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446Y1 -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 - Google Patents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446Y1
KR200471446Y1 KR2020120004871U KR20120004871U KR200471446Y1 KR 200471446 Y1 KR200471446 Y1 KR 200471446Y1 KR 2020120004871 U KR2020120004871 U KR 2020120004871U KR 20120004871 U KR20120004871 U KR 20120004871U KR 200471446 Y1 KR200471446 Y1 KR 2004714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heat source
rotating shaft
shaf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8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652U (ko
Inventor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이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희 filed Critical 이진희
Priority to KR20201200048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44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6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652U/ko
Priority to JP2013003284U priority patent/JP3185558U/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4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4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의 조리 정도에 의해 구이판에 조리되는 음식물에 가해지는 열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로스터의 하부 베이스부에 연결된 연결봉에 결합된 회전축을 통해 구이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열원체를 좌우이동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축(1); 상기 회전축(1) 외부를 둘러싸는 케이스(2); 상기 회전축(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1)에 형성된 유도홈(3); 상기 회전축(1)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회전축(1)에 형성된 리미트홈(4); 상기 케이스(2)와 상기 회전축(1) 사이에 형성된 고정용 홈(5); 상기 회전축(1)에 대향하여 상기 회전축(1)에 설치된 스위치(6); 상기 회전축(1) 내벽에 구비되어 스위치(1)를 유발하는 유발부(7); 및 상기 회전축(1)의 내부와 상기 유발부(7)를 연결하는 유발홈(8)을 포함하여, 복사열의 방향을 조리할 음식의 특성에 따라 조정하여 각종 음식의 조리법에 의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고, 환형 유도홈(3)을 이용하여 열원체 이동 후 기타 구역으로의 열량 이동을 방지하여 잠재적인 위험을 회피한다.

Description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Device for horizontally moving upper heater of roaster}
본 고안은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의 조리 정도를 감안하여 구이판에 조리되는 음식물에 가해지는 열량과 사용자의 필요 환경에 따라 상부 발열체의 좌우 위치 변경을 할 수 있게 하는 방향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로스터의 하부 베이스부에 연결된 연결 봉과 이에 결합된 회전축을 통해 구이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열원체를 좌우이동시키는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熱)이 전달되는 메카니즘은 전도(Conduction)와 대류(Convection) 및 복사(Radiation)로 대별되는 바, 전도열은 주로 고체에 의해 전달되고 대류열은 주로 유체에 의해 전달된다. 그리고, 복사열은 어떤 발열체의 표면으로부터 전자파 형태의 에너지가 방출되는 과정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것으로서, 매질이 없는 상태에서도 열(熱)이 빛의 속도로 방출되어 피사체까지 직접 전달된다. 이러한 복사열의 파장 범위는 적외선에서부터 가시광선 영역을 거쳐 파장이 가장 짧은 자외선의 영역에까지 이른다. 그러나, 가시광선이나 자외선에 비해 원적외선과 근, 중 적외선과 같은 적외선 파장영역 대가 가장 강한 열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로스터의 열원체는 하부에 위치해 있으며, 로스터의 열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열원을 구이판 위치와 가깝게 설치하거나, 열원을 기기내부에 설치함으로써, 가열시 높은 온도의 열을 직접 구이판에 가하기에 식지 않은 온도가 지속적으로 음식에 가열된다. 이로 인해 구이판이 과도하게 가열됨으로써 음식이 타거나 음식의 맛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만약 숯 (목탄)이 열원일 경우 열의 높고 낮음은 목탄 수량과 가열 지속시간과 직접 관계되기 때문에 조리 작업자는 부단히 시식 속도를 가늠하여 조리되는 음식물을 뒤집거나 휘저어야 한다. 이런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조리법에 대한 상당한 경험을 요구한다.
또한, 기존의 로스터는 대부분 하부 본체의 윗부분에 안치한 그릴(석쇠)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을 채용한다.
상기 기존 로스터의 열원체는 하부 본체와 그릴 사이에 열원을 설치하며 열원으로는 일반적으로 전기나 숯(목탄)을 이용한다. 이런 방식은 열이 구이판 주변 온도의 승강에 따라 승강하며 승강한 열을 이용하여 구이판에 안치한 음식을 조리한다. 이러한 하부 열원체를 채용하는 방식은 아래와 같은 결함이 있다.
