 부딪히면서 하향식 화염통로(92a)를 경유하여 샤워형태로 낙하 통과될 수 있도록 하여 구이판(30)의 전도열에 의해 익혀지던 조리물(70)이 샤워식 화염을 함께 받아 구워질 수 있게 되어 기름의 부분적 일소는 물론이거니와 더욱 맛있는 조리를 가능 케 할 수 있다.
그러나, 반사판(80)이 뚜껑(60)에 고정되어 있어, 조리물과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요리가 잘 안 되고, 너무 가까이에 있으면 그 부분을 태우는 경향이 있어 오히려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애물단지가 될 수 있다.
또한, 뚜껑(60)의 가장자리 내측이 구이판(30)의 가장지리 외측을 감싸도록 덮여지기 때문에, 뚜껑(60)과 구이판(30) 사이로 비산하는 기름이 누출될 우려가 크고, 기름이 누출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뜨거운 기름받이에 묻어 반응하여 심한 연기가 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리물에 가까이 또는 멀리 이동시켜 조리물의 크기에 따른 최적의 반사열을 조사할 수 있는 직화 조리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직화 조리기는,
바닥에 열통구가 형성되는 기름받이; 상기 기름받이에 놓이며 열유입구가 형성되는 구이판; 상기 열통구의 열을 상기 열유입구로 안내하는 열안내관; 상기 구이판을 덮는 뚜껑; 상기 뚜껑의 안쪽에 배치되는 반사판; 상기 뚜껑에 대해 상기 반사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리물의 크기(높이)에 따라 유입되는 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조리물을 태우지 않고 맛있게 조리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직화 조리기는,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뚜껑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배치되는 수나사바와, 상기 수나사바의 상측을 비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채 상기 뚜껑에 지지되는 지지편과, 상기 반사판에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바에 체결되는 암나사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승강부재의 구성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직화 조리기는,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뚜껑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배치되는 수나사바와, 상기 수나사바의 상측을 비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채 상기 뚜껑에 지지되는 지지편과, 상기 반사판을 지지한 채 상기 수나사바에 대해 승강하도록 상기 수나사바에 체결되는 승강너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반사판의 하방 이탈을 확실히 방지하면서 승강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반사판이 열유입구 측에 배치되어 반사판와 구이판 사이의 간극이 좁혀져 유입되는 직화열을 바로 구이판으로 전달할 수 있고, 뚜껑에 달려 있지 않아 뚜껑의 청소가 용이하고 뚜껑으로의 열전달이 휠씬 줄어든다.
또한, 반사판의 승강 조절로 인해, 조리물의 크기(높이)에 따라 유입되는 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조리물을 태우지 않고 맛있는 요리를 한다.
또한, 열유입구에 기둥관을 꼽기만 하면 지지되어 설치가 쉽고, 기둥관의 높이만큼 열유출구가 구이판의 상면(특히 구이물의 위쪽)보다 높은데 위치하여 구이물에 방해받지 않으면서 구이판 전체로의 열분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고정인 수나사부와 가동인 암나사부의 간단한 승강 구조로 인해 성형이 쉽다.
또한, 승강너트를 사용함으로써, 반사판을 안정적으로 이탈을 방지하면서 승강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화 조리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반사판이 접근 또는 퇴거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직화 조리기(100)는 기름받이(110)와, 기름받이(110)에 놓이는 구이판(130)과, 기름받이(110)와 구이판(130)의 열통로를 구성하는 열안내관(120)과, 구이판(130)을 덮는 뚜껑(160)과, 구이판(130)에 배치 설치되는 반사판(180)으로 구성하여 있다.
기름받이(110)는 바닥(111), 바닥(111)에서 위로 연장되는 외측벽(115), 바닥(111)의 중심에 형성되는 열통구(112)가 형성되는 내측벽(113)으로 구성하여 있다.
내측벽(113)과 외측벽(115) 사이에는 기름을 받는 평탄하거나 오목한 기름받이홈(114)을 구성한다.
내측벽(113)의 높이는 기름받는 양에 따라 정해지지만 외측벽(115)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벽(115)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관통공(117)이 형성되어 후술된 기름배출공(131)과 외부와의 순환 통로의 역할을 한다.
구이판(130)의 중심에는 열통구(112)의 열을 유입되는 열유입구(132)가 형성되어 있다.
구이판(130)의 열유입구(132)와 가장자리 사이에는 기름받이홈(114)으로 기름을 배출하는 기름배출공(131)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 기름배출공(131)이 있는 위치에 조리물이 올려져 요리된다.
또한, 구이판(130)의 가장자리에는 뚜껑(160)의 하단가장자리(164)가 안착되는 안착턱(134)과, 외측벽(115)의 상단테두리에 걸쳐 지지되는 걸림지지턱(136)이 절곡 형성되는 측벽(133)을 갖는다.
따라서, 뚜껑(160)이 구이판(130)의 측벽(133)에 안착되고, 걸림지지턱(136)이 기름받이(110)의 상부를 커버링하는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비산하는 기름이 기름받이(110) 쪽으로 누출되지 않아 조리 환경이 매우 좋다. 즉 기름이 뜨거운 기름받이(110)에 묻어 연기 나지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뚜껑(160)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반사판(180)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 반사판(180)은 승강부재(190)에 의해 조리물에 접근 또는 퇴거하도록 하여 타지 않고 잘 익은 요리를 할 수 있게 도와준다.
승강부재(19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160)의 강화플라스 틱 투시창(161)에 형성된 관통공(163)에 삽입 배치되는 수나사바(191)와, 이 수나사바(191)를 뚜껑(160)에 지지시키는 지지편(195)과, 반사판(180)의 관통공(183)에 형성된 암나사부(193)로 구성하여 있다.
따라서, 반사판(180)을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수나사바(191)을 타고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한다.
이때, 수나사바(191)가 관통공(161)에서 상하로 움직이지 않게 삽입하여도 좋지만, 체결너트(194)로 체결하여 수나사바(191)의 상하 흔들림을 확실히 방지하는 게 좋다.
이처럼, 반사판(180)의 관통공(183)에 암나사를 가공하면 승강 구조를 간단히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9와 같이 반사판(180)의 관통공(183)에 암나사를 가공하지 않고, 별도의 승강너트(294)를 이용하여 반사판(18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즉, 반사판(180) 아래의 수나사바(191)에 체결된 승강너트(294)를 조이면 승반사판(180)을 밀어 올리고, 풀면 중력에 의해 반사판(180)이 내려오는 구조이다.
이러한 승강너트(294)의 구성에 의해, 반사판(180)이 임의로 수나사바(191)에 빠질 우려가 없다. 왜냐하면, 반사판(180)이 승강너트(294)를 누르고 있어 나사간의 결합력이 도 7 및 도 8과 같이 그냥 체결되는 것보다 더 커서 나사풀림방지효율이 높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직화열로 조리하는 조리기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직화 조리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다른 직화 조리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뚜껑을 제거한 상태의 또다른 직화 조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화 조리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반사판이 접근 또는 퇴거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가 적용된 직화 조리기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직화조리기 110 : 기름받이
111 : 바닥 112 : 열통구
113 : 내측벽 114 : 기름받이홈
115 : 외측벽 116 : 상단테두리
117 : 순환관통공 120 : 열안내관(수렴관)
121 : 제1열안내관 123 : 보조열통구
125 : 제2열안내관 130 : 구이판
131 : 기름배출공 132 : 열유입구
134 : 뚜껑안착턱 136 : 걸림지지턱
160 : 뚜껑 161 : 투시창
163 : 관통공 180 : 반사판
183 : 관통공 190 : 승강부재
191 : 수나사바 193 : 암나사부
194 : 체결너트 195 : 지지편
197 : 이송너트 294 : 승강너트