열원과 구이판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된 구조이기 때문에 열 전달을 높이기 위해 열원체의 조립방향이 최대로 그릴 밑부분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설치한다. 전기방식의 로스터는 열원체 조정의 지연성으로 음식이 익은 후 전원을 오프시키더라도 열원으로부터 잔존한 열은 지속적으로 음식에 작용되므로 음식이 타는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열원체가 하부에 설치된 이유로 열원체로부터 방출한 열이 그릴을 통해 음식에 작용하므로 사용자는 음식의 익은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으며 과도한 가열로 인하여 음식이 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조리되는 음식 맛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하부 열원체를 채용하는 로스터의 결함을 개선하기 위해 기존에도 상부 열원체를 구비한 로스터가 개시되었으며, 동시에 상부 열원체를 좌우 이동시켜 열원으로부터 구이판에 전달되는 복사열의 방향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 열원체를 좌우 이동시켜 열원으로부터 구이판에 전달되는 복사열의 방향을 조리할 음식의 특성에 따라 조정하여 각종 음식의 조리법에 의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조리 도중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발열 위치 조절을 통하여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는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회전축에 의해 좌우 회전하는 좌우이동장치를 통하여 상부 열원체를 좌우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고정 배치할 수 있는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는 하부베이스부(100), 상기 하부베이스부(100)의 상단에 구비되는 구이판(200), 상기 구이판(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열원체(400), 및 상기 상부 열원체(400)의 내측에 위치되어 구이판(200)측으로 열을 전달하는 열원(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스터(1000)에 적용되어, 상기 상부 열원체(400)를 좌우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 장치(300)에 있어서, 상기 좌우 이동 장치(300)는 회전축(1); 상기 회전축(1) 외부를 둘러싸는 케이스(2); 상기 회전축(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1)에 형성된 유도홈(3); 상기 회전축(1)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회전축(1)에 형성된 리미트홈(4); 상기 케이스(2)와 상기 회전축(1) 사이에 형성된 고정용 홈(5); 상기 회전축(1)에 대향하여 상기 회전축(1)에 설치된 스위치(6); 상기 회전축(1)에 형성되어 스위치(1)를 유발하는 유발부(7); 및 상기 회전축(1)의 내부와 상기 유발부(7)를 연결하는 유발홈(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회전축(1)의 회전을 제한하는 리미트홈(4)에는 볼록대(9)가 설치해 있고, 상기 케이스(2)에는 볼록대(9)가 전부 설치되어 있고, 전부 부합한 회전을 제한하는 리미트홈(4)내에 호형 위치제한 볼록대(9)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회전축(1)에 부합한 스위치(6)는 이로서 상부 열원체(400)의 회전 범위에 따라 로스터 발열 전원을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회전축(1)을 회전시킬 수 있는 유도홈(3)은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각각 회전축(1)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2)내에는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유도홈(3)과 부합한 유도환형부(1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케이스(2)는 대칭된 한 쌍의 함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회전축(1)에 대향한 중공부(10)에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회전축(1) 사이의 고정용 홈(5)은 호형 홈(slot)(13)에 분포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2)내에는 호형 홈(13) 위치에 대향하는 수용부(1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호형 홈(13)의 회전축 사이에 고정용 홈(5)과 수용부(14) 사이에 스프링(15)을 설치하고 이는 리미트부(16)를 위치 제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케이스(2)의 모양은 L형으로 구성했으며 회전축(1)의 일측에 하부 미니대에 삽입하고, 다른 일측은 다변형 모양으로 구성했으며 상기 케이스(2)는 연결봉(connecting rod)(17)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스위치(6)의 조립구멍(18)은 중공부(10)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에 의하면, 음식물을 가열하는 열원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부 열원체를 좌우 이동시켜 열원으로부터 구이판에 전달되는 복사열의 방향을 조리할 음식의 특성에 따라 조정하여 각종 음식의 조리법에 의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조리시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발열체의 위치 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부 열원체를 좌우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고정 배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삭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의 좌우 이동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회전축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본 고안의 좌우 이동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의 대칭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스위치 미작동시 회전축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스위치 작동시 회전축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열원체가 음식물을 구울 때에 회전축의 볼록대와 주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열원체가 음식물을 구울 때에 리미트부와 회전축 사이의 고정용 홈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열원체가 불판 끝부분에 위치할 경우 리미트부와 회전축 사이의 고정용 홈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가 적용된 로스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삭제
삭제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300)는 상부 열원체(400)를 구비한 로스터(1000)는 하부베이스부(100), 상기 하부베이스부(100)의 상단에 설치된 구이판(200), 상기 구이판(200)의 일측에 하부가 연결되는 연결봉(17), 상기 연결봉(17)의 상부가 연결되어 상부 열원체를 좌우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 장치(300), 상기 연결봉(17)의 하부가 연결되어 상기 연결봉(17)을 지지하는 지지부(600) 및 상기 상부 열원체(400)의 내측에 위치되어 구이판(200)측으로 열을 전달하는 열원(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의 좌우 이동 장치(300)는 회전축(1), 상기 회전축(1) 외부를 둘러싸는 케이스(2), 상기 회전축(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1)에 형성된 유도홈(3), 상기 회전축(1)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회전축(1)에 형성된 리미트홈(4), 상기 케이스(2)와 상기 회전축(1) 사이에 형성된 고정용 홈(5), 상기 회전축(1)에 대향하여 상기 회전축(1)에 설치된 스위치(6), 상기 회전축(1)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6)를 유발하는 유발부(7) 및 상기 회전축(1)과 상기 유발부(7)를 연결하는 유발홈(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회전축(1)의 회전을 제한하는 리미트홈(4)에는 볼록대(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미트홈(4)에는 볼록대(9)가 전부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부합한 회전을 제한하는 리미트홈(4)내에 호형의 위치제한용 볼록대(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을 회전시킬 수 있는 유도홈(3)은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각각 회전축(1)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에는 회전축(1)을 회전시킬 수 있는 유도홈(3)에 대향하여 유도환형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는 대칭된 한 쌍의 함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회전축(1)에 결합되는 중공부(10)에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1)에 형성된 고정용 홈(5)은 호형 홈(13)내에 분포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2)내에는 호형 홈(13)의 위치에 대응되는 수용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호형 홈(13)의 회전축(1)에 고정용 홈(5)과 수용부(14) 사이에 스프링(15)을 설치하여 리미트부(16)를 위치 제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2)의 모양은 L형으로 형성하였으며 회전축(1)의 일측에 하부 미니대에 삽입하고, 다른 일측은 다변형 모양으로 구성했으며 상기 케이스(2)는 연결봉(17)에 외감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6)의 조립구멍(18) 은 중공부(10)에 연결한다.
이하, 상술한 본 고안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3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300)는 회전축(1) 및 케이스(2)로 구성되었으며, 상기 회전축(1) 외부에 상기 케이스(2)를 외감시킨다. 유도홈(3)은 회전축(1)을 회전시킬 수 있고, 리미트홈(4)에 형성된 볼록대(9)에 의해 회전축(1)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회전축(1)에 형성된 고정용 홈(5)은 상기 케이스(2)와 회전축(1) 사이에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2) 내부에 일측이 결합된 회전축(1)에 대응하여 스위치(6)를 설치한다. 회전축(1)에 설치된 스위치(6)의 유발부(7)는 회전축(1)에 형성된 유발홈(8)에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1)에 형성된 유발홈(8)과 유발부(7)는 결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의 회전을 제한하는 리미트홈(4)에 볼록대(9)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케이스(2)는 리미트홈(4) 내의 호형 위치제한용 볼록대(9)에 의해 위치가 제한된다.
상기 회전축(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유도홈(3)은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서 회전축(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유도홈(3)과 대향하는 유도환형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삭제
상기 회전축(1) 사이에 형성된 고정용 홈(5)은 호형 홈(13)에 일정각도를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1) 외주면에 형성된 호형 홈(13)의 위치에 대향하여 상기 케이스(2)에 수용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의 상기 호형 홈(13)에 형성된 고정용 홈(5)과 수용부(14) 사이에 스프링(15)이 설치되어 있어서 리미트부(16)의 동작을 제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2)의 모양은 L형으로 구성했으며, 회전축(1)의 일측에 형성한 하부 미니대에 삽입하고, 다른 일측은 다변형 모양으로 구성했으며 하부 연결대가 연결봉(17)에 삽입되어 있다.
본 고안은 회전축(1)에 환형 유도홈(3)과 리미트홈(4) 및 회전축(1) 사이에 고정용 홈(5)을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2)의 호형 위치제한용 리미트홈(4)에 형성된 볼록대(9)와 유도홈(3)를 통해 열원체의 오르내림폭의 범위를 미리 설정해 평온한 네거티브 존을 실현하며 상부 열원체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 배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회전축(1)과 케이스(2)로 구성되어 있고, 회전축(1)을 회전시킬 수 있는 상부 및 하부 유도홈(3)을 각각 형성했으며 회전축(1)에 대향하는 스위치(6)의 유발부(7)는 회전축(1)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열원체의 좌우 이동 장치(300)는 환형 유도홈(3)을 이용하여 열원체 이동 후 기타 구역으로의 열량 이동을 방지하여 잠재적인 위험을 회피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를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 : 회전축 2 : 케이스
3 : 유도홈 4 : 리미트홈
5 : 고정용 홈 6 : 스위치
7 : 유발부 8 : 유발홈
9 : 볼록대 10 : 중공부
12 : 유도환형부 13 : 호형 홈
14 : 수용부 15 : 스프링
16 : 리미트부 17 : 연결봉
18 : 조립구멍

Claims (7)

  1. 하부베이스부(100), 상기 하부베이스부(100)의 상단에 구비되는 구이판(200), 상기 구이판(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열원체(400), 및 상기 상부 열원체(400)의 내측에 위치되어 구이판(200)측으로 열을 전달하는 열원(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스터(1000)에 적용되어, 상기 상부 열원체(400)를 좌우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 장치(300)에 있어서, 상기 좌우 이동 장치(300)는
    회전축(1);
    상기 회전축(1) 외부를 둘러싸는 케이스(2);
    상기 회전축(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1)에 형성된 유도홈(3);
    상기 회전축(1)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회전축(1)에 형성된 리미트홈(4);
    상기 케이스(2)와 상기 회전축(1) 사이에 형성된 고정용 홈(5);
    상기 회전축(1)에 대향하여 상기 회전축(1)에 설치된 스위치(6);
    상기 회전축(1)에 형성되어 스위치(1)를 유발하는 유발부(7); 및
    상기 회전축(1)의 내부와 상기 유발부(7)를 연결하는 유발홈(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의 좌우 이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의 회전을 제한하는 리미트홈(4)에는 볼록대(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을 회전시킬 수 있는 유도홈(3)은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각각 회전축(1)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 사이의 고정용 홈(5)은 호형 홈(13)에 분포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2)에는 호형 홈(13) 위치에 대향하는 수용부(1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호형 홈(13)의 회전축 사이에 고정용 홈(5)과 수용부(14) 사이에 스프링(15)을 설치하고 이는 리미트부(16)를 위치 제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 장치.