Claims (3)

  1. 바닥에 열통구가 형성되는 기름받이;
    상기 기름받이에 놓이며 열유입구가 형성되는 구이판;
    상기 열통구의 열을 상기 열유입구로 안내하는 열안내관;
    상기 구이판을 덮는 뚜껑;
    상기 뚜껑의 안쪽에 배치되는 반사판;
    상기 뚜껑에 대해 상기 반사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직화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뚜껑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배치되는 수나사바와, 상기 수나사바의 상측을 비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채 상기 뚜껑에 지지되는 지지편과, 상기 반사판에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바에 체결되는 암나사부로 구성되는 직화 조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뚜껑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배치되는 수나사바와, 상기 수나사바의 상측을 비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채 상기 뚜껑에 지지되는 지지편과, 상기 반사판을 지지한 채 상기 수나사바에 대해 승강하도록 상기 수나사바에 체결되는 승강너트로 구성되는 직화 조리기.
KR1020090061546A 2009-07-07 2009-07-07 직화 조리기 KR20110003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546A KR20110003984A (ko) 2009-07-07 2009-07-07 직화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546A KR20110003984A (ko) 2009-07-07 2009-07-07 직화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984A true KR20110003984A (ko) 2011-01-13

Family

ID=4361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546A KR20110003984A (ko) 2009-07-07 2009-07-07 직화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39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8905A1 (ko) * 2012-05-07 2013-11-14 주식회사 해피콜 직화구이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8905A1 (ko) * 2012-05-07 2013-11-14 주식회사 해피콜 직화구이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KR101445230B1 (ko) 오븐 조리기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JP2014171857A (ja) 電気焼き器
CA3028520C (en) Cooking range
KR20110003984A (ko) 직화 조리기
KR101045571B1 (ko) 직화 조리기
KR101117087B1 (ko) 빵구이팬을 이용한 제빵용 오븐
KR101131541B1 (ko) 직화 조리기
KR200420729Y1 (ko) 대형 솥 거치대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100937956B1 (ko) 간편 조리기
KR100956115B1 (ko) 간편 조리기
CA3070126A1 (en) Multi-level gas burner having ultra low simmer
KR20110092771A (ko) 직화 오븐
KR101073460B1 (ko) 직화 오븐
KR20110003628U (ko) 구이판 및 이를 이용한 간편 조리기
KR102348934B1 (ko) 고기 구이판
KR101177025B1 (ko) 간편 조리기용 기름받이 세트
KR20090127849A (ko) 간편 조리기
KR101901762B1 (ko) 언더 레인지용 불판
KR20100123005A (ko) 직화 조리기
KR20100123006A (ko) 직화 조리기
KR20110015726A (ko) 조리뚜껑 및 이를 이용한 직화 조리기
KR101090985B1 (ko) 간편 조리기용 기름받이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