  6. 삭제
  7. 삭제
KR2020120004871U 2012-06-08 2012-06-08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 KR2004714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871U KR200471446Y1 (ko) 2012-06-08 2012-06-08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
JP2013003284U JP3185558U (ja) 2012-06-08 2013-06-10 ロースターの上部熱源体左右移動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871U KR200471446Y1 (ko) 2012-06-08 2012-06-08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652U KR20120004652U (ko) 2012-06-27
KR200471446Y1 true KR200471446Y1 (ko) 2014-02-24

Family

ID=46852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871U KR200471446Y1 (ko) 2012-06-08 2012-06-08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85558U (ko)
KR (1) KR20047144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5118B (zh) * 2012-06-27 2015-03-04 威海嘉易烤生活家电有限公司 一种热源上置式烤炉的热源支撑装置
KR200469933Y1 (ko) * 2013-01-24 2013-11-14 소미연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768A (ko) * 2000-09-25 2000-12-05 이치민 식탁용 로스터의 냄새 및 연기 제거장치
KR100588152B1 (ko) 2005-02-24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장치
KR20060099003A (ko) * 2005-03-10 2006-09-19 황주환 조리기용 뚜껑 개폐장치
KR20120030118A (ko) * 2012-01-26 2012-03-27 이진희 열원체가 승하강 되는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768A (ko) * 2000-09-25 2000-12-05 이치민 식탁용 로스터의 냄새 및 연기 제거장치
KR100588152B1 (ko) 2005-02-24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장치
KR20060099003A (ko) * 2005-03-10 2006-09-19 황주환 조리기용 뚜껑 개폐장치
KR20120030118A (ko) * 2012-01-26 2012-03-27 이진희 열원체가 승하강 되는 조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85558U (ja) 2013-08-22
KR20120004652U (ko)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885B1 (ko) 열원체가 승하강 및 좌우이동되는 조리용기
KR100833966B1 (ko) 적외선 가열 조리기
KR101401017B1 (ko) 구이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가열 조리기
KR101582538B1 (ko) 양방향조리기구
KR101643391B1 (ko) 적외선의 가열모듈을 갖춘 조리기구
KR20150013401A (ko) 양방향 가열 조리기
KR101520498B1 (ko) 회전 랙을 구비한 오븐 레인지
KR20140002962U (ko) 상부발열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열 조리기
KR200471446Y1 (ko)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
CN100579432C (zh) 旋转烧烤器
CN103549887B (zh) 一种烤箱
KR200471927Y1 (ko)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 승강 장치
JP3193085U (ja) 加熱調理器
CN207815414U (zh) 一种具有防烫伤结构的电陶炉
CN211534071U (zh) 具有烘烤组件的烹饪器具
KR102073863B1 (ko) 상부 세라믹 가열방식을 이용한 휴대용 가스그릴의 구조
KR20160145418A (ko) 상 방향 가열 조리기
KR200463874Y1 (ko) 꼬치 직화 구이기
KR101778880B1 (ko) 고효율 구조의 전기로스터
CN110754964A (zh) 一种手持式电烹调器
KR101326356B1 (ko) 다용도 구이기
KR101694156B1 (ko) 다기능 구이기
CN219756451U (zh) 一种新型温控方式的电热炉
CN214284604U (zh) 煎烤机
KR101320210B1 (ko) 열효율이 증가되는 오븐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